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스타일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학습전략에 의한 학습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어윤경(YunKyung Au)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대학생 시기는 학업에 전념하는 것 뿐만 아니라 졸업 후 진로설계를 동시에 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학습스타일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학습전략의 조절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학습스타일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 둘째, 학습스타일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전략 사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가? 마지막으로 학습전략에 의한 학습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가?로 설정하였다. 서울 경기권과 충청권 1~4학년 대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습스타일, MSLQ, 학습몰입을 측정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스타일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고, 둘째, 학습스타일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조절효과는 학습스타일 중 반성적 관찰과 추상적 개념화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습전략에 의한 학습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반성적 관찰 수준에서 동료학습전략이 조절적 매개효과를 보여서 학습몰입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겼고, 추상적 개념화 수준에서 인지전략이 조절적 매개효과를 보여서 학습몰입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층의 구직난 심화로 대학교 시기에 학업과 취업준비라는 과업들을 수행하는 대학생이 자신의 학습스타일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학습전략을 활용하면 학습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에 자신감을 갖게 됨을 보여줌으로써 대학생 시기의 학업과 진로는 교육현장에서 통합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focusing on individual learning styles. College is not only a time to concentrate on studying, but also a time for students to design their careers after graduation. Design/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I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s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engagement? Is th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for learning strategies? 151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measure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arning styles,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learning engagement, and mediated vs moderated effects using the SPSS macro program. Findings/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career determining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ies’ moderating effects were indicated as significant in the sub-factors of reflective observation and abstract conceptualization. Finall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mprov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rough learning engagement at the level of reflective observation as information-aware methods, while cognitive strategies significantly improv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rough learning engagement. Valu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egarding young people"s career search progress, close understanding of their own learning styles and use of the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not only improves their learning engagement but also their confidence in career decisions, indicating the need to manage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knowledge of learning styles in an integrated way.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김이영(Kim Yiyoung),전지은(Jun Jieun),박미란(Park Miran),어윤경(Au Y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2,500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성취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고, 그릿은 학업성취도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열의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열의는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도, 그릿, 학업열의,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s dependence and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data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martphone dependenc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discus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grit,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대학생용 취업준비행동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어윤경,김동일,정여주,이주영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s goal is to develop the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est to assist th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we explored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of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Also, we researched the related examples with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est is desirable to estimate the cognitive domain and behavior domain separately. So,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st has to estimate according to the below variable factors such as six theoretical constructs. We utilized many kinds of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selecting reliable items, and we verified the selected items. This test was develop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behavior preparation level. This test included several below tests; such as career development test. As a matter of fact, the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Test constructed nonpolitical job exploration, political job exploration, endurance level of effort for employment, strength level of effort for employment, preliminary job exploration, and positive job exploration. This test constructed 40 items. We verified this test through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below variables and verifying concurrent valid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est, university students will be able to plan their career and prepare their job effectively. Also, if university students review thei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is test, they can estimate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the job they want for themselves. 본 연구는 심각한 취업난에 직면한 대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대학생용 취업준비행동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관련 문헌과 국내ㆍ외 대학생 취업 관련 검사를 조 사한 결과 취업준비행동 검사는 사고 영역과 행동 영역을 모두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지금 까지의 연구들은 인지적, 정의적 영역 측정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고 행동 측정에 초점을 맞 춘 연구가 많지 않다. 즉, 대학생 시기는 생각한 것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 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행동으로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지 그리고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취업준비행동 수준을 측정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자 하 였다. 연구의 진행단계에 따라 전문가 자문과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타당하고 신뢰로운 문 항을 선정하고자 노력하였다. 취업준비행동 검사는 비공식적 직업탐색, 공식적 직업탐색, 취 업노력 지속성, 취업노력 강도, 예비적 직업탐색, 적극적 직업탐색의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 되었으며, 총 40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각 하위요인간의 적절한 상관과 타당도 검증을 통 하여 검사를 타당화하였다. 대학생용 취업준비행동 검사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은 진로설계 및 취업 준비상황 전반을 정 리할 수 있을 것이며, 자신의 직업탐색 행동과 취업준비 행동을 점검하여 부족한 부분을 확 인해 가는 일련의 활동을 통하여 변화 과정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