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검사의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른 사회적 바람직성 변인 탐색

        어윤경(Au Yun Ky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4

          상담 장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비인지 영역 심리검사가 웹기반 검사로 급속하게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검사 운영모드와 실명기입 여부에 따라 사회적 바람직성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검사 실시조건을 검토하여 웹기반 심리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검사 운영모드, 실명기입 여부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사회적 바람직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비인지 영역검사에서 검사 실시조건에 따른 검사결과의 동등성에 대한 회의가 부분적으로나마 해소되는데 도움을 주었다. 더구나 웹기반검사 운영모드 사용시 실명조건을 통해 검사의 타당도를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피검사자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비인지 영역 웹기반 심리검사를 활용하는데 함의를 제공한다.   Through the study, I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operation of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test administered mode in the situation which psychology testings to be used for counseling are rapidly replaced with web-based testings. I assumed that the web-based psychology testings are more straight and less exaggerating, comparing with the typical paper-administered testing mode, therefore, it will show a lower level of social desirability. And I suggested that the strategies which make the interviewees recognize the demonstrability for their responses by giving them feedback for the test results will show a lower level of social desirability than other strategies that keep us from recognizing the demonstrability. In addition, I assume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concurrent validity of social desirability according to the testing mode and demonstrable stratage.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sting mode and demonstrable stratage, and interaction. Thus, it partly contributed to get rid of skepticism about equality of the test results in affective psychology testing. In particular, it"s possible to make concurrent validity larger by the web-based method and demonstrable condition.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 스트레스와 우울성향 완화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윤경(Yun-Kyung Au)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학교 스트레스, 우울성향 완화가 학습몰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에서 진로조망이 조절역할을 함을 검증하여 진로조망 능력 향상을 통해 심리적 문제상황과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2 013년 조사한 7,221명의 초등학생이며,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은 학업 스트레스, 학교폭력 노출정도, 학교폭력 피해경험 등을 포함한 학교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우울성향을 통제변수로 설정하고 이 변인들의 완화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 진로조망의 긍정적 조절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학업 스트레스, 학교폭력 노출정도, 학교폭력 피해경험, 우울성향, 진로조망이 학습몰입에 대해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진로조망이 학습몰입 향상에 긍정적으로 조절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거리두기 역할을 하는 진로조망은 학교 스트레스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진로조망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몰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데이터와 같은 대규모 조사자료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초등학생의 학교 스트레스와 우울성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에는 학교 스트레스 수준이 단순히 학습 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만 생각하였으나 진로조망이 조절역할을 하여 학교 스트레스로 인한 역기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교육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amines career perspectives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adolescence’ learning flow. Whether school stress and melancholy disposition has an effect on adolescence’ learning flow and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erspectives would be affected in adolescence’ learning flow are tested. 7,221 adolescence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adolescence’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low school stress and melancholy disposition. In particular, even when we consider career perspectives level, school stress and melancholy disposition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learning flow level.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career perspectives mediate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school stress, melancholy disposition and learning flow. Findings are found that career perspectives decreased adolescence’ dysfunctional emotion level. The relation model between school stress, melancholy disposition and learning flow can be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the students can have a good time in spite of stressful school environment.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he school counselor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perspectives for high learning flow. To sum up, We can assist juvenile melancholy disposition and school stress problems by dealing with social problems such psychological distance and career perspectives.

      • KCI등재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어윤경(Yun Kyung Au)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의 진로성숙수준과 의사결정수준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진로성숙수준이 실천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와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은 진로성숙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으로 실현시키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진로 연구분야에서 빠뜨릴 수 없는 진로의사결정 요인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기존의 진로성숙수준은 행동을 이끄는데 더 이상 유의한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성숙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수준이 높아지고, 진로의사결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을 때 실천적 행동을 이끄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진로의사결정은 실천 행동을 이끄는데 완전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진로성숙수준, 진로의사결정,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인지적 측면의 진로관련 변인뿐만 아니라 행동적 측면에 대한 이론 모형을 정립하는데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진로성숙수준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행동의 동인이 된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진로준비행동을 실현시키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진로성숙수준을 증가시키려 는 개입 활동에 더하여 의사결정수준을 높이도록 조력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진로미결정 요인을 살펴보고 의사결정수준을 높이도록 지원하는 세심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present study, a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career decision-making skill has a mediating effect on college students`career matu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college students`career matur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when career decision-making skillwas considered, career maturation no longer showed any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career decision -making skill was determin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two variables. The use of the relations model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kill and career maturation will enable the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foundations not only on the career variables related to cognitive aspects but also on those related to behavioral asp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areer counselor can increase the career decision-making skill of college students, which will positively affec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학습스타일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학습전략에 의한 학습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어윤경(YunKyung Au)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대학생 시기는 학업에 전념하는 것 뿐만 아니라 졸업 후 진로설계를 동시에 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학습스타일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학습전략의 조절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학습스타일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 둘째, 학습스타일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전략 사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가? 마지막으로 학습전략에 의한 학습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가?로 설정하였다. 서울 경기권과 충청권 1~4학년 대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습스타일, MSLQ, 학습몰입을 측정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스타일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고, 둘째, 학습스타일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조절효과는 학습스타일 중 반성적 관찰과 추상적 개념화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습전략에 의한 학습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반성적 관찰 수준에서 동료학습전략이 조절적 매개효과를 보여서 학습몰입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겼고, 추상적 개념화 수준에서 인지전략이 조절적 매개효과를 보여서 학습몰입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층의 구직난 심화로 대학교 시기에 학업과 취업준비라는 과업들을 수행하는 대학생이 자신의 학습스타일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학습전략을 활용하면 학습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에 자신감을 갖게 됨을 보여줌으로써 대학생 시기의 학업과 진로는 교육현장에서 통합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focusing on individual learning styles. College is not only a time to concentrate on studying, but also a time for students to design their careers after graduation. Design/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I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s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engagement? Is th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for learning strategies? 151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measure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arning styles,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learning engagement, and mediated vs moderated effects using the SPSS macro program. Findings/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career determining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ies’ moderating effects were indicated as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reflective observation and abstract conceptualization. Finall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mprov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rough learning engagement at the level of reflective observation as information-aware methods, while cognitive strategies significantly improv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rough learning engagement. Valu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egarding young people"s career search progress, close understanding of their own learning styles and use of the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not only improves their learning engagement but also their confidence in career decisions, indicating the need to manage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knowledge of learning styles in an integrated way.

      • KCI등재

        아동의 내적ㆍ외적 직업 가치관 결정요인 탐색: 성, 성취동기,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어윤경(Au, Yu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2

        직업 가치관은 아동기에 형성되어 미래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학령기 초기부터 세심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문헌연구에서 지금까지 직업 가치관과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어온 변인 중 하나가 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주로 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나 현재는 차이가 없는 추세라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도 아동의 직업 가치관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내적 직업 가치관 혹은 외적 직업 가치관 을 소유하는 결정요인으로 성, 성취동기, 진로성숙 수준을 고려하였다. 우선 전국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학생 1,000명을 표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 가치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로 내적ㆍ외적 직업가치관 집단에 속하는 424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내적ㆍ외적 직업 가치관 집단으로 구분하는 결정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의미한 결정 요인은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였으며, 진로성숙도와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내적인 직업 가치관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진로교육을 통해 아동이 바람직한 직업 가치관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찾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to dec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bout sex, career maturity, achievement motivation. In this study, utilized objects of the study was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1,000 students in the age range of 12 and 13. Acturally 424 students had intrinsic or extrinsic work values. The findimg from the current study reported that the factor to dec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was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Conclusio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early childhood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children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career education.

      •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 분석

        어윤경(Au, Yun Kyung),황여정(Hwang, Yeoju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3 No.2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 목적은 교육기부 표준 모델을 구축하고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교육기부 기관간 혹은 학교-교육기부 기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진로탐색 교육기부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학교급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체험형 프로그램을 6차시로 제작하여 운영하였고, 진로탐색 교육기부 컨설팅을 상시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ㆍ사후 검사를 통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진로 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실시결과,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참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기부 기관과 학생의 만족도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과 후의 진로성숙도는 진로계획성과 진로행동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으로 직업기초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첫째,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비스 안정화에 기여하였고, 둘째,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진로탐색 교육인프라 구축에 기여하였으며, 초ㆍ중ㆍ고등학생들에게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한 창의ㆍ인성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표준화된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각 산업별 교육기부 기관 및 공공기관의 교육기부 참여 의지를 고취시켰고, 초ㆍ중ㆍ고 학교급별 학생의 자기주도적 진로설계 능력 함양과 계층 간, 지역 간(도ㆍ농간) 교육격차를 해소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donation program is to establish a standard model of educational don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to establish an networking between educational donation agencies or school-education donation agencies. Based on th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at the school level, this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served and then, the program effectiveness was reported through pre and post te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ng in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was generally satisfactor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donation ag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Thir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was improved partially and the level of overall job ability was improved. This study implies that First, it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system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capacity. Second, it constructed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ree sementer system . By providing a standardiz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it encouraged the agencies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donation by the educational donation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in each industry. Also, these program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career designing ability.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포부 변화와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지원과 양육태도 요인 분석

        어윤경(Au, Yun 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직업포부 수준의 변화를 추정하고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부모요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직업포부 수준에 대한 변화를 다층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직업포부 수준과 부모의 교육적 지원과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고, 학년 증가에 따른 변화패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2005년도를 기준으로 전국 중학교 1학년 학생 6,908명을 표본으로 조사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교육종단연구 2005’ 1~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청소년의 직업포부 수준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시간의존적 설명변수로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직업포부 수준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이 뒷받침되었을 때는 이러한 하락세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를 시간독립적 변수로 투입한 결과, 부모의 교육적 지원은 변화율에 의미있는 변수로 도출되지 않는 반면 부모의 양육태도가 변화에 유의미한 설명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교육적 지원은 평소의 양육태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부모의 교육적 지원보다는 평소에 수용적인 양육태도를 보였는지가 직업포부 수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진로상담을 위한 부모교육 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최근의 추세에 비추어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부모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present study, employing multilevel models, change patterns in adolescents' changes on job aspiration level and the effect of parents' support were estimated. Specifically, we tested whether the effects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 were constant across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nd parents' children rearing attitude of the Korean Educational Panel Study(Cohorts of middle school 2nd-graders). Results showed that generally speaking, job aspiration statu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other hand, parent's educational support at the start increased and some time later increase significantly by linear change models. Especially parents' children rearing attitude showed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job aspiration level. These results of study will contribute to korea parents' education for adolescents' career counseling.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내 · 외향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어윤경(Au, Yun-Ky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내 · 외향성 수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내·외향적 성격과 같은 기질적 특성에 따라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을 도출해 내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시 · 도 교육청 소속 전문상담교사 86명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내 · 외향성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다르게 나타나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내 · 외향성 수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전문상담교사의 내·외향성 수준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내향성 수준이 높은 전문상담교사일수록 소극적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전문상담교사의 내향성 수준이 적극적 대처전략과 소극적 대처전략 집단을 구분하는 유의미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 전문상담교사의 내 · 외향성 수준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니나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즉, 내향성의 성격적 특질이 직접적인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은 아니나 스트레스 대처시 소극적 대처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에 더 취약해진다고 유추할 수 있다. 다만, 내향적인 전문상담교사가 소극적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역할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돌보는 전문상담교사들이 직무에 만족하고 행복한 직업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 공교육의 경쟁력 강화와 직결된다고 볼 때 교사의 정신건강을 위해 본 연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ry to verify that the stress coping stratage of introversion school counselor will be affected in reducing job stres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in school field. The objects of study were 86 korean school counselor. At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f school counselor’s introversion level can divide the group of passive stress coping stratage or the group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age. And then it try to verify that job stress is affected improving job satisfaction. Finally it try to verify the regulating effect of the passive stress coping stratage or positive stress coping stratage in the relation of introversion level and job stress. Conclusionally this study verified if introversion level of school counselor is affected in stress coping, job stress and is affected in job satisfaction. Especially introversion level of school counselor is affected in passive stress coping strata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school counselor’ introversion isn’t ineffective in school. Accordingly better effective passive coping stratage for school counselor of high introversion level was the passive stress coping stratage. This study verified regulating effect of the passive stress coping stratage.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counselor of introversion level can reduce the role stress and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through appropriate stress coping stratage.

      • KCI등재

        진로교육에 활용되는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의 faking-good 탐지기능 분석

        어윤경(Au Yun Ky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There is a possibility for distorted response set in self-reporting psychology tests used for vocational counseling. Distortion to fit the social desirability is especially of concern when the test result is used for employment selection or assessment. In order to make up for such a problem, many psychological vocational assessment inventory tests use detection indices. Basically, the detection indices is believed to serve the purpose of finding out whether the test taker distorted response or not. However, such supposition does not have the objective verifi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s an analysis with the following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existing detection scale adequately perform its duties. Second, in case the existing detection scale does not adequately perform its duty, this study sets out to construct detection indices to find out positive impression distortion by analyzing the item contents. Finally, this study will verify the validity of the new indices in both laboratory situation and re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ocial desirability scale showed that it had some validity but not in sufficient manner. Thus, the study provides index for positive impression response. As for positive impression management index, I have conducted stepwise Discriminate Analysis on personality traits that are involved in positive impression to come up with impression management index. Some of the trait factors that contributes to positive impression are social desirability, self-consciousness, modesty, and self-control. The results to response distortion evaluation show that the new indices have better detection ability than the existing ones. Also, the new indices proved to be more useful in real situations as well. This study attempts at providing a structure that allows for deep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so that self-reporting psychological tests may be used in career counseling to its fullest extent.   진로교육 과정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자기보고식 심리검사는 실시과정에서 피검사자의 반응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반응왜곡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 중에서도 피검사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신을 왜곡하는 양상은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faking-good 탐지의 목적으로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에서는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포함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가 반응왜곡을 적절하게 탐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일 반응왜곡을 제대로 탐지하고 있지 못하다면 지표로서의 부적절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faking-good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탐지지표를 새로 구성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심리검사가 진로교육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더욱 정교하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고 결과해석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