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중등 및 대학교재 중 생물영역의 연계성 연구 : 물질대사에 대한 내용 중심 Emphasizing the contents of metabolism

        양숙현,박원혁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1 科學敎育硏究報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of contents about metabolism contained in the biology textbooks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For this purpose, the six subjects(photosynthesis, digestion, circulation, respiration, excretion, biological energy) of biological contents were selected from textbooks. 1. The contents about metabolism was classified according to six main subjects based on biology Ⅱ textbook.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shed section parts,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from the view of each school unit. 2. 6(100%) of 6 subjects were introduced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3. Connec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was C type(100%), that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showed B(50%) and C(50%). Connec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as analyzed as 17 and 83% for B. C type, respectively. 4. Considering theses results about connection of the biology sphere among school units, new concept diagrams were proposed.

      • KCI등재

        新羅 慈藏의 戒律활동과 전법

        양숙현(설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The Shilla Buddhism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and center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Jajang Jeongyul(定律: to decide rules)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oday's Korean Buddhism. Despite of many preceding researches on Jajang,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verify that Jajang's Vinaya activities is succeeded by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s ordination content of the current Jogye Order. Accordingly, attempting to conduct such a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academically.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hilla Jajang's vinaya activities and propagation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become a member of Sangha only through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the Tongdo Templ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Jajang, has an enormous meaning as the basic Bodhi-mandala. I suggest that the current single ordination platform is not so much a historically important structure as, to date, the evidence showing the views of Sila and Vinaya initially expressed through the platform. Jajang's Vinaya a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three parts: First, contemplating the human skull and the five basic precepts before his stay in Tang. Next, the complete precepts and the ordination ceremony for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at the feast given to monks. Finally, preaching on Mahayana argument(大乘論), exposing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 to the fourfold assembly(四衆), giving an exposition of precepts at the end of half month as Chief Abbot of State (大國統) and establishing the ordination platform which enshrined sacred relics and kasaya at the Tongdo Temple. Here, the fourfold assembly represents Upasampada (具足戒: the full precepts) which doesn't exist in the Mahāyāna Vinay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are from the Mahāyāna Sutra. These facts indicate both the Mahāyāna and Hinayana Vinaya were practiced. As the Mahāyāna and the Hinayana were simultaneously practiced in the Ancient Shilla, Dharmagupta(ka)vinaya (四分律) as the Hinayana Sutr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梵網菩薩戒經: 菩薩戒本) as the Mahāyāna Sutra are simultaneously used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he current Order in a similar way. The system has been originated from Shilla Jajang. Based on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Jajang Jeongyul has been inherited to today's single ordination platform. In recent years, the early Buddh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Mahayana Buddhism. Keeping such a trend in mind,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 not an exclusive on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Order. 신라불교는 한국고대기의 원류이자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자장의 계율정립 또한 현대 한국불교 단일계단의 원류라 할 수 있다. 자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으나 신라자장의 계율행이 현 조계종 단일계단의 수계내용으로 이어짐을 보인 연구는 없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이 승가의 일원이 되려면 반드시 계단에서의 수계의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자장이 수계의식의 근본 도량인 통도사 계단을 창설한 의미는 중요한 것이다. 본고는 조형물로서 계단의 의미보다 통도사 戒壇定礎의 계율행이 현재 단일계단에 면면히 내려오고 있음을 보고자 한다. 자장의 계율활동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울 수 있다. 자장은 입당 전 고골관과 五戒, 입당해서는 대승계와 대재의 출가授戒를 하였으며, 귀국 후 대승론을 강하고 四衆에게 보살계본을 설했다. 그리고 대국통으로서 반월설계를 시행하고 통도사에 사리와 가사를 봉안한 계단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사중이 존재했음은 대승율에는 없는 구족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살계본은 대승계경이다. 그러므로 그 당시 자장은 대소승율을 겸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대신라에서 대소승을 겸수한 바와 같이 현 종단의 단일계단에서도 소승계인 사분율과 대승계인 범망경보살계를 겸수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자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자장의 계율정립이 지금의 단일계단으로 이어지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근래에 들어 대승불교와 더불어 초기불교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서로 배타적이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종단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본다.

      • KCI등재

        붓다 재세 시 율(律)에 관한 이견(異見) - 데바닷다의 오법(五法) 중심 -

        양숙현 ( Yang Sook-h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6

        계율이란 출가자가 반드시 수지(受持)해야 하는 것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필요하다. 율장을 제정한 목적은 십구의(十句義)로서 승가를 거두어 정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려는데(令法久住)에 있다. 붓다 재세 시 불교도들에 의한 계율수지가 정법(淨法 kappa)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변용되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간혹 선학들의 연구에서 ‘정법(淨法)’을 ‘편법’이라 하여 폄하되어지고 있지만, 이는 율에 대한 인식에 있어 오해가 있기 때문에 부처님 당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법(淨法)은 출가자가 각 지역 환경에 적합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수용된 율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붓다 재세 시 데바닷다 오법에 대한 붓다의 대답을 정법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데바닷다 오법은 붓다 만년에 데바닷다가 제안한 것으로 당시 승원화의 안락한 생활을 하는 비구들에 대하여 비판한 엄격한 규정이다. 이 오법은 평생 삼림주자(森林住者), 걸식자(乞食者), 분소의(糞掃衣)자, 수하주좌(樹下住座), 어육금지(魚肉禁止)로 생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에 대한 붓다의 대답은 수행자가 원할 경우 삼림주자가 되거나, 촌락에 거주해도 되며, 걸식자가 되거나, 초대를 받아도 되며, 분소의를 사용하거나, 거사의를 착용해도 되며, 8개월 동안 나무 밑에서 좌와(坐臥)할 것을 허락하며, 의심이 가지 않는 세 가지 점에서 청정한 생선과 고기를 허락한다는 내용으로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서 데바닷다의 견해는 자이나교 등의 엄격주의 내지는 고행주의에 부합한 엄격한 수행을 표방하였고 붓다의 중도주의적 입장과는 대립임을 확인 할 수 있다. 현대 동북아 대승(大乘)지역 불교도들의 지향하는 계율은 초기의 엄격한 규율인 분소의, 걸식, 수하좌, 진기약의 사의법과 흡사한 데바닷다 오법의 내용과 상통하고 있는데 율장에 전하는 붓다의 대답이 예외규정도 인정하여 유연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직시한다면 이는 다시 생각해 볼 문제이다. 인도라는 불교 탄생지에는 현재 불교 유적만이 남아있을 뿐이며, 대승불교계로 넘어오면서 승가원칙인 사의법(四依法)과 비슷한 데바닷다 오법이 정법이 되어 전해서 이어져오고 있다. 불제불개변(佛制不改變)의 원칙인 율에 의한 것이 아닌 실질적 승가생활은 지역과 환경에 맞게 변형유지 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대승불교권에 맞게 지역적, 환경적으로 변하여진 청규(제2율장)에 의한 화합승의 공동체 생활도 또한 적합하게 수용된 불법(佛法) 또는 정법(淨法)이라 할 수 있다. 만약, 현재의 불교 출가자의 의식주와 관련된 규정을 편법으로 간주하여 부정해 버린다면 각 지역의 다양한 불교의 수행자들은 존재의 가치를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각 지역 환경에 맞게 이어지고 있는 불교 수행은 이렇게 정법(淨法)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 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Buddhist Precepts are rules that Buddhist monks and nuns must observe in their everyday lives and the establishment of precepts proved to be worthwhile as defiled Dharmas appear. In this paper, I examine the observance of precepts by as ‘Kappa(pure dharma, 淨法)’ at the time of the Buddha and how it has been changed. Therefore,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original meaning of it in the Buddha's life. Kappa(淨法) has been changed and accepted so that the Buddhist monks and nuns can live appropriately in their local environment. Also, I would like to interpret the Buddha's answers to Devadatta's five ru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re dharma. The Devadatta's five rules was proposed by Devadatta in Buddha's later years and criticized the bhikkhus who lived a comfortable life in monasteries at that time. The five rules stipulate that bhikkhus should dwell all their lives in the forest, rely entirely on begging for arms, wear only robes made of discarded rags, dwell only under a tree, and not eat fish and meat. The Buddha's answer is : Whoever wishes, let him dwell in the forest; let him dwell in the neighbourhood of a village; let him rely on begging for alms; whoever wishes, let him wear robes made of discarded rags; whoever wishes, let him wear householder's robes; sitting or lying under a tree is permitted for eight months ; I allow bhikkhus to eat fish and flesh that are pure in respect of three unsuspecting condieions. Here we can see that the Devadatta's five rules accord closely with draconianism or asceticism such as Jainism and come into conflict with the position of the Buddha's middle way. The precepts of Buddhists in modern in Mahayana Buddhism are in line with the five rules of the Devadatta,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trict ‘the four reliances (四依止)’ of early Buddhist Sangha, such as wearing robes made of discarded rags, eating by begging for arms, dwelling under trees, and using medicine made from the putrid urine of cattle. But since the Buddha's position on the precepts shown in ‘Vinaya-Pitaka(律藏)’ is flexible as well as admitting exceptions, we need to think again about this issue. At present, only Buddhist ruins remain at the site of Buddhism in India which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Buddhism. As original Buddhism has moved on to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in Northeast Asia, it had no other recourse but to be transformed and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 and the environment. This can also be called legalized 'Buddha Dharma(佛法)' or 'Pure Dharma(淨法)'.

      • KCI등재후보

        성인학습자(成人學習者)의 학력취득경험(學歷取得經驗)을 통한 인간의 성숙 양상에 관한 연구

        양숙현 ( Yang Suk-hy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본 연구는 평생교육 영역에서 성인학습자들이 검정고시를 통하여 학력을 취득하는 과정을 사례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 가능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이다. 검정고시는 단기간에도 학력을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이고 취득 방법 또한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하다. 평생교육 관점에서 그들의 생애과정을 조기에 상담하여 인간성 함향에 역점을 두고 평생교육에 더욱 정진할 수 있도록 성인학습자 욕구에 부합한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한다. 둘째, 검정고시 제도권 내의 학습비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초·중등교육까지 의무교육인 점을 고려한다면 초·중학교 학력취득의 욕구가 있어 사설검정고시학원을 이용하는 학습자들에게도 그에 상응한 경제적 지원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평생교육센터나 평생학습관을 이용하는 학습자들은 무료 또는 저렴한 학습비로 평생교육을 지속하지만 학습자 스스로 학습유형에 맞게 선택되어진 사설학원을 이용한 학습자들은 자부담이므로 경제적 여건이 원만하지 못한 학습자들에게는 다중의 심적 어려움이 크다. 성인에 대한 기초교육의 학습평생교육법과 지방자치제도에 준하는 지원 방안을 검토·확대하여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객관적 인식이 정착되도록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설검정고시학원의 교육 이념 및 실용주의적 교육방법을 검토해 적극 지지할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 참여자들의 다양한 생애체험만큼 실용주의적인 교육관이 요구되고 있다. 평생교육과 생애학습체험은 공존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사설 학원의 설립자의 교육 이념과 교육방법을 지지하고, 검정고시제도와 교육기관, 성인학습자가 공감할 수 있는 평생교육법이 보완·조정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that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adult learners obtain an academic certificate through school qualification exam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lifelong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he school qualification exam allows learners to obtain academic qualification in a short time and through various method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and relevant to the needs of adult learners through early consultation related to their life course. Second, financial support for learning expenses within the field of school qualification exam is urgently needed.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compulsory education cover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learners who use private academy to attain equivalent academic qualifications have the rights to the relevant economic support. Learners who used lifelong education center or institutions can continue lifelong education with little to no fees, but learner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types and, therefore, use private academies bear the financial burden on their own. It is necessary to review way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adult learners ba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local government policy so as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provide active support for ideological and pragmatic teaching methods of private academies for school qualification exam. As adult learners have diverse life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gmatic approach to adult education. Also, it is important to support ideology and education methods of the founders of different private academies as well as supplement and adjust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a way that can satisfy the school qualification exam,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dult learners.

      • KCI등재

        일반논문 : 신라(新羅) 자장(慈藏)의 계율(戒律)활동과 전법

        양숙현 ( Sook Hyeon Y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신라불교는 한국고대기의 원류이자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자장의 계율정립 또한 현대 한국불교 단일계단의 원류라 할 수 있다. 자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으나 신라자장의 계율행이 현 조계종 단일계단의 수계내용으로 이어짐을 보인 연구는 없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이 승가의 일원이 되려면 반드시 계단에서의 수계의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자장이 수계의식의 근본 도량인 통도사 계단을 창설한 의미는 중요한 것이다. 본고는 조형물로서 계단의 의미보다 통도사 戒壇定礎의 계율행이 현재 단일계단에 면면히 내려오고 있음을 보고자 한다. 자장의 계율활동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울 수 있다. 자장은 입당 전 고골관과 五戒, 입당해서는 대승계와 대재의 출가授戒를 하였으며, 귀국후 대승론을 강하고 四衆에게 보살계본을 설했다. 그리고 대국통으로서 반월설계를 시행하고 통도사에 사리와 가사를 봉안한 계단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사중이 존재했음은 대승율에는 없는 구족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살계본은 대승계경이다. 그러므로 그 당시 자장은 대소승율을 겸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대신라에서 대소승을 겸수한 바와 같이 현 종단의 단일계단에서도 소승계인 사분율과 대승계인 범망경보살계를 겸수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자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자장의 계율정립이 지금의 단일계단으로 이어지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근래에 들어 대승불교와 더불어 초기불교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서로 배타적이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종단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본다. The Shilla Buddhism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and center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Jajang Jeongyul(定律: to decide rules)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oday``s Korean Buddhism. Despite of many preceding researches on Jajang,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verify that Jajang``s Vinaya activities is succeeded by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s ordination content of the current Jogye Order. Accordingly, attempting to conduct such a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academically.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hilla Jajang``s vinaya activities and propagation 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become a member of Sangha only through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the Tongdo Templ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Jajang, has an enormous meaning as the basic Bodhi-mandala. I suggest that the current single ordination platform is not so much a historically important structure as, to date, the evidence showing the views of Sila and Vinaya initially expressed through the platform. Jajang``s Vinaya a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three parts: First, contemplating the human skull and the five basic precepts before his stay in Tang. Next, the complete precepts and the ordination ceremony for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at the feast given to monks. Finally, preaching on Mahayana argument(大乘論), exposing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 to the fourfold assembly(四衆), giving an exposition of precepts at the end of half month as Chief Abbot of State (大國統) and establishing the ordination platform which enshrined sacred relics and kasaya at the Tongdo Temple. Here, the fourfold assembly represents Upasampada (具足戒: the full precepts) which doesn``t exist in the Mahayana Vinay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are from the Mahayana Sutra. These facts indicate both the Mahayana and Hinayana Vinaya were practiced. As the Mahayana and the Hinayana were simultaneously practiced in the Ancient Shilla, Dharmagupta(ka)vinaya (四分律) as the Hinayana Sutr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梵網菩薩戒經: 菩薩戒本) as the Mahayana Sutra are simultaneously used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he current Order in a similar way. The system has been originated from Shilla Jajang. Based on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Jajang Jeongyul has been inherited to today``s single ordination platform. In recent years, the early Buddh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Mahayana Buddhism. Keeping such a trend in mind,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 not an exclusive on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Order.

      • KCI등재

        Isoniazid와 Nitrofurantoin으로 유발되는 간 세포독성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보호효과

        변에리사,정길생,리빈,양숙현,범진선,이동성,려혜자,안인파,김윤철 한국생약학회 2009 생약학회지 Vol.40 No.2

        Isoniazid was discovered in 1950’s and since then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synthetic bactericidal agent in the treatment of tuberculosis. However, the adverse effect of isoniazid has been reported to show significant hepatotoxicity in approximately 1-2% of patients. Nitrofurantoin {1-(5-nitro-2-furfurylideneamino)-hydantoin} is a synthetic nitrofuran that is commonly used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but its use is associated with liver cirrhosis and fatal liver necrosis. Therefore, studies for natural products with protective effect on the isoniazid- and/or nitrofurantoin-in duced hepatotoxcity would be valuable as the potential therapeutic use. 107 plants sources were collected at Mt. Baekdu, and extracte d with methanol. These extracts had been screened for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isoniazid- and/or nitrofurantoin-induced cyt otoxicity in HepG2 cells at the both 100 and 300 µg/ml. Five methanolic extracts, Acanthopanax senticosus, Acer mono, Asparagus schoberioides, Fagopyrum tataricum, Potentilla centigrana,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isoniazidinduced hepatotoxicity. Two methanolic extracts, Acer mono and Leonurus artemisia, showed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nitrofurantoin-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