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기 근대사회 현대인의 불안과 강박에 대한 탐색

        안주희(An, Ju-Hee)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 No.18

        이 연구는 후기 근대화라는 문명사적 전환 속에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불안과 강박에 대해 탐색한다. 특히, 후기 근대로의 변화가 청년 세대의 불안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새롭게 형성된 유형의 불안이 강박징후라는 특정 행동으로 어떻게 연결되는가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후기 근대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인식은 청년세대의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불안이 강박적 징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후기 근대사회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신뢰, 연구대상의 특정 요소가 불안을 매개로 강박적 징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후기 근대에 대한 인식 및 신뢰, 불안감, 강박징후를 묻는 설문조사를 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후기 근대에 대한 인식의 경우, 대학생들은 자신의 삶에서도 후기 근대로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여겼으며, 연령이 낮아질수록 이에 대한 동의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불안감 형성의 경우, 사회불안의 수준이 실존불안의 수준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실존불안의 경우 응답자들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로 설정된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를 정리해보면, 후기 근대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신뢰가 낮을수록, 불안감과 강박징후의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박징후에 대한 불안감의 매개효과를 보면, 후기 근대에 대한 인식과 신뢰는 불안을 매개로 하여 강박징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adoption of neo-liberalism accelerating the survival rac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have come to have a more acute sense of existential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newly emerging anxiety influenced by post-modernization and its influence on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Many previous studies on anxiety tend to deal with only personal level or social level anxieties. Also, obsessive-compulsive is approached only as a personal problem.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anxiety is constructed with a correlation the personal level (existential anxiety) and social level (social anxiety). By addressing existential anxiety and social anxiety together, we are able to understand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in asocial change context. I test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how is the anxiety constructed among the youth generation of Korea? Second, does the anxiety have an effect of parameter between percep tions of post-modernization and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Third, does trus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nxiety and the degree of symptom of obsessive-compulsive? To test these assumptions I surveyed 431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that measure perceptions of post-modernization, trust, the anxiety, and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university students agree that there are post-modern changes in their lives, and this sentiment was stronger among younger students. Second, their anxiety is composed of existential anxiety and social anxiety. I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feel more nervous about social anxiety than existential anxiety, but there was more deviation in existential anxiety than social anxiety. Gender, economic status and religion have positive effect on sense of anxiety. Third, the higher students recognize the perception of post-modernization and the lower they have trust, the higher they feel anxiety. In addition, the anxiety is a parameter between ‘perceptions of post-modernization' and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 국가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 연구(Ⅱ)

        이택면(Taek-Meon Lee),유희정(Yoo-Hee Jung),김영숙(Young-Sook Kim),김효주(Hyo-Joo Kim),김은지(EunJi Kim),장윤선(Youn-Sun Chang),김병권(Byeong-Kwon Kim),김해람(Hae-Ram Kim),손정민(Jung-Min Son),안주희(Ju-Hee A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서 론 □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성인지예·결산제도 시행 10년차를 맞아 그동안의 제도 운영 성과를 계승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향후 제도 개선을 제안할 시점이 도래함 - 이러한 배경 하에 제도 운영 주체 및 시민사회단체, 각계 전문가 등 이해관계자(stakeholders)로부터 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한 주장과 구체적인 개선 방안이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왔으며 제도 자체의 효과성과 성평등 기여에 대한 선행연구도 수행되어 왔음 - 2014년 성인지예·결산제도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는 현 제도발전 단계(2014∼2018)에서 추진할 전략과제로 제도적 기반 확충, 제도 운영의 체계화, 전담기구 설치와 지원조직 확충, 대상사업 선정 기준 개선 등 4대 과제를 제안한 바 있음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 속에서 국가 성인지예·결산제도가 현재 운영단계에서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시급한 현안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적시하며,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중장기적 제도 개선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함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의 선정기준을 합리적으로 확립하고 적용하여 양성평등 관점에서 어떤 것은 그 성과를 관리해야 하는지 또는 그렇지 않아도 되는 사업인지를 구분하여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의 성과평가 및 관리를 통해 해당 사업이 의도한 양성평등 기여를 실질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음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부 특정 부처를 선정하여 부처 성평등 목표 설정, 그에 따른 대상사업 선정, 사업별 성평등 목표 및 성과목표 설정, 성인지예산서 작성, 사업 추진, 성과목표 달성여부 점검 및 그에 따른 성평등 기여도 평가, 성인지결산서 작성 등 제도 운영의 전 과정을 리뷰함으로써 모범적인 제도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함 □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이미 대상사업 선정과 관련한 포괄적 지침 마련, 사업 성과관리와 성평등 지표 연계를 위한 일반적 방법론 제시, 세부사업별 재정사업 효율성 증대효과에 대한 미시적(micro) 분석 및 성인지예·결산제도 시행에 따른 국가 성평등 개선효과에 대한 거시적(macro) 분석이 수행된 바 있음 ■ 본 연구는 그 다음 단계로서 ① 구체적 사업 설명 자료를 통해 대상사업 선정기준을 표준화·세밀화하고 ② 특정 부처의 실제 사업 성과관리 결과를 리뷰하여 성평등 목표와 성과지표간 연계성 강화 방안을 발굴하고 ③ 특정 부처의 실제 성인지예·결산제도 운영 과정에 대한 전문적 지원을 통해 제도 개선점을 제안하며 ④ 세부사업보다 더 넓은 범위의 사업 유형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중범위(meso) 수준의 성평등 개선 효과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음 □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의 주요 내용 - 양성평등기본법 등 관련 법령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인지예산제도의 기능과 목적을 재검토 - 현재의 대상사업 선정 기준 및 적용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부처별로 나누고, ??2016년도 성인지예산서??를 중심으로 각 부처의 대상사업 선정과 관련된 문제점을 성평등 목표와의 정합성 관점과 기존 선정기준의 일관성 관점을 중심으로 짚어봄 - 부처의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성과관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2015회계연도 성인지결산서??와 ??2015회계연도 성과보고서?? 등을 활용하여 성과관리가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함 - 재정사업을 크게 양성평등을 명시적 목표로 추구하는 사업과 그렇지 않은 사업으로 구분하여 성인지예·결산과정을 다르게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히고, 각 사업 유형별로 대상사업을 어떻게 선정하는지, 선정된 대상사업에 대해 어떻게 성과관리 및 평가하고 그 결과를 환류할 것인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함 -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이러한 개선 방안 제안을 종합하여 양성평등적 성과예산제도의 확립을 위해 현 단계 성인지예산제도가 갖추어야 할 모범적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함 ■ 주요 연구추진 방법 - 산학연 공동연구 ·재정분야 전문성과 여성분야 전문성의 시너지 효과 추구 ·성과주의예산제도와 성인지예산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재정학회 위탁 추진 - 문헌자료 수집·분석 - 각종 공식통계자료, 행정자료, 성인지예산사업 DB 자료 등 분석 - 사업별 공무원 대상 서베이 ·조사대상: ??2017년도 성인지예산서?? 및 ??2015회계연도 성인지결산서??를 작성한 부처별 총괄 예산담당, 결산담당 및 세부 사업담당 공무원을 대상 및 기존 조사 응답자(2016년도 공무원의견조사) ·표본설계: 전수 대상(응답률 70% 이상)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uccesses of the gender budgeting system and identify its weaknesses in order to suggest further improvements for the future in light of its tenth anniversary.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 the issues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target projects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y are applied, review the overall gender budgeting process of a select few ministries, then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argeted projects using performance reports and gender budget settlement of accounts for the Fiscal Year 2015 (Section Ⅱ). Next, based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e present a plan to effectively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gender budgeting system (Section Ⅲ). Last, we propose a model opera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based budgeting aimed at achieving gender equality. The most pressing issues of the current system identified in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since an objective and standard criteria for selecting target projects has yet to be established, issues about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projects are frequently brought up. Secondly, as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target projects is low, the fact that many of these projects did not substantially contribute to improving gender equality or that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level of contribution have been highly criticized.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seeks a way to establish rational criteria for selecting target projects for gender budgeting in order to differentiate which projects performance must continue to be managed to achieve gender equality and which do not. Furthermore, we propose a plan to effectively manage the performance of target projects so that they actually achieve their goal of improving gender equality. The plans to improve gender budgeting present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e advise that gender budgeting be harmonized with performance-based budgeting and gender impact assessment in the long-run. Projects with the goal of reducing gender disparity should be linked with performance-based budgeting, including them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of general budgetary programs so that they receiv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Projects that are designed to have an influence on gender equality should be evaluated on their indirect effect on gender equality through gender impact assessments, the results of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the execution of projects, search for new projects, and feedback after execution, through official procedure, which needs to be established. Secondly, while the method of selecting target projects for gender budgeting at the sub-project level should be continued in the short-term, we determine that the current selection criteria for target projects of automatically re-selecting the previous year s target projects should be discontinued since in the case of budgetary projects, there is a high proportion of continued projects and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ir effect on gender equality on an annual basis. As specific criteria for selecting projects with the goal of reducing gender disparity we present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a project associated with carrying out one of the seven tasks presented in the Basic Plan for Gender Equality (a project that is a target project for the current Basic Plan for Gender Equality), a project that targets women or includes preferential treatment measures for women, or a project that provides protection to disadvantaged groups that are either predominantly men or women. Projects that apply to any of the following four are considered as projects designed to have an influence on gender equality::

      • KCI등재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A.C.C.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류진협(Jin-Hyeob Ryu),안주희(Ju-Hee An),우용규(Yong-Kyu Woo),조현정(Hyun-Jeong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황백을 포함한 총 14가지의 한약재를 증류 추출하여 얻은 시료(A.C.C.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고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Lipopolysaccharide(LPS)로 자극한 RAW 264.7세포에서 세포가 방출하는 nitric oxide(NO) 생성량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terleukin(IL)-1β 및 IL-6 생성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A.C.C. 추출물은 세포 독성없이 LPS가 증가시킨 NO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A.C.C. 추출물은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and Streptococcus mutans 등의 세균들에서 99.9%의 강력한 세균 감소율을 보여주었다. 이는 A.C.C. 추출물이 항염증 효과와 함께 강력한 항균 효과를 가진 유효한 성분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저귀 발진, 가려움증, 땀띠 증상을 겪고 있는 영․유아에게 A.C.C. 추출물을 도포하였을 때, 발진, 아토피, 짓무름, 가려움증, 땀띠 등의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영․유아 피부의 땀띠가 2주일 경과 후 상당히 완화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A.C.C. 추출물이 임상적으로도 항염증 및 항균작용을 통하여 기저귀 발진 및 땀띠 등의 증상을 완화 시키는 물질임을 확실히 한 것이다. 그러므로, A.C.C.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clinical efficacy of a sample (A.C.C. extracts) obtained by distillation extraction of 14 herbal medicines including Phellodendron bark. To confirm this, the amount of nitric oxide (NO) produced by the cells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and the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1β and IL-6 we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A.C.C. extracts strong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creased by LPS without cytotoxicity. In addition, A.C.C. extracts showed strong bacterial reduction rates of 99.9% in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and Streptococcus muta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C.C. extracts are effective ingredients with a strong antimicrobial effect together with an anti-inflammatory effect. In addition, when A.C.C. extracts were applied to infants and toddlers who were suffering from diaper rash, itching, and perspiration symptoms, symptoms of rash, atopy, rash, itching, and heat rash were improved. After the lapse of time, it was visually confirmed that it was considerably relaxed. These findings confirm that A.C.C. extracts comprise a clinically effec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gent that alleviates symptoms such as diaper rash and fever and may therefore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유용한 바실러스의 토양 접종에 따른 토착 세균 군집의 변화

        김이슬 ( Yiseul Kim ),김상윤 ( Sang Yoon Kim ),안주희 ( Ju Hee An ),상미경 ( Mee Kyung Sang ),원항연 ( Hang-yeon Weon ),송재경 ( Jaekyeong S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8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6 No.3

        Beneficial microorganisms are widely used in the forestry, livestock, and, in particular, agricultural sectors to control soilborne diseases and promote plant growth. However, the industrial utilization of these microorganisms is very limited, mainly due to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ability to colonize and persist in soil. In this study, the survival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in field soil microcosms was investigated for 13 days using quantitative PCR with B. subtilis group-specific primers.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of the treated soils were analyzed using 16S ribosomal RNA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on the Illumina MiSeq platform. The average 16S rRNA gene copy number per g dry soil of Bacillus spp. was 4.37 × 106 after treatment, which was 1,00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gene copy number was generally maintained for a week and was reduced thereafter, but remained 10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indicated that Acidobacteria (26.3 ± 0.9%), Proteobacteria (24.2 ± 0.5%), Chloroflexi (11.1 ± 0.4%), and Actinobacteria (9.7 ± 2.5%) were abundant phyla in both treated and non-treated soils. In the treated soils, the relative abundance of Actinobacteria was lower, whereas those of Bacteroidetes and Firmicutes were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Differences in total relative abundances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belonging to several genera were observed between the treated and non-treated soils, suggesting that inoculation of soil with the Bacillus strains influenced the relative abundances of certain groups of bacteria and, therefore, the dynamics of resident bacterial communities. These changes in resident soil bacterial communities in response to inoculation of soil with beneficial Bacillus spp.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us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in soi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 안산시 부곡동 매입임대주택 거주자 복지욕구 조사

        김지선(Kim Ji Seon),용명학(Yong Myung Hak),이은주(Lee Eun Joo),강진이(Kang Ji Ny),윤민주(Yun Min Ju),유상미(Yoo Sang Mi),성언경(Seong Eon Kyeong),안주희(An Ju Hee),홍서현(Hong Seo Hyeon),오명림(Oh Myeong Rim),손경진(Son Gyeong Jin),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19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2

        본 연구는 안산시 부곡동 지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 및 욕구를 사정하여 향후 부곡종합사회복지관의 신규 프로그램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부곡종합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 문제 및 욕구를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마을공동체 허브로 변신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아동발달지원센터 참여할 의향이 44.4%, 피아노교실 참여 55.6%, 아동난타 44.4%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아동발달지원센터 이용 확대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피아노 교실 및 아동난타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66.7%, 명문대학 탐방 참여 44.4%, 청소년 진로체험 55.6%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복지관에서는 청소년 자원봉사를 위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동그라미 빨래방 25.7%, 취업훈련 20.0%, 2순위로 김장지원서비스 14.7%, 무료 점심 나누기 11.4%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취업훈련에 대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1순위로 무료진료 48.8%, 김장지원서비스 47.6%로 나타나, 본 복지관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무료 진료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김장지원서비스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new programs and developments of the Bugok Social Welfare Center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Bugok-dong area in Ansan-si and assessing the problems and needs, and the Bugok Social Welfare Center will be able to share community problems and needs with residents. The purpose is to transform into a village community hub.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looking at the needs of children s programs,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hildren s Development Support Center was 44.4%, 55.6% participating in the piano classroom, and 44.4% child hitting.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upport to expand the use of support centers, and to expand piano classrooms and children s hitting programs and services. Looking at the needs of the program for young people, 66.7% of youth volunteer schools, 44.4% of participating in prestigious university visits, and 55.6% of youth career experiences were ranked first. Therefore, the welfare center needs to carry out various and specialized programs for youth volunteering. Looking at the desire for the program for adults, the first rank was circled laundry 25.7%, job training 20.0%, second rank kimjang support service 14.7%, free lunch break 11.4%.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raining programs and services. Looking at the needs for programs targeted at the elderly, the number of free medical treatment was 48.8% and Kimjang support service 47.6% as the first priority. It turned out to be necessary to enlarge.

      • 국가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 연구(Ⅲ) : 젠더관련성이 낮은 재정사업 분야에 대한 심층분석

        이택면(Taek-Meon Lee),김영숙(Young-Sook Kim),김둘순(Dool-Soon Kim),김효주(Hyo-Joo Kim),문희영(Hee-Young Moon),김해람(Hae-Ram Kim),안주희(Ju-Hee An),김은지(EunJi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그동안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이 현저히 적었던 분야의 재정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재정사업들에 대한 성평등 관련성 판단 및 성인지예·결산 대상사업으로서의 타당성 판단, 선정된 대상사업에 대한 성인지예·결산서 작성 및 성평등 성과관리 전반에 대한 모범 운영 방안 제시 등을 통해 성인지예산제도의 적용 외연을 넓혀가는 연구가 필요하다. 세출예산의 기능별 분류(16개 분야) 중에서 관례적으로 성인지예산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간주돼왔던 분야를 선정, 해당 분야에서 제기될 수 있는 성불평등 이슈들을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분야 사업들의 성평등 관련성을 판단할 수 있는 표준 지침을 마련하고, 특정 사업을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으로 선정할 경우 성인지예·결산서 작성, 성평등 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 등 성평등 성과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본 연구는 구체적인 사업유형을 대상으로 실제 사업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과관리 정도와 성평등 목표 실현 정도를 평가하여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는 점에서는 선행연구(이택면 외, 2016)와 맥락을 같이 하지만, 일자리 분야·교육 분야·사회복지 분야 등 상대적으로 성인지예·결산 대상사업의 절대 다수를 차지했던 재정사업 분야 이외의 분야로 연구대상의 외연을 확대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그동안 다수 적용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결합하여 성인지예·결산제도의 외연을 넓히고 제도의 완결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 주요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성불평등 개선을 위해 정부가 정책수단으로 개입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정부가 수행해야 할 기능을 분야로 구분할 때, 성불평등 이슈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젠더와 무관하다고 여겨지는 분야가 어느 것인지를 살펴본다. 이렇게 선정된 ‘젠더와 무관해 보이는 분야’에서 드러나지 않는 성불평등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 만약 그렇다면 정부 정책을 통한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드러난 성불평등 문제를 성인지예산제도 확대 적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해당 분야의 성불평등 개선을 위한 사업의 발굴,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선정, 사업 추진을 통해 달성할 성평등 목표 제시, 성과지표 제시 등을 통해 성인지예산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연구 문헌에 대한 리뷰, 성과계획서 등을 포함한 기존 재정사업 성과관리 관련 법정 서류들에 대한 리뷰, 재정통계 등에 대한 계량적 분석과 검토 등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의 연구역량으로는 충실한 검토와 분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일부 재정사업 분야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 연구기관과의 협동연구를 통해 전문성을 보완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논의 □ 성평등을 위한 정부 개입과 성평등 목표 수립의 필요성 정부가 민간영역에 존재하는 성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재정을 투입하여 개입하는 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 첫째, 성평등 증진이 그 자체로 추구할 사회적 가치이자 공적 가치이기 때문에 공공선을 추구하는 민주정부라면 마땅히 성평등 증진을 그 책무로 여겨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당위에 입각한 접근 이외에, 성평등의 경제적 이득(an economic case for gender equality)을 주장하는 연구들이 최근 대두하고 있다. 이들 연구는 성평등 증진이 옳은 일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주기도 하는 현명한 일(the smart thing to do)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례로 유럽연합 회원 국가들을 대상으로 계량경제모델을 통해 성평등이 개선되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얼마만큼일지를 예측한 결과, 2050년까지 유럽연합의 1인당 GDP가 9.6%까지 증가하고 전역에 걸쳐 약 10.5백만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그 중 70%는 여성의 일자리) 예측됐다. 정부는 중요하고 심각한 성불평등이 존재하는 영역이나 분야에 개입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중요하고 심각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분야는 어디인가? 이는 각 국가나 공동체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할 수밖에 없을 것이지만,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부 개입이 필요한 전형적인 성불평등 영역은 경제적 잠재력에 대한 제약(blocked economic potential), 무급 돌봄노동 시간의 불균등, 법적 권한의 불균형, 정치적 대표성 불균등 등이다. 이외에도 건강에서의 성 격차, 젠더폭력에서의 성 격차 등을 들고 있다.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possibilities of considerably dispelling concerns and criticisms about gender budgeting that have piled up. These concerns and criticisms can be summed up as arbitrary and invalid selection of programs for gender budgets, system operations concentrated on programs in particular areas of particular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the absence of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e excessive burden of administrative duties, and doubts about the practical effects of gender budgeting on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The study proposes ways to overcome issues over the selection of programs by developing gender objectives for departments to pursue by area and by secto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functions, then by selecting programs for gender budgets that can directly and indirectly contribute to achieving the objectives. The study not only resolves the issue of the concentration of system operations on particular programs, but also paves the way for gender budgeting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practical gender mainstreaming device by identifying a considerable number of programs for gender budgets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dures in three areas, that is, ‘public order & security’, ‘national land & regional development’, and ‘science & technology’. These three areas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a weak agenda on gender inequality. On top of this, it opens possibilities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identifying programs for gender budgets at unit program levels and by making gender budget and closing statements compatible with performance plans and performance reports, which are basic documents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budgetary programs. This will eventually enable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budgetary programs led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Committee. At the same time, using the performance data from the gender accounts settlement statements, the study will enable quantitative verification of the practical effects of gender budgeting on the enhancement of gender equality and relieve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duties of first-line government officials by reducing the burden of preparing document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