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재활서비스 품질요인 규명에 관한 질적 연구

        양일모 ( Yang¸ Il Mo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제공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9명의 연구참여자(운영자 2명, 제공인력 7명)의 경험과 체험을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발달재활서비스의 품질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품질을 결정짓는 요소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공기관에게 요구되는 품질요소와 제공인력에게 필요한 품질요소 그리고 서비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품질요소 등의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해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3개의 대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로, 서비스의 신뢰성, 협력관계, 문제대응능력, 관리체계, 근무여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구조화 강화 노력과, 둘째로, 서비스의 책무성과 준비된 서비스 그리고 서비스의 전문성을 대표하는 서비스 적합성 제공 노력, 셋째로, 성과관리체계, 전문가의 수퍼비전, 가족의 협조, 정보의 공유, 통합적 계획 수립 등의 서비스 효과성 확보 노력 등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재활과 치료가 중심이 되는 발달재활서비스 과정을 통해 장애아동의 삶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제공기관과 제공인력의 노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서비스의 질적 수준, 즉,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질적 연구의 방법을 통해 규명해봄으로써 발달재활서비스의 품질특성을 체계화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발달재활서비스의 품질관리를 위해 품질지표의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도 중요한 성과라 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quality factor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active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ality factors required by providers, quality factors required by providing personnel, and quality factors that can achieve the purpose of the service. Data was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way, and 3 major topics and 13 sub-themes were deriv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efforts to reinforce service structure including service reliability, cooperative relationship, problem response 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working conditions were confirmed. Secondly, it was found that efforts to provide service suitability representing service accountability, prepared services, and service expertise were needed. Thirdly, efforts to secure service effectiveness were confirmed, which consisted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upervision of experts, cooperation of families, sharing of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la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orts of providers and human resources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cess centered on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In the proces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systemati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s, that is, factors affecting qualit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addition, it is an important achievement that this study drew meaningful results in that it confirmed the orientation point of quality indicators for quality manage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 KCI등재후보

        근대 중국의 민주 개념 - 민본과 민주의 간극

        양일모 ( Yang Il Mo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7 중국지식네트워크 Vol.9 No.-

        이 연구는 19세기 중엽에서 1920년대 초까지 중국의 지식인이 서양의 민주 제도를 표상하는 방식을 주로 개념의 분석이라는 방식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청말 민국 초기의 지식인들이 서양의 democracy에 관심을 갖고 이야기하는 과정은 그러한 제도를 운영하는 서양을 이해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이러한 제도가 왜 중국에 필요하고 종래의 군주제가 어떤 문제를 지니고 있는지를 물어가는 내적 반성의 과정이기도 하다. 서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교의 정치 이념이 자주 동원되고 활용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양의 정치체제를 둘러싼 당시 지식인들의 지적 담론을 분석하면서, 민주를 정당화하는 논리, 의회 제도를 긍정하는 논리, `민주`에서 표상된민의 정치적 위상과 군주와의 관계, 나아가 유교적 민본주의와 서양의 민주주의 사이의 간극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 which Chinese intellectuals express Western democratic institutio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20`,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a conceptual history. It can be said that a process of Chinese intellectuals` concerns with the Western democracy is to understand the western that runs such a system, at the same time to reflect internally for why such a system requires in China and what problems the traditional monarchy have. To understand the West, the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were adopted and utilized frequentl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ted to explain Chinese intellectuals` logic of justif ying the western democratic system and Congress, the people`s political right represented by democra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people, examining the modern Chinese intellectual`s discourses on the Western polity.

      • KCI등재

        근대 계몽기의 윤리관과 정통적 지식인

        양일모(Yang Il-Mo),홍영두(Hong Young-D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6 No.-

        이 글은 ‘근대 계몽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문화적 토양에서 배양된 한국의 근대와 계몽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유럽을 배제하고 생각하기는 어렵지만, 유럽이라는 잣대만으로도 설명될 수 없다, 한국의 근대와 계몽도 유럽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내적 관계라는 이중성을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 시기는 일본과 중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지식인들의 활동이 돋보인 시기였다. 그들은 서양을 학습하면서 정치적 개혁에 참여했고, 정치적 주장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서양의 특정한 학문을 선택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은 정치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학문과 사회, 자연과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수반했다. 그 과정은 천리와 인륜을 구현하고자 했던 구시대의 윤리와 대항하고 갈등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근대 한국의 새로운 윤리관은 서양으로부터 온 새로운 가치와 전통적 유교 사이의 상호 견제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명개화를 내세운 조선의 지식인들은 ‘실상개화’를 강조했고, 실용성과 더불어 윤리적 질서와 도덕적 각성을 촉구했다. 문명개화는 분명 새로운 시대를 구상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그 정당성과 실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개명과 화성이(化成), 개물성무(開物成務)와 화민성속(化民成俗) 등 유교적 의미를 끌어왔다. 개화와 문명의 본질을 천착하는 과정 속에서, 역으로 문명개화의 주장은 비판하고자 했던 유교적 문명론과 새로운 대화를 시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문명개화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유교적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는 이중적 행위였다. 서양 문명의 수용을 강조하는 자는 유교를 비판하였지만, 사회적 차원에서 문명개화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교 윤리를 비판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수신과 윤리를 더 필요로 하였다. 이 시기에 제기된 문명개화의 주장은 표면적으로는 서양화의 기치를 내세웠지만, 내면적으로는 유교 윤리를 통한 재무장의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 meaning of enlightenment in modern Korea, which is cultivated from rhe cultural soil of East Asia. A modernity of East asia can not be simply explained in the context of Europe, even though impossible to exclud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the complexity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modern Korea, not merely its external relations to the west but its internal ties to cultural background. As in the case of modern China and Japan, Korean westernized intellectuals had a important roles in so called the modern enlightened period from 1876 to 1910. They took parr in political reform, choosing the western thought to justify their political strategies. These polideal process made a considerable impact upon traditional viewpoint, followed by the conflict with the old ethical norm which have tried to realize the principal based on the rule of the Heaven and Humanity. This essay argues thar the modern morality of Korea is made by a mutual repercussions between confucian value and western learning. Korean intellectuals under the banner of the enlightened civilization(文明開化) laid emphasis on the fundamental enlightening, pushing for ethics and morality besides social pragmatism, Their cries for the enlightened civilization was to prepare for a new epoch, but can not help to borrowing traditional terms, for example, cultivation of the mind(開明), edification(化成), opening up things and accomplishing the undertakings(開物成務) which was authorized by the cannon of Yijing(易經). To give a definition of the enlightenment more radically, Korean intellectual’s enlightened civilization movement had a chance to make conversations with Confucian civilization. This IS partly to build up a pattern of the enlighten movement theoretically, partly to reestimate Confucian concept. I insist that Korean enlighten movement appeared to consider Confucianism as impractical, but could not criticize it in essence. It is a paradox that they launched the campaign with western value as the slogan, and moved to re arm itself with Confucian ethics.

      • KCI등재

        옌푸(嚴復)의 근대성 인식

        양일모 ( Il Mo Yang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이 글은 중국의 전통과 근대를 함께 살았던 옌푸라는 한 지식인의 사고 과정을 통해 중국의 근대성 문제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그는 누구보다도 더 열심히 서양을 관찰하고 학습하고 체험했다. 중국에 돌아와서는 서양의 원리와 가치를 토대로 중국 사회를 분석하고 비판했다. 만년에는 공자를 존경하고 유교 경전의 강독을 주창하기도 하였다. 그의 삶은 서양의 원리를 발견하고, 서양의 원리 속에 감추어진 문제를 인식하고, 중국의 가치를 발견해가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원리와 가치를 찾아 고뇌하는 과정이야말로 그가 추구했던 중국의 근대성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옌푸는 언론 활동에 처음으로 등장하면서 서양의 자유와 민주에 처음으로 감명을 받았던 시기에도 서양 사회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외면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면서도 자유, 민주, 진보, 과학, 공공성 등 서양의 학문적 성과로 이루어진 진리를 신봉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미증유의 전쟁을 목도하면서 그는 서양의 원리와 학문에 깊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그리고 반사 작용으로 중국의 학문에 관심을 더 많이 기울였다. 분명 옌푸 연구자들이 말한 대로 그는 초기의 급진적 관점에서 보수적인 관점으로 변했다. 그만이 변한 것이 아니라 중국 사회도 변했고, 서양 사회도 변했다. 중국에서는 옌푸보다 더 급진적인 서구주의자들이 등장했고, 서양에서는 자본주의의 문제점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었다. 옌푸에게 서양은 사상적 모범이며 원리였다. 중국보다 앞서 있었기 때문에 모범이 되었고, 중국보다 근대문명의 폐해가 먼저 나타났다는 점에서도 모범이었다. 서양 문명에 대한 반사작용으로 유교가 떠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유교를 서양 문명의 대안으로 간주하지는 않았다. 그는 중국인의 아이덴티티는 유교의 경전 속에 있다고 보았다. 한편 서양 사회가 문제를 야기해도 서양의 학문은 여전히 그의 원리였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원리의 진리성이었으며, 중국과 서양은 지리적으로 구획된 세계는 아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inese modernity by way of Yanfu`s experience of the West, who lived the tradition and a modern time of China from late 19th to early 20th. He observed, studied and experienced the West more eagerly than anybody else. After returning to China from studying in England, he analyzed Chinese society with base of principle and value of the West. Late in his life, he respected Confucius and advocated to read the classical canon. He discovered the principle of the West, and recognized the problem immanent in it, finally found the value of China again. This paper will consider a process of Chinese intellectual`s agonies to search for the value of the West as a distinguishing feature of Chinese modernity. Early Yanfu is not only impressed in freedom and democracy of the western society, but as well not to look away a problem hidden in the West. Nevertheless, he believed truth, freedom, democracy, progress, science and the public spirit etc. accomplished with scholastic result of West. After watching the first world war, he felt disappointment in the principle of the West. And in reflex action he took an interest in study of Chinese classics. It is clear to say that in late time he changed his mind form a radical viewpoint of early times to a conservative, as many research pointed. Not only he changed, but the Chinese, the western society also was changed. In China more radical intellectuals appeared, In West capitalism day by day showed up many serious social problems. In Yanfu, the West was ideological model and a principle in his life. It became the model, first because the west went ahead of China, secondly because the evil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ppeared in advance. Compared to Western civilization, Confucianism was to be re-evaluated. But Yanfu didn`t regard it as the alternative of Western civilization. He tried to find Chinese identity in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though the west revealed a side effect of modern society, he never refused the utility of western scholarship founded in science.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was truth of principle. In him, China and the West was not the world which is divided geographically.

      •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론

        양일모(Yang Il-mo)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지난 백여 년 동안 스스로의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 걸어 온 고난의 행군 속에서도, 마침내 ‘아시아의 세기’가 밝아오고 있다. 탈냉전과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아시아에서도 지역 통합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동아시아공동체라는 구상 속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움직임이 자유무역권의 설정과 지역의 안전 보장을 위한 국제관계를 주요 과제로 다루고 있는 것을 보면, 다가오는 아시아의 세기가 국가와 자본의 주도하에 이루질 것이 예상된다. 최근 일본에서는 ‘아시아’ 혹은 ‘동아시아’라는 용어가 과거의 금기에서 복권되었다. 이러한 언어적 전회 과정에는 1960년대의 다케우치 요시미, 1970, 80년대의 히로마쓰 와타루의 학적 해석이 있었고, 금세기에는 해외 학자까지 가세하고 있다. 이제 일본 사회에서는 ‘대동아공영권’을 연상시키는 ‘동아’보다는 가치 판단으로부터 중립적으로 보이는 ‘동아시아’ 혹은 ‘동아시아공동체’라는 용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으며, 그 가능성과 문제점을 둘러싼 논의가 잡지와 논단의 일부를 장식하고 있다. 지난 90년대 이래로 아시아 공동체를 둘러싼 담론이 논단을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학계 또한 아시아의 세기를 위한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지적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제국의 지식 체계가 제국주의 일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듯이, 헤이세이 일본의 지적 풍경 또한 새로운 아시아 담론의 형성 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의 아시아 담론의 향방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일본 학계의 아시아 연구의 흐름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지식인들에게 아시아는 지리상의 개념을 넘어 점차 사유의 대상으로, 근대적 지식체계의 문제를 새롭게 물어 가는 사유의 토대로 정립되어 가고 있었다. 때로는 중국과 한국의 지식인도 참여하면서, 일본에서 아시아는 사상의 영역으로, 그리고 사상의 자원과 과제로 소생되고 있다. 일본은 아시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또 다시 아시아의 의미를 물어 가면서 21세기의 아시아의 정체성, 주체 그리고 원리를 모색해 가고 있다. In the past 100 years, while overcoming many bitte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 Asian identity, the Asian century has been dawning in world history. Under the post cold war circumstances and the prevailing ghost of globalization, the regional integration movement is becoming active in parts of Asia, as well as the continent of Europe and North America. Now the East Asian Community movements are turnning towards dealing with the following two issues, namely, making a free trade zone and increasing regional security in Asia.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e coming Asian century is being constructed under the control of national power and capital. In contemporary Japan, the term ‘Asia’ or ‘East Asia’ is being reinstated, liberated from the past taboo rooted in the militarism of the Great East Asia War. The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akeuti Yoshmi in the 1960s and Hiromatu Wataru in the 1980s establish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evaluation of the meaning of Asia. By the turning point of the new century, Chi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are also giving support to this linguistic change. The usage of ‘East Asia’ or ‘East Asian Community’ is now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than ‘Toa/東亞’ in most fields of industry, officialdom, and academic circles of Japan. The former is inclined to suggest a neutral meaning rather than the other which remind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From the 1990s, while Japanese journalism was debating on the topic of making an East Asian community, the Japanese academic world also had been proceeding to take up intellectual works, laying the foundation of Asian research for the coming Asian century. As the intellectual system of imperial Japan was closely related to Japanese political imperialism, the recent intellectual landscape of Japan can not but have inseparable connections with a process of forming discourses on Asianism.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we have to take the Asian studies of Japanese academic circles into consideration in examining the tide of discourses on Asia in Japan. Now, in the territory of Japanese academism, Asia is represented as an object of thought, an intellectual foundation inquiring after modernity and the modern knowledge system. Sometime joined with Korean and Chinese thinkers, East Asia, rather than Asia, is revived to be fields, sources, and subjects for our thinking training. Reconfirming Japanese geopolitical status in Asia, re-asking the meaning of Asia, Japan has been searching for the Asian identity, subjectivity, and principles for the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중국의 근대국가 구상과 러시아 1차 혁명

        양일모 ( Il Mo Ya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1

        19세기 후반 이후로 아시아 지역이 세계사적 차원에서 식민지 쟁탈의 무대가 되면서, 제정 러시아는 제국주의적 침략에 가담했고 서양 열 강의 일원으로 변신하기 시작했다. 이웃하는 러시아의 변화는 중국인 의 근대국가 구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인식 또한 위협, 모방, 연대, 공포, 학습, 희망 등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어 갔다. 이 글은 청일전쟁에서 러시아 1차 혁명 전후에 이르는 약 10여 년간을 중심으로 청조 내부의 다양한 근대 국 가 건설의 구상이 러시아에 대한 인식과 연동되는 과정을 규명하면서, 나아가 중국의 타자에 대한 표상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1905년 러 시아 1차 혁명에 대한 청의 인식과 그 영향이 그 이전의 러시아 인식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하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20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러시아에 대한 청의 인식이 중국인의 근대 국가 구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러시아를 표상하는 담론의 주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왕조체제의 지속을 전제로 정권을 유지하고자 한 조정의 관료, 왕조체제 내에서 개혁을 추구한 사대부 관료, 새롭게 등장한 근대적 지식인과 언론매체, 만주족 정권을 타도하고 공화국을 건설하고자 외친 혁명가들이 각각 격변하는 러시아를 사상의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모색하고자 했던 근대 적 구상의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러시아 혁명을 바라보는 중국의 인식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드러 났다. 청조 당국과 관료들에게 러시아 혁명은 혼란과 소요를 미연에 방 지할 수 있는 강력한 군주제를 실현할 수 있는 입헌군주제의 준비를 서두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양계초 등과 같은 망명 정치인에게 러시 아 혁명은 전제정체가 바뀌어야 하는 타당성을 실감하게 하는 계기를 부여하고 지방의회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지만, 한편으로 는 혁명으로 인한 내분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토지국유와 같은 사회주 의적 정책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각성제가 되었다. 청조 타도를 외친 젊 은 학생과 지식인들은 러시아 혁명을 바라보면서 중국에서 군주제도를 타도하는 정치혁명과 노동자 농민의 경제적 자유를 확보하는 사회혁명 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자신들의 혁명이론을 강화시켰다. 이처럼 러시 아는 중국의 정치현실과 담론을 형성하는 주체와 맞물려 서로 다른 이 미지로 표상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several aspects of inte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projects of modern nation-building inside the Qing dynasty and their awareness of Russia, and further to examine the structure of representing the Other in modern China, comparing the Chinese recognition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with their earlier perception of despotic Russia. In order to analyz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quire into each of the subjects of discourses which produced various imaginations of Imperial Russia. I will consider the different ways of thought expressed by the typical Chinese political social groups, such as the government officials, gentry, modern intellectuals and the mass media, revolutionary groups, while making practical use of Russia as a resource of thinking. I argue that Imperial Russia was represented in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subjects who formed China’s political discourse and re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