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형 농업 저수지인 금풍저수지에서 침수식물의 분포, 식생구조 및 생물량

        조강현 ( Kang Hyun Cho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1

        Distribution, abundance and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were assessed using a double-headed rake and an echo-sounder in the Keumpoong Reservoir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located upstream. Slope steepness and water depth in the littoral zone were important controlling factors on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ubmerged macrophytes. Biodiversity of submerged macrophytes was increased at a gentle slope of the littoral zone. The results of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structure of submerged vegetation depended on the depth of water. Submerged macrophytes were distributed at the maximum water depth of 2.8m in the Keumpoong Reservoir. The area occupied by the submerged macrophytes was estimated at only 6% of the total reservoir area because of the steep slope of the littoral zone and the large annual water-level fluctuation of 3.5 m. The increase of water level and inflow of turbid water in the rainy season might reduce the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the reservoir. It may be concluded that submerged vegetation in the Keumpoong Reservoir,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located at the upstream, appears to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slope steepness of the littoral zone.

      •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 분포 변화 예측

        조강현,이승,Cho, Kang-Hyun,Lee, Seung 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잠재적 분포지를 예측하는 것은 하천과 저수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의 잠재적 미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털물참새피는 담수생태계의 수변에서 심각한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침입 초본식물이다.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서 털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기후 자료로서 Worldclim 1.4의 19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고, 미래의 기후 자료로서 RCP 2.6와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서 HadGEM2- AO에 의하여 예측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털물참새피의 현재 잠재분포지는 실제 위치 자료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식물의 잠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연평균기온 및 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이었다. 2050년에 기후변화에 따른 털물참새피의 분포 예측에 의하면 이 식물의 현재 분포지에서는 기후 적합성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이 식물이 보다 내륙과 북쪽으로 분포지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예측 모델은 잠재적 분포를 이해하고 분포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며 외래식물에 의한 생물적 침입의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Predicting the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under climate change is an important and challenging task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s in streams and reservoir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otential future distribution of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in the Korean Peninsula. P. distichum var. indutum is an invasive grass species that has a profou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in the waterfronts of freshwater ecosystems. The Maxent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P.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s. A total of nineteen climatic variables of Worldclim 1.4 were used as current climatic data and future climatic data predicted by HadGEM2-AO with both RCP 2.6 and RCP 8.5 scenarios for 2050. The predicted current distribution of P. distichum var. indutum was almost matched with actual positioning data. Major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potential distribution were precipitation of the warmest quarter, annual mean temperature and mean temperature of the coldest quarter. Our prediction results for 2050 showed an overall reduction in climatic suitability for P. distichum var. indutum in the current distribution area and its expansion to further inland and in a northerly direction. The predictive model used in this study appeared to be powerful for understand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explor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habitat changes and provid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risk of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plants.

      • KCI등재후보

        팔당호 연안대에서 저토와 수체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반작용

        조강현,박상규,김준호 ( Kang Hyun Cho,Sang Kyu Rark,Joon Ho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4 생태와 환경 Vol.27 No.1

        To verify influences of macrophytes on sediment and water in the littoral zon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root biomass at the clipped and the vegetated plots of stands of Typha angustifolia and Zizania latifolia, and water chemistry along a transect from the shore toward pelagic zone were studies in Lake Paltangho. The upper sediment of the vegetated site with large root biomass showed more oxidative condition, less NH_4^+-N, and less available nitrogen and phosphorus measured by ion exchange resin bag method than those of the clipped site. Electric conductivity(EC) and NH_4^+-N concentration of the water were lower in the littoral zone of submersed macrophytes than those in the pelagic zone during the growing season. EC and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itrogen and potassium of water were lower at the stand of Z.latifolia than those in the pelagic zone during its growing season. During the declining season, however, EC and concentration of inorganic nutrients were higher in the littoral zone than those in the pelagic zone. Therefor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water were changed with the growth stages of mac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tangho.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재생지원센터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강원도 내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조강현(Cho, Kang Hyun),김승희(Kim Seung Hee)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4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과 더불어 지역 주민의 역량을 강화하여 도시를 재생하기 위한 사업이다. 도시재생사업은 주민참여형 도시정책이라는 점에그 정체성이 있어 주민과 행정기관을 연결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도시 재생사업 필수 중간지원조직인 도시재생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수가 도시재생사업이 점차 확대·본격화됨에 따라 증가하고 있어 근무자들의 어려움 역시 표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지원센터 근무자들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근무자들이 겪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여 도시재생사업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강원도 내 총 37개소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근무자 134명 전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은 업무 및 동료관계, 보상공정성, 고용안정성으로 요인화되 었다. 업무 및 동료관계에 포함되는 문항은 타 지표에 비해 긍정적이나, 보상공정성 및 고용 안정성에 해당하는 지표는 비교적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중 업무 및동료관계와 보상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고용안정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업단위 계약 고용이라는 고용형태에 대한 사전정보로 인해 개선 기대감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Sinc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resident-participating urban policies, the role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connecting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is important. The number of employees working at the Urban Regeneration Center, an essential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increasing 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gradually expand and begin in earnest, revealing the difficulties of worker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t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34 workers at a total of 37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s in Gangwon-do, and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deriv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ere factorized into work and peer relationships, compensation fairness, and employment stability. The items included in work and peer relations are positive compared to other indicators, but the indicators corresponding to compensation fairness and job security seem to be in a relatively poor situation. Among them, work and peer relationships and compensation fairness were analyzed as factors with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However, employment stability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satisfaction, apparently because there was no expectation for improvement due to prior information on the employment type of business unit contract employment.

      • SCOPUSKCI등재

        도시에서 다양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활성

        공학양,조강현,Kong, Hak-Yang,Cho, Kang-Hyun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5

        도시에서 토양을 보존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도시 토양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이처럼 과도하게 관리되고 교란된 토양의 특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인천의 산림, 잔디밭, 가로수, 나지 및 포장 밑 토양에서 답압에 의한 견밀화에 의하여 토양 가밀도가 높았다. 또한 다양한 도시 토양에서 수분함량은 전원지 산림 토양에 비하여 적었고 지온은 높았다. 화학적으로는 도시 토양에서 pH가 중성에 가깝고 유기물 함량이 적었다. 도시 토양의 총세균수는 전원지 산림 토양의 단지 5∼50% 수준이었다. 단계식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토양 유기물함량이 총세균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선정되었다. 대부분의 도시 토양에서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전원지 산림 토양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아스팔트 포장 밑 토양에서는 낮았다 그러므로 견밀한 도시 토양에서 낮은 유기물함량이 물질 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 수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Although urban soils must be well understood in order to ensure their conservation and optimum use, these intensively managed and disturbed soils have not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up to now. Urban soils from forest, lawn, streetside, and bare ground and under pavement in Inchon had high bulk density as a result of widespread trampling-induced soil compaction. The various urban soils including forests showed lower water content and higher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rural forest soil. Chemically, soils from urban areas had an unusual neutral pH and low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bacterial numbers in urban soils was only 5∼50% of that in the rural forest soil. An analysi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soil organic matter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variable on total bacterial number. The dehydrogenase activity of most urban soi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rural forest soil, whereas the microbial activity of soils under pavement was lower. Our investigations show that inadequate organic matter of highly compacted soils has adversely affected the abundance of microorganisms involving nutrient cycling in urban soils.

      • 청미천에서 홍수 유황의 변화에 따른 하안식생의 확장

        진승남,조강현,Jin, Seung-Nam,Cho, Kang-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4

        하천에서 식생의 분포는 수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에서 홍수 유량의 변화에 의한 식생분포의 변화 및 식생 유형과 지난 10년 동안의 홍수 빈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청미천에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홍수 유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13년 이후로는 $160m^3/s$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홍수 유량의 감소는 2013년 이전에는 식생이 드물게 분포하였던 청미천 점동 구간의 넓은 사주에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의 정착을 야기하였다. 2016년에는 사주의 대부분이 달뿌리풀로 뒤덮였다. 조사대상구간 홍수터의 식생은 우점하는 종에 의해 1년생 습생식물 군집, 다년생 습생식물 군집 및 중건생식물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식생 유형과 홍수 빈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1년생 습생식물, 다년생 습생식물 및 중건생식물 군집은 각각 1년이하의 홍수 범람 범위, 1년에서 10년 빈도의 홍수 범람 범위, 그리고 7년 이상의 홍수 범람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청미천에서 홍수터 식생의 분포는 홍수 유량 및 빈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The distribution of floodplain vegetation is mainly affected by hydrological and hydraulic proces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vegetation distribution due to flood discharge alte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getation types and the flood frequency during the last ten-year period in the Cheongmi-cheon Stream. Flood discharge of the Cheongmi-cheon Stream tended to decrease from 2006 to 2016. It has greatly decreased to less than $160m^3/s$ since 2013. This resulted in the settlement of Phragmites japonica to the wide sand bar at the Cheongmi-cheon Stream, even though it had sparse vegetation before 2013. The sand bar was fully covered with P. japonica in 2016. Vegetation communities in the floodplain were classified by dominant species, i.e. the annual-hygrophytic, the perennial hygrophytic and the mesophytic communiti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getation communities and the flood frequency shows the annual hygrophytes, perennial hygrophytes and the mesophytes communitie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under 1 year, 1-10 year and over 7 year flood inundation area, respectively. In conclusion, distribution of the floodplain veget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lood discharge and frequency in the Cheongmi-cheon Stream.

      •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이승,조강현,이우주,Lee, SeungHyun,Cho, Kang-Hyun,Lee, Woojoo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3

        종분포 모델은 어떤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이 어떻게 확장되고 어떤 환경 요인이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두 침입외래종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의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종의 현재의 분포지에서 기후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이 두 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Maxent (the maximum entropy)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 자료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와 우리나라의 식물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물기후 자료는 WorldClim 자료로부터 얻었다. 모델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전지구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이 연구 대상종의 잠재적 분포지를 잘 설명하였다. 이들 종의 분포에 기여한 기후환경 요인으로서 돼지풀에서는 최건월의 강수량과 연평균온도가, 물참새피에서는 연평균온도와 최한사분기의 평균온도가 선정되었다. Maxent 종분포 모델은 외래종의 침입을 예측하고 이들의 확산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would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how invasive alien species spread over the country and what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e to their distribu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invasive alien species, the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and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ximum entropy (Maxent) model was used for the prediction of their distribution by inferring their climatic environmental requirements from localities where they are currently known to occur. We obtained their presence data from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and the Korean plant species databases and bioclimatic data from the WorldClim dataset. As a results of the modell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predicted by global occurrence data was more accurate than that by native occurrence data. The variables determining the common ragweed distribution were precipitation of the driest month and annual mean temperature. Both annual and the coldest quarter mean temperatures were critic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knotgrass distribution. The Maxent model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e prediction of alien species invasion and the management of their expansion.

      •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의 현황

        조현석,조강현,Cho, Hyunsuk,Cho, Kang-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4

        저수지 호안은 생물 침입에 취약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저수지 호안에서 침입식물의 종조성의 현황과 외래식물상과 환경요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양한 수위 관리를 하고 있는 35 개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과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은 56 종이 발견되어 출현식물 총종수의 15%를 차지하였다. 이들 외래식물을 도입시기별로 분류하면 1876 - 1921 년인 개항 직후에 도입된 것이 57%로서 많았다. 또한 이들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와 유럽이 80% 이상으로 많았다. 특이한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종은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이 중부 지역에,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가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수지 호안에서 외래식물 식물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범람빈도, 수질오염 지수, 암석노출도 및 평균 사면 경사도이었다. 결론적으로 수위 관리와 기타 인간 교란이 가해지는 저수지 호안은 외래식물의 침입에 취약하였다. 저수지 호안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하여 외래식물의 초기 도입을 탐지할 수 있는 주기적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servoir shores seem to b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alien plants and their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on reservoir shorelines in Korea. We investigated flora of alien pl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oil on the shoreline of a total of 35 reservoirs with different water level managements. There were 56 species of alien plants, which was 15% of the total plant species identified in the study of reservoirs. A total of 57% of these alien species were the species which were introduced shortly after opening the port from 1876 to 1921 in Korea. More than 80% of the alien plants on the reservoir shores originated from America and Europe. The current distribution of Ambrosia trifida and Paspalum distichum were restric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The water level fluctuation, flood frequency at the median water level, water pollution index, coverage of rock exposure and mean degree of shoreline slope were determined as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alien flora.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servoir shore was in danger of being invaded by alien plants due to the water level management and other human disturbances.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the reservoir ecosystem, periodic monitoring systems are requir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alien species on the reservoir shore.

      • KCI등재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환경 교육 과정 개발 연구 ( 3 ) - 초 ,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환경 관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남현우(Hyun Woo Nam),김태(Tae Hyun Kim),신현철(Hyun Chul Shin),신현웅(Hyun Woung Shin),조강현(Kang Hyun Cho) 한국환경생물학회 199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7 No.3

        A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standpoint of ecology,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in the science textbooks us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analyzed with the special emphasis to four aspects; 1) the causes and 2) the exampl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3) the principles of ecology, and 4) the endeavor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es.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science textbooks were written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ism rather than Ecology,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were listed fragmentarily within the subjects related to science, and not systematically assembled between inter-subjects or -sciences. Therefore, the systematic and inter-scientific approaches based on the ecology will be needed for further and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ecology, textbook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