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1운동 100주년과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의 역할 : 여주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원기(Cho, Won-Ki)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3·1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시간이었다. 여러 박물관들이 전시를 통해 3·1운동의 역사를 국민에게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들도 대중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지역 3·1운동 역사에 대한 연구와 전시를 통해 지역 3·1운동을 지역민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초자제체 공립박물관의 학예연구 인력의 부족과 전시에 집중할 수 없는 업무환경, 근대사 부분 전공 학예연구 인력의 미비로 인한 전시 주제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은 지역 3·1운동 관련 전시를 수행하기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그런 이유로 소수의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만이 지역 3·1운동 관련 전시를 수행할 수 있었다. 경기도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 중 지역 3·1운동 전시를 수행해 낸 여주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지역 3·1운동을 기념하고 전시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를 이 글에서 검토해 보았다. 여주박물관은 지역 3·1운동에 대한 자료 확보 등을 통해 3·1운동 역사를 정리하여 관련 연구를 새롭게 진행하였다. 이후 연구된 성과는 전시를 통해 지역민과 관람객들에게 여주 3·1운동을 알릴 수 있었다. 그리고 전시내용을 교육·체험·심화강좌·현장 답사 프로그램 활용하여 지역민과 관람객에게 전시내용의 내재화를 추구하였다. 전시와 일련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들과 관람객들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여주 3·1운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우리지역의 역사 나아가 나와 관련된 역사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 이번 전시의 의의이다. 이번 3·1운동 100주년 기념전시는 지역 3·1운동을 정리하고 이를 보여주는 과정에서 기초지자체 박물관의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나아가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이 지역 근현대사 자료를 수집·연구하여 전시를 통해 이를 지역민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쌓는다면,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019 was time to remember and organize the history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the hundredth anniversary. Many museums t ried t o let people know t he h ist ory of March F 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holding special exhibitions. Local public government museums were also tried to let residents know the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indifferent. Local public government museum’s research manpower shortage, inaccessibleness of exhibitions topic and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could not concentrate on exhibitions was in trouble holding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 ovement exhibit oins. Accordingly, a f ew l ocal p ublic government museums could hold a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Yeoju Museum is one of the Gyeonggi province local public museums that could hold a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Focusing on Yeoju Museum’s exhibition case, we could review the process of how local public museums remember a nd e xhibit local M arch F 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article. Yeoju Museum newly researched history of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securing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materials of Yeoju. After this research, Yeoju Museum could newly let people know Yeoju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Moreover, Yeoju Museum pursued the internalization of exhibition contents for residents and audiences by utilizing educations, experiences, deepen lectures, explore sites. Residents and audience become interested in Yeoju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and many programs are the importance of this exhibition. This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is a chance to improve local public museum’s capability through organizing and exhibiting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Furthermore, if local public museums could accumulate the capability to collect and research local modern history materials, local public museums will do a role that local community demands.

      • KCI등재후보

        17세기 청풍김씨 가문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 현종비 명성왕후 집안을 중심으로

        이혜지(Lee, Hye-ji)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2 No.-

        17세기는 사림정치기로 西人과 南人세력의 경쟁과 반목이 거듭되고 있었다. 이 시기 효종대 외척가문으로 등장한 청풍김씨는 현종~숙종 초에 왕의 측근에서 왕권강화에 기여하였다. 청풍김씨는 金湜이 기묘사화를 당하면서 후손들은 정계에 진출하지 않았지만 대표적 사림가문으로 성장하였다. 金堉은 아버지 金興宇의 영향으로 우계성혼과 芝山 曺好益에게 수학하여 정치적 방향성을 확립하였다. 또한 邵雍學을 받아들여 이를 연구하는 유력 가문들과 혼인과 정치적으로도 연결되어 서인 내 ‘漢黨’이라는 정치세력을 형성했다. 청풍김씨의 혼맥은 김육 선대에는 왕실과, 김육 대에는 종친 및 부마 집안과 형성하였는데, 이는 17세기 정치 주도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청풍김씨 인물들이 본격적으로 정치활동을 시작한 것은 효종대 이르러서였다. 1651년(효종 2) 김우명의 딸이 세자빈으로 간택되는데, 세자빈 간택 후 외척 가문으로 발돋움한다. 1674년(현종 15) 2차 예송에서는 金錫胄가 공복 개정 문제를 정치 분쟁화시키며 송시열계 서인을 축출한다. 이어 숙종이 어린나이에 왕위에 등극하면서 明聖王后는 麟坪大君의 아들들인 삼복형제에 대한 견제를 위해 ‘紅袖의 變’을 일으킨다. 결과적으로 이들을 축출하진 못했지만, 숙종은 점차 군권을 외척세력에게 일임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庚申換局으로 남인 세력이 실각하고 이들과 가까운 삼복형제가 제거되며 외척으로써의 영향력을 극대화한다. 그리고 김석주를 중심으로 한 군제개편은 왕실 중심의 군권을 이루었고, 이후 숙종의 개혁에 바탕이 되었다. In the 17th century, the rivalry and antagonism between the powers of the West and the South were continuing as a rule of thumb. During this period, Mr. Cheongpoong Kim family, who appeared as a foreign family member of Hyojong period,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hip in the vicinity of the king from Hyeonjong to Sukjong. While Cheongpoong Kim was a mysterious figure, the descendants did not enter the political world, but grew into a representative Sarim family.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ther, Kim Heung-Woo, Kim Yook established a political direction by studying with the progenitor marriage and Jisan Jo Ho-Ik. In addition, the leading families that accepted the study of science and studied it were also politically connected to marriage and f ormed a political force called “Han P arty” in S eoin. Cheongpoong Kim family blend was formed with the royal family at Kim Yook s predecessor, and at the Kim Yook period with son-in-law family,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the rise of political leadership in the 17th century. It was only during the period of Hyojong that the characters of Cheongpoong Kim family began political activities in earnest. In 1651(Hyojong 2), the daughter of Kim Woo-Myeong was chosen as crown Princess . In the 2nd Yesong in 1674(HyeonJong 15), King Kim politicized the issue of the revision of the hunger and ousted the poets of the Song Si series. Subsequently, as King Sukjong emerged as the king at a young age, Queen MyeongSeong ‘Disturbance by Hong-Soo’ to check on Sambok s sons. As a result, although they were unable to oust them, Sukjong gradually showed the military authority to the outsiders. Afterwards, the male powers are disregarded, and the three brothers close to them are removed, maximizing their influence as a shouting. In addition, the reform of a military system, centered around Kim Seok-Joo, formed a royal-centered sovereignty, and later became the basis for the reform of Sukjo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모란의 사용과 그 문화적 의미

        이민기(Min-Ki Yi)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7 No.-

        모란은 기왕의 연구에서 고려시대 유신(儒臣)이나 관료들의 완상의 대상으로만 연구됐지만, 본고에서는 모란이‘국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바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국왕과 관련된 의례에서 머리에 꽃을 꽂는 행위를 통해 국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을 가시화하거나, 신료들과 그것을 감상하고 시를 창작하는 등 국왕권을 상징하는 꽃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한편 국왕과 신료, 또는 신료들 간에는 모란을 둘러싼 다양한 의미들이 병존했는데, 모란을 동원하는 이들이 그것을 사용하려 한 목적에 따라 제왕, 통치자의 권력, 부귀, 아름다움, 사치 등의 의미를 선택적으로 그 꽃에 부여했기 때문이다. 즉 모란을 호출하는 이들의 정치성과 계급성에 따라 여러 의미들이 파생되었고, 사용자들의 목적과 관점에 따라 모란의 상징성도 더욱 다양해졌다. 이러한 정황은 모란이라는 물질이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의미들을 갖게되었다. 모란 향유자들이 각자가 처한 시간과 공간, 각자가 가진 입장과 체험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모란을 재전유(re-appropriation)한 결과라 할 것이다. 같은 모란도 그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인식했느냐에 따라 다른 맥락으로 거듭났던 셈인데, 고려시대의 여러 다른 상징물들에 대해서도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한 접근이 필요하다. The peony was studied only as a object to appreciated by the Confucian minister(儒臣) and bureaucrats of the Goryeo Dynasty, but this paper examined that the peony symbolized the power of the kingship. It was used as a flower symbolizing the kingship through the act of putting flowers on the head[戴花] in the royal(or national) rite(ex. royal banquet) related to the king, visualizing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command of the king, or appreciating it with the scholars and creating poetry[賞花].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various meanings surrounding the peony between the king and the bureaucracy, because those who mobilized the peony selectively gave the meaning of the power, wealth, beauty, and luxury of the king and ruler to the flow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it. In other words, various meaning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politics and class of those who call the peony, and the symbolism of the peony became more diverse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viewpoint of the users. This situation has come to have various meanings as the material called peony has passed through the ages. It is the result of the re-appropriation of peonies in various ways through the time and space of each person, their position, and experience. The same peony has also been reborn in a different context depending on what meaning it has given and recognized,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various other symbols of the Goryeo Dynasty based on this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敎藏의 송・요 불교계 交流와 전승

        박용진(Park, Yong-jin) 북악사학회 2021 북악사론 Vol.13 No.-

        본고는 高麗 敎藏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송・요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新編諸宗敎藏總錄 : 收錄文獻 總覽』의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 경향을 살펴보았다. 고려와 송의 불교 교류는 송 화엄종, 천태종 및 율종 관련 인물과의 장소 교류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고려 교장도감 간행의 교장의 송 불교계 유통과 전승을 살펴보면, 고려 교장이나 고려 전래본이 저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송대 重刊 장소는 法藏和尙傳 등 10건이며, 『대소주경』은 의천의 주문에 의해 송에서 목판이 판각되어 고려에 수입되었고, 그 인본이 송나라에 재전되어 활용된 드문 사례이다. 한편, 이 시기 요나라에서 편찬된 불교 장소 교류는 고려를 매개로 유통된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가운데 고려가 요에서 구득한 장소는 『교장총록』에 수록되어있고, 교장도감의 간행을 통하여 동아시아 불교계에 유통 또는 전승되었다. 이상의 고려 교장의 고려와 송 불교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라는 관점을 제시할 수 있고,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전래할 때 고려와 송 등은 각국에 현존하지 않던 것을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고려 교장의 교류는 당시의 경전 및 장소의 유통을 통한 불교 교류사적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Buddhist commentaries(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高麗敎藏) gathering and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 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Song(宋) and Liao(遼)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Buddhist exchanges between Uicheon and Song Buddhism were reviewed focusing on exchanges with monks related to the Hwaeom-sect(華嚴宗), Cheontae-sect(天台宗), and Gyeyul-sect(戒律宗). There are 10 Song Dynasty version(宋刊本), such as the Beobjang-hwasangjeo(法藏和尙傳), which are believed to be published by the Goryeo-gyojang or the Goryeo distribution. The exchange of the Buddhist commentaries compiled in the Liao(遼) Dynasty in the 11th-12th century East Asian Buddhism is characteristic in that it was distributed through Goryeo. As for the exchange trend of Goryeo-gyojang, this study can see the aspect that the Uicheon of Goryeo transmitted the lost Buddhist commentaries(章疏) in Song(宋), and on the one hand, the trend of mutual exchange accepting the latest books of the Song. Also, the exchange of the Goryeo-gyojang can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exchange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Scriptures and Buddhist commentaries(章疏)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경기북부 경흥로변 취락구조의 변화

        최동원(Choi, Dong-won) 북악사학회 2021 북악사론 Vol.14 No.-

        조선시대 도성인 한양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던 대로 중 경기북부와 강원도, 함경도 일대를 가장 빠르게 연결하는 경흥로는 지형적인 특징으로 큰 峻嶺 없이 지방 군현을 연결하며 상호 소통하는 통로였다. 경흥로변의 전통적인 취락 형태는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개간이 쉽고 농업활동을 경영하기 편리한 하천과 충적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후 하천 범람의 위험을 피하고 군집생활이 가능한 구릉지로 거주지를 이동하였다. 이후 중앙집권적 지배체계가 확립되면서 지방 행정기관과 연결하기 위해 대로와 인접해읍치를 설치하며 취락지가 형성되었다. 경흥로 상의 읍치는 풍수사상이 반영되었으며, 북방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북쪽에 진산 및 主城을 두고 남쪽에 하천을 둔 전형적인 배신임수의 형태를 보이며 군집 거주지가 형성되었다. 경흥로변에도 교통과 통신을 보조하기 위해 역원이 설치되었다. 역원은 관영 시설로 역촌과 원촌으로 구성된 관설 취락을 형성하였지만 재정이 궁핍해지고 전란으로 시설이 파괴되면서 더 이상 복구되지 못하고 폐허로 남게 되었다. 조선후기 상품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역원이 있던 자리나 도로의 결절점을 중심으로 사설 시설인 점막이 자리하게 되었다. 점막은 이동의 편리를 제공하면서 물류 유통이 확대되자 場市로까지 발전하였다. 경흥로 상에는 양주의 누원점, 포천의 송우점, 장거리점이 촌락을 이루며 형성되었는데, 그중 누원점과 송우점은 도고상업을 주도할 정도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점막은 인구가 증가하면서 상업종사자가 늘어나며 도로를 중심으로 街村을 형성하는 상업취락이 조성되었다. 특히 포천 송우점의 경우 지역 전체 상업종사자 수의 35%가 밀집해 거주하는 대규모 집단 취락을 형성하였다. 이처럼 대로가 기지고 있는 교통의 편리성과 직업군의 변화로 거주지가 이동하면서 전통적인 集村인 읍치가 쇠퇴하게 되고 상업 취락이 지역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Gyeongheung-ro(慶興路) was one of the main roads that stretched out in radial shape from Hanyang,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to other parts of the kingdom. It was the fastest road leading to northern Gyeonggi-do, Gangwan-do and Hamgyeong-do. Thanks to the geographical feature having no steep mountains, the road connected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facilitated inter-local communication. Until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when the society was yet to be settled, residential areas alongside Gyeongheung-ro(慶興路) were formed around rivers and alluvial areas which offered land easy to irrigate and farm. Afterwards, people moved to hilly areas to settle down together, away from the risk of flooding rivers. Later, with the centralizing system took root, Eupchi (邑治), provincial cit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established adjacent to main roads to connect the capital and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upchi(邑治) built along Gyeongheung-ro(慶興路) embraced feng shui. Each Eupchi(邑治) was located with a guardian mountain and a main mountain at the back in the north to protect against invasion from the north and a river in front in the south, forming communities. YeokWon(驛院), an inn for government officials, was also installed along Gyeongheung-ro(慶興路) to lead traffic and communication. YeokWon (驛院) was a government-run facility and formed a government-owned village consisting of Yeokchon and Yeokho. However, as finances became scarce and the facilities were destroyed during the war, they could no longer be restored and were left in ruin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modity money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mmak (店幕), a private facility for room and board, was built around the site where the YeokWon(驛院) was or the node of the road. Jeommak(店幕) provided convenience of movement and as distribution expanded, it developed to Jangsi which a private market in the Joseon Dynasty. On Gyeongheung-ro(慶興路), like Noowon-jum(樓院店) market in Yangju, Songwoo-jum(松隅店) market in Pocheon, long-distance branch markets were formed into villages, and among them, Noowon-jum(樓院店) and Songwo-jum(松隅店) expanded in size to lead monopoly and oligopoly. As the popul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commercial workers increased, and commercial settlements were formed along the road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ongwoo-jum(松隅店) in Pocheon, 35% of the total number of commercial workers in the region were densely populated, forming a large-scale group settlement. In this way,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 change of occupational groups on the main road led to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village, Eupchi(邑治), and the commercial settlements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region.

      • KCI등재후보

        탄금대 전투 시 신립 군의 병력 수

        윤일영(Yoon, Il-young)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신립이 서기 1592년 음력 4월 25일 충주성에 집결시켰던 총 병력 수는 8,000명이었다. 이 병력 가운데 신립 장군이 都城에서 동원하여 충주 성까지 인솔했던 병력 수는 보병 및 기병 4,366명이었다. 그리고 충청도 內 군현에서 동원하여 충주 성까지 이동시켰던 병력 수는 보병 3,634명이었다. 도성에서 인솔했던 4,366명 가운데 기병 수는 1,152명이었고 보병 수는 3114명이었으며 宗族은 100명이었다. 8,000명 가운데 보병 수는 6,748명이었다. The total number of troops that the Joseons(朝鮮) Commander Shin Rip (申砬) gathered in Chungju Castle(忠州城) on April 25, 1592(壬辰年 Imjin year), was 8000 men. Among these troops, the number of troops that General Shin-Rip(申砬) had mobilized from the capital Kyengseng(京城) and then led to Chungju Castle(忠州城) was 4366 infant ry and cavalry. And t he number of t roops t hat the governor(忠淸道監司) of Chungcheong province(忠淸道) mobilized from Chungcheong province(忠淸道) and then led to Chungju Castle(忠州城) was 3634 infantry. Among the 4366 soldiers who Shin-Rip(申砬) led from the Capital Kyengseng(京城) to Chungju Castle, the number of cavalry was 1,152(the Special Guard(別侍衛) 224 men + the Elite Troops(甲士) 928 men)men, the number o f infant ry was 3114 men, and t he number of Family Unit (宗族部隊) was 100 men.

      • KCI등재후보

        백제의 군사의례

        장수남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8 No.-

        Military protocols represent the Yeron of Confucianism applied to military aspects. Baekje's military protocols can be examined based on articles in Samguksagi in the aspects of lines, official archery, practice of archery, and animal hunting. Lines are also called Yeolbyeong and Sayeol and the most basic protocol to confirm the supreme command of a king during the time of peace as well as wartime. In Baekje, lines were performed for a king to solidify his royal authority or symbolically show that his royal authority was restored by reinforcing his bond with his subjects and simultaneously verifying his authority in them at hunting events or banquets where his military power was in control. Archery is a protocol to examine the virtues of a man of virtue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In Baekje, practice of archery was done in an agricultural off-season and thus seems ceremonial. After each practice of archery, soldiers received different awards according to their scores. Animal hunting was done in an agricultural off-season and even involved common people. A king would give a banquet after a practice of archery and animal hunting. In Baekje, practice of archery and animal hunting were promoted, and military protocols were carried out at these occasions to solidify the royal authority. Individuals of different social classes had different targets in a practice of archery, which was a means of a king to reveal his status. In Baekje, animal hunting happened throughout the Hanseong, Woongjin, and Sabi periods and across all the four seasons. Hunting happened as part of military training in an agricultural off-season and was followed by a memorial service. In Baekje, the significance of animal hunting was to do military training throughout the seasons and also confirm the king's authority through a hunting ceremony. 이 글은 백제의 군사의례가 자료가 부족하긴 하지만 삼국사기 백제본기 기사를 토대로 백제의 군사 의례를 중국・일본・고려・조선의 군사의례 기록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이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백제의 군사의례를 대열(大閱), 관사(觀射)와 습사(習射) 그리고 전렵(田獵)으로 나누어 그 특징과 의미 및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열의 특징은 장소는 도읍지이고, 그 시기는 농번기를 피한 가을 7월, 8월, 겨울 10월과 11월이다. 그리고 대열에는 백제를 상징하는 누런색 깃발을 사용하였고, 대열 후에는 잔치가 열렸으며, 백제의 대열에도 ‘타위’라는 소규모 사냥이 실시되었다. 백제에서의 대열은 왕이 나라의 군사력을 통제하면서 그 안에서 사냥이나 연회를 베풀어 신하들과 유대감을 강화하고 동시에 왕의 권위를 신하들에게 확인시킴으로써 왕권을 공고히 하거나 회복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관사의 특징은 그 시기가 농한기가 아닌 가을 7월에 행해져 왕권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의례적인 행사였으며, 관사 후에는 성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상을 주었다. 습사는 그 시기가 가을 8, 9월로 농한기에 행해졌는데, 이는 백성들도 습사의 대상이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장소는 궁의 서쪽이었고, 습사는 도읍사람들 뿐만 아니라 지방사람들도 대상으로 하였고 관사처럼 성적에 따라 상이 하사되었다. 또 관사와 습사에는 음악이 사용되었으며, 관사와 습사 후에는 왕이 연회를 베풀었다. 백제 왕들은 관사와 습사를 장려하고 이때 행해지는 군사의례를 통해 왕의 지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전렵은 대열과 관사 및 습사가 계절이 정해져서 군사의례가 행해진 것과 달리 사계절 내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렵 후에는 제사를 지냈다. 백제의 전렵의 절차는 대당개원례 와 오례신의 을 통해 추정해 보면 장소를 정하고, 깃발을 세워 사냥할 곳을 표시한 후, 3구 몰이를 하여 왕이 먼저 사냥을 한 후 위계에 따라 사냥을 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잡은 사냥감 중에 가장 좋은 것으로 제사를 지냈을 것이다. 백제 전렵의 특징은 사계절 내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군사훈련의 의미도 있지만, 사냥 의례를 통해 왕의 권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백제는 대열, 관사와 습사, 전렵의 군사의례를 통해 왕의 권력을 표출하여 왕권을 공고히 하거나 왕권을 회복하는 수단으로 이것들을 시행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