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염동문,김미정,백혜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1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network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 data from the Korea Disabled Employment Agency and Employment Institute of Employment Panel Survey from 2009 to 2010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object rage is 933 persons who have been employed for 2 years as employed wage earners who could have job satisfaction. Setting mediator and extra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iterion variable as covariates and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as well as and bootstrap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in social network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workers with many social networks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hows that job satisfaction(mediators)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social networks(predictor variables) on life satisfaction(criterion variable). We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mediators) and social network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가 가진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들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로부터 수집된 2009년부터 2010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직무만족이 발생할 수 있는 취업 임금근로자로서 2개년 동안 직업유지가 확인된 993명이다. 매개변인과 준거변인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가외변인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와 생활만족도에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많은 장애인 근로자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매개변인인 직무만족은 예측변인인 사회적 네트워크가 준거변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매개변인인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종단적 변화양상과 변화양상별 영향요인

        염동문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ed immigrants wome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patterns. The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data in preparing policies to reduc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ed immigrant women.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from 2011-2015 Multicultural Youth Panel Data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m 1,236 married immigrant women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four type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change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high stress maintenance group, low stress maintenance group, stress increase group and stress reduction group). Seco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parated and marginalized cultural adaptation typ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high stress maintenance group membership than the low stress maintenance group and the stress reduction group. The younger mother’s age and the poorer the family economic status,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 stress maintenance group was much higher than the low stress maintenance group.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유형을 확인하고, 그 변화유형에 대한 특성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1∼2015년 다문화청소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결혼이주여성 1,236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유형은 4가지(고 스트레스 유지집단, 저 스트레스 유지집단, 스트레스 증가집단, 스트레스 감소집단)로 분석되었다. 둘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적응유형 중 분리와 주변화가 될수록 저 스트레스 유지집단과 스트레스 감소집단에 비해 고 스트레스 유지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저 스트레스 유지집단보다 모 연령이 낮을수록, 가정형편이 안 좋을수록 고 스트레스 유지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함의 및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매개된 조절모형과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한 직장차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염동문,이성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1

        본 연구는 직장차별과 직무만족,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모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로부터 수집된 5차년도 자료에서 직장내에서 차별을 경험할 수 있는 취업 임금근로자 1,0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직장차별, 직무만족,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고, SPSS 18.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이 직장차별과 생활만족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직장차별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적으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적으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o compare the model of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with that of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o investigate self-esteem’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5th year resources collected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sed targeting 1,094 workers to undergo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job satisfacti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18.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self-esteem didn’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tegrated self-esteem’s mediated moderating effect was not found. Third, self-esteem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at is, integrated self-esteem’s moderated medication effect was foun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노인의 음주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염동문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3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9 No.3

        최근 사회변화로 노인의 음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인의 음주는 우울 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지만 음주를 하더라도 보호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노인의 음주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을 매개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을 사용하여 65세 이상 1,4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은SPSS 24와 PROCESS를 활용하여 매개, 조절,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음주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주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음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사회적지지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음주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Drinking among the elderly i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like depression, but the effects of drink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Thus,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e Aging Research Panel was used to analyze 1,401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and SPSS 23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test the mediated, moderated,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full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Secon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and depres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effect of drinking on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at increased as social support increased.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drinking.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문화적응 유형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잠재프로파일분석 활용

        염동문,임채영,김한솔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3

        This study perform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o verify the acculturation types targeting 1,267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whole nation by using the fifth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data in 2011~2015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also performe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predic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otal three sub-type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goodness-of-fit index and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he sub-types were named like ‘flexible-type’ for type1, ‘maladjusted-type’ for type2, and ‘embracing-type’ for type3. Second,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 types was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the flexible-type by using the maladjusted-type as a reference group, it was highly possible to be included in the maladjusted-type when the parental efficacy was lower, when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higher, and when Korean language ability was lower. In comparison with the embracing-type group, it was highly possible to be included in the maladjusted-type when the age was higher, when the self-esteem was lower, when the parental efficacy was lower, when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higher, and whe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was lower. Based on su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1〜2015년 다문화청소년 패널 자료인 5차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결혼이주여성 1,267명을 대상으로 Berry의 문화적응 4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잠재집단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고, 특성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도지수와 잠재계층분류에 따라 3개의 하위유형이 선택되었다. 1유형은 ‘유연형’, 2유형은 ‘부적응형’, 3유형은 ‘포용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유형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적응형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유연형과 비교하면 부모효능감이 낮을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한국어능력이 부족할수록 부적응형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포용형 집단과 비교하면, 연령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부모효능감이 낮을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한국어능력이 부족할수록 부적응형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염동문(D. M. Yeum),심미영(M. Y. Sim),정상수(S. S. Ju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2차년도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에서 시력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만 65세 이상의 노인 384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Andersen-Newman의 서비스 이용모델을 기반으로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요인에서는 교육수준이 높고 미취업상태에서, 가능성 요인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시력보조기구 사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data of 384 senior citizens over 65 years old having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among the ageing research panel of Korea Labor Institute in 2000, due to their visual impairment in the final analys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vision aids by the aged with visual impairment.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service usage Andersen-Newman model and th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receding factors, potential factors and desire factor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ch factors on the use of vision aids by the aged with visual impairm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analysis results, the level of vision aids usage was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with unemployed status and higher education level in the preceding factors, lower subjective stratum consciousness in the potential factors, and higher cognitive function in the desire factor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염동문(Yeum, Dong Moon),정정숙(Jung, Jung Su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관계망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시점에 만 65세 이상의 3,94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3가지 모델에 대한 변인간의 관계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적용하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델3이 선택되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아지면 우울이 감소하고, 우울이 감소하면 삶의 만족이 증가되는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가 커질수록 이러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조건부 직접효과의 영향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고, 매개변인인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관계망을 조절하여 삶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and how depression and social networking influences the correlation. To do so, the 2<SUP>nd</SUP> 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by Korea Labor Institute was used to analyze 3,942 people aged 65 and older. SPSS Macro and bootstrapping was applied to correlation among variables regarding the three proposed models,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ing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After the analysis, Model 3 was chosen and the mediating effect that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less to decrease of depression and decrease of depression leads to higher satisfaction with life was found. Also, it was found that larger social networking suppresses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Based on the result, the author propose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subjective health status, reduce depression, and adjust social networking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life of elderly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염동문(Yeum, Dongmoon),김선주(Kim, Sunjoo),이성대(Lee, Seongd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과 사이버비행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고,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데 있어 그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서비스를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지역의 중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넷과다사용과 사이버비행에 있어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은 예측변인과 조절변인을 평균중심화하여 적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크기와 통계적 검정력(povwer)을 제시하였으며,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효과인 단순회귀선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사용이 높으면 사이버비행 수준이 높아지는데, 자기통제력이 낮은 집단인 경우는 사이버비행의 변화량이 크지만, 자기통제력이 높은 집단의 경우는 그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터넷과다사용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통제력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으며, 자기통제력은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인터넷과다사용과 상호작용하여 사이버비행에 영향을 주는 유사 조절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인터넷과다사용을 감소시키고 조절변인인 자기통제력을 향상시켜 사이버비행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overuse of internet and their cyber delinquency, and use these results in practice service to enhance self-control, which can in turn be used to control the influence of internet overuse on cyber delinquency.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analyzed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t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internet overuse and cyber delinquency, it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predicting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mean-centered, and the size and statistical power of the moderating effect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lf-control affected cyber delinquency and proved to be a quasi-moderator which influenced cyber delinquency in interaction with internet overuse.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an be used to reduce adolescents’ overuse of internet and improve self-control as a moderator to decrease cyber delinquency. The possibl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정보접근을 위한 정보통신용어 수화해설사전 제작에 대한 욕구분석

        염동문(Dong-Moon Yeum)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9 No.2

        신기술의 도입으로 인하여 청각장애인들의 정보접근권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여건은 나아졌지만 장애인을 대변하는 힘의 한계,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정보접근권은 예전에 비해 크게 나아진 바가 없다. 또한 많은 청각장애인들은 시각언어인 수화와 음성언어의 문자인 한글을 사용함으로 인해 구조적 문맹상태에 있기 때문에 소리와 텍스트위주로 되어 있는 정보전달체계에서 정보를 수용, 가공, 활용의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기술과 정보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청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수화를 중심으로 새로운 해설사전이 필요하다는 가정하에서 ‘정보통신용어 수화 해설 사전’에 대한 청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 정보화교육 교사들의 욕구를 분석해보았다. 그 분석결과 청각장애인과 정보화교육 교사는 정보통신용어 수화해설사전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The conditions that can expand the access of the deaf to information has improv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but there has been no big improvement on their access to information compared with before because of the limited power to speak for the disabled, the lack of social recognition about the disabled, etc. Furthermore, lots of the deaf remain in a structural illiteracy as they have to use a visual sign language or Hangul, anaudio language, so the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ccepting, processing and using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mainly centered on sounds and texts.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as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desires of the deaf and teachers educating the deaf for 'a sign language expository dictiona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s' under the hypothesis that a new expository dictiona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s used by the deaf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ies for a information society and for the basic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development.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af and their teachers are commonly feeling that they need a sign language expository dictionar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