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학 : 형식의미론의 국어 시간요소 의미 분석 검토

        양정석 ( Jeong Seok Yang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양정석(2002, 2004, 2008a, 2012)에서 논한 국어의 형태통사론적 사실을 기본 인식으로 시간요소들의 의미 기술을 시도한 형식의미론적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었-’의 범주적 성격에 대한 판단이 시제 체계의 유무에 대한 판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 이를 단일한 시제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와 중의적 요소로 간주하는 견해로 나누어 그 형식의미론적 의미 규정의 실례들을 비판하였다. ‘-었-’의 중의성에 기반한 이론들은 궁극적으로 공통된 의미를 가지는 두 요소가 상보적으로 분포할 때 결국 하나의 단위로 증명된다는, 상보성 원리에 의한 해석과 관련한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단일한 ‘-었-’에 기반한 시제 가설의 견해들은 이것이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와 함께 완결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설명할 수 없다. ‘-었-’의 완결상 의미는 중국어를 비롯한 무시제 언어들에서 그러한 것처럼 시간적 선후관계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시제 언어의 완결상 의미 기술을 ‘-었-’ 의미 기술에 원용하고, 이 외의 시간적 선후관계 해석을 도출하는 구문들, ‘-었었-’ 문장, 중화상 ‘Ф’의 문장, 명제태도 동사 구문, 시간 부가어 구문의 형식의미론적 의미 기술 방법을 제안하였다. It was argued in Yang(2008a)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mainstream view on Korean language as a tensed language, it is a tenseless language, and that the so-called ‘tense morphemes’ are in fact aspect and mood morphemes. Based on the morphosyntactic facts discussed in Yang(2008a), and on the temporal interpretations of Korean complex sentences in Yang(2008b), recent approaches to the description of the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Korean are critically examined, with special attention to ‘-ess-’, which is a key temporal element to decide between tensed or tenseless nature about Korean languag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mbiguity of the meaning of ‘-ess-’ eventually fall prey to the complementarity argument, i.e., two supposedly distinctive morphemes, ‘-ess-1’ and ‘-ess-2’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Korean morphosyntactic structures, and they have a certain common meaning, so they are the one and the same morpheme. Approaches depending on the assumption that ‘-ess-’ is just a tense marker maintain the semantic representation containing precedence relation, but they can not ultimately capture the perfect meaning which ‘-ess-’ has as its essential component. In this paper, I propose a temporal interpretation system based on aspect morphemes which contain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 in their formal semantic descriptions.

      • KCI등재

        1692년 세일럼 마녀재판을 통해서 본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종교문화

        양정호(Yang, Jeongh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2

        이 논문은 1692년 뉴잉글랜드 세일럼에서 진행되었던 마녀재판에 대하여 미시사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17세기 말 뉴잉글랜드의 종교문화를 재구성한 것이다. 1692년 사건 당시의 재판기록, 세일럼 마을의 목회자이던 사무엘 패리스 목사의 설교문, 그리고 교회설립 당시부터 마녀재판 이후까지의 교회 회의록 등의 문서들을 분석하여 마녀재판과 관련된 인간관계의 그물망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뉴잉글랜드의 청교도에 의해서 행해진 마녀재판은 세일럼 교회 안에 있었던 두 집단 간의 갈등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힐 것이다. 다름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은데서 비롯된 집단간의 갈등과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은 마술과 마녀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졌던 시대정신과 맞물려 1692년 세일럼에서 ‘마녀’라는 죄목으로 사용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constructing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17th century New England puritans with the historiographical methodology of micro-history on the Salem Witch Trials of 1692. Three kinds of historical documents will be examined: the 1692 Salem Witch Trial records; the Salem Church records; and the sermon notes of Samuel Parris of the Salem church.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Salem Witch Trials were executed by the 17th century puritans of New England and the tragedy was derived from enmity between two groups in the Salem church. The 17th century New England puritans did not accept difference and diversity, so that enmity within the Salem church resulted. Moreover, the negative thoughts on women and the faith in magic and witchcraft generated the witch trial within the religious culture of 17th century New England.

      • KCI등재

        대학생의 음주와 운동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양정수(Yang Jeong Su),황부근(Hwang Bu Geun),김차용(Kim Cha Yo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0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nking and exercise on a university students` scholarly attai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1 male and 241 female students at universities located within Gangwon Area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in 2001.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s; 1. About 79% of students(male;83.9%, female;73.1%) had using alcohol, and 15.4% of male and 11.2% of female engaged in heavy drinking, and 63.6% of male and 29.6% of female engaged in binge drinking. 2. About 41% of students(male;54%, female;23.7%) were participated in exercise, and in case of mode, 45.2% of male and 52.6% of female were participated in personal patterns. However, 33.3% of female and 14.3% of male had insufficient frequency of exercise. 3. In case of frequency and volume of drinking, exercise had positive tendency. 4. Scholarly attainment was almost not affected by volume of drinking, but frequency of drinking was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with scholarly record. 5. In case of male students, exercise had any positive tendency to a scholarly recor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중,일 전통극 무대화장의 미적 특성

        양정원(Jung Won Yang),이미숙(Mi Su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예술의 배경이 되는 불교미학을 중심으로 한·중·일 전통극 무대화장의 미적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불교의 기초개념으로 여겨지는 여(如), 불이(不二), 공(空), 장엄(莊嚴) 등을 추출하여 미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무색·무형의 자연미, 미추불이의 불이미, 포백의 여백미, 꾸밈의 장식미 등의미적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서적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전통극 무대화장의 기원을 살펴본 후, 불교미학에 영향을 미친 불교의 기초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미학적 특성들을 도출한 다음, 이를 토대로 한·중·일 전통극 무대분장의 미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동아시아 근세기에 출현한 한·중·일 삼국의 대표적인 전통연희로서 춤, 음악, 대사 그리고 연극적인 마임이 혼합된 형태의 공연예술로서의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가면극, 중국의 경극, 일본의 가부키의 무대화장을 고찰하였다. 한·중·일 전통극 무대화장의 표현된 미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의 개념에서 미적 범위로 도출된 무색·무형의 자연미는 가면극과 경극의 화장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가면극 무대화장의 경우 무형의 자연미가 두드러지며, 가면의 눈, 코, 입 등의 변형을 통한 비정상적인 표정은 좌우대칭의 불균형의 부조화의 미적 특징을 나타낸다. 반면 경극의 경우 무색의 자연미가 특징인데, 검보의 홍검과 흑검은 일편단심, 충성심을 지닌 인물로 긍정적 의미망을 갖는다. 무대화장에서의 적색과 흑색은 중국인들의 ‘여’의 세계관에서 비롯된 자연관과 일맥상통한다고 사료된다. 둘째, 불이의 개념에서 도출된 미추불이의 불이미는 가면극, 경극, 가부키 무대화장 등에서 모두 나타난 미적 특징으로, 추(醜)의 그로테스크라는 특징을 표출시킨다. 가면극의 무대화장은 양반 가면의 얼굴 변형과 왜곡을 통한 해학적 이미지와 도깨비 형상을《봉산탈춤》의 먹중과 취발이의 괴기적 이미지에서 드러난다. 경극의 무대화장에서는 정검(淨檢)의 강렬한 색상과 좌우대칭의 추상적인 도안을 통한 초인간적인 이미지, 축(丑) 배역의 왜검의 오관을 변형시킨 골계적 이미지등으로 표출된다. 가부키의 경우는 아라고토 장르의 스지구마 화장과 구게아레 화장을 통한 괴기적이고 악마적인 이미지에서 그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셋째, 공의 개념에서 도출된 포백의 여백미는 가부키 무대화장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간주된다. 특히 온나가타의 얼굴과 목 주변의 넓게 펴 바른 백분화장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가식과 꾸밈이 없이 일체의 형식을 초탈한 무언(無言), 무심(無心)의 경지에서 외로움과 가난함, 소박함을 표현하여 순수한인간의 본질을 붙잡으려는 적극적인 무상감과 빈곤을 추구한 일본인의 미적 정서가 표출된다. 넷째, 장엄의 개념에서 도출된 꾸밈의 장식미는 경극의 무대화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미적 특성으로 파악된다. 강렬한 색과 좌우대칭의 기하학적, 추상적인도안을 통한 인물의 내면 표현한 검보 화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불화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되는 금색은 검보에서 신령의 초월적인 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좌우대칭 구조의 기하학적 도형과 추상적인 도안의 특징은 검보의 다양한 보식으로 구체화되었다. This study a purpose is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stage makeup of Korea, China and Japan`s traditional plays in and around Buddhist aesthetics which is the background of Oriental art. As a result of extracting Yeo, Bul-yi, Gong (emptiness) and sublimity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concepts of Buddhist, the researcher drew out aesthetic categories; natural beauty of colorlessness and incorporeity, the beauty of ‘Bul-yi’ that beauty and ugliness are not different, the beauty of blank space of hemp and silk and the beauty of decor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to take a look at the origin of stage make-up of the East Asia`s traditional plays centering around the precedented studies and the related publications, examine the basic concepts of Buddhism affecting the Buddhist aesthetics, then it derived aesthetic properties through these results and establish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make-up of the traditional play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range of the research examined the stage make-up of Korean mask dance, Beijing Opera and Kabuki of Japan that have some common ground as mixed forms of performing arts with dance, music, quotes and theatrical mime as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banquets of the three countries which appeared in modern times of East Asia.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above things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stage makeup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al beauty of colorlessness and incorporeity drawn out from the concept of ‘Yeo’ is presented in the makeup of the Mask dance and Beijing opera. In case of the stage makeup of Mask dance, the natural beauty of incorporeity stands out, and the abnormal expressions through the transformed eyes, nose and mouth of the masks represen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disaccord with dissymmetr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Beijing opera, it features the natural beauty of incorporeity, and Honggum and Heukgum of ‘Gumbo’ are the figures with loyalty and have positive meanings. Red and black in the stage makeup are considered to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view of nature originated in the world view of ‘Yeo’ of Chinese. Second, the beauty of ‘Bul-yi’ that beauty and ugliness are not different derived from the concept of ‘Bul-yi’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stage makeup of Mask dance, Bejing opera and Gabuki, and it displays the feature of grotesque ugliness. The stage makeup of Mask dance shows this feature in the humorous image through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facial masks of yangban, aristocrat and in the form of Doggabi in Mukjung and Chuibari`s grotesque image in Bongsan Mask Dance. In the stage makeup of Beijing opera, the feature is expressed in the loud color of Junggum, superhuman image through the abstractive design of symmetry and humorous image that transformed the appearance of Waegum, the role of Chuk. Third, the beauty of blank space of hemp and silk derived from the concept of Gong is regarded as the noticeable feature of the stage makeup of Gabuki. Especially, this case is found in the makeup with white face powder spreaded widely over Onnagata`s face and neck area. Through this makeup, Japanese` aesthetic emotions that pursued active meaninglessness to capture pure human essence and poverty by expressing loneliness, poverty and simplicity from the status of mutedness and inadvertence that transcends all the formality without any pretense. Fourth, the beauty of decoration derived from the concept of solemnity is identified as an aesthetic characteristic remarkably presented in the stage makeup of Beijing opera. It is prominently represented in the loud colors and Gumbo`s makeup that described the internal state of character through the geometrical, abstractive design of symmetry, and the gold color, which is symbolically used in the Buddhist paintings, is used to express the transcendent pow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