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에 대한 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환경 매개효과

        안태숙(Tae-Sook Ahn),유영주(Young-Ju Yu)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에 대한 인식과 차별 경험이 지역사회환경을 매개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중 본인 응답자 9,920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다중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인에 대한 인식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차별 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 일수록 지역사회환경을 부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노인차별 경험이 있을수록 지역사회환경을 부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요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요인을 고려한 노인복지실천 및 정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ceptions toward the elderly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with local the social environment acting as a mediating factor; it used data from the 2020 Elderly Status Surve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ased on the data of 9,920 respond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analysi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rceptions toward the elderly had a positive impact on elderly individuals’ life satisfaction. Second, elderly individuals’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ird, positive perceptions toward the elderly increased their life satisfaction, with the local social environment generat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furthermor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elderly decreased their life satisfaction, with the local social environment produc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Accordingly, elderly welfare policies and implementations that incorporate communities’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지역사회 사회자본 척도 개발을 위한 질적연구

        최종혁(Choi Jong-Hyug),안태숙(Ahn Tae-Sook),이은희(Lee Eun-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4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펼쳐지고 있는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국적 특성에 맞는 사회자본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으로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관련된 개념들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개념은 양적 측정지표 문항으로 전환, 선행 사회자본 측정지표와의 비교분석, 전문가집단의 문항내용 검토와 예비조사를 통해 총 90개의 예비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된 지표는 총 79개 문항으로 신뢰 30개, 규범 22개, 네트워크 27개로 구성되었다. 각 영역에 대한 Cronbach's Alpha 값은 신뢰 .948, 규범 .899, 네트워크 .906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추출된 요인들과 질적연구에서 도출된 신뢰, 규범, 네트워크 영역별 범주와의 연결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연결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사회 사회자본 척도는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의 운영 실태에 대한 객관적 파악 및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for development of measuring social capital in community. The indicator of social capital in this paper was developed through 1) literature review 2) in-depth interview with community welfare network members 3) a qualitative Study for concept development in light of social capital about trust, norms, networks 4) focus-group meeting for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5) a pilot-study and 6) a questionnaire survey. The indicator of 79 items for has been constructed with three features : The first is 'trust' with 30 items; the second 'norm' with 22 items; and the third 'network' with 27 items. Cronbach's αlpha estimate of the indicator of trust was .948, norms were .899 and networks were .906. This study has been revealed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refor it wa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in community. The social capital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ful to be objective about operating condition of community welfare network and to seek ways for pursuing more efficient operations.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실천 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지표 개발연구

        최종혁(Choi, Jong-Hyug),이연(Lee, Yun),이은희(Lee, Eun-Hee),안태숙(Ahn, Tae-Soo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실천 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문헌연구와 포커스그룹을 통해 3개의 핵심요소와 11개의 하위요인, 67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과정을 거쳐 7개의 하위요인과 39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조사에서 1:1 면접조사에 의해 수거된 총 452부의 표본을 2집단으로 무선분할하여 첫 번째 집단에 대해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결정하고, 나머지 집단에 대해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핵심요소 3개, 하위요인 7개, 27문항으로 구성된 사회자본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858, 모형적합도 지수 IFI가 .908, CFI가 .906, RMSEA가 .068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자본 지표는 사회복지실천영역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capital indicator to measure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actic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activity, three core components, 11 sub factors and 67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we assessed the content validity and through a pilot study we develop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composed of 7 sub factors and 39 question items. In this study, we randomly split the 452 samples into two groups. We selected the factors to be included in the model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ne group, and validated the fit model in the other group. Finally, we developed a social capital indicator comprised of 3 core factors, 7 sub factors and 27 question items. The Cronbach"s alpah coefficient was .858, IFI an indicator of goodness of fit was .908, RMSEA was .068, which reveals a satisfactory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broadly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practice.

      • KCI등재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최종혁(Choi Jong-Hyug),이연(Lee Yun),유영주(Yu Young-Ju),안태숙(Ahn Tae-S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1

        본 연구는 문화복지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 해소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복지실천가 대상 인터뷰를 토대로 기노시다(木下康仁)에 의해 창안된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문화복지프로그램은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다양한 문화향유기회의 제공을 통해 이들의 잠재적 역량과 자존감을 증진시켜줌으로써 주체적 변화를 통한 사회적 배제 해소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문화복지프로그램은 다양한 창작체험기회 제공, 과정중심의 비정형적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참여자의 주체화, 공동체활동 등의 접근전략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창의적 역량과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공동체적 연대의식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사회적 취약계층은 문화복지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서적 충족감을 느끼고 가족 및 대인관계의 향상, 긍정적 자아상 확립, 역량강화, 공동체활동참여 등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선별주의적 사회복지프로그램에 문화를 접목시킨 보편적 사회복지프로그램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for the possibility of dissolving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vulnerable classes through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interview records focused on the culture welfare practitioners apply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worked out by Kinosi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unctionated of dissolving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weaks by enhancing latent faculties and the sense of self-respect of them through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of culture fruition. It was appeared that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promoted creative competence and the sense of self-respect, and strengthened the sense of solidarity of the participants by using the approaching strategies of offering various opportunities of creational experience, atypical operating programs centered on the process, establishing of the participants' subjecthood, and communal activities. That is, it was proved that actually the social weaks experienced the change of life with feeling emotional satisfaction, promoting family and human relationship, establishing positive identity, empowerment, participating communal activities, and so on, through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rom these results we can know that if we provide the programs mixing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with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traditionally reinforced social exclusion about the social vulnerable classes by stigma, the social exclusion about them can be dissolved.

      • KCI등재

        대학생 연줄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최종혁(Choi Jong-Hyug),김형준(Kim Hyung-Jun),안태숙(Ahn Tae-Sook),허정은(Huh Jung-eun),권혁수(Kwon Hyuk-Soo),김효정(Kim Hyoj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연줄망을 측정하는 도구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전문가집단의 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면대면 심층 인터뷰 및 두 차례의 사전조사를 통해 연줄망의 관계적, 구조적, 기능적 영역의 개념을 도출하고 2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한 최종결과로 연줄망의 관계적 영역 2개, 구조적 영역 7개, 기능적 영역 14개 등 총 23개 문항의 척도를 확정하였다. 연줄망의 기능적 영역에 대한 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서적ㆍ경제적ㆍ영적ㆍ사회관계적 기능 등 네 가지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Cronbach's α값이 0.716으로 만족할 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대학생들의 연줄망 측정도구는 대학생들이 처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가시화하는 동시에 대학생들의 특정한 욕구를 해소해 나가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the social network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social network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 this paper was developed through 1) literature review and item development 2) focus-group meeting 3) depth-interview with college students 4) pilot-studies and 5) study. The scale of 23 items has been constructed with three features : The first is 'relational feature' with 2 items; the second 'structural feature' with 7 items; and the third 'functional feature' with 14 items. The functional feature in this social network scale has consisted of emotional, economic, spiritual, and socio-relational aspects and has been revealed to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Cronbach's α 0.716. This study would contribute for college students to solve the many problems in their own lives through the social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