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화점에서의 차별적 보상물이 호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독특성과 노력수준을 중심으로

        양혜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소비자들이 가치소비를 중신하고 패션 상품의 상품군과 가격대 등이 갈수록 다양해지면서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여 차별화 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고객 가치 증대를 고려한 판매 촉진 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고객 보상 프로그램(reward program)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고객 보상 프로그램은 소비 행동을 복잡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연구와 더불어 프로그램이 체계적이지 못할 때 기업 부채로 연결되거나 부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기업들은 이를 효과적으로 디자인하고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고객 보상 프로그램은 현재 국내 백화점을 포함한 여러 업체에서 사용하는 고객 보상 프로그램의 범위 또한 넓어지고 있으며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종류도 매우 다양화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소비자들이 백화점에서 패션 제품 구매 후 받을 수 있는 제품 속성인 실용적 속성의 보상물과 쾌락적 속성의 보상물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소비자의 독특성과 노력 수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백화점에서 제품 구매 시 보상물 유형, 노력 수준, 독특성이 보상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실험 설계는 2(보상물 유형: 실용적 보상물 vs 쾌락적 보상물) x 2(노력수준: 고 vs 저) x 2(독특성 성향: 고 vs 저)로 3원 혼합 요인 설계를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서울․경기 지역의 여성 272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자료분석은 T-test, 3원 변량분석, 단순 상호 작용분석, 단순 주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특성 성향과 보상물 유형이 백화점 구매자의 보상물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독특성 성형이 높을 경우에는 쾌락적 보상물을 실용적 보상물에 비해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백화점에서의 보상물에 있어 소비자에 따른 다양한 보상물은 소비자의 불만족을 제거하며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노력수준과 보상물 유형이 백화점 구매자의 보상물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노력수준이 높을 경우, 쾌락적 보상물을 실용적 보상물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력수준이 높은 경우 그 보상물에 대한 호의도가 실용적 속성보다 쾌락적 속성의 보상물을 받았을 때 정당화로 인해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독특성 성향과 보상물 유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 독특성 성향이 낮은 집단의 경우 쾌락적 보상물일 때 보다는 실용적 보상물일 경우 구전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중적인 선택을 하는 독특성 성향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서는 자기 통제가 강하며 현실적인 보상물을 택할 것이라고 보아진다. 넷째, 독특성 성향이 높은 집단의 경우는 실용적 보상물 일 때보다는 쾌락적 보상물일 경우에 구전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별적 보상물 유형에 관한 연구에서 나타난 고객 보상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업에서 소비자가 독특성 욕구가 높은 고객일 경우, 실용적 속성의 보상물을 제공하는 것보다 쾌락적 속성의 보상물을 제공하는 것이 보상 프로그램을 널리 알리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독특성 성향에 따라 백화점 고객 보상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차별화된 보상물을 제공한다면 구전의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호의도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아진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보상물 자체에 대한 연구에서 확대시켜 소비자를 세분화하고 특징을 분석하며 차별화된 보상물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Recently, as customers consider value consumption more importantly, as types of goods and price range of fashion products become diversified, necessity of marketing strategy to differentiate and stimulate customers' senses in emphasized. In this change, as with the necessity of sales stimulation strategy that consider customer value expansion, importance of customer reward program is gaining attention. Such customer reward programs are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into the effect of reward program, Uniqueness, effort level and reward program patterns during the purchase of conducts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consumer reward programs offered by department stores. The design of this research was comprised of 2 (uniqueness: high vs low), 2 (effort level: high vs low), 2 (reward program patterns: practical rewards vs pleaurable rewards), design with tree mixed element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272 women in the Seoul and Gyunggi area.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T-test and ANOVA.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research on effect of uniqueness trend and type of reward on department stores' costumers' attitude to the reward, it is found that when there is high uniqueness, pleasure-type reward is found preferred than utility-type reward. Diverse reward for customers by department stores could remove discount of customers and lead response. Second, after research on effect od effort level of effort and type of reward on the department store customer's attitude to reward it is fount that as level of effort is higher, utility reward rather than pleasure reward is preferred. Third, after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ffect of uniqueness attitude and type of reward on oral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ntion, it is found that as the uniqueness level is lower, the group has stronger intention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rally for utility reward rather than pleasure reward. Fourth,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high uniqueness attitude, they have stronger intention to transmit the message for pleasure type reward rather than utility type reward. Therefore, if customer reward program is designed by customers' unique character and specialized reward is provid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could be boosted and positive response from customers will also be increased. Thus, by expanding the research on reward itself so far, customers need to be departmentalized and their character analyzed to provide specialized reward.

      •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양혜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사회적 활동 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고 유지해야 하는 20~30 대 성인은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대인관계 유능성을 지니는 것 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 에서는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성별, 연령, 결혼 상태, 학력에 따라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 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대적 영향력 은 어떠한가? 넷째,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 남녀 340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340부 중 누락되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317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성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로 여성이 대인관계 유능성과 심리적 안녕감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서는 만 20~29세가 만 30~39세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서는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특히 학력이 높아질수록 자기개념 명확성, 대인관계 유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을 더욱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 상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전체 변인과 하위 변인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 심리적 안녕감 모두 대인관계 유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을 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 자기개념 명확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 났다. 넷째, 20~30대 성인의 자기개념 명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자기 개념 명확성이 높을 때 대인관계 유능성을 강화시키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미비했던 자기개념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감,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인관 계에 적응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 결과는 치료자가 상담 장 면에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을 위한 내담자의 갈등 요인을 다루며 개인 내적 자원을 발견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는 치료적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radius of social activities expands, it is effective for adults in their 20s and 30s have to interpersonal competence to effctively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se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process of self-concept clarity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ccording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r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e?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o this end,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o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34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nationwide. Of the 340 copies, 317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1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at were omitted or answered insincerely. This analysis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omen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igher. According to ag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20-29 years old was higher than 30-39 years ol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 particular, there was a tendency to perceive higher self-concept clar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cademic background increased.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first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clarity of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s a result of thi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nd sub-variable. Both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concept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explanatory power was foun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cept clar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as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um to strengthen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self-concept clarity is high according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was insufficient for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t also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were not well studied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It also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to function adaptivel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a therapeutic basis for helping therapists understand clients complaining of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counseling scenes, deal with client conflict factors for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es, and discover personal internal resources.

      • 산화철계 가중응집제가 활성슬러지의 침전성 및 탈수성에 미치는 영향

        양혜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In small scale WWTP(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the foremost issue is the poor settleability of activated sludge. To solve this issue we applied ballasted flocculation. We used two materials (magnetite and mill scale) as ballasted flocculant (BF) and their efficiency is examined for improving sludge settleability in SBR process and batch test, in comparison with control system(without BF). Initially, the F/M ratio was maintained at 0.1 and later increased stepwise to 0.6. Magnetite and mill scale were found effective to improve the sludge settleability as compared with control system. The control SBR indicated 4-fold higher TCOD and 3-fold higher SS in supernatant after settling. To asses the effect of magnetite and mill scale on the sludge settleabilit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both BFs were examined by BET surface analysis, SEM, and XRD. BET analysis identified the porous surface of magnetite, which contributed in accumulation of sludge particles. Mill scale did not show high level of porous surface as magnetite exhibited. Therefore, less interactions were observed between mill scale and the sludge molecules and hence, the significant quantity of mill scale settled down without interacting sludge. Therefore, it is highly important to consider system design, stirring conditions and dosing rate, when mill scale is applied as BF. The batch test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LSS concentration on SRF. It is found that an increase in MLSS concentration also increases the SRF. When BF is added with 0.2 g-BF/g-SS into the sludge, SRF is increased. However, an increase in BF to MLSS ratio (that is 0.5, 1.0, 2.0) resulted significant loss in SRF. As compared with dosing rate, the particle size of BF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sludge dewaterability.

      • 박병오 작곡 <대금협주곡 1번> 분석 연구 : 독주대금 선율을 중심으로

        양혜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aegeum melody in <Daegeum Concerto No. 1> composed by Park Byong O. Preliminary to the analysis, the study explores the composer’s world of art and the structure of the piece of music. The results, having analyzed the Daegeum solo according to its progression of melody by verse and its execution technique, is as followed. Firstly, the analysis of the Daegeum solo melody by verse in Park Byong O’s <Daegeum Concerto No. 1>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Verse 󰍽 is composed of only orchestral instruments. Verse 󰍾 is the introduction to the Daegeum solo melody, its main-note shifting from a E♭ note in the 6th bar to a C note in the 12th bar. The contrast between sequential melody and saltatory melody is used to create a somewhat theatric effect. The main-note in verse 󰍿 shifts from a F note in the 16th bar to a E♭ note in the 20th bar, and then to a B♭ note in the 22nd bar. The melody in the 16th ~ 19th bars of the piece seems to be a development of the melody found in 3·4 daegang, 1 gak, chapter 1 of Sangryeongsan among the Yoochosinjigok. The Double Appoggiatura rhythm pattern found in Sangryeongsan, composed of the notes e♭″-a♭″ , appear in an altered and developed manner over a length of four bars. The rhythm pattern in verse 󰍿 changes numerous times, creating a feeling of movement and vividness. The main-note in verse 󰎀 changes from a F note in the 35th bar to a E♭ note in the 20th bar, and then to a C note in the 44th bar. The verse is characterized by its repetition of the same rhythm pattern, either imitating the same melody using a different rhythm or developing the melody through repetition. The main-note of verse 󰎁 shifts from a B♭ in the 48th bar to a E♭ note in the 51st bar, and then to a B♭ note in the 55th bar. It is possible to find an extension in register through changes in beat and the process of ascension; a sense of tension and relaxation characteristic to the Sanjo melody is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sudden leaps and continuous tone. Verse 󰎂 is the Cadenza of the piece, and its main-note changes from a B♭ note in the 59th bar, a E♭ note in the 61st bar, a B♭ note in the 66th bar, a A♭ note in the 71st bar, and finally to a E♭ note in the 75th bar. Various execution techniques of the Daegeum solo are used to express an artful and elaborate melody. The main-note in verse 󰎃 is the F note, and the melody in the 83rd ~ 85th bars take reflects an expanded and developed form of the melody found in 1 daegang, 1 gak, chapter 1, Byeonjodoogeo from Gyeongpungnyeon. Verse 󰎃 is characterized by its progression of leaping melody. The main-note in verse 󰎄 is a B♭. Its melody is an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melody found in 4 daegang, 1 gak and 1 daegang, 2 gak, chapter 1, of Sangryeongsan from Kwanak Yeongsanhoesang; moreover it is a part whereby long breaths are required of the performing artist. It being the introductory part to the joining of the orchestral instruments, the Daegeum solo executes a performance using the breath within the given tempo. Verse 󰎅 adopts a B♭ note as its main-note, and provides a sense of uniformity and stability by presenting a repetition of the same rhythm pattern in leaping progress. Verse 󰎆 is composed of only orchestral instruments. The main-note in verse 󰎇 shifts from a B♭ note in the 147th bar, a C note in the 154th bar, and a A♭note in the 166th bar. Verse 󰎇 is characteristic for its repetition of the same rhythm pattern, and the melody is developed by imitating the same melody using different rhythms or by triple repetition. Secondly, categorizing the execution techniques into Traditional techniques and Special techniques, and hencefort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ecution techniques found in the <Daegeum Concerto No. 1>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In verse 󰍾 a total of 33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Among these, 9.09%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0.01%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there were 57 occurrences of execution techniques. 22.81%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77.19%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a total of 35 traditional/ special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22.86% of these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77.14%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26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19.233%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80.77%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a total of 136 execution techniques were found. Merely 1.47%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8.53% were special techniques. In verse 󰎃, 15 traditional/ special techniques were used. Among these, 6.67%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3.33% were special techniques. Likewise in verse 󰎄, 15 execution techniques were used. However, unlike verse 󰎃, 66.7%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33.33% were special techniques. Verse 󰎅 was compose of just 4 execution techniques, 25% being traditional techniques and 75% being special techniques. Lastly, in verse 󰎇 there were 54 execution techniques. 1.85% of these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98.15% were special techniques. In summary, by calculating the average percentages of the execution techniques as found in the above 9 verses, it is possible to find that 11.73% were traditional techniques and 88.27% were special techniques. Among these, the most frequent special technique was the Wind Tone technique shown by the notation ④, having appeared in a total of 71 instan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assist future performers of the <Daegeum Concerto No. 1>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iece and their execution.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study may be used as a resource contributing towards the actualization of new execution techniques for the Daegeum and the extension of its tone scale. 본 연구는 박병오 작곡 <대금협주곡 1번>의 독주대금 선율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 앞서 작곡가의 예술세계와 작품의 악곡 구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독주대금의 단락별 선율진행과 연주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병오 작곡 <대금협주곡 1번>의 독주대금 선율을 단락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락은 관현악만 등장하는 단락이다. 󰍾단락은 독주대금 선율의 도입부로, 중심음은 제6마디의 E♭음에서 제12마디의 C음으로 변화한다. 순차적 선율과 도약적 선율의 대비를 통해 극적인 느낌을 주었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16마디의 F음에서 제20마디의 E♭음, 제22마디의 B♭음으로 변화한다. 제16마디부터 제19마디까지 선율은 유초신지곡 중 상령산 초장 1각 3·4대강 선율을 발전시켰다. 특히, 상령산에서 나타나는 e♭″-a♭″음으로 구성된 겹앞꾸밈음 음형은 제16마디부터 제19마디까지 총 4마디에 걸쳐 변화, 발전되어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리듬형이 여러 차례 변화하면서 선율에 생동감을 주었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35마디의 F음에서 제20마디의 E♭음에서 제44마디의 C음으로 변화한다. 동일한 리듬형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선율을 다른 리듬으로 모방하거나 동형 반복을 하여 선율을 발전시켰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48마디의 B♭음에서 제51마디의 E♭음, 제55마디의 B♭음으로 변화한다. 여러 번의 박자변화와 상행진행을 통한 음역의 확대가 나타났으며, 급박한 도약과 지속음을 사용하여 산조 선율에서 나타나는 긴장과 이완을 표현하였다. 󰎂단락은 이 곡의 Cadenza로, 중심음은 제59마디의 B♭음에서 제61마디의 E♭음, 제66마디의 B♭음, 제71마디의 A♭음, 제75마디의 E♭음으로 변화한다. 독주대금의 다양한 연주법을 사용하여 기교적이고 화려한 선율을 표현하였다. 󰎃단락의 중심음은 F음으로 나타나며, 제83마디부터 제85마디까지는 경풍년 중 변조두거 초장 1각 1대강 선율을 확장하여 발전시킨 형태이다. 󰎃단락에서는 도약적 선율진행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단락의 중심음은 B♭음이다.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 초장 1각 4대강과 2각 1대강 선율을 확장하여 발전시켰으며, 연주자의 긴 호흡을 요구하는 부분이다. 관현악과의 연음형식을 도입함으로써 정해진 템포 안에서 독주대금은 호흡에 의한 연주를 하였다. 󰎅단락의 중심음은 B♭음이며, 동일한 리듬형을 도약진행을 통해 반복적으로 제시하면서 통일감과 안정감이 나타났다. 󰎆단락은 관현악만 등장한다. 󰎇단락의 중심음은 제147마디의 B♭음에서 제154마디의 C음, 제166마디의 A♭음으로 변화한다. 󰎇단락에서는 동일한 리듬형의 반복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선율을 다른 리듬으로 모방하거나 동형 반복을 하여 선율을 발전시켰다. 둘째, <대금협주곡 1번>에 나타난 연주법을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33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9.09%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0.91%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57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22.81%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77.19%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35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22.86%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77.14%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26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19.23%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80.77%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136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1.47%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8.53%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15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6.67%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3.33%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15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66.67%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33.33%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4회 나타났다. 전통주법 25%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75%로 나타났다. 󰎇단락에서는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이 총 54회 나타났다. 전통주법은 1.85%로 나타났고, 특수주법은 98.15%로 나타났다. 이상의 9개의 단락에 나타난 전통주법과 특수주법의 평균을 계산하면, 전통주법은 11.73%, 특수주법은 88.27%로 특수주법이 특히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가장 많이 출현하는 특수주법은 바람소리 주법을 의미하는 기호④로 총 71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주자들로 하여금 <대금협주곡 1번>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후 대금의 음색확장과 새로운 주법 창출에 있어 본 연구가 하나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에서 정보윤리에 대한 출제 경향 분석

        양혜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정보 기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윤리는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에서 정보윤리 관련 문항 출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달성을 위해 2002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에서 기본이수과목의 출제 비율을 분석하여 정보윤리 관련 내용이 전체 임용시험에서 어느 정도 출제되었는지 파악하였다. 정보윤리 내용 측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임용시험에 어떤 내용이 출제되어 왔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2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시행된 13번의 시험 중 정보윤리 관련 내용은 10번 출제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2-27호(2012.11.21.)에서 교과내용학 ‘정보통신윤리’로 기본이수과목에 포함되었고, 기본이수과목으로 포함되기 전부터 교과교육학 컴퓨터교육론에서 정보윤리교육 내용이 출제되었다. 둘째, 임용시험 초기에는 역기능에 관한 문항들이 주로 출제되었으나, 2010학년도 이후에는 저작권, 정보보안, 다양한 중독 관련 문항이 많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에서 정보윤리 내용에는 정보기술과 지식을 반영한 내용과 시대의 변화와 상관없이 존중되고 지켜야 할 내용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기본이수과목의 과목 구성 및 이수 방법이 임용시험의 과목 출제 경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보윤리 관련 문항이 보다 다양한 유형으로 출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02학년도부터 시행된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정보윤리 관련 과목의 출제 경향과 내용을 분석하여 문항 개선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한국 황사 사례일과 무황사 사례일의 종관 기상학적 특성 차이 분석

        양혜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From 2001, spring dust frequency in South Korea shows the highest number in 2001, 2002, 2006 and the lowest number in 2003, 2012, 2013. To investigate the synoptic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 difference between Korean high dust and low dust events, this paper selects three Korean high dust cases and low dust cases. The selected high dust case 1, 2, 3 respectively is 19-22 March 2001, 19-23 March 2002, 5-8 April 2006 and the low dust case 1, 2, 3 respectively is 14-16 April 2003, 18-20 April 2012, 18-20 May 2103. In high dust case 1, dust originated in Manchuria. In high dust case 2 and 3, dust originated in Gobi desert. After 2~3 days from dust outbreaks day, severe dust phenomena occurred in South Korea. In the dust outbreaks day, strong pressure gradient was formed above the source region and then caused the strong wind related to dust outbreaks. In low dust case 1, 2, 3, dust occurred in eastern Mongolia. Strong wind above the source region induced the dust outbreaks. And 2~3 days after dust outbreaks, dust phenomena was not confirmed in South Korea because of unusual dust transport pathway. In low dust case 1, the high-pressure system above South Korea blocked the eastward migration of low-pressure system contained dust. Accordingly dust transported not to eastward but northeastward pathway resulting low dust concentration in South Korea. In low dust case 2, low-pressure that located in eastern Mongolia was blocked by Okhotsk high pressure. Consequently, dust transported to north-easterly direction instead of easterly direction resulted in low dust concentration in South Korea. In low dust case 3, low-pressure located in eastern Mongolia and Gobi desert migrated to north-easterly direction and precipitation observed in the case. Consequently, dust phenomena was not observed in South Korea. The composite difference of dust frequency anomaly average between low and high dust indicates the strong high-pressure throughout Okhotsk, Japan and East Sea. The strong high-pressure system induced the strong clockwise wind over Korea. In contrast, counterclockwise wind was observed over northern China because of exceptional cyclone over the region.

      • 핵자기공명분광법 대사체학을 이용한 simvastatin 독성의 효과적인 평가

        양혜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Simvastatin, which is used to control elevated cholesterol levels, is one of the most widely prescribed drugs. However, a daily excessive dose can induce drug-toxicity, especially in muscle and liver. Current markers for toxicity reflect mostly the late stages of tissue damage; thus, more efficient methods of toxicity evaluation are desired. As a new way to evaluate toxicity, we performed NMR-based metabonomics analysis of rat urine samples. Compared to conventional markers, such as AST, ALT, and CK, the urine metabolic profile provided clearer distinction between the pre- and post-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toxic levels of simvastatin. Throug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we identified marker metabolites associated with the toxicity. Importantly, we observed that the treatment group could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 NMR profiles: low toxicity (LT) and high toxicity (HT).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groups was confirmed by the enzyme values and histopathological exams. Time-dependent studies showed that the toxicity at 10 days could be reliably predicted from the metabolic profiles at 6 days. This metabonomics approach may provide a non-invasive and effective way to evaluate the simvastatin-induced toxicity in a manner that can complement current measures. The approach is expected to find broader application in other drug-induced toxicity assess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