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의 여성인력활용 및 일-가족 양립정책에 대한 사례연구

        김둘순(Kim Dool-Soon)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1960년대 산업화 이후 일-가족 양립정책과 관련한 기업정책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밝히기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그 경향성을 파악하는 포괄적 분석과 대표적인 기업을 선정하여 관련문헌자료 및 노동자 심층면접을 통한 사례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일-가족 관련 기업정책 변화는, 첫째 1960~70년대에는 일-가족 영역간 분리정책 및 일 중심의 가족친화정책 부재, 둘째 1980년대~90년대 초반에는 국가의 가족친화적 법제도 제정과 기업의 회피, 셋째 1990년대 중반~현재에는 가족친화정책 도입시도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한편 사례기업을 분석한 결과, 첫째 여성인력 활용정책 변화는 1960년대 이래 미혼여성노동자 중심에서 1980년부터 기혼여성노동자 중심으로 옮겨가며 1990년대 후반부터는 기혼여성과 외국인 여성 및 공고 3학년생 등이 혼합되는 방식으로 변화해 왔다. 이 과정은 끊임없이 저임노동자를 찾아 온 여정이었다. 둘째 일-가족 양립정책은 산업화 이후 현재까지 거의 실시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3교대 근무, 재직중 임신ㆍ출산 불허, 가족친화 프로그램의 부재 등. 반면에 사회보장보험 제공, 자녀학자금 지원 및 생활자금 대출, 각종 편의시설 제공 등을 통해 온정주의적 복지 정책을 실시하였다. 셋째 여성노동자의 일-가족 갈등에 대한 대응전략은 산업화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오직 여성노동자 자신의 희생을 통해 일과 가족의 이중부담을 떠안는 방식이었다. 이처럼 산업화 이후 일반적인 일-가족 관련 기업정책은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변화를 시도해 온 것에 비해서 K방직은 일관되게 일-가족 양립정책 부재전략 속에서 온정주의적 복지정책과 노동력 구성 변화전략을 선택해 왔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다 심층적인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nterprises’ use of women labors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have been changed since 1960, from the beginning of industrialization to 2005, in South Korea, using two different approaches. One is an archival research on journal articles, magazines, and daily newspapers to show the changes in the enterprises’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general. The other is a case study to show the way those changes appear in a specific woman-oriented enterprise, K textile enterprise in which the majority of labors has been women and 80% out of a total of about 1,200 labors were women in 2005.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in two ways, analysing the monthly newspaper (1970.2-2005.12) and the history books published by K textile enterprise and interviewing three women labors and one man labor. Findings regarding the enterprises’ adaptatio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general throughout the time period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1960s-1970s, the enterprises carried out work-family segregation policies and did not take any friendly-family policy. Second, during 1980s-the early 1990s, they still did not perform any friendly-family policy although Korea state established friendly-family laws, Act on the Equal Employment for both Sexes(1987) and Infant Care Act(1991). Third, since the mid 1990s they have tried to perform friendly-family policies, such as a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a maternity leave, and a flexible work.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on K textile enterprise show: First, K textile enterprise’s use of women labors has been changed along with the time period characterized above, as ‘single woman -oriented labors’ during 1960s-1970s, ‘married woman-oriented labors’ during 1980s-the mid 1990s, and ‘mixed labors(married women, foreign women, intern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ince the end of 1990s. The changes in K textile enterprise’s use of women labor seems to show its effort to seek cheaper labors for about 40 years. Second, like other enterprises in general, K textile enterprise has performed neither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nor friendly-family programs throughout the time period where a three shifts work and a poor motherhood protection have been maintained. However, it appears that K textile enterprise has performed paternalistic welfare programs such as social insurance programs, healthcare services, dormitory, an education fund of child, and a loan housing fund. Third, lack of benefits from work -family reconciliation polices and friendly-family programs entitled by laws but not adapted by the enterprise, women labors have taken disposal strategies for solving work-family conflict over time. Without other resources for their living, women labors unavoidably have carried on a dual burden. 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conditions for the enterprises’ adaptation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with comparisons between K textile enterprise and others.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김둘순(Dool-Soon Kim),이솔(Sol Lee)이현아(Hyun A Lee),김보미(Bomi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는「성별영향분석평가법」제10조에 의거하여 여성가족부장관이 추진한다. 시행중인 법령이나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소관 정책 또는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사업 중에서 성평등 실현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정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정책개선안을 도출하고, 도출된 정책개선안은 해당 행정기관에 개선권고 함으로써 정책개선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이다.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가 공무원이 수행하는 성별영향분석평가와 구별될 수 있는 고유목적이 무엇인지「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나「성별영향분석평가지침」에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추진체계 및 추진방법 등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파악과 정책개선 이행 과정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실효성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발전방안은 무엇인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이 연구는「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시행된 2012년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부터 현재까지 운영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발전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공공정책에 대한 영향평가 제도의 운영현황 파악, 둘째, 2012년부터 새롭게 추진해 온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운영체계 및 연구과제의 특성 분석, 셋째,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의 추진절차에 따른 추진주체별 주요역할과 추진방법, 애로사항 파악, 넷째, 대상정책 담당 공무원과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제도 운영 개선 및 발전방안의견 조사, 다섯째, 이러한 조사 분석을 토대로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가 더욱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 연구내용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목적 및 추진 프로세스별 운영현황 파악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운영체계 및 연구과제의 일반특성 분석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정책개선 이행 과정 파악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실효성 강화를 위한 발전방안 마련 □ 연구방법 - 공공정책에 대한 특정평가 운영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연구결과 보고서 내용 분석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과제 연구자 대상 간담회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추진과정 파악 및 발전방안에 대한 공무원과 관계자 FGI 또는 심층면접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운영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공무원 및 참여연구자 설문조사 - 전문가 자문회의 □ 기대효과 - 향후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과제 발굴·선정 개선, 연구수행 개선, 정책개선 이행 강화 기여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관련 공무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최초로 실시함으로써 향후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시켜 나가는 데 필요한 근거 자료 제공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fic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GIA) and seek methods to develop and enhance its effectiveness. Specific GIA has been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MOGEF)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GIA Act in 2012. It is controlled by the MOGEF under Article 10 of the GIA Act, and is designed to enable professional researchers to undertake substantive analysis of policies whose improvement is critical to the achievement of gender equality, chosen amongst ordinances being currently implemented, policies undertaken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programmes run by public bodies. The Specific GIA aims to draw suggestions for policy improvement from the research outcomes and for these recommendations to be used by the relevant administrative bod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for gender equality. During the four years between 2012 and 2015, there have been twenty seven research tasks carried out and policy improvements implemented, and yet so fa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overall institutional operation of the Specific GIA. In order to meet the goals of this research, research methodologies and contents include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 on public policy impact assessment, analysis of the operational structure and features of research tasks undertaken by the Specific GIA, analysis of current operations and case studies of policy improvement, and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of researchers involved in and civil servants in charge of targeted programmes for the Special GIA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perceptions of its outcomes, its current situation, and paths for its development. Based upon this research,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fic GIA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four bas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pecific GIA are illustrated in Figure 1, as below. Secondly,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legal rationale to enable local governments to implement the Specific GIA. Thirdly, GIA contents and the roles of civil servants should be detailed in the GIA guidelines provided annually by the MOGEF. Fourthly, in a long-term perspective the policies targeted for the Specific GIA need to be selected well in advance, and the targeted policy should be confirmed at the latest by September of the year prior to the research. Also, adequate budgets need to be supplied for each research task, and the research duration needs to be flexibl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task. Fifth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central manual for the Specific GIA for the researchers involved to use in common. Sixthly,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to the civil servants who are in charge of policy improvements related to Specific GIA by including them in the prize for Best Administration and Best Example of GIA , or by giving them opportunities for overseas training.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Specific GIA should be included in the general GIA education programme should be provided given to civil servants.

      • KCI등재

        성별영향평가 제도 수행조건과 공무원의 수행전략

        김둘순(Kim Dool-Soon),강민아(Kang Kim Minah)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공무원이 직접 성별영향평가 주체가 되어 수행한 2005년 기관별 성별영향평가 사업 참여 공무원을 대상으로 평가 수행조건과 공무원의 수행전략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무원들은 조직 환경과 활용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 평가자 역량 등이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서 수행전략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적극적 참여전략, 소극적 참여전략, 외부 연구기관 넘기기, 회피하기 전략 등이다. 이 중에서 총괄부서 지정이 명확하고, 고위관리직의 지원이 있으며, 평가 참여자의 인지 및 태도가 긍정적일 수록 적극적 참여전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것은 여성부의 평가결과 우수사례(기관)로 선정되는 효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공무원들이 수행전략을 선택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영향요인은 고위관리직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평가담당 공무원의 성별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o perform gender impact assessment by the public officials. In Korea, on the local and national level Gender impact assessment(hereafter, GIA) was first time conducted in 2005.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ials, who had conducted a gender impact assessment on his/her policy objectives showed various attitudes towards GIA in practice. Their attitudes were categorized into 4 strategic types - active strategic type, passive strategic type, outsourcing strategic type, avoiding strategic type. The public officials adopted the different typ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human/material resource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capability of assessor. In case of the more clear responsible parties for GIA, the assessor with more positive attitude/recognition and more support from high level officials, there was a tendency to adopt the active strategy for GIA. Therefore they were rewarded for the excellent practic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GEF). It was also found that GIA officials were the concerns and support from high level officials and the positive and responsible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as an assessor.

      • KCI등재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제도적 정착 영향요인 연구

        김둘순(Dool Soon Kim),강민아(Min ah K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4 여성연구 Vol.87 No.-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Gender Impact Analysis program, which was started in 2005 in Korea as one of the policy tools for gender mainstream. We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o we mean by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GIA program in Korea? We found that this entails various outcomes such as increased consciousness and knowledge among government officials in Korea on gender effect of policies and programs that they plan and implement, strong support from high-level decision makers for the GIS programs, and increased accountability and responsiveness among policy implement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gender equality. Our second research question involves identifying determinant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GIA system. When we conducted a multi-level analysis, we found that success factors lie both at individual levels (how much work emphasis the policy managers put on the GIA program) as well as at organizational levels (how much supportive for and interested in the GIA system decision-makers of the organanization are). In conclusion, we note that in order for GIA to achieve its role as a gender mainstream policy tool, it is most important to have changes in the perception among policy makers of the organization and policy managers within the department to agree to the critical role of the of the GIA program.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어온 성별영향분석평가에 대한 이 연구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 두 가지다. 하나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는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이것은 어느 한 가지의 단면적인 기준으로 정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소속기관 공무원의 성평등 의식 향상, 정책의사결정자의 성별영향분석평가에 대한 지원 증가, 정책담당자로서의 성평등 실현에 대한 책임감 증가 등 다면적인 기준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데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영향요인은 행정기관 수준의 속성을 가진 것과 공무원 개인 수준에서의 속성을 가진 요인으로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다층모형분석 결과 두 수준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집단수준에서는 정책 의사결정자 지원요인이, 공무원 수준에서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업무 비중 인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성별영향분석평가가 성평등 실현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제도로 성공적 정착을 하기 위해서는 정책 의사결정자의 관심과 지원 뿐 아니라 공무원으로 하여금 성별영향분석평가 업무가 비중 있는 중요한 업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주요 ODA 사업에 대한 성 인지적 관점의 평가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수연(Sooyeon Lee),김둘순(Dool-Soon Kim),김동식(Dong-Sik Kim),김정수(Jung-soo Kim),김은경(Eun Kyu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and how much gender perspectives have been reflected in ODA projects in four focus areas (education,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 rural development and health)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urthermore, it attempts to explore why gender perspectives are not fully reflected in some projects, and it also explains why gender perspectives need to be reflected in the ODA projects.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 has made efforts to encourage its member countries to increase aid in support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s an effort, it introduced gender equality policy marker to see how much budget each member country spends for aid focused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every year. By doing so, it attempts to evaluate and monitor member countries’ commitment to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Right after joining the OECD DAC, South Korea also legislated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ere achieving gender equality was set out as one of the basic ideologies of South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Evaluating a development project in a gender perspective is a process to examine its final beneficiaries and the gender relations of a targeted community. In this regard, it is to do with an analysis on various stakeholders of a project in order to not only achieve gender equality but als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mplement the project. This paper finds out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has developed some policies and guidelines on aid in support for gender equality but these policies and guidelines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projects examined in this study.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institutional mechanism is required to make the policies and guidelines fully reflected in practice, and it is also noteworthy that a gender-sensitive projects can be also driven by a recipient country. Furthermore, it finds out that political will is also very important to expand gender-focused ODA projects in Korea. OECD/DAC은 국제개발에 있어서 공여국들의 성평등 원조를 권고하고 이를 얼마나 예산에 반영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젠더마커를 활용하고 있다. 사업의 내용과 대상에 있어서 그 사업이 얼마나 여성의 역량강화와 성평등에 기여했는가를 보는 것이다. 한국은 OECD/DAC에 가입한 이후 곧바로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을 제정하였는데, 제정당시 한국의 ODA의 목적에 성평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같은 기본법의 정신이 여성대상 사업이 아닌 일반사업에서 얼마나 잘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주요 ODA 분야 4개 사업을 선정하여 성인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얼마나 성인지 관점이 반영되고 있는지, 성인지 관점이 반영되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ODA 사업에 왜 성인지 관점이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성인지 관점의 평가는 ODA 사업의 최종 수혜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분석이며 사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주민 남녀들의 역학관계에 대한 분석이므로, 성평등 달성의 목적 뿐 아니라 사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유용한 이해 관계자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첫째, 성평등 이슈는 현지의 여건과 니즈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수원국과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초기부터 통합해야 한다는 것, 둘째, 한국은 ODA 사업 시행에 있어서 이같은 성평등 원조와 관련한 지침과 가이드라인은 있으나 이것이 세부적으로 사업기획에 반영되지 않았고, 중범위 수준의 지침이 실행단계로 연결되기 위한 조직차원의 장치가 더 필요하다는 것, 셋째, 한국의 성평등 원조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정책 결정자 수준에서 정치적 합의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 국가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 연구(Ⅲ) : 젠더관련성이 낮은 재정사업 분야에 대한 심층분석

        이택면(Taek-Meon Lee),김영숙(Young-Sook Kim),김둘순(Dool-Soon Kim),김효주(Hyo-Joo Kim),문희영(Hee-Young Moon),김해람(Hae-Ram Kim),안주희(Ju-Hee An),김은지(EunJi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그동안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이 현저히 적었던 분야의 재정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재정사업들에 대한 성평등 관련성 판단 및 성인지예·결산 대상사업으로서의 타당성 판단, 선정된 대상사업에 대한 성인지예·결산서 작성 및 성평등 성과관리 전반에 대한 모범 운영 방안 제시 등을 통해 성인지예산제도의 적용 외연을 넓혀가는 연구가 필요하다. 세출예산의 기능별 분류(16개 분야) 중에서 관례적으로 성인지예산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간주돼왔던 분야를 선정, 해당 분야에서 제기될 수 있는 성불평등 이슈들을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분야 사업들의 성평등 관련성을 판단할 수 있는 표준 지침을 마련하고, 특정 사업을 성인지예산 대상사업으로 선정할 경우 성인지예·결산서 작성, 성평등 목표 및 성과지표 설정 등 성평등 성과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본 연구는 구체적인 사업유형을 대상으로 실제 사업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과관리 정도와 성평등 목표 실현 정도를 평가하여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는 점에서는 선행연구(이택면 외, 2016)와 맥락을 같이 하지만, 일자리 분야·교육 분야·사회복지 분야 등 상대적으로 성인지예·결산 대상사업의 절대 다수를 차지했던 재정사업 분야 이외의 분야로 연구대상의 외연을 확대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그동안 다수 적용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결합하여 성인지예·결산제도의 외연을 넓히고 제도의 완결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 주요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성불평등 개선을 위해 정부가 정책수단으로 개입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정부가 수행해야 할 기능을 분야로 구분할 때, 성불평등 이슈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젠더와 무관하다고 여겨지는 분야가 어느 것인지를 살펴본다. 이렇게 선정된 ‘젠더와 무관해 보이는 분야’에서 드러나지 않는 성불평등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 만약 그렇다면 정부 정책을 통한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드러난 성불평등 문제를 성인지예산제도 확대 적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해당 분야의 성불평등 개선을 위한 사업의 발굴, 성인지예산 대상사업 선정, 사업 추진을 통해 달성할 성평등 목표 제시, 성과지표 제시 등을 통해 성인지예산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연구 문헌에 대한 리뷰, 성과계획서 등을 포함한 기존 재정사업 성과관리 관련 법정 서류들에 대한 리뷰, 재정통계 등에 대한 계량적 분석과 검토 등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의 연구역량으로는 충실한 검토와 분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일부 재정사업 분야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 연구기관과의 협동연구를 통해 전문성을 보완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논의 □ 성평등을 위한 정부 개입과 성평등 목표 수립의 필요성 정부가 민간영역에 존재하는 성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재정을 투입하여 개입하는 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 첫째, 성평등 증진이 그 자체로 추구할 사회적 가치이자 공적 가치이기 때문에 공공선을 추구하는 민주정부라면 마땅히 성평등 증진을 그 책무로 여겨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당위에 입각한 접근 이외에, 성평등의 경제적 이득(an economic case for gender equality)을 주장하는 연구들이 최근 대두하고 있다. 이들 연구는 성평등 증진이 옳은 일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주기도 하는 현명한 일(the smart thing to do)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례로 유럽연합 회원 국가들을 대상으로 계량경제모델을 통해 성평등이 개선되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얼마만큼일지를 예측한 결과, 2050년까지 유럽연합의 1인당 GDP가 9.6%까지 증가하고 전역에 걸쳐 약 10.5백만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그 중 70%는 여성의 일자리) 예측됐다. 정부는 중요하고 심각한 성불평등이 존재하는 영역이나 분야에 개입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중요하고 심각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분야는 어디인가? 이는 각 국가나 공동체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할 수밖에 없을 것이지만,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부 개입이 필요한 전형적인 성불평등 영역은 경제적 잠재력에 대한 제약(blocked economic potential), 무급 돌봄노동 시간의 불균등, 법적 권한의 불균형, 정치적 대표성 불균등 등이다. 이외에도 건강에서의 성 격차, 젠더폭력에서의 성 격차 등을 들고 있다.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possibilities of considerably dispelling concerns and criticisms about gender budgeting that have piled up. These concerns and criticisms can be summed up as arbitrary and invalid selection of programs for gender budgets, system operations concentrated on programs in particular areas of particular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the absence of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e excessive burden of administrative duties, and doubts about the practical effects of gender budgeting on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The study proposes ways to overcome issues over the selection of programs by developing gender objectives for departments to pursue by area and by secto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functions, then by selecting programs for gender budgets that can directly and indirectly contribute to achieving the objectives. The study not only resolves the issue of the concentration of system operations on particular programs, but also paves the way for gender budgeting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practical gender mainstreaming device by identifying a considerable number of programs for gender budgets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dures in three areas, that is, ‘public order & security’, ‘national land & regional development’, and ‘science & technology’. These three areas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a weak agenda on gender inequality. On top of this, it opens possibilities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y identifying programs for gender budgets at unit program levels and by making gender budget and closing statements compatible with performance plans and performance reports, which are basic documents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budgetary programs. This will eventually enable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budgetary programs led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Committee. At the same time, using the performance data from the gender accounts settlement statements, the study will enable quantitative verification of the practical effects of gender budgeting on the enhancement of gender equality and relieve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duties of first-line government officials by reducing the burden of preparing document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 지방자치단체 성별영향평가제도의 추진현황 및 발전방안

        김경희(Kim, Kyung Hee),백영주(Paik, Young Joo),김둘순(Kim, Dool Soon),이진옥(Lee, Jin Ock),여명희(Yeo, Myoung H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7

        This paper is designed to identify the situation and issues of gender impact assessment projects promoted and operated by metropolitan and lower-level local governments, and thereby devise the plans to raise the effectiveness thereof. The status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projcts was studied through related literatures, surveys of public officials, and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public officials. Based on overseas case studies, surveys, and interviews, this research provided the following schemes to enhance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thereof, local governments should give top priorit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egal framework & implementation system, and professional support. More specifically, the improvement in assessment indicators and project selection was asked for,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and financial aid. For the enhance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roles by entities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metropolitan/lower-level local governments, experts, NGOs, etc.) were also presented, calling for a reinforced partnership among them as a feasible scheme to activate the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지역보건정책 실행결정을 위한 주민의견수렴 방안 연구: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 사례에 대한 여론조사를 중심으로

        강민아 ( Min Ah Kang ),김둘순 ( Dool Soon Kim ),손주연 ( Ju Yeon S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3

        일반 주민들의 인지도가 낮고 찬반논쟁이 있는 정책의 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할 경우, 그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확한 조사방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찬반논란이 있는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을 사례로 정책결정과정에서 여론조사를 통해 주민의견을 반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주민여론을 수렴하는 과학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실험설계적 여론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불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도와 태도는 주어진 정보의 종류와 양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여론조사 실시 시 제공되는 정보의 순서와양, 여론조사 실시 방법(전화 및 면접조사) 및 응답자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보건정책 실행 결정에서 주민의견수렴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이러한 요구를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치마련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reating and conducting a valid and reliable opinion poll survey is not an easy but highly important task, especially when the surveys are to be used as a tool for decision-making to implement local public health programs. In particular, for programs that have low awareness among local residents but may have a major impact on citizens`` life, developing a scientific method to conduct valid and reliable polls becomes more critical. In this study, we took a mixed-methods approach: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2 people and surveys of a semi-experimental design with 1,200 randomly selected respondents. Our analysis showed that local residents`` attitudes and awareness of the water fluoridation programs changed substantially depending on the types, order of presentation, and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Similarly, polling methods and respondent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affect survey results. A high proportion of respondents showed their stro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협력체계 활성화 방안(Ⅱ)

        김경희(Kyung-Hee Kim),김둘순(Dool-Soon Kim),남궁윤영(Yun-Young Namgung),이은경(Eun-Kyoung Lee),김지영(Ji-You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2012년에 시행되면서 대상정책의 범위가 사업뿐 아니라 법령과 계획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2015년에 개정되면서 민관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근거규정이 마련되었고, 그에 따라 지역사회에서는 젠더 거버넌스(gender governan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시행 이후에 16개 시도별로 지역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를 지정하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을 중앙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로 지정하였다. 이는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운영하면서 요구되는 전문가 컨설팅 등을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로부터 지원받기 위한 것이다.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해주는 듯 법이 제정된 이후 150여개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조례를 별도로 제정하였다. 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과제의 수는 법이 시행되기 이전인 2011년에 2,954개였는데 2012년에 14,792개로 크게 증가했고 매년 대상과제 수가 늘어나면서 2015년에 34,258개로 급증했다. 이와 같이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가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이 제도를 수행하는 공무원들이 교육을 받고 분석평가서를 작성하면서 양성평등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가 본래의 목적인 공공정책의 양성평등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정책 행위자들과 소통하면서 정착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과제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시행된 이후 이 제도의 발전성과를 파악하고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제도운영에 관한 의견조사, 분석평가서를 통해서 본 정부기관간 협력, 사례분석을 통해서 본 민관협력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협력체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첫째,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발전성과와 과제를 4가지 측면(법적 기반의 강화와 지역 확산, 대상과제의 확대와 공무원 교육, 정책개선 이행과 환류강화, 분석평가 기관의 지정과 민관협력)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운영에 관해 공무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제도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민관협력을 포함한 협력체계에 관해 전문가 대상의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성별영향분석평가 담당 공무원이 작성한 분석평가서에 대한 재분석을 통해서 정책개선 활성화를 위한 정부기관간의 협력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정책행위자들이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협력했던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민관협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 연구 방법 1) 성별영향분석평가 관련 문헌연구 및 자료분석 2) 분석평가서 및 종합분석보고서의 콘텐츠 분석 3) 전문가 의견조사(FGI) 및 분석 4) 공무원 설문조사 및 분석 5) 협력체계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워킹그룹 운영 6)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 3. 연구 추진체계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중앙 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 연구진이 수행하면서 여성가족부 성별영향평가과 및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또한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성별영향분석평가 담당 공무원, 16개 지역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 연구진 및 컨설턴트들의 의견을 조사해서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또한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제정 이후 이 제도의 발전성과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성별영향분석평가기관 운영에 관한 현황 파악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지원하는 기관의 효과적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를 일반 국민들에게 알리고 이 제도와 관련된 정책 행위자들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성평등한 사회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행을 통해서 나타난 제도운영의 성과를 국내외 홍보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Ⅱ.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발전성과와 과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시행 이후 조례 제정을 통해서 지역의 성별영향분석평가 확산이 두드러졌으며, 성별영향분석평가 대상정책이 법, 계획, 사업으로 확대되면서 대상과제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로 인해 업무담당 공무원이 늘어났고 성별영향분석평가 교육을 받은 공무원 수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GIAA) Act of the Republic of Korea(ROK) in 2012, the range of policies targeted for GIAA has been expanded from programmes to include acts and basic plans of government. Also, following revision in 2015, foundational rules were established to vitalize Public-Private Partnerships(PPP), and accordingly there has been growing attention paid to gender governance at a local level.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MOGEF) has established a Central GIAA Centre and sixteen local GIAA centres nationwide, in order to meet the increased demands for GIAA following the extension in the range of targeted policies. As a result, governance forums which include bureaucrats, gender experts and activists in civil organizations have been regenerated. Given such developm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utcomes of GIAA and seek way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IAA based upon case studie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institutional operation of GIAA and of PPP. Research methods inclu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GIAA, a questionnair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ith researchers of GIAA and users of GIAA consultancy. The current institutional operation and ways for its improvement are identified as follows. Firstly, it appears that in less than ten percent of public bodies is the civil servant position in charge of GIAA filled by someone with expertise in gender issues, and there is a lack of a system to allow the civil servant in charge of GIAA to continue to work in that field for longer than four years. More than 70 percent of all civil servant respondents have said that there is a need to have a civil servant who can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the institutional operation of GIAA. Secondly, those civil servants in charge of GIAA seem to be content with the consulting service provided by consultants affiliated to GIAA. There is a high demand for advice from gender experts, with the survey of civil servants returning a score of 3.84 on a five point scale. Thirdly, asked what they consider as the primary outcomes of GIAA, civil servants have responded as follows: it helps them consider the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recipients (3.63/5); it makes them responsible for the achievement of gender equality of the policy (3.61/5); and, that they can produce and make use of gender-disaggregated statistics (3.38/5). Fourthly, concerning the extent to which the institutional operation of GIAA has contributed to achieving gender equality in our society, respondents scored the options as follows: it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women s represent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3.54/5); it has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socio-economic empowerment for the safety of women and children (3.31/5); and, “it has contributed to lessening gender bias (3.39/5). Method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IAA, identified by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GIAA ordinances,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civil servants, and interviews with researcher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overall strategies. Firstly, the accountability systems which ensure that government bodies implementing GIAA set up gender equality goals and that public bodies get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GIAA need to be strengthened. Secondly, the analyses of ordinances, plans and programmes cover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GIAA Act reveals a need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GIAA at each stage of its institutional operation, including selection of the targeted policy, the writing of reports such as the analysis and assessment paper, the drawing of suggestions for policy improvement, the making of policy feedback, and the monitoring of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