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수준별 집단배치 및 집단 간 이동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황여정(Hwang,Yeo-J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39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properties of ability grouping in Korean societ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laced in advanced class or remedial clas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xperiencing upward mobility from remedial class to regular or advanced class, or downward mobility from advanced class to regular or remedial class? The data source for this study is the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s multi-level modeling in the view of data structure.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even though academic achievement plays the most critical role in assigning students to each track, other variables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rack placements such as family income, parental involvement,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and prior track placements. Also, the present study founds that upward mobility seems rare, and downward mobility seems common. These results implied that as extensive previous research maintained, mobility in particular upward mobility hardly happens in nature under ability grouping.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need of more systematic and elaborate research on the mechanisms and contexts causing these resul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of this policy effectively, and especially to alleviate the disadvantages that students in remedial class might suffer from.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준별 집단배치와 집단 간 이동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이 제도가 한국 사회에서 운영되는 실제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그 함의를 고찰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반화 된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먼저 수준별 집단배치의 경우, 영어ㆍ수학 교과에서 학생들을 상ㆍ하위반에 배치하는 데는 공식적인 기준인 학업성취 못지않게 가정의 소득수준, 부모의 기대교육수준, 교육적 관여 등 다양한 외부적 요인들이 인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집단 간 이동가능성과 관련하여,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기보다는 한 번 배치된 집단에의 소속이 유지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이동이 발생할 경우, 사교육에 참여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며, 보다 높은 포부수준을 견지하고, 부모가 자녀에게 더 많은 기대를 부여하며 자녀 교육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경우 대체로 상향 이동을 경험할 가능성은 증가하고, 하향 이동을 경험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이미 학업성취가 뒤처진, 열악한 환경의 학생들이 수준별 이동수업 제도 하에서 실력을 쌓아 하위반을 벗어날 가능성은 좀처럼 크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하위반 학생들에게 보다 집중적이고 차별화 된 교육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수준별 수업을 통해 좀 더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생자치활동이 중고생의 학교교육 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황여정 ( Yeojung Hw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2

        본 연구는 학생자치활동이 중·고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급회의 운영 여부, 학생회 운영의 자율성 보장 수준, 학교에서의 자유로운 의사표현 수준, 학교의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학생 참여 및 의사결정과정의 공유 등 학생자치활동의 개념을 포착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활용하여, OLS 회귀분석을 통해 학생자치활동의 효과를 세밀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자치활동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교육의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하고, 학생회 운영의 자율성이 보장되며, 학교의 규칙이나 규정 등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하도록 기회를 보장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참여의 절차가 잘 준수될수록 중학생 및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교육의 효과는 제고 되었다. 학급회의 운영 여부의 경우, 중학생 집단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뚜렷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의 효용성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학생자치활동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학생자치활동을 내실화하기 위한 양적·질적 측면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students’ self-government activities on students’ recognition of effectiveness of schooling using representative data collected nationwide. In particular, this study utilized various factors that capture the concept of students’ self-government activities, such as the operation of classroom meetings, the level of assurance of autonomy of student council administration, the level of free expression of opinions in schoo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self-government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effect of school education that students perceive. Specifically, when students are free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the school, to ensure the autonomy of the student council, to ensure that students participate in major decision-making processes, such as school rules and regulations, the effect of school education felt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improved. In the case of classroom operation,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but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students’ self-government activities to improve the students’ recognition of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 KCI등재

        부모의 교육지원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황여정 ( Yeo Jung Hwang ),장희원 ( Hee Won Jang ),김경근 ( Kyung Ke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부모의 교육지원이 초등학생의 인지적 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 정책적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기대교육수준, 학습지도, 사교육 참여가 아동의 인지적 성취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와 함께하는 여가 및 문화 활동과 교사와의 상담은 오히려 인지적 성취에 부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부모-자녀 간 밀착도, 학업 정보 수집, 학교활동 참여, 체험활동 참여는 아동의 인지적 성취와 연관성은 있지만 그것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이러한 변수들이 아동의 인지적 성취와 의사관계(spurious relationship)의 상태에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학교수준 변수들 중에서는 학교평균 수업분위기가 인지적 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계층 간 교육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계층적 배경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부모의 심리적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양호한 수업분위기의 조성을 위한 학교 단위의 노력이 요망됨을 제언하였다. Drawing on first-third wav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achieve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 advice on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could significantly enhance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achievement. On the contrary, cultural or leisure activities with parents and counseling with teachers have rather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cognitive achievement. Also, parents-child attachment, collecting information on learning,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experiential activities do not ex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child`s cognitive achievement, even though they are all to some extent associated with student`s cognitive achievement. This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re spurious. Among school level variables, the average class atmosphere turns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ognitive achievement.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schools put more effort into promoting parental psychological support, which is relatively independent of socioeconomic status, as well as enthusiastic class atmosphere in order to alleviate educational inequali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여정(Hwang Yeo-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계열, 진로 인식수준, 학벌주의 성향, 그리고 가정과 학교 내 사회적 관계, 지역규모, 지역평균 부모 직업지위 등이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업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벌중시 성향이 강할수록, 자신의 진로에 대해 뚜렷한 방향성을 갖지 못하고 진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수록 학업 스트레스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학업스트레스 영향요인의 양상이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인식차이가 존재함을 드러내 주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공부 외에 다양한 기회구조를 제공하고, 진로지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stress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ultilevel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under stress if they are female, academically incompetent, and belong to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ones. Moreover, students who are either highly motivated by or influenced by credentialism, and lack information about their own future careers tend to be more anxious about their studies than those who do not. This means that, in Korean society, where credentialism prevails, adolescents have a high degree of stress because they are forced to improve their academic abilities without any concomitant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aptitudes or to receive career guidance. In addition, the finding that male students experienced greater academic stres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when their family income is higher reflects both a patriarchal climate and also reflects the gender?role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Korean society. Moreover, the results which indicate that students experienced greater academic stress when they lack social capital means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students who are isolated from their families, friends, and school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참여 경험이 자기표현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 자치활동 및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황여정(YeoJung Hw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청소년참여 경험이 중ㆍ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참여기구 및 학급회의, 학교운영위원회 등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자치활동 참여 경험을 비롯해 사회문제 참여 경험 등 다양한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7 한국 아동ㆍ청소년 인권실태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참여 경험은 중ㆍ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소수의 청소년이 참여하고 일회성으로 경험하는 청소년참여기구보다, 학급회의처럼 다수의 청소년들이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자치활동의 긍정적 효과가 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자치활동의 경우에도 참여 여부 자체보다는, 자유로운 의사발언이 보장되는 등 실질적인 참여 환경이 조성되었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참여 활동의 긍정적 효과를 확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such as youth self-governing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n self-expression cap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tatus of Right of Children and Youths in Korea in 2017」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participation, for example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 students’ self-government activities such as class meeting, and other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not only participation or not, but also the mode and level of particip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youth participation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 depending on the mode of participation. The atmosphere of free class meetings helps to improve self-expression skills.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unfree class meeting atmosphere had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self-expression ability than not having class meeting.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only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spects of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argued that more youth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 KCI등재

        청소년활동 참여 경험이 중학생의 갈등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황여정(Hwang Ye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 참여 경험이 중학생의 갈등해결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다양한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교내·외 동아리 활동을 포함하였다. 또한 참여 경험을 포착하는 데 있어, 참여여부, 참여수준 등 양적 측면과 더불어 참여만족도 등 질적 측면을 반영하는 데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2018」중1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해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배경과 개인적 특성 등 다양한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한 이후에도 체험활동과 교외 동아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참여 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갈등해결역량이 더 높게 파악되었다. 또한 활동 참여수준 및 만족도의 경우, 교내·외 동아리 참여에 따른 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데 비해, 체험활동의 효과는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났다. 그리하여 보다 다양한 체험활동에 참여하고 만족도 높은 양질의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일수록 갈등해결역량도 제고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주요 역량 중 하나인 갈등해결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청소년들에게 양질의 청소년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2018」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level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for accurate analysis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enhancing the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eriential activities, the more positive effects it has on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intra-school and out of-school circles was not cl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d that many youth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high-quality youth activities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ies.

      • KCI등재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정보접근성 영향요인 및 그 계층적 함의

        황여정 ( Yeo Jung Hwang ),김경근 ( Kyung Ke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정보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계층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이항 로짓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부모가 입학사정관 전형에 관해 알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는 학부모의 학력, 경제활동참가 여부 등 계층적 요인들과 자녀의 학업성취 및 사교육 참여 여부와 같은 교육적 경험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녀에 대한 기대교육수준, 교육적 관여, 학부모단체 활동, 학력 중시 성향, 교내 진학상담 참여 경험, 교외 진학지원 활동 참여 경험도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정보접근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결과는 기존의 입시제도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던 학생들이 새로운 전형방식으로 간주되는 입학사정관 제도 아래에서도 여전히 유리한 입장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과거에 비해 훨씬 다변화되고 복잡해진 입시 환경에서는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자녀교육에 보다 집중적인 관심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학부모들이 입시지도를 하는데 훨씬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 제도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층 간 입시정보 접근성의 불평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Drawing on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bout admissions officer system and discuss their class-related implications. Toward that e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parents`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bout admissions officer system is strongly influenced by parental education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as well as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In addition, parents` expectations for child`s education and educational involvement, participation in parents` association, tendency to place a high value on schooling,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guidance program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odds of having access to information about admissions officer system. These findings imply that those students who enjoyed a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existing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ill likely have an edge again under the newly introduced system. This is so because those parents who are capable of having access to more information, processing it more efficiently, and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more attention and resources can claim the high ground in preparing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transition as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ified over time. It is thus suggested that inequalities between classes in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bout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first be alleviated in order for admissions officer system to accomplish the intended goal.

      • KCI등재

        고등학생의 더불어 사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황여정 ( Yeo Jung Hwang ),김경근 ( Kyung Ke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생의 ‘더불어 사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보는 데 특별히 관심을 기울였다. 위계적 선형 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등학생의 더불어 사는 능력에는 성별, 인지적 성취, 자아효능감, 봉사활동 경험, 게임시간, 운동시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과 학교에서 형성된 사회자본도 더불어 사는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부모-자녀 관계,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긴밀한 학생들일수록 더불어 는 능력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주변의 의미 있는 타인들과 충분한 상호작용을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을 회를 제공하기보다는 학생들을 지나친 점수경쟁으로 내모는 작금의 교육환경이 더불어 사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양극화의심화와 다문화사회로의 급속한 이행에 따라 계층 간 갈등과 대립의 증폭이 예견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불어 사는 능력의 함양에 배전의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Drawing on first-second wav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SELS),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the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method. A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role played by social capital in shaping adolescents`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Results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time spent on computer games and sports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In addition, students` social capital built both within families and in school such as parent-child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pro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ir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These findings implied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settings often characterized by strong pressure on academic success and fierce competition might be fairly detrimental to the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because they seldom allow students to have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their significant oth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cultivating students` ability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to cope with deepening social polarization and rapid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상경험 및 임원경험을 중심으로

        유백산(BaekSan Yu),황여정(YeoJeong Hwa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비교과영역 성취에 대한 관심은 대입에서 이를 주요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면서 추동된 측면이 없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영역 성취를 반영하는 다양한 지표들 가운데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는 지표인 임원경험과 교내ㆍ외 수상 경험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 영역에서 성취를 거두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교 재학 중 임원을 지낼 가능성에는 학업성취도, 자아효능감, 부모-자녀 관계,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 및 지원,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고교 재학 중 교내ㆍ외 수상여부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학업성취가 우수하고 독서향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주지교과 수상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타 영역 수상의 경우에는 교사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교과영역 성취 역시 기존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유사하게 학생들이 지닌 문화자본이나 가정 안팎의 사회자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영역 평가를 도입한 본래 취지를 구현하려면 비교과영역 성취를 포착할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다양화하고, 가정배경과 같은 요인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wards records, as identified by Korean high school teache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evaluating a student’s potential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officials for leadership assessment in the wake of the expansion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high GPA, self-efficiency, parent-child relationship, a higher level of parental support and interes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o the experience of officials. On the one hand,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n award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has somewhat distinction depending on inside and outside school or the awards field. Generally, however, while key subjects are affected by high GPA and reading enjoyment, in the case of the others, reading enjoy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in the restricted extent and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plays a relatively important 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ievement in extra-curriculum fields is not irrelevant to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s are academic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diversification of awards field, readership assessment and the school-based extended support.

      •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 분석

        어윤경(Au, Yun Kyung),황여정(Hwang, Yeoju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3 No.2

        교육기부 프로그램 운영 목적은 교육기부 표준 모델을 구축하고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교육기부 기관간 혹은 학교-교육기부 기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진로탐색 교육기부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학교급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체험형 프로그램을 6차시로 제작하여 운영하였고, 진로탐색 교육기부 컨설팅을 상시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ㆍ사후 검사를 통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진로 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실시결과,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 참가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기부 기관과 학생의 만족도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과 후의 진로성숙도는 진로계획성과 진로행동 부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전체적으로 직업기초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첫째,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비스 안정화에 기여하였고, 둘째,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진로탐색 교육인프라 구축에 기여하였으며, 초ㆍ중ㆍ고등학생들에게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한 창의ㆍ인성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표준화된 진로탐색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각 산업별 교육기부 기관 및 공공기관의 교육기부 참여 의지를 고취시켰고, 초ㆍ중ㆍ고 학교급별 학생의 자기주도적 진로설계 능력 함양과 계층 간, 지역 간(도ㆍ농간) 교육격차를 해소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donation program is to establish a standard model of educational don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to establish an networking between educational donation agencies or school-education donation agencies. Based on th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at the school level, this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served and then, the program effectiveness was reported through pre and post te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ng in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was generally satisfactor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donation agencies and students satisfaction. Thir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was improved partially and the level of overall job ability was improved. This study implies that First, it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system for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capacity. Second, it constructed the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ree sementer system . By providing a standardized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donation program, it encouraged the agencies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donation by the educational donation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in each industry. Also, these program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career desig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