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biofilm effects of sinomenin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염수진,정희곤,김승민 한국식품과학회 2023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2 No.1

        Staphylococcus aureus is a gram-positive foodborne pathogen capable of forming strong biofilms. This study identified that anti-biofilm natural compound against S. aureus. Sinomenine, a natural compound,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biofilm formation (31.97–39.86%), but no effect on bacterial growth was observed. The dispersion of preformed biofilms was observed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qRT-PCR revealed that sinomenine treatment significantly up-regulated agrA by 3.8-fold and down-regulated icaA gene by 3.1-fold. These indicate that sinomenine treatment induces biofilm dispersal due to cell-cell adhesion, polysaccharide intercellular adhesin (PIA), and phenol-soluble modulin (PSM) peptides produc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sinomenine can be used as a promising agent for effectively controlling biofilm formation and dispersion, thereby making S. aureus more susceptible to the a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이희영,최태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수학교사들의 수업연구를 통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지도 효과

        염수진,김영옥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4

        수업연구를 같은 학교 동료 교사와 함께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지도에 적용한 본 연구는 수업연구 활동이지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연구에 참여한 수학교사로부터 수업을 받은 36명과 수업연구 적용을 받지 않은고등학생 36명에게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에 관한 수업을 실시하고, 두 집단의 학습 효과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수업내용에 관련된 객관식 20문항을 지필고사 시험으로 제시하였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 36명의 평균점수가 100점 만점에 77.11(표준편차 16.47)점이고 수업연구 적용을 받지 않은 학생들의평균 점수는 65.29(표준편차 20.59)점으로 나타나,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고등학생들이 그렇지 않은고등학생들보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높았다고 해석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뿐만 아니라,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흥미-태도(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변화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에 관한 측도점수 모두 유의수준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세 영역을 모두 총괄하여 수학에 대한흥미⋅태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수준 0.05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수업연구를 적용받은 학생들이 수업연구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수학에 대한 흥미⋅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pplying the method of lesson study as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Lesson study is defined as an inquiry into the stable and systematic teaching practices which Japanes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long practiced in Japan. Unfortunately,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practice of class study is effective, teachers in Korea are not ready to apply this method as they fear criticism and classroom evaluations. Although teachers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aching by sharing their closed classroom teaching with their colleagues, it is true that they have not actively pursued this due to the fear of releasing their class.

      • KCI등재

        키토산 처리된 델라웨어 포도의 저장 중 품질 변화

        염수진(Su Jin Yum),강지훈(Ji Hoon Kang),정승훈(Seung Hun Jung),송경빈(Kyung Bi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5

        수확 후 델라웨어 포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품질 유지를 위해 키토산 처리 후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에 포장하여 4°C와 20°C에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효모 및 곰팡이 수와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키토산 처리 후 델라웨어 포도의 초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1.88 log CFU/g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저장 12일 후 4°C에 저장한 키토산 처리구는 1.35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4.35 log CFU/g의 미생물 수 감소를 보여 20°C 저장보다 미생물 저감화 효과가 높게 유지되었다. 포장재 내 O₂ 농도는 저장 중 모든 처리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CO₂ 농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4°C 저장 시 적은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키토산 처리구의 O₂ 및 CO₂ 농도가 모든 저장 온도에서 낮은 변화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에 있어서는 모든 처리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4°C 저장이 더 낮게 감소하였으며, pH와 당도는 4°C 저장에 비해 20°C에서 높은 증가 추이를 보였다. 또한 키토산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 중 델라웨어 포도의 Hunter 색도 값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수확 후 델라웨어 포도에 키토산 처리 후 4°C에서의 저온 저장이 델라웨어 포도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품질관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To maintain quality of Delaware grapes during storage, grape samples were treated with 0.1% chitosan dissolved in 0.5% acetic acid, packaged with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stored at 4 or 20°C for 12 days. Chitosan treatment reduced initial populations of yeast and molds in grapes by 1.86 log CFU/g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During storage, oxygen contents in packages of samples decreased, whereas carbon dioxide contents increased. In addition,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changes in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of grapes treated with chitosan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Hardness of samples decreased, and Hunter L, a, and b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Regarding pH and total soluble content, grapes stored at 4°C maintained pH and had greater total soluble content than those stored at 20°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tosan treatment and low temperature storage can be useful for maintaining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Delaware grapes during storage.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Sujin Yeom),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Taejin Cho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