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莫言(모옌) 장편 소설에 드러난 생명력 연구 : ≪豊乳肥臀≫과 ≪檀香刑≫을 중심으로

        안윤경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莫言의 작품 속 등장인물에 대한 기존의 생명력 연구가 생명력의 외부적인 양상에 편향되어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생명력의 근원에 착안한 생명력 연구를 진행하였다. 니체(Nietzsche, Friedrich Wilhelm)는 한 인간이 성장하고 생장하고자하는 생명의 원리를‘힘에 의지’로 명명한 바 있고, 이남인은 인간의 본능을 무의식적인 행동과 의식적인 추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재 정의한 바 있다. 이처럼 인간 본연에는 무언가를 추구하는 힘이 존재하며, 이를 본능이라고 지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본고에서는 생명력을‘한 인간이 자신의 본능에서 비롯된 소중한 가치(들)에 몰두할 때 발생하는 힘’이라고 재 정의하였다. 이러한 생명력의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莫言 작품 속 등장인물의 생명력은 크게 發顯된 생명력과 潛在된 생명력으로 분류되었다. 발현된 생명력은 인물의 원시적인 생명력이나 생에 대한 갈망이라는 기존의 연구와 그 맥을 같이한다. 본고에서는 이들이 몰두하는 가치(들) 즉 생명력의 근원에 주목하여 생명력의 양상을 구체화하였다. 잠재된 생명력은 異形的인 인물들에게서 나타난다. 이들의 이형적인 특징은 본능적인 성격을 가지며, 이들 역시 생명력이 발현된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본능에서 비롯한 가치에 몰두할 때 발생하는 힘을 바탕으로 그들의 인식체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생명력 역시 발현된 생명력과 대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2장에서는 莫言의 문학관을 新歷史主義와 民間的인 태도 그리고 審醜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는 역사를 경험하는 개인에 주목하고,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하나의 국민으로서 창작하고자하며(作爲老百姓寫作), 인간에 대한 보다 진실한 묘사를 위해‘추(醜)함’을 전면적으로 내세운다. 이러한 그의 문학관을 바탕으로 구현된 개성적인 등장인물들은 생명력의 다양성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등장인물들은 人間觀과 倫理觀 그리고 悲劇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복시킨다. 이와 함께 본고의 생명력 연구에 기반이 되는《豊乳肥臀》과《檀香刑》의 창작배경과 문학사적 의의를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발현된 생명력을 自家發散的인 생명력과 自己犧牲的인 생명력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自家發散的인 생명력을 가진 인물들의 경우 이들이 몰두하는 가치가 자신을 향해있는 반면, 自己犧牲的인 생명력을 가진 인물들은 이타적인 가치에 몰두한다. 《豊乳肥臀》과 《檀香刑》속 등장인물들의 성격과 행동을 바탕으로 그들의 본능에서 비롯된 가치(들)을 파악하였고, 등장인물들이 이러한 가치들에 몰두함으로써 발생하는 힘 즉 생명력을 발생과 발현의 단계로 구체화시켰다. 생명력 발현의 단계는 한 인물에게서 발생한 생명력이 타인을 感化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고에서의 감화란 한 인간이 자신의 생명력으로 타인 역시 자신의 본능에서 비롯된 가치(들)에 몰두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감화 받은 정도에 따라 타인은 자신의 생명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한편 잠재된 생명력을 가진 인물들은 발현된 생명력을 가진 인물들과 달리 감화력이 없다. 즉 그들의 생명력은 발생하나 발현되지는 않는다. 4장에서는 이상적인 人間觀과 기존 倫理觀 및 悲劇의 개념이 재인식된다는 점에서 생명력의 顚覆性을 탐구하였다. 이형적인 인물의 등장과 그들의 시각으로 진행되는 서술은 인간 본연에 내재한 추악한 본성을 여과 없이 들춰내고 있으며, 이로써 이상적인 인간관을 해체한다. 또한 인물에 대한 모순적인 묘사로 惡人과 好人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생명력이 발현된 인물들의 행동이 기존의 윤리관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윤리관은 해체된다. 아울러 작품 속 등장인물들이 운명애와 낭만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비극에 대응하는 방식은 비극에 대한 재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莫言의 우연적인 전개방식은 비극적인 상황과 집단으로 형성되는 대립구도와 함께 비극을 한층 완화시킨다. 이러한 생명력 연구는 이론과 실제의 괴리에서 비롯한 이론적 한계를 갖고 있으나, 생명력의 근원이 되는 본능에서 비롯한 가치(들)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고정적인 관념들에 질문을 던지는 하나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이형적인 인물들에 잠재되어있는 생명력에 대한 探究는 기존에 부정적으로만 인식되었던 인물들을 재조명함으로써 생명력이 인간 고유한 특성에 근거하여 다각적으로 연구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對莫言小說人物進行的現有的生命力硏究偏向於生命力的外部狀態。筆者從這個問題意識出發,進行了著眼於生命力根源的的探究。尼采曾經以‘力量意志’的槪念說明了人身具有的對生長或成長的渴望。另一方面,韓國的學者李南麟對人的本能做出了新的定義。根據他的論述,人的本能不僅包括人的無意識行動而且包括人的有意識的追求。在這樣的基礎上,人本身具有的某種追求的欲望可以稱爲本能。本文根據這本能的槪念,把生命力重新定義爲人在投入到出於自身本能的珍貴的價値時發出的力量。 將生命力的定義作爲基礎進行硏究後,筆者發現莫言小說人物的生命力可分爲顯現的生命力和潛在的生命力。顯現的生命力解釋爲原始生命力或對生命的渴望 ,是現有的硏究中存在的槪念。本文從小說中人物投入的價値即生命力的根源出發,分析了生命力的具體形象。潛在的生命力的代表來自於具有異形特征的登場人物,如戀乳的上官金童及具有强烈的殺人意識的趙甲。他們的異形特征具有本能的性質。並且,與具有‘顯現的生命力’的小說人物相比,他們也同樣通過生命力的發生形成他們固有的認知體系。根據這兩個特點,本文主張小說中異形人物的生命力也應該得到認可。 第二章, 從新曆史主義、民間的態度及審醜觀的角度闡述了莫言的文學觀。他關注經驗曆史的個人,並擺脫政治和道德的束縛而盡量作爲老百姓寫作。同時,通過對“醜”的正面描寫做到對人的眞實描寫。一方面,通過他的文學觀體現出的獨特的登場人物的特點給生命力的硏究提供了多角度的硏究方向,另一方面,這樣的小說人物,使大眾的人生觀、倫理觀和對悲劇的態度也有了顚覆性的認識。此外,在本章中還槪括了硏究對象《豊乳肥臀》和《檀香刑》的創作背景及在文學史上的意義。 第三章,在‘自家發散的生命力’和‘自己犧牲的生命力’的兩個層面論述顯現的生命力。帶有‘自家發散的生命力’的人物所投入的價値朝向自己,而帶有‘自己犧牲的生命力’的人物把自己投入到利他的價値中。通過分析《豊乳肥臀》和《檀香刑》中的登場人物的性格及行動,把握出於他們本能的價値,並再次在生命力的發生和顯現的兩個層次分析了他們的生命力。生命力的顯現指的是發生的生命力感化他人的階段。本文中的感化指的是用一個人的生命力影響他人,並使對方能夠進入投入到出於本能的價値的狀態。隨著被感化的程度的不同,對方的生命力也會發生。潛在的生命力與顯現的生命力的區別在於感化力的有無。潛在的生命力沒有感化力,即潛在的生命力不會顯現出來。只發生在登場人物身上。 第四章,具有生命力的小說中的人物提供再認識現有的槪念的視角。本文從理想的人生觀、現有的倫理觀及悲劇的槪念的三個方面論述了生命力的顚覆性。異形人物的登場和從他們的立場進行的敍述提露了人本身具有的醜惡本性,從而理想的人生觀被解體。另外,對小說中人物進行的矛盾的描寫來模糊惡人和好人的定義,顯現生命力的人物的行動與現有的倫理觀並不相符,因此現有的倫理觀也得到解體。與此同時,具有運命愛和浪漫的性格的小說中人物面對悲劇的方式提出一種可以重新認識悲劇的可能性。另外可分析出,莫言作品中的偶然性情節的寫作手法和群體與悲劇之間産生的對立格局緩和悲劇性。 總而言之,由於理論不能完全槪括實際情況,本硏究有著理論層面存在一定局限。但本文從生命力的本能的角度著眼,從生命力的根源進行的生命力探究可成爲向現有的固定觀念提問的奠基石。再加上,本文通過潛在的生命力重新審視了負面人物的特性,從而指出根據人物的不同個性進行多角度生命力分析硏究的必要性。 This paper starts from the notion that the existing life-force study of characters in Moyan’s novels are leaned to exterior aspects rather than inner roots of life. Friedrich Wilhelm Nietzsche once defined principle of life for a person to grow and mature as ‘Willingness to Power’. In addition, Lee Nam-In has redefined the human instinct as a concept which includes both unconscious behaviors and conscious pursuit. Therefore, we can say that human beings are born to have some power to peruse certain things, and this power can be defined as human instinct. Based on those ideas, this paper has redefined the life-force as a power that is produced when a human is immersed in some precious values that are derived from their instincts. According to the research based on this paper’s definition of life-force, life-force of Moyan’s characters can mainly divided by ‘ExpressedLife-force’and‘LatentLife-force’.‘Expressed Life-force’is consistent to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is a primitive life-force or a desire to life. This paper focused and specified on main source of their life-force which are the values they are immersed in. The latent life-force are shown in Moyan’s hetero-typical characters. Their hetero-typical traits are all instinctive. Along with the characters with ‘Expressed Life-force’, their re-cognition is also formulated based on the power that is produced when they are immersed in precious values. Thus, this power can also be equally valued as a form of life-force. Chapter two writes on Moyan’s view on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new historicism, folk attitude and view of anti-aesthetics. Moyan focuses on an individual that experiences a history, and tries to write stories as a people of the nation who tries to get out of the political and moral traps of the society. Finally, Moyan explicitly deals with ‘ugliness’to truly describe a person in his novels. Those unique characters with his views on literature enables studying on diversity of life-force. Those characters subvert the existing perception on human view, ethical belief and tragedy. Along with this, the paper has described the Moyan’s background on writing 《Big Breasts and wide Hips》and《Sandalwood Death》, and their significance on literary history. Chapter three covers ‘Expressed Life-force’from two perspectives which are ‘Self-expressive Life-force’and ‘Self-Sacrificing Life-force’. For those characters with ‘Self-expressive Life-force’, the values they are immersed in are directed to themselves, whereas those with ‘Self-Sacrificing Life-force’focuses on altruistic values. The paper tries to trace the values from their instincts by analyzing the personalities and behaviors of the characters in 《Big Breasts and wide Hips》and《Sandalwood Death》. Also, the paper has specified the life-force, which is a power produced when the characters are immersed in precious values, with the stages of ‘formation’ and ‘expression’. The ‘formation’ stage means a life-force derived from an individual influencing others. Influencing here means to make others also be in a state that can be immersed in their values derived from the instincts. Moreov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nfluence, ‘the others’can also form a life-force. In the meanwhile, those with ‘Latent life-force’ do not have a power to influence like those with ‘Expressed life-force’, which means their life-force can be formed but cannot be expressed. Chapter four covers the subversiveness of life-force in that it re-recognizes the ideal human view, ethical belief and tragedy. Hetero-typical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description from those characters point of view strongly exposes the ‘ugliness’ of the human nature, and thus Moyan deconstructs the existing views on human beings. Also, Moyan dismantles the existing ethical belief by firstly putting in ironic description of human beings and therefore breaks the border between good human beings and bad human beings. He again collapses the traditional ethical belief through putting in characters with ‘Expressed life-force’that would not abide by existing ethical belief. Finally, characters’ways of facing the tragedies with Amor fati and romantic characteristics suggest a possibility of re-recognition on tragedies. Moyan’s plots with coincidence, along with always tries to let the characters face the tragedy with others rather than by oneself largely alleviates the tragedies. Those research on life-force has some limits of theory and practice. However, the paper can be a groundwork to raise a question to the existing stereotypes, in that it has focused on the values derived from the instincts which are the resource of the life-force. Also, research on the life-force of hetero-typical characters sheds a different light on those negatively perceived characters. This in turns proves that a human beings’ life-force can be diversely pondered over based on our unique traits.

      • 제7차 교육과정 영어교과서에 사용된 영시 분석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안윤경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영어 학습으로써 영시교육의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에 수록된 영시들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영시들을 실제 영어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시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동기를 일으키며, 상상력을 자극해 창의력과 사고력 증진에도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언어의 네 기능인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활동의 고른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극히 일부분에서만 장식처럼 수록이 되어 있어, 우리 영어교육현장에서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구성으로 내용을 전개해보았다. 제1장에서 연구의 목적, 범위, 질문, 제한점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문학 작품과 시 작품을 영어교육에 활용했을 때의 장점과 그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 2, 3학년의 영어교과서에 수록된 영시들을 각 학년별, 문화내용별, 구조구문별, 학습 단계별 그리고 언어 기능별로 나누어 분석해 본다. 제4장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앞으로 영시를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부분에서 밝힌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과서에서의 영시자료들과 수업방안들이 실제 교실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영어수업을 통해 영어실력뿐만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 확립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values of poetic texts as English teaching resources in Korean classroom.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details of English poems included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proposed some effective and appropriate methods of teaching English poetry in Korean classroom. Poetic texts stimulate students' motivation, create imagination and develop four integrative skills :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spite of these merits, few English poems and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current English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all English poem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Chapter 2,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basis for using English literary texts and poetic texts in the classroom. The Chapter 3 is the analysis of English poems in High School English, High School EnglishⅠ, and High School EnglishⅡ. In Chapter 4, this study summarizes and suggests the potentially effective ways of teaching English poems in terms of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conclusion, this study hopes that the poetic texts can be more commonly utilized as valuable teaching resources in English classrooms in South Korea. Consequently, more poems should be included in English textbooks, and also more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English poems should be developed with carefully designed plans.

      •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 : 2차 비공식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안윤경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을 우울로부터 보호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차 비공식적 관계망 유형을 분석하고, 도출된 유형의 특성과 유형 간 우울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10,056명)를 활용하였으며, 근거이론으로는 사회적 관계망 모델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2차 비공식적 관계망 유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 analysis)을, 유형 간 특성의 차이는 χ2 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유형에 따른 우울수준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노인의 2차 비공식적 관계망 유형은 서로 확연히 구별되는 4개의 유형 즉, ‘광범위 사교형’(28.8%), ‘사회활동 중심형’(21.4%), ‘저활동 친밀형’(29.2%), ‘제한형’(20.6%)이 도출되었다. ‘광범위 사교형’은 친구, 이웃과의 접촉빈도가 높고, 사회활동 참여가 평균이상이어서, 관계망의 기능이 잘 작용하는 집단이다. 유형 중 노인부부가구 비율이 가장 높고, 학력과 가구총소득이 가장 높으며, 신체적으로 건강한 특성을 가졌다. ‘사회활동 중심형’은 친구, 이웃 접촉빈도는 ‘광범위 사교형’보다 낮지만, 사회활동 참여가 가장 활발하여, 관계망의 기능이 비교적 잘 작용하는 집단이다, 유형 중 연령이 가장 적고, 인지기능이 가장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저활동 친밀형’은 친구, 이웃 접촉빈도는 평균이상이지만, 사회활동 참여가 가장 저조하여, 관계망의 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집단이다. 유형 중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고, 읍면부에 거주할 확률이 높으며, 학력과 가구총소득이 가장 낮았다. ‘제한형’은 친구, 이웃 접촉빈도가 가장 낮고, 사회활동 참여가 저조하여, 관계망의 기능이 매우 떨어지는 집단이다. 유형 중 남성의 비율과 연령이 가장 높고, 동부에 거주할 확률이 높으며, 무엇보다 건강특성이 매우 취약하였다. 둘째, 유형 간 우울수준을 비교한 결과, 광범위 사교형<사회활동 중심형<저활동 친밀형<제한형 순이었으며, ‘제한형’과 ‘저활동 친밀형’의 우울수준은 조사대상자 전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구, 이웃의 접촉빈도와 사회활동 참여는 노인의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2차 비공식적 관계망이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정신건강을 높이며, 자립적인 생활을 도와주므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 부천시 노인복지관과 거점경로당 사례를 중심으로 -

        안윤경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들이 주도적이고 생산적이며 활기찬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들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종속변수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독립변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만족도 영향 요인들인 ‘교육과정과 내용의 적실성’, ‘교육 강사진의 수월성’, ‘교육기관 강의시설 및 환경’, ‘교육과정 운영진의 전문성’ 등 4가지 개념변수로 구성하였다. 연구 가설은 이들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4가지를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는 부천시에 있는 3개 노인복지관과 2016. 7. 4일자로 행정개편이 되면서 기존 3개구 폐지 후 10개 행정복지센터 권역별 10개 거점경로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셨다. 분석결과 노인 문화예술프로그램 만족도 제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중 1순위는 교육과정 운영진의 전문성(β= 0.30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2순위는 교육 강사진의 수월성(β=0.186), 다음으로 교육 강의시설 및 환경(β= 0.135)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과정과 내용의 적실성(β=0.062)은 만족도 제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주민자치센터나 문화재단, 도서관, 평생학습기관등 다양한 곳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노인들이 각각의 프로그램도 참여하고 있는 실정으로 복지관이나 거점 경로당만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기관으로 노인복지관이나 거점경로당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중요도는 의미가 있다. 가설검증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특별시 부천에 걸 맞는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만화나 미디어, 유네스코 지정 문화도시를 지향하는 부천시에 걸 맞는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둘째, 교사, 고위직 공무원 등 베이비부머 퇴직 예정자들을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과정이 입문이나 기초과정이라면 다음 단계, 중급 혹은 고급단계로 넘어 갈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교육기관 환경조성이 필수적이다. 교육기관 환경조성 시 노인복지관도 노인들만의 공간이 아닌 청년, 학생 등 세대가 어울러져 함께 만나고 배우는 장이 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되고 전문성이 검증된 수강생의 경우는 거점 경로당을 통한 강사 기회 제공 등 노인 강사 양성이 필요하다. 끝으로. 변화하는 시대,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개발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교육 및 S/W 에 대한 스마트 교육환경 구축하고,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강사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기대 효과는 추후 노후생활의 풍요로움을 창조하며 활기찬 노년기를 보낼 수 있는 노인 정책을 기획해 집행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이 사회경제적인 주역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함에 있다. Abstract (By Yun Kyoung A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impact factors and suggest their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program’s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 for the elderly (seniors), to whom self initiated, productive, and active quality of life would be provided. To do thi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nd previous studies, the four important factors have been derived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program’s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 for the elderly. They are 1)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and its contents, 2) the excellence of instructors, 3) the lecture facility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centers, and 4)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management team. To testify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 survey samples have been collected from 150 seniors who have been participating the educational program at both 3 senior welfare centers and 10 senior community centers within ten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in Bucheon city. The statistical result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shown as follow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management team(β= 0.306). The second and third ones are the excellence of instructors(β=0.186) and the lecture facility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centers(β=0.135). Finally, the adequacy of the curriculum and its contents does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 for seniors suitable to the Culture-Oriented Bucheon City(cartoon, media, and UNESCO design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ly,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management team should be advanced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for voluntary retired employees such as senior teachers and high level governmental officials, baby boomers’ generation. Thirdly, the lecture facility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centers should be greatly improved for providing learning community to all generations including youth and students with seniors. Fourthly, in regard to the excellence of instructors, the competent students from graduates of the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fairly selected and trained as an instructor. Finally, to cop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FIR), the new contents of educational program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developed and excellent instructors should be cultivated for the understanding of FIR and SW education environment.

      •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 연구

        안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statistical literacy has been emphasized in the face of the future driven by Big Data. In order to develop statistical literacy, beyond simply learning about statistics,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the belief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utilize statistics and recognize its value. Al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positive emotions toward statistics, to regard statistics as not difficult, and to make efforts to learn statistical thinking and skills. Their attitudes toward statistics impact the use of statistical knowledge in daily lives, and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exploration. A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be fully adopted in 2025 offers more choice of subjects to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an choose to obtain a statistics education. In order for high school students to continuously obtain a statistics education and join society as a democratic citizen with statistical literac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attitudes toward statistic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specific perceptions about stat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also sough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relevant variables such a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value of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based on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below. Question 1. What are the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toward statistics? Question 2. What perceptions do high school students have about statistics? Question 3. What is the appropriat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relevant variables such a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value of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The participants of study consisted of 345 students who did not take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course out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general high school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questionnaire used for research consisted of tools to measure latent variables such a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value of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1 and 3. The questionnaire also included open-ended questions on the concept and value of statistics, the reason for emotions toward statistics, and whether and why they chose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 address question 2. Teachers collected the data for six days from November 23 to November 30, 2021. 328 out of 34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retrieved, and 304 copies were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s in question 1,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nalyses on frequency,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as well as independent sample t-test.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s about statistics as in question 2, the R Studio 3.6.3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on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students’ responses, and wordcloud was used for visualization.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in which context the words were used, and the network was visualized based on degree centrality and groups. The study referred to the standard used in Cho Gwang-Hee et al.,(2012) to understand whether and why high school students took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course. And the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for exploratory analysis and description as well as Excel 2013 for data analysis.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relevant variables as in question 3, the AMOS 25.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1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s about value and had positive attitudes about effort and cognitive competence. In contrast, they had neutral or negative attitudes toward difficulty and affect and had the most negative attitude toward interest in statistics. Second,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ffect domain of mathematics. Especi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statistics and value of mathematics and between the cognitive competence in statistics and confidence with mathematics. Moreover,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turned out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Especially, the value of statistics and interest in statistic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Third, as for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found statistics less difficult than male students do. Also,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ect and interest in statistics between students in different grades. First grad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than second graders. In all sub-factor of attitudes toward statistics except for difficul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Students with higher mathematics achievement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Finally,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in statistics depending on the choice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Students who did not choice the course had more interest in statistics than those who did. The main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2 were as follows. First, when asked about the concept of statistics, high school students recalled partial aspects of statistics such as graph, table, average, median, and mode, and considered statistics as an area of mathematics which involves a lot of complicated calculations. Second, students who like statistics answered that out of many topics of mathematics, statistics is easy to understand, helpful for daily life, and interesting in the sense that the information they want can be viewed at a glance. Those who do not like statistics answered that statistics involves a lot of complicated and bothersome calculations and that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mathematics were translated into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statistics since they considered statistics as mathematics. Third, in terms of the value of statistics education provided by schools, students believed statistics is helpful for daily life and future career. Especially, they responded that statistics is necessary when analyzing or interpreting the data related to daily life and when organizing and quantifying the data. Fourth, when select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as a general elective course,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ed the subjects they would be tested 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their future career most and also considered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such as difficulty, interest, affect, and value. The main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3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perly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value of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as the fit of structural model was generally good. Second, while the confidence with mathematics and value of mathematics held by high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statistics, interest in mathematic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Also,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value of mathematics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Third, it was proven that confidence with mathematics and value of mathema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by mediating attitudes toward statistics. Fourth, for the group that selected <Probability and Statistics>, value of mathematics had a direct effect on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In contrast, for the group that did not select <Probability and Statistics>, value of mathematic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Also, while the difference between constrained model and unconstrained model was not significant in multi group analysis (), in the comparison of path coefficient, for the group that selected <Probability and Statistic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had a direct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for the group that did not select <Probability and Statistic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toward statistics are not same as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Second, in order to promote interest and affect in statistics,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address the negative perception about mathematics. Also, rather than the classes focused on calculation, teaching and learning that emphasize relevance with daily life will be helpful. Third, since the concept of statistics held by high school students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previous learning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as well as their experience in daily life, they might have a partial perspective and distorted 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tatistics hel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remedy concept distortion. Fourth, higher value recognition and confidence with mathematics leads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s well as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Fifth, the efforts should be made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the specific value of statistic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affective aspects of statistics education where there was a relative dearth of research, identified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statistics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stablished the appropriat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statistics and relevant variables. Especially, results indicated that the value of mathematics, confidence with mathematics, and attitudes toward stat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atistics learning and career choic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author expects that research on the affective aspects of statistics will continue in line with that on the cognitive aspects about statistics through this study.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통계적 소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통계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통계의 내용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통계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통계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통계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통계를 어렵지 않게 여기며, 통계적 사고와 능력을 배우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통계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 지식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는 것에 영향을 주고, 학생들이 통계 학습을 하고 관련 진로를 탐색하는 것에도 영향을 미친다.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강화되어 고등학생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통계교육을 받을 수 있다. 고등학생이 지속적으로 통계교육을 받고 통계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으로서 사회에 나아가도록 하기 위해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통계에 대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에 대한 태도와 그 관련 변인인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가치인식, 수학에 대한 흥미,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와 그 관련 변인인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가치인식, 수학에 대한 흥미,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 간의 적합한 구조적 관계 모형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중 <확률과 통계>를 학습하지 않은 학생 345명이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지에는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한 통계에 대한 태도,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가치인식, 수학에 대한 흥미,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의 잠재변인별 측정변인 검사도구들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를 위해서 설문지에 개방형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고, 통계의 개념, 통계에 대한 감정의 이유, 통계의 가치, <확률과 통계>과목 선택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1월 23일부터 2021년 11월 30일 6일간 교사들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배부된 총 345부의 설문지 중에 328부가 회수되었고 최종적으로 30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문제 1인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 2의 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R Studio 3.6.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응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를 빈도 분석하였고,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다. 또한 단어가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동시 출현 네트워크분석을 하였고, 네트워크를 연결중심성과 그룹을 바탕으로 시각화하였다. 고등학생의 <확률과 통계>과목 선택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서는 조광희 외(2012)에서 사용된 기준을 참고하였고 서술 통계 방식을 이용하여 탐색적 분석 및 서술을 시도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Excel 2013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3의 통계에 대한 태도와 그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AMOS 25.0 프로그램으로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의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고등학생은 통계에 대한 태도 중 가치에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노력, 인지역량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이도와 감정은 중립적이거나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통계에 대한 흥미에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계에 대한 태도는 수학에 대한 정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통계의 가치와 수학의 가치인식, 통계 인지역량과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에 대한 태도는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통계의 가치, 통계에 대한 흥미가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는 난이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를 더 어렵지 않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따라 통계에 대한 감정, 흥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1학년이 2학년에 비해 통계에 대한 감정과 흥미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를 제외한 통계에 대한 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수학성적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학성적이 높을수록 통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에 대한 흥미에서 <확률과 통계>과목 선택여부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이 선택한 학생들에 비해 통계에 대한 흥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의 주요 결과는 첫째, 고등학생은 통계의 개념으로 그래프, 표, 평균, 중앙값, 최빈값과 같은 통계의 부분적인 내용을 떠올렸고, 통계는 수학 영역 중 하나로 계산이 많고 복잡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둘째, 통계를 좋아하는 집단의 학생들은 통계가 수학 단원 중에서 내용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다고 응답하였고 원하는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흥미로우며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주기 때문에 통계를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통계를 좋아하지 않는 집단의 학생들은 통계는 계산이 많고 복잡하며, 귀찮고, 통계가 수학이라고 생각하여 수학에 대한 부정적 정의가 그대로 이어져 통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학교에서 배운 통계교육의 가치에 있어 학생들은 통계가 일상생활과 미래 직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며 특히, 일상생활에 접하는 자료를 분석하거나 해석할 때, 자료를 정리하고 수치로 나타낼 때 통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고등학생은 일반선택 과목으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할 때 수능 응시과목과 자신의 진로 계열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통계에 대한 난이도, 흥미, 감정, 가치의 통계에 대한 태도도 고려하였다. 연구문제 3의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 수학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가치인식, 수학에 대한 흥미,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설정한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관계가 타당하게 확인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수학의 가치 인식은 통계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수학에 대한 흥미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통계에 대한 태도, 수학의 가치인식은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수학의 가치인식은 통계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집단에서는 수학의 가치인식이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중집단 분석에서 경로 제약 모형과 비제약 모형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경로계수를 비교해보면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집단에서는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통계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태도는 수학에 대한 태도와 같지 않으며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있어 고유의 역할을 가진다. 둘째,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흥미와 감정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정의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과 계산 위주의 수업 보다는 일상생활과 관련성을 보여주는 교수ㆍ학습이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개념은 수학과 이전 통계 학습 및 일상생활의 경험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부분적인 관점, 왜곡된 개념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개념을 확인하고 왜곡된 개념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수학의 가치를 인식할수록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통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고등학생이 통계에 대한 가치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도록 도와야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통계교육의 정의적 측면에 관심을 가지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통계에 대한 태도와 통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통계에 대한 태도와 그 관련 변인 간의 적합한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고등학생의 통계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있어 수학의 가치인식과 수학에 대한 자신감, 통계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통계적 소양 함양을 위한 고등학생의 통계교육이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통계에 대한 태도와 같은 정의적 측면에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앞으로도 통계에 대한 인지적 측면의 연구와 함께 정의적 측면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국내 체류 아프리카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종교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윤경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거주 외국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어려움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 중에서도 아프리카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국내 거주 아프리카인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이 갖는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종교적 지지가 갖는 조절 역할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각 변인들을 심리학적 관점과 기독교상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ASSIS), 삶의 만족도 척도(SWLS), 우울 척도(CES-D), 사회적 지지 척도(MSPSS), 종교적지지 척도(RSS)를 선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기독교 아프리카인 16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해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교적 지지의 조졀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교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아프리카인들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그리고 우울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종교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체류 아프리카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와 종교적 지지를 아프리카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종교적 상황적 특수성과 연결시켜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논의에서 연구의 기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고 기독교상담적 제언을 상담적, 교회적, 선교적 관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As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the Acculturativ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oreigners staying in Korea are appearing in various forms in Korean society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in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Africans living in Korea, focusing on Africans among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and religious support. This study examines each of the variables from the psychological and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s. For the measurement,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ASSI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and Religious Support Scale(RSS) were selected and the reasons explain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0 Christian Africans over 20 years of age who currently reside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Social support also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cculturativ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ation of depress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support on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ation, religious suppor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ation of depression was also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Acculturative stress,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religious support on Africans with little previous research. It is also meaningful to examine the social and religious support experienced by Africans living in Korea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and religious contextuality experienced by Africans. This study present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in the discussion, and presents the Christian counseling suggestions divided into counseling, ecclesia, and missionary perspectives,

      • 16세기 여성종교개혁자 카타리나 쉬츠 젤의 정체성 연구

        안윤경 장로회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은 사회적, 교회적으로 크고 작은 변화를 끌어냈으며, 이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중대한 사건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종교개혁의 역사는 주로 남성들의 시각에 의하여 기록되고 읽혀져 왔기에 종교개혁을 통해 새로운 삶을 살게 된 여성들의 이야기는 숨겨져 왔다. 더불어, ‘여성종교개혁가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필자는 16세기 종교개혁을 적극적으로 경험하고 응답하는 삶을 살았던 카타리나 쉬츠 젤이라는 여성종교개혁가를 소개하고자 했다. 먼저, 본 논문은 카타리나가 종교개혁 초기에 여성으로써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고 주체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정립해 나갔는지를 16세기의 역사적 맥락에 위치시켜 고찰했다. 또한, 카타리나의 작품인 『남편 마태우스 젤을 위한 카타리나 쉬츠 젤의 변호』(Apologia for Matthew Zell, 1524)와 『남편 마태우스 젤의 무덤 앞에 있는 사람들에게 드리는 카타리나 쉬츠 젤의 애가와 권고』(Lament and Exortation of Katharina Zell to the People at the Grave of Master Matthew Zell, 1548)의 분석을 통해 그녀의 신학의 주요 주장들과 특징들을 연구하고, 왜 그녀가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로 여겨질 수 있는 지를 고찰했다. 이를 통해, 평신도 여성이었던 카타리나가 사제와 결혼한 것이 사회적, 종교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카타리나는 사제와의 결혼을 당당히 밝힘으로써 종교개혁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능동적 주체로 개혁운동에 앞장섰던 카타리나 쉬츠 젤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여성들 역시 남성 개혁자들에 비해 영향력은 다소 제한되기는 했지만, 종교 개혁에 주체적으로 참여해 목소리를 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 사역자들에게 여성이자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으로서 각자 속한 곳에서 어떤 목소리를 내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한다. 주제어(키워드) 카타리나 쉬츠 젤, 마태우스 젤, 여성종교개혁자, 사제의 결혼, 여성 사역자

      • 취업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안윤경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도의 경제 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으로 여성의 취업률도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기혼 여성의 취업률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혼 여성의 사회 진출로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는 문제는 직업적 역할과 가정내 역할 수행의 문제로 인한 역할 구조의 이중성인데 그중에서도 취업모는 어머니의 역할을 가장 중시하고 있다. 어머니의 취업으로 인한 부재는 교육적 기능과 인성교육의 부족으로 청소년 비행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부정적인 견해들이 있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취업모의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취업모와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인성에 관한 기존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북부지역과 서울시 강북지역에서 5세부터 10세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2003년 11월 3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설문지 150부를 1차 배포하여 138부를 회수(회수율=92%)하였다. 이 중 분석대상에 해당되는 유효응답은 113부로서 25부가 응답불량(불량률=18.1%)으로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2차적으로 2003년 11월 28일부터 12월 8일까지 설문지 120부를 배포하여 105부를 회수(회수율=87.5%)하였다. 이 중 분석대상에 해당하는 유효응답은 99부로서 6부가 응답불량(불량률=5.71%)으로 분석에서 제외되어 총 270부의 설문지중 212부가 유효응답으로 나타났으므로 212부를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취업모의 직업은 학습지교사 및 학원강사가 59명(27.8%), 보험설계사20명(9.4%), 판매서비스직 81명(38.2%), 간호사 14명(6.6%), 전문직 14명(6.6%), 공무원 8명(3.8%), 일반사무직 16명(7.5%)이었다. 취업모의 양육태도가 그 자녀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자료분석은 SPSS(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T-TEST에 의해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자료는 SPSS(11.5)에 의해 통계처리 되었으며, 개인적인 특성과 어머니가 취업을 하는것에 대한 찬성, 반대 질문과 직업 만족도와 관련한 인구학적 분포는 빈도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취업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인성에 관해서는 1차적으로 취업모의 단순 양육태도와 아동의 인성에 관해서는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2차적으로 취업모의 복합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인성에 관해서는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모의 단순 양육태도 즉 수용적, 구속적, 방임적, 거부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안정적, 불안정적, 능동적, 수동적 인성에 대한 차이비교는 T-TEST에 의해 이루어졌다. 2차적으로 취업모의 복합적 양육태도와 아동의 인성에 관해서는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거부적 양육태도에 비해 아동의 안정적 인성 형성에 더 영향을 주었다. 즉 취업모가 아동의 조금 터무니 없거나 사소한 말도 받아 들여주고, 큰 실수도 용서해 주고, 자녀의 의견도 존중해 주고, 자녀의 애정 표현이 귀찮더라도 받아줄 경우 아동은 말이나 행동이 대체적으로 차분하며 주위가 산만하지 않고 안정 되어 있으며 공부나 놀이를 할때 끈기있게 오래하는 안정된 인성을 형성하였다. 둘째, 취업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거부적 양육태도에 비해 아동의 능동적 인성 형성에 더 영향을 주었다. 즉 취업모가 아동의 조금 터무니 없거나 사소한 말도 받아 들여주고, 큰 실수도 용서해 주고, 자녀의 의견도 존중해 주고, 자녀의 애정 표현이 귀찮더라도 받아줄 경우 아동은 대부분의 일들을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하는 편이고 친구들과 놀이를 할때 주도 하는 편이며, 어머니가 입으라는 옷보다 자기가 입고 싶어하는 옷을 입는 편이고 새로운 상황에서도 잘 적응하는 능동적인 인성을 형성하였다. 셋째, 취업모의 구속적 양육태도는 방임적 양육태도에 비해 아동의 불안정적 인성 형성에 더 영향을 주었다. 즉 아동이 말을 듣지 않을 경우 체벌을 하거나, 학습적인 교육을 강압적으로 시키고,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게 굴면 구속하고 반항하면 혼낼 경우, 아동은 말이나 행동, 주위가 산만하며 공부나 놀이를 할때 끈기있게 오래하지 못하고 항상 분주하게 움직이는 불안정적인 인성을 형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