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이 고용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신뢰와 구직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와 퇴직 유형에 따른 다집단분석=

        양지연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대인관계, 기술)과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 관계를 규명하고 참여 태도(자발적․비자발적)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대인관계, 기술),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이 고용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둘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과 고용가능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한다. 셋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과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참여 태도에 따른 차이를 규명한다. 연구 대상은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대인관계, 기술)이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로 도출한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은 연구자가 원 도구를 번안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였다.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은 국내 연구자가 사용한 도구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6월 1일부터 6월 5일까지 5일간 예비조사, 2023년 10월부터 11월 6일까지 약 2주간 본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조사에서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 경험자로부터 수집한 405개의 데이터 중 344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 22.0과 AMOS Ver 22.0을 활용하였다. SPSS Ver 22.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 통계량을 분석하였다. AMOS Ver 22.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매개효과,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판단기준은 유의수준 0.05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인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이 상담사 신뢰를, 상담사 신뢰는 구직효능감을, 구직효능감은 고용가능성 인식을 촉진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로 도출한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은 상담사 신뢰를 촉진하고, 상담사 신뢰는 구직효능감을 증진하는 요소임을 밝혔다. 구직효능감의 선행요인으로 직무몰입 등 개인의 성향을 다룬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상담사 신뢰 또한 구직효능감을 촉진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직효능감이 고용가능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둘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인 대인관계 품질, 기술 품질과 고용가능성 인식의 관계에서 상담사 신뢰와 구직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대인관계, 결과)과 고용가능성 인식을 촉진하는 과정상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기존 전직지원서비스 관련 연구들이 수요자 관점이 아닌 공급자 관점이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전직지원서비스 경험자 즉, 수요자 관점에서 전직지원서비스를 통해 고용가능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담사와의 신뢰를 통한 구직효능감이 고용가능성 인식을 촉진하는 요소임을 밝혔다. 셋째,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 참여 태도에 따라 집단 간에는 기술 품질이 상담사 신뢰에 주는 영향과 상담사 신뢰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다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에 비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의 경우 정년, 희망퇴직으로 인해 느끼는 심리적 충격과 불안감은 자발적 집단과 확연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상담사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는 대인관계 품질은 퇴직자를 격려와 위로를 하면서 상담사와 신뢰가 형성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비자발적 참여자는 대기업 퇴직자로 고학력과 장기경력을 통해 직무 전문성을 축적한다. 따라서 상담사의 전문성인 기술 품질은 상담사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자발적 집단은 상담사 신뢰가 구직효능감을 촉진하지 않았는데, 이는 재직 중에 스스로 경력 전환을 계획하고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에 참여하는 자기 주도성이 경력 전환을 실현가능하도록 실천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을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로 도출하였고, 도출된 품질이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의 구조적 관계 검증하고,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이 상담사 신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로 도출한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이 고용가능성 인식과의 관계에서 상담사 신뢰와 구직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대인관계, 기술)이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 관계에서 자발적 참여 집단과 비자발적 참여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도출된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이 상담사 신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상담사 신뢰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서 비자발적 집단과 자발적 집단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로 도출된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이 상담사 신뢰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지지 되었다.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서의 고객의 인식을 의미하는 대인관계 품질은 상담사와의 신뢰를 쌓기 위해 고객을 격려하며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고 퇴직에 대한 인식을 기회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 품질은 서비스 과정의 결과물로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고객의 인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직 상담사의 자격 및 교육이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상담사의 역량 및 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전직지원상담사는 고객의 긍정적 경험에 기여하고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역량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에서는 상담사가 전문성을 꾸준히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처우 개선과 지속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이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 관계에서 자발적 참여 집단과 비자발적 참여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는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퇴직 유형별로 맞춤화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실직이라는 심리적인 충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용기와 격려, 신뢰를 심어주고, 퇴직이 아닌 입직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갖도록 지속적인 상담과 지원이 필요하다. 자발적 집단의 경우 교육 훈련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여 재취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안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한계이다. 연구 대상은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설문으로, 전직(재취업)지원서비스 상담자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자기 보고식 입력으로 설문이 진행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전직지원서비스 경험자로 일반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둘째, 전직지원서비스 품질을 대인적 품질과 비대인적 품질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적 품질인 전직지원서비스 상담사 품질인 대인관계 품질과 기술 품질이 상담사 신뢰, 구직효능감, 고용가능성 인식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전직지원서비스 품질 차원을 더 확장하여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interpersonal and technical) and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ectiveness,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and to identify group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attitudes (voluntary and involuntar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set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effects of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interpersonal, technical), counselor trust, and job search effectiveness on perceived employability. Second, we examine the mediating and dual mediating effects of counselor trust and job search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Third, we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and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icacy,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based on participation attitud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mong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outplacement services.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was a questionnaire in which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interpersonal and technical) was measured by questions about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ectiveness, employability perceptions, and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derived from the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were adapted by the researcher from the original instrument and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ectiveness,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were measured using a tool used by a Korean researcher,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two phases: a five-day preliminary survey from 1 June to 5 June 2023, and a two-week main survey from October to 6 November 2023. Of the 405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344 vali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SPSS Ver 22.0 and AMOS Ver 22.0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SPSS Ver 22.0 was used to analys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MOS Ver 22.0 was used to test the factor analysis, mediation effect, and double mediation effec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based on a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 promotes counselor trust, counselor trust promotes job search effectiveness, and job search effectiveness promotes employability perception. We found that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derived from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promote counselor trust, and counselor trust promotes job search effectiveness. While stud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dispositions such as job commitment as antecedents of job search effectiven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counselor trust also promotes job search effectiveness. The result that job search effectiveness affects employability perceptions supports the existing literature. Second, by identify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unselor trust and job search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interpersonal and outcome quality)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we identified a process structure that promotes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interpersonal and outcome quality)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While previous studies on outplacement services have been conducted from a provider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sumer perspective, this study found that job search efficacy through trust in counselors is a factor that promotes employability percep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outplacement services, i.e., 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ird, we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kill quality on counselor trust and the effects of counselor trust on job search effectivenes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ir attitudes toward participating in outplacement services. Involuntary participants in outplacement services will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 of psychological shock and anxiety due to retirement age and desired retirement than voluntary participants. The interpersonal quality of the counselor's clos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suggests that the counselor builds trust with the retiree by encouraging and comforting them. However, involuntary participants are retirees from large corporations who have accumulated job expertise through their high education and long-term careers. Therefore, technical quality, the expertise of the counselor, did not affect their trust in the counselor. On the other hand, in the voluntary group, counselor trust did not promote job search efficacy, suggesting that self-direction in planning career transitions and engaging in outplacement services while still in the workforce makes career transitions feasibl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have identified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as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ectiveness,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and identified the relative influence of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on counselor trust. Second,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counselor trust and job search effec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derived from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and employability perceptions. Third, we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interpersonal and technical) and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ectiveness, and perceived employability. We found differences between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groups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on counselor trust and the influence of counselor trust on job search effectiveness. Fourth, the direct effects of interpersonal and technical quality on outplacement counselor trust derived from outplacement counselor quality were supported. Interpersonal quality, which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and the customer's perception of the interaction, should encourage the customer, maint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ransform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into an opportunity in order to build trust in the counselor. Furthermore, technical quality refers to the customer's perception of the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as an outcome of the service process, and the qualifications and training of outplacement counselors are crucial to providing quality services to customers. Therefore, outplacement counselors should develop competencies that contribute to a positive customer experience and maximise the effectiveness of their services. In addition, organisations should strive to retain a quality workforce by providing better treatment and ongoing support for outplacement counselor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develop and maintain their professionalism. Fifth, we found that outplacement service counselor quality differed between voluntary and involuntary participa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icacy, and perceived employability. This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services tailored to the type of separation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nvoluntary leavers need ongoing counselling and support to help them recover from the psychological shock of job loss, to instil courage, encouragement and trust, an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s entering the workforce rather than leaving it. The voluntary group needs ongoing support and guidance to empower them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so that they can succeed in re-employ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sample size is limited. This study is an online survey of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outplacement service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community of outplacement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obtaining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self-reported input, which limits the generalisabil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ll those who have experienced outplacement services. Second, this study divided the quality of outplacement services into interpersonal quality and impersonal quality.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quality of outplacement counselors, namely interpersonal quality and technical qua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unselor trust, job search efficacy, and perceived employability, and we hope that future studies will expand the dimensions of outplacement service quality.

      •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갑상선암의 국내 발생률 순위는 2006년 전체 암 중 4위에서 2008년 2위, 2009년에 1위로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국내 갑상선암 환자에 대한 관심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들의 신체적, 정신∙사회적 기능과 역할 기능에 대한 개인이 지각한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인 삶의 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갑상선암 수술 환자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갑상선암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일개 종합병원에서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 129명이었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환자에게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해당 병원의 허락을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대상자보호 심의위원회를 통과한 후 시작하였다. 연구 도구로 불안, 우울은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HADS)을, 자아존중감은 Rosenberg의 Self-esteem Scale을, 삶의 질은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version 4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SPSS (PASW) 19.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항목별 결측치를 제외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Duncan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26%(34명)가 임상적으로 불안이 있는 상태로 측정되었다.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불안은 병기(p=.003)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26%(34명)는 임상적으로 우울이 있는 상태로 측정되었다.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우울은 성별(p=.021), 진단 후 기간(p=.048), 병기(p =.006), 자조모임 참여 여부(p=.034)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자아존중감의 평균 점수는 37.57 (±5.64)로 나타났다.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자아존중감은 성별(p=.041), 직업유무(p=.003), 경제 상태(p=.001), 진단 후 기간(p=.027)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삶의 질은 평균 74.00(±15.19)점이었다.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삶의 질은 성별(p=.002), 직업 유무(p=.002), 병기(p=.011)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삶의 질은 불안(r=–0.602), 우울(r=–0.694), 자아존중감(r=0.675)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6) 성별, 직업유무, 병기,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을 변수로 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β=0.507)과 불안(β=-0.391) 변수가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adjusted R2=0.649, p<.001). 본 연구는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였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갑상선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갑상선암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 및 그 효과에 대한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nxiety,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thyroid cancer patients after thyroidectomy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aft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the institution.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anxiety,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from 129 thyroid cancer patients after thyroidectomy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1 to January, 2012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at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using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the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version 4. The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One-way ANOVA, Post-hoc Comparison(Dunca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version 19.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wenty six % (n=34) of the subjects were anxious. The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tage of cancer at diagnosis(p=.003). 2) Twenty six % (n=34) of the subjects were depressed. Th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021), time since diagnosis (p=.048), stage of cancer at diagnosis (p=.006) and self-help group activity (p=.034). 3)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37.57 (±5.64). Th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041), employment (p=.003), economic status (p=.001) and time since diagnosis (p=.027). 4)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74.00 (±15.19).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002), employment (p=.002) and the stage of cancer at diagnosis (p=.011). 5) Anxiety (r=-0.602), depression (r=-0.694) and self-esteem (r=0.675) were all cor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p<.001). 6) I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gender, employment, stage of cancer at diagnosis,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n=60), self-esteem and anxiety were discovered to account for 64.9% (adjusted R2=0.649, p<.001)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The variable that most affected quality of life was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and anxiety in explain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patients. Therefore, self-esteem and anxiety should be integrated i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promote quality of life of thyroid cancer patients.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언어생활과 받아쓰기의 의미에 관한 연구

        양지연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the language use and dictation activities implemented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As par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direct individual interviews with one director and nine teacher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discussions can be reached about the language use and dictation activities implemented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First, the director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pplied various language experiences that were based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s and programs adopted by their kindergartens. They also, in the case of the five year-old children, employed dictation activities from the second semester onwards. The participants regarded such dictation activities as a tool with which to assess children's language proficiency, improve children's writing and listening skills, and meet the parents' demands with regards to preparing their children for elementary school. Second, with regards to the contents of dictation programs, the participants felt that words and sentences that reflect the themes found in everyday life and in the textbooks for grade 1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employed. Third, as far as the methods of dictation are concerned, while the participants applied traditional methods of dictation, they also conducted small group dictation activities that took into account the children's level. Furthermore, they developed their own methods so that the children would accept the dictation program more easily. Fourth, while the teachers scored the children's dictations, these were then used as reference materials by the teachers and returned to the children so that they could correct any spelling mistakes. The teachers regarded the dictation and scoring process as providing them with an opportunity to verify and further develop children's writing skills. In addition, teachers also said that they routinely searched for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that could be used to develop children's writing skills. As such, while dictation has often been implemented in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there is a need to conduc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ethods of teaching writing that can meet both the tenets of language education theories and parents' demand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언어생활과 받아쓰기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면담자로 선정된 원장과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개별면담을 하여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원장과 교사와의 면담 후 전사화 과정을 거쳐 면담자들 각 원의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언어 교육 방법을 알아보았고, 각 원의 언어생활에서 받아쓰기 의미는 연관성 있는 개념들을 1차적으로 명명화 한 다음 개념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대표되는 범주를 한 축으로 만든 다음 다른 범주들과 연계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분석 자료는 본 면담에 참석 했던 3명의 교사에게 검토를 의뢰하여 신뢰성을 높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로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언어생활과 받아쓰기에 대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들은 원에서 표방하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언어활동을 경험시키면서 공통적으로 만5세 2학기가 되면 받아쓰기를 병행하고 있었다. 원장과 교사들은 이러한 유아 받아쓰기의 목적을 유아 언어 능력의 평가 도구, 유아들의 쓰기 능력과 듣기 능력의 향상, 초등학교 준비를 위한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둘째, 원장과 교사들은 받아쓰기의 내용으로 생활주제에 맞는 단어와 문장이나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오는 단어와 문장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원장과 교사들은 유아 받아쓰기의 방법으로 전통적인 방법의 받아쓰기 활동을 시행하면서 대부분 유아의 수준을 고려한 소그룹별 받아쓰기를 하고 있었다. 또한 자기만의 받아쓰기 방법을 개발하여 유아들이 쉽고 재미있게 받아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받아쓰기 결과를 채점하되 교사만 참고하기도 하고 유아들에게 보여주고 틀린 것을 다시 쓰도록 하기도 하였다. 받아쓰기 및 채점과정이 유아의 쓰기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였으며, 다양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처럼 받아쓰기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면 현장에서 언어교육이론에 충실하면서 부모들의 요구를 수렴할 수 있는 올바른 쓰기지도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mine clearance and the reunification of Korea

        양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에서 대인지뢰를 제거해야하는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한반도내의 지뢰제거가 남북한 통일의 첫걸음임과 동시에, 더나아가 동아시아의 긴장을 완화해 세계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힌다. 대인지뢰는 무차별적으로 파괴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그 잔혹성을 더한다. 이에 국제사회는 대인지뢰가 비합법 무기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대인지뢰문제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 왔다. 남한은 더이상 지뢰제거에 있어 예외지역일 수 없다. 남한에 대해 예외지역임을 선언한 미국과 함께 남한은 오타와 협약에 가입함으로써 이러한 국제시류에 합류해야한다. 이 논문은 대인지뢰의 비인도적 특징을 강조함으로써 국제적인 대인지뢰제거 운동을 지지한다. 이 논문은 한반도내에서의 대인지뢰제거와 남북통일의 관계를 분석하고, 한반도내의 대인지뢰제거에 관한 제언과 전망을 소개한다. By examining the reasons for landmine clearan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is thesis aims to discuss that removal of landmines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first step toward the reunification of Korea and it also contributes to the world peace by easing the tension in the Northeast Asia. What makes antipersonnel landmines so abhorrent is the indiscriminate destruction they ca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mes together to solve the landmine problem sympathizing with the view that anti-personnel landmine is an illegal weapo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join in that stream by singing Ottawa Convention. This thesis supports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demining activities by emphasizing the inhumane charateristics of antipersonnel landmines. This thesis describes the relations between the landmine clearance and the reunification of Korea, and suggests propositions and prospects about Korean landmine clearance.

      •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지연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은 디지털 상거래(Digital Commerce) 시장을 급격히 확대시켰다. 제품의 탐색과 구매 결정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되면서, 모바일을 중심의 쇼핑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안전이 우선시 되면서 외식보다는 가정식 수요가 늘어나 온라인식품 시장 규모가 크게 성장하였다. 신선육제품 특성상 소비자들은 제품의 신선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구매를 선호했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Untact: 비대면)환경, 배송서비스 발달, 4차 산업혁명으로 신선육 유통시장의 온라인화가 가속되고 있다. 그동안의 육류 소비자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오프라인 소비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온라인에서 신선육을 구매하는 소비자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로 온라인으로 신선육 구매 시 고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선택요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선택속성은 제품이나 브랜드 등이 갖는 여러 가지 속성 중 소비자의 구매행동 결정요인(Lewis, 1981)으로, 상품이 보유한 속성 중 선택적 속성은 구매 행태, 의사결정, 재구매 의사 등 소비자의 향후 행동과 직결되기 때문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Lee, 2019).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신선육 온라인쇼핑몰의 선택속성을 제품구색, 제품가격, 제품정보, 배송품질로 규정하여, 각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코로나19가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이용자들의 구매행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거주자 중 신선육 온라인쇼핑몰에서 1회 이상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포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총 220부 중 유효한 202부를 표본으로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표준오차 추정구간을 통한 판별 타당도를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선택속성 중 제품구색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선택속성 중 제품가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선택속성 중 제품정보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선택속성 중 배송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고객만족은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신선육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신선육 온라인쇼핑몰 선택속성인 제품구색, 제품가격, 제품정보, 배송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을 넓혀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코로나19 전후의 비교를 통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자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핵심어: 신선육 온라인 쇼핑몰, 선택속성, 코로나19, 쇼핑몰 유형 고객만족, 재이용 의도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has greatly expanded the digital commerce market. As product exploration and purchase decisions are moved offline and online, the mobile-focused shopping market is growing significantly. As safety was prioritized due to COVID-19, the online food market grew significantly due to increased demand for home meals rather than eating out. Due to the nature of fresh meat products, consumers preferred to buy offline products rather than online because they could not see the freshness of the products directly. However, the onlineization of the fresh meat distribution market is accelerating due to the unface-to-face environment, delivery service development,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used by Corona 19.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on meat consumers have been centered on offline consumers, and research on consumers who purchase fresh meat online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choices that customers consider important when purchasing fresh meat online. Selection attributes are the determinant of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Lewis, 1981), among the various attributes of a product, such as a product or brand, which can have a positive effect becaus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consumers future behaviors such as purchasing behavior, decision-making, and repurchase intentions (Lee, 2019).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defined the selection properties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as product assortment, product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delivery quality, and analyzed the impact of each selection proper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 Also, they wanted to find out how COVID-19 influenced the change in purchasing behavior of users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distributed to adult male and female customers over 20 years of age who had purchased at least once at the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among resi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duct assortmen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Second, product pr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Third, product information among select attributes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delivery qua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Finally, it was shown that customer satisfaction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use intent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ssortment, product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delivery quality of fresh meat online shopping mall was established b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In subsequent studies, I hope to expand the region to secure representation of samples and to conduct studies through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Corona19, which will provide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consumer changes caused by COVID-19.

      • 한국어교육 교재와 국어교육 교재의 문장 난이도 비교 연구

        양지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Syntactic Comparison between KNL and KFL textbooks Yang, Jiyeon Major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 is aimed to syntactic comparison between KNL(Korean as a Native Language) for pre-school children and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for adults. For this purpose, 3 kinds of KNL textbooks and 3 kinds of KFL textbooks are taken. The former are Gitan Korea step D, Choeljeobanbok Korean step PB, Haebeob Korean step E and the latter are Korean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Korean, Seogang Korean. Then I analyzed the reading texts from KNL textbooks and the listening and reading texts from Seogang Korean, using Analytic Grammar, which proposed by Uisu Kim(2008, 2009). After then, I calculated syntactic difficulty of all the selected texts. On the other hands, analyzing the main texts of Seogang Korean is already done by Teasung Kim(2009), and analyzing the main, reading, listening texts of the other KFL textbooks is done by Hanne Chung(2010). So I borrowed data of syntactic difficulty of them for my study. After examining the difficulty of each KNL textbook, this study found each KNL textbook has different level, even though they are all located in the same step, which is for pre-school children. So, I extracted the average of syntactic difficulty from each KNL textbook. In result, it is found Gitan Korean and Cheoljeobanbok Korean have very similar level. But Haebeob Korean has lower than other two. So binding Gitan Korean and Cheoljeobanbok Korean, I call it '1st integrated KNL textbook', and binding three of them, call it '2nd integrated KNL textbook'. In case of KFL, I extracted the difficulty of the reading text and 'integrated text', which means average difficulty of three sorts of texts(main text, listening text and reading text) to compare with the KNL textbooks. Comparison of KNL and KFL textbooks in terms of the syntactic difficulty is examined as follows. 1) comparing each KFL textbook with '1st integrated KNL textbook' and Haebeob Korean; 2) comparing each KFL textbook with '2nd integrated KNL textbook'; 3) comparing 'integrated KFL textbook' with '1st integrated KNL textbook' and Haebeob Korean; 4) comparing 'integrated KFL textbook' with '2nd integrated KNL textbook'. It is concluded that the reading texts of KNL fall somewhere between KFL level 1 and 2 in comparing with the KFL reading texts. They also fall somewhere between KFL level 2 and 3 in comparing with the KFL integrated texts. But KNL textbooks for pre-school children and KFL textbooks are matched in above-mentioned levels only in terms of syntactic difficulty. After this study, we will research the interface between pre-school KNL textbooks and adult KFL textbooks from a lexical point of view. I hypothesize that the lexical study will support the findings of the syntactic study.

      • 가족기능에 따른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지연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tudent's recognition of family functioning to adaptation to school and through that process, how the academic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contributes to school adaptation. Through this, emphasizing the family functioning and finding out effective solution by us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efficacy in school adaptation for those who did not adapted to school firmly. The research targets were 310 middle&high school students in Yong-in and Seongnam.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demographic questionnaire, School Adjustment scale, FACESⅢ,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scale of school adaptation and its subscales wer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teacher, peers, school curriculum and regulations, the subscales of FACESⅢ were the cohesion and adaptability in family. Sub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three, the expression of emotion, empathy, emotional reflective promotion ability, the use of emotional knowledge, self confid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Does the family functioning that students recognized effects adaptation to school? Secondly, how do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 academic efficacy effects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school adaptation? Thirdly, in between the self academic 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are there difference in effects caused by family functioning? This research showed at the first area that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tion that students reconginze have positive effects towards students school adaptation. Secondly, the family cohesion had partial influ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efficacy in the boundary of school adaptability. Thirdly, the adaptability in family had partial effects in emotional intelligence(in the boundary of school adaptation) however, the self academic efficacy had direct influence towards them. Lastly, the without the relationship of family cohesion and the level of adaptation, academic efficacy had partial influence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boundary of school adaptation. To summarize all above, the function of family is significant in the adaptation in school for adolescents, however, if the self academic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enhanced the ability of students adapting to their school life will be enhanced.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한 가족의 기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정서지능이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가족의 기능을 강조하고, 가족의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가정의 학생들이 정서지능과 학업적 효능감이 활용하면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용인 및 성남에 위치한 중, 고등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교생활적응척도, FACESⅢ, 정서지능 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보고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하위요인은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이고, FACESⅢ의 하위요인은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며,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은 정서의 인식과 표현, 감정이입의 능력, 정서의 사고촉진 능력, 정서지식의 활용능력과 정서의 조절능력이다. 학업적 효능감의 구성요인은 과제 난이도선호와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응집성과 적응성)이 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을 주는가? 둘째, 중·고등학생들의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족의 기능(응집성과 적응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정서지능이 미치는 영향은 가족의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는 첫째 중,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의 응집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가족의 적응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은 부문매개 효과를 보였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직선적 매개를 하였다. 셋째,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수준에 관계없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가족의 기능이 중요하나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켜 준다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