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승무원의 우주방사선 피폭 저감에 관한 연구

        안희복,김규왕,최연철,Ahn, Hee-Bok,Kim, Kyu-Wang,Choi, Youn-Chul 한국항공운항학회 2020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diation dose data of the space crew of the flight crew and to present a plan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the flight crew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show that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the flight attendants continued to rise, and the exposure dose of the flight attendants was five(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radiation workers. As a way to reduce the effects of cosmic radiation, this paper suggests appropriate personnel allocation by model, balanced allocation of high and low latitude routes by crew according to the aircraft type, and a low altitude flight plan for high latitude flight. This study will help aviation crew members understand cosmic radiation and trust in the company's polic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the flight safety of the crew by deriving meaningful results by analyzing data related to cosmic radiation of various routes.

      • KCI등재

        소형항공운송사업 정의에 관한 법적 고찰

        안희복,황호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2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7 No.2

        현행법은 항공운송사업을 국내항공운송사업, 국제항공운송사업 및 소형항공운송사업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상업용 운송사업과 일반항공을 명확하게 구분한 국제 기준과 달리, 우리나라는 혼용하므로 일반항공에 관한 정의가 필요하며 안전기준도 동일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외운항항공기 소유자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유자, 항공기 소유자, 항공기 운영자 등의 통일되지 않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항공운송사업자와 달리 해석하는 등 안전 규정에서 예외적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면, 법 해석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국외운항항공기 또는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승무원 승무 시간 기준을 다르게 적용하는 점, 객실승무원 승무시간에 관한 규정은 없는 점, 승객을 탑승시켜 운항하는 경우 승객 좌석 수의 10석 이상 20석 미만에는 객실승무원의 탑승 기준이 없는 등 법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국외운항항공기를 유상으로 승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이를 소형항공운송사업으로 통합하여 안전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현행법을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정부가 추진 중인 한국형 UAM 운영자에 관한 안전 및 사업관리 역시 현행법 테두리에서 최우선 적용할 수 있도록 검토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하는 UAM 특별법이 제정되어야 한다면, 이용자 보호 및 안정적인 항공운송 사업 보장을 위해 안전, 운영, 기술 기준 및 면허 등을 현행법과 상호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필댐의 파이핑 재현시험시 전기비저항 변화 분석

        안희복,임희대 한국지반공학회 2010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6 No.4

        Piping, a common form of internal embankment erosion, is caused by progressive movement of soil particles through an embankment. The phenomenon commonly occurs with precursory signs of development of fractures in dam structures, but also occurs without any noticeable signs in dams that showed satisfactory dam performance for several years, due to dissolution of soluble material in an embankment. While piping accounts for nearly 50% of the causes for dam failure, few studies have been made for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phenomen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monitor the changes in electrical resistivities of fill-dam material while a saddle dam is dismantled for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spillways of Daechung dam. Two artificial subhorizontal boreholes were drilled into the embankment structure to simulate piping along the two artificial flow channels. Monitoring of changes in electrical resistivity showed an increase in resistivity values during piping. Thus, the investigation of resistivity over time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for piping prediction.

      • KCI등재

        항공종사자에 대한 처분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희복,허진,황호원 한국항공운항학회 2021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9 No.4

        In the aviation, airmans play a key role in aviation safety and perform tasks within a given range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If they fail to properly fulfill their obligations under the Aviation Safety 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will dispose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Aviation Safety Act. However, in the case of this disposition, it does not specifically consider the circumstances of the violation,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evidence regulations are too limited, and the contents of the disposition are uniform.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dispos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for airman. To this end,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position of airmans through overseas cases, and Specifically, the three-stage disposition model and effectiveness wer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specific judgment on violations and predictability of disposition. We would like to propose a safety improvement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safety and proposed amendments to the law for the method of imposing a fine for negligence.

      • KCI등재

        현행 항공안전법상 항공기 개념에 대한 고찰

        안희복,김성미,황호원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1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6 No.3

        On March 30, 2017, the old 「Aviation Act」was divided into the 「Aviation Safety Act」, the 「Aviation Business Act」, the 「Airport Facilities Act」. The aircraft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maintained until now. In addition to the definition of aircraft in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Aviation Safety Act」, the definition of Light Sport Aircraft in Paragraph 2 and the definition of Ultra-Light Vehicle in Paragraph 3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is a conflict in some provisions in applying the Unmanned Aircraft(UA) or Urban Air Mobility(UAM) called a so­called “Drone” to the law by stipulating the concept of defining the scope rather than the definition in the law. In order to realize the K-UAM roadmap recentl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legal support must first be prepared. This is because this is a proces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safety inspections such as certification for aviation workers and certification of airworthiness and is a process to ensure stability in aircraft operation. Most of the current developments are in the small aircraft class piloted by pilots and carrying passengers. Above all else, a policy that does not consider safety is meaningless. It is to clearly define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aircraft as to how the various types of aircraft used as UAM will be classified in the domestic aviation law and to which category they fall. There is no definition of an Unmanned Aircraft in the domestic aviation law. It is undesirable to deviate from the existing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aircraft such as calling UAM a “Drone”, an Unmanned Aircraft or managing it with the 「Act on the Promotion of Utilization of Drone and Creation of Infrastructure therefor」 that took effect in May 2020. It is also unreasonable to apply the safety standards for Ultra-Light Vehicle of the 「Aviation Safety Act」 to UAM. Therefore, in the definition of Article 2 of the 「Aviation Safety Act」, the definitions of Unmanned Aircraft(UA), Powered­lift, and Remotely Piloted Aircraft(RPA), Remote Pilot(RP) are to be stipulated. 현행 항공안전법상 항공기 개념에 대한 고2017년 3월 30일, 구 「항공법」에서 「항공안전법」, 「항공사업법」, 「공항시설법」으로 3분법 된 이후 현재까지 항공기 분류체계는 유지되고 있다. 「항공안전법」제2조 제1항에서 항공기 정의 이외에 제2항에서 경량항공기 정의, 제3항에서 초경량비행장치 정의를 명시하고 있는 것은 국제 기준과 다소 차이가 있다. 이는 정의보다는 범위를 정하는 개념을 법에 규정함으로써 일명 드론으로 불리는 무인 항공기이나 도심항공교통(UAM)을 법에 적용하는데 일부 조항에서 충돌이 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K-UAM 로드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법적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하는 데 그 중 항공기 개념을 재정립하는 것이 최우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항공기 감항증명 등 안전성 검사와 직결되고 항공기 운항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현재 개발 중인 대부분은 조종사가 조종하고 승객이 탑승하는 소형항공기 급으로 개발 중 있다. 무엇보다도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은 무의미하지 않을 수 없다. UAM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비행체가 국내 항공법에서 어떻게 분류될 것이며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 항공기의 정의 및 분류체계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이다. 국내 항공법상 무인 항공기에 대한 정의는 없다. UAM을 무인 항공기인 “드론”으로 칭하거나, 2020년 5월부터 시행된「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로 관리하는 등 기존 항공기의 정의와 분류체계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또한, UAM을 「항공안전법」의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기준을 적용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항공안전법 제2조 정의에 무인 항공기, 수직 추력 이착륙기, 원격조종 항공기, 원격조종사 등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는 것을 제안한다.찰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드론 배송사업의 상용화를 위한 법적 연구 - 드론 조종자 자격제도 및 운항 절차를 중심으로 -

        안희복,여운진,황호원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5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산업 전반에 걸쳐 경제․사회의 혁신에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드론 성능의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면서 물류․유통 분야에서 드론을 이용한 운송사업이 새롭게 각광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이나 일본 등에서는 드론 시장의 활성화와 상용화를 위한 법제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드론을 이용한 배송사업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현행 법제하에서는 도심이나 야간 및 비가시권에서 드론을 운항하기 위해서는 매번 정부의 특별 승인을 받아야 하므로 드론 배송사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선행연구는 드론 배송의 경제 타당성 분석, 보안 문제 해결 등을 중심으로 주로 드론 관련 기술 분야와 제조된 드론의 활용 방안 및 효율성에 관한 비기술적 분야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정부에서는 드론 운항에 따른 안전 측면만을 고려하여 규제 중심의 정책을 펼쳐왔으며, 드론 배송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드론 배송사업 상용화를 위해서는 기체 인증, 조종 자격 등 일정 자격을 갖춘 사업자가 인가된 운항 절차에 따라 드론 운항을 하는 경우 특별 승인을 면제해 주는 현실적인 법제 마련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드론 배송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이미 관련 법제를 대폭 정비하여 시행하고 있는 미국, 일본의 사례를 근거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드론 자격 및 운항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현행 1종 조종 자격증명에 추가 한정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 및 드론 운항 절차 분류기준을 신규 마련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여 드론 배송사업 상용화의 길을 열어보고자 한다. As various projects using drones for economic and social innovation are carried out throughout the industry through convergence with high-tech technologi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to improve drone performance, the transportation business using drones is in the spotlight anew in the logistics and distribution field. Accordingl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stepping up efforts to improve legislation to revitalize and commercialize the drone market.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many tasks that need to be solved realistically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delivery business using drones.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drone delivery business is practically impossible because special approval must be obtained from the government every time to operate drones in urban areas, at night, and in non-visible areas.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rone delivery and solving security problems, and most of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in drone-related technology fields and non- technical fields on utilization methods and efficiency of manufactured drones. whil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regulatory-oriented policies considering only the safety aspects of drone operations, and has not even discussed specific measures to revitalize the drone delivery business.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drone delivery busines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alistic legislation that exempts special approval when a certain qualification operator, such as aircraft certification and control qualification, operates a drone according to the authorized operation procedure. Based on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have already significantly reorganized and implemented related laws to revitalize the drone delivery business, this paper sought specific improvements in drone qualifications and operation procedures suitable for Korea. In accordance with Korea's situation, we would like to open the way for commercialization of the drone delivery business by suggesting ways to grant additional limited qualifications to the current type 1 pilot certificate and establish new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drone operation procedures.

      • KCI등재후보

        도쿄협약(1963)을 보완한 몬트리올 의정서(2014)의 국내 입법에 관한 연구

        안희복 한국항공보안학회 2023 한국항공보안학회지 Vol.5 No.2

        최근 운항 중인 항공기에서 승객이 항공기 문을 여는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9·11테러 이후 전 세계적으로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기내 불법행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고 있으며, 기내 불법행위의 빈도와 강도가 장기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장기적인 추세. 항공기 내에서의 불법행위는 제한된 항공기 공간 내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비행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와 엄격한 적용이 필요합니다. 억제법이 필요하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여러 국가의 영공과 공해를 통과하는 국제항공의 특성상 항공기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공기 내 불법행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률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이에 따라 1963년 ‘도쿄 협약’이 채택됐다. 이후 몬트리올 의정서(2014)에서 도쿄 협약을 보완하기 위해 작성돼 2020년 1월 1일 발효됐지만 한국은 아직 서명이나 비준을 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항공보안법에서는 민간항공의 보안을 위하여 국내에서 시행 중인 조약 외에 국제협약이 있더라도 그 조약을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몬트리올 의정서(2014)도 적용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우리는 의정서의 일부 조항이 제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국내법과 비교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Recently, as security incidents have occurred in which passengers open the aircraft doors on airplanes in flight, opinions are increasing that fundamental measures need to be taken. Since the 9/11 terrorist attacks, punishment for in-flight illegal acts related to aircraft operations has been strengthened around the world, and the number of in-flight illegal acts has been increasing in frequency and sever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showing a long-term trend. Illegal acts on board aircraft can pose a threa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in the limited space of the aircraft, and in severe cases, there is a risk that it can greatly affect the safety of the flight, so special attention and strict application of the law for deterrence are required.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recognized the need for laws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illegal acts on board aircraft that may affect aircraft safety due to the nature of international aviation that passes through the airspace and high seas of multiple countries. Accordingly, the “Tokyo Convention” was adopted in 1963. It was later written in the Montreal Protocol (2014) to supplement the Tokyo Convention and went into effect on January 1, 2020, but South Korea has not yet signed or ratified it. However, since the Aviation Security Act stipulates that even if there are international conventions other than those in effect domestically for the security of civil aviation, those conventions shall be follow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ntreal Protocol (2014) is also applicable.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some provisions of the Protocol require enactment by comparing them with domestic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