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양지선,이경숙,Yang, Ji Sun,Lee, Gyeong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고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2015 개정 가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지식의 연관성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이,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순으로,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이해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 개념별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은 '발달'에서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다', '관계'에서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과 '이해하다', '생활문화'에서 메타인지적 지식과 '적용하다', '안전'에서 절차적 지식과 '평가하다', '분석하다', '관리'에서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과 '적용하다', '생애설계'에서 메타인지적 지식, 사실적 지식과 '이해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에 사용된 동사의 진술은 '탐색하다', '이해하다', '분석하다', '실천하다', '제안하다', '인식하다', '평가하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동 동사의 진술은 수행과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교과내용 지식과 다양한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구체적인 역량을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을 통해 학습자의 수행능력의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 인지과정을 제공하고 내용요소와 기능과의 연결을 정교화하는 전략을 통해 교육의 방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이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을 함양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d aims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required competencies in the fourth industrial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dimensions was the highest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 while 'fac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high school, and 'knowledge of specific details and elements' was the highest subtype of all of the knowledge dimensions. The dimensions of the cognitive process, such as the terms 'apply' and 'analyze' in middle school, as 'understand' and 'evaluate' in high school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Second,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ccording to key concepts display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in development, the conceptual knowledge and 'understand' in relationship. While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apply' in life culture,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evaluate' in safety, the 'factual knowledge' and 'apply' in management and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in life design were extremely high. Third, the verbs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displayed as 'explore', 'understand', 'analyze', 'practice', 'suggest', 'recognize' and 'evaluate'. Since the statement of the action verb is the very basis for determining the performance process, specific competencies may be achieved by reflecting on the actual achievement standards. These standards should provide us with a effective cognitive process for to understand a learner's performance skills and suppor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required, through a strategy that refines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s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for the future.

      • KCI등재

        영남 교방문화 속에 핀 교방춤

        양지선(박사수료) ( Ji-seon Yang ) 대한무용학회 2016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4 No.3

        Yeongnam area is famous for dance. One of the reasons is that Yeongnam area is a lot of kyobang Dance based on kyobang culture. development of the kyobang culture Even though the research of kyobang is concentrated in Kwanso area. Joseon missions to Japan of road is in existence Yeongnam area. Therefore, Yeongnam area is a lot of feas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ppearance of kyobang dance inside kyobang culture. For this research, researcher collected the materials mainly from Ohoengmuk(吳宖默)``s 『GoseongChongswaerok(固城叢□錄)』, kyobangkhayo written by Jeonghyeonseok(鄭顯奭) and 『Hae-haeng-chong-che(海行摠載)』

      •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양지선 ( Yang Ji-seon ),김혜순 ( Kim Hye-so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285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6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및 유아 놀이성의 차이가 각각 유의하였다. 아울러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성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놀이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에는 교사-유아 상호작용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놀이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 교사-유아 간 안정적이고 반응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한 다각도의 지원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on yong children’s playful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5 three-to five-year-old children and 60 of their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data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stitutional typ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ildren’s playfulness difference from gender difference.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ren’s playfulness Third, teacher-child interactions had th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playfulness. but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d not th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playful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the most essential sectors of the education field to develop the positive and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 and a child and to improv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ren’s playfulness.

      • KCI등재

        학문 목적 유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대한 연구-문제중심학습(PBL) 활동 중심으로-

        양지선 ( Yang Ji S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1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 온 학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타인과 다양성에 대한 존중,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의식을 갖출 수 있도록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를 활용하여 세계시민 의식을 함양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학생들이 영상 정보를 올바르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문제중심학습(PBL) 방법을 활용하여 세계시민 의식(난민, 빈곤 등)에 대한 학습을 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의 핵심은 글로벌 시민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지와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든 이슈에 대한 가치와 다양성을 존중하며,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행동과 실천을 하도록 이끄는 것이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이다. 본 수업 과정을 통해 세계시민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몰랐던 학습자들이 난민, 환경, 불평등, 인권 등 다양한 국제적 이슈에 대한 문제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교육적 활동에 높은 만족감을 나타내었고,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도 높게 표현하여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세계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global competencies that foster global citizenship of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ome to South Korea. This is done by using the themes of global issues so that they can keep pace with the era of globalization, respect for others and diversity required in modern society, and to promote the awareness of th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To this end, education on media literacy was conducted so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an search and use video information correctly.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global citizenship issues (such as refugee, poverty, etc.) by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so that the class can become a learner-centered one. The cor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aimed at understanding one’s role as a global citizen. In addition, the goa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o respect the value and diversity of all issues and lead us to act and practice for the universal values with which we live today. Through this course, those learners who had not known specifically what global citizens are have recognized that they need to be aware of various international issues such as refugees, the environment, inequality, and human rights. Learners showed a high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y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learning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firming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비판과학 관점의 주체로서 가정과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연구

        양지선(Yang, Ji S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비판과학 관점에서 행동의 개념을 분석하고, 교사교육 측면에서 가정과 교사 행동주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 첫째, 행동의 개념은 인간이 자신의 의도를 포함하는 활동이며, 설정된 목적과 결정에 도달하려는 고유한 정체성을 드러낼수 있는 능력으로 공적 영역에서 상호의미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둘째, 교사 행위주체성은 교사가 가진 전문적인 경험과문화적⋅구조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개인과 공동체의 자기주도적이고 협력적 관계를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가정과 교사는 행위주체성이 발휘되는 상황과 결과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숙고하고 행동할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정과 교사는 행위주체성을 바탕으로 가정과 교육의 가치와 역할, 목적의식에 대해 비판적으로성찰하고 사유할 수 있다. 교사의 행위주체성 자체는 완성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이루려고 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교사 서로간의 지각된 상호이해를 통해 지속성을 갖고 발전해나갈 수 있다. 따라서 가정과 교사 행위주체성의 개념화는 교사의 행동에서드러나는 실천을 이해하려는 것이며, 이는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상호주체적 환경조성을 통해 교사의 사고와 성찰을강화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기에 학교 현장의 환경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action from the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agen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The contex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teacher agency were identified in terms of philosophy and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first, the concept of action refers to an activity of individuals involving one’s own intentions, and include the ability to reveal a unique identity that aims to reach a set purpose and decision, and this can be identified by mutual meaning in the public sphere. Second, teacher agency is influenced by a teacher’s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cultural and structural aspects, and it can create an environment which can promote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refore,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asonably judge, contemplate, and act through reflections on the circumstances and consequences in which their agency is exercised. Third, home economics teachers can reflect and think critically about the values, roles, and sense of purpos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agency. Teachers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ir agency rather than on completing it, and they can continuously develop it through a perceived shared understanding among teachers. Therefore,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agen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is to understand the practice revealed in a teacher s actions. This requires environmental support in school settings because it acts as a mechanism for strengthening the thinking and reflection of teachers through the creation of interactive environments in which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s can be shared.

      • KCI등재후보

        申采浩의 東方被壓迫民族連帶論에 대한 試論

        양지선(Ji-sun Yang) 북악사학회 2022 북악사론 Vol.16 No.-

        민족 간 혹은 국가 간 연대론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일본에서부터이다. 일본에서는 메이지유신을 계기로 아시아연대론이 대두하였다. 일본 아시아연대론의 영향을 받은 쑨원은 1920년대에 들어 대아시아주의를 본격적으로 주장하기 시작했다. 신채호 역시 사회진화론의 영향을 받은 지식인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논리로 아시아연대론이 가지는 한계를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는 3・1운동의 경험을 통해 직접 민중의 힘을 목도함으로써 이들을 혁명주체로 삼아 사회진화론적 발전 논리인 자강논리에서 탈피하고자 했다. 신채호는 아나키즘의 상호부조론을 통해 다시 한 번 독립의 달성여부를 강자와 약자의 생존경쟁에 따른 자연도태로 귀결 짓는 사회진화론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었다. 일본제국주의의 강권에 의한 조선 지배의 극복과 발전의 희망을 가지면서 자연스럽게 그의 관심은 상호부조론을 실천하기 위한 방도로써 편협한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동방피압박민족 간의 국제연대에 쏠렸다. 하지만, 그는 일본과의 연대는 반대하였다. 그가 일본과의 연대를 반대하는 이유로 크게 네 가지를 꼽았다. 첫째, 역사의 주체인 我 즉 민족과 국가가 동양보다 우선한다는 생각을 가졌기 때문이다. 둘째, 일본과의 연대가 불가능한 또 다른 이유로 유교적 이념을 내세웠다. 셋째, 같은 동양이라고 할지라도 현재 각 민족의 상황을 모두 다르게 인식하였다. 넷째, 일본을 직접투쟁에 의해 타도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한편, 신채호는 동방피압박민족 간 연대를 이론으로만 주창하지 않았다. 직접 동방피압박민족의 연대를 통한 독립 달성이라는 목표를 실현하고자 노력했다. 이처럼 신채호가 동방피압박민족연대론을 형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은 아나키스트로 변모한 후 완성된 그의 독립운동의 방략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동시에 독립운동가로서 끊임없는 사상투쟁의 역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theory of interstate solidarity emerged in Japan. In Japan, the theory of Asian solidarity emerged in the wake of the Meiji Restoration. Influenced by Japan's theory of Asian solidarity, Sun Wen began to advocate Asianism in earnest in the 1920s. Shin Chae-ho is also one of the intellectuals influenced by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However, he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sian solidarity theory with his logic.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he directly confirmed the power of the people and tried to escape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development logic by using them as revolutionary subjects. With the hope of overcoming and developing colonial rule, his attention naturally focused on international solidarity among the oppressed peoples of the East. However, he oppose d the alliance with Japan.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why he oppose d solidarity with Japan. I thought that I, the subject of history, took precedence over the East. Second, Confucian ideology was cited. Third, this is because Japan was viewed as an object to overthrow through direct struggle. Meanwhile, Shin Chae-ho did not insist on solidarity between Eastern oppressed peoples only as a theory, but tried to realize the goal of independence through the solidarity of Eastern oppressed peoples.

      • 고급 학습자의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섀도우 리딩 학습의 교육적 효과 연구 -음운 규칙과 초분절음을 중심으로-

        양지선 ( Yang¸ Ji Su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본 연구는 고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능력을 높이기 위한 학습법으로 섀도우 리딩(Shadow Reading)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전 및 사후 발음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발음에 어떠한 영향를 주는지 살펴보고 섀도우 리딩 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고급 숙달도의 학습자들에게 발음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여 이미 여러 방면에서 교육 효과가 입증된 섀도우 리딩 학습법을 음운 규칙 및 초분절음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섀도우 리딩을 적용하여 발음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이 끝난 후에는 사후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발음 학습은 약 5주간 진행되었으며, 섀도우 리딩 학습법이 음운 규칙과 초분절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로, 섀도우 리딩 학습이 음운 규칙 적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격음화, 비음화, ‘ㄴ’첨가는 사전 및 사후 평가의 점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음운 규칙의 향상도 순위는 연음>경음화>구개음화>유음화>비음화>‘ㄴ’첨가>격음화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로, 섀도우 리딩 학습이 초분절음 실현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향상도를 확인하였다. 음운 규칙의 향상도에 비해 초분절음의 향상도가 눈에 띄게 높았으며, 향상도 순위로는 억양>발화 속도>끊어 말하기 순서로 나타났다. 원어민의 음성을 듣고 따라 말하는 섀도우 리딩 특성상 초분절음에서 특히 상당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로, 실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인식과 섀도우 리딩 학습법에 대한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들은 한국어 발음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특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발음 수업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고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섀도우 리딩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어 향후 발음 교육에서 섀도우 리딩 학습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주목을 받는 섀도우 리딩 학습법을 한국어 발음 교육에 적용하였으며, 고급 숙달도의 발음 교육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번 연구에 이어서, 향후 섀도잉 학습을 활용하여 다양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hadow Reading’ as a learning method to enhance the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pronunciation training is not sufficient for current advanced Korean learners. By using shadow reading methods, which have proven to be effectiv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uprasegmental factors, phonological rules education and see how it affects pronunciation ability after five weeks of learning shadow reading. In this study, 45 advanced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took pre- and post-pronunciation ability tests,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interviewed survey those who participated in test. Studying pronounciation with ‘shadow reading’ took five weeks and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learning to check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methods on suprasegmental factors, phonological rules ability. First of all,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on the ability to apply phonological rules were investigated. Overall, the scores were confirmed to have improved. However, the score improvement of the pre-post evalu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spiration, nasalization, /n/-insertion. The order of improvement was followed by the order of prolonged sounds, glottalization, palatalization, lateralization, nasalization, /n/-insertion, aspiration. Secondly,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on the ability to apply suprasegmental factors were studied. Compared to the improvement of phonological rules, the improvement of the suprasegmental phoneme was higher. The order of improvement was followed by accents, speech rates and pause. The highest improvement was 'accents’. Third, after all the experiments ends, participants were conducted a survey to explore attitudes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responses to shadow reading methods. According to this survey, Korean pronunciation classes currently being held were not enoug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ronunciation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Furthermore, majority of learners were positive to shadow reading method, and confirmed the potential using shadow reading for pronounciation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recent attention-shadow reading methods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positively in pronunciation training of advanced proficiency. Following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by utilizing shadowing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수업과 평가 일체화를 위한 성취기준 중심 가정과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 연구

        양지선(Yang, Ji Sun),이경숙(Lee, Gyeong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강조하고 있는 교육의 변화 속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과 평가를연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평가기준에 제시된 평가 영역 중 서술형 평가에 적합한 14개의 성취기준이 분석되었으며총 29개 문항의 내용요소를 포함하여 문항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서술형 문항의 구조에 알맞은문항을 사전개발하고, 문항에서 활용할 자료, 채점기준의 제시 방법을 각 문항에 맞게 선택하였다. 셋째, 답안 및 채점기준표작성 단계에서는 채점기준과 부분점수별 예시 답안을 채점기준표로 작성하고 평가목표와 채점 항목, 항목별 배점을 검토하였다. 넷째, 전문가 검토 및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과 답안들은 전문적 교과학습공동체 교사들과 함께 문항 구성요소,평가목표의 구체화, 출제 의도의 구현 여부, 채점 결과에 대하여 예비검토와 상호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채점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인식변화를 도모하고 추후 학습자의 지식 적용능력을 높이기 위한 서술형 문항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tems of an essay response assessment that could align with the instructions andassessments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an assessment plan, 14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the assessment area, and the elements ofthe questions were developed including the content elements of a total of 29 questions. Seco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preliminary questions suited to the structure of essa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data and scoringcriteria to be utilized in the questions was selected. Third, to prepare the answers and the scoring criteria tables, the answersto the sample questions for each score were prepared in form of a scoring criteria table, and the objectives of the assessment,the scoring items, and the scores for each item were reviewed. Fourth, the developed questions and answers were revised andsupplemented by teacher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preliminary and mutual review on the componentsof the questions, the embodiment of the assessment objectives,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intent, and the grad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ssay-type questions and scoring criteria in essay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teachers enhance their learners abilityto apply knowledge in the future.

      • KCI등재

        가정과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통한 비판적 반성에 관한 탐구

        양지선 ( Yang Ji Sun ) 대한가정학회 2018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6 No.3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al reflection process experienced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during practicum. Data were collected in a critical analysis of class, practicum review, and journals written by sixteen preservice teachers. Text material were composed of 188 transcripts on A4 paper and 36 page of mini-no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thematic coding method in qualitative research and proceeded in the order of three steps of transference, coding, and subject discovery. The emerging themes were: 1) Observing class 2) Practicing class 3) Growth of class practice 4) Reflecting class. First, the observing class was an exploration process through the viewing of daily classes that involved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classroom situation and various classroom contexts. Second, the practicing class was to strengthen the consideration of the class to form a relationship that could lead to learning in educational situations. Third, the growth of class practice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ori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ur, the reflecting class wa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practice with a 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class, class reflection, and changing the perspective from the current status. There is a part where critical reflection is difficult to be promoted deeply during 4 weeks; however, there was a possibility of a reflection practice that could promote achiev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a practicing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