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기업 장애인근로자의 근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별 특성 및 지원종류에 대한 연구

        김라경(RahKyung Kim) 대한경영학회 2021 大韓經營學會誌 Vol.3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의 근무환경과 장애인근로자들의 근무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근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별 특성과 지원종류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기업에 근무하는 총 165명의 장애인근로자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평균, 분산, 빈도, 백분율), 독립표본 T검증 및 분산분석(ANOVA),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장애인근로자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근무만족도는 보통이상의 만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근로자의 개별적인 특성인 성별이나 장애정도에 따른 근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라서 근무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발달장애를 가진 근로자들이 다른 유형의 장애를 가진 근로자에 비하여 보수와 수당 면에서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체장애를 가진 근로자들이 다른 장애유형의 장애인근로자에 비하여 동료근로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기업에서의 근무형태(상용근로자 및 임시·일용근로)와 현 직장 근무기간에 따른 근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회적기업의 지원의 종류 중 근무환경(장애인 편의시설, 작업장 환경)개선지원, 직업생활 및 고충처리 상담지원, 기숙사지원은 장애인근로자의 전체 근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기업은 장애인근로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유익한 일자리로써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으며, 근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근로자의 개별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근무환경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과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and to find ou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upport that affect their work satisfaction. A total of 165 employee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e.g. mean, frequency, percentage) and inferential statistics(e.g. T-test, ANOV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work satisfaction level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social enterprises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degree of disabilities, employment period, and types of jobs(regular or temporary/daily workers).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in terms of remuneration and allowance than workers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relationships with fellow workers than workers with other disabil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support systems such as improvement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counseling and consultation, and dormitor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ocial enterprises have the potential to provide quality jobs to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effective policies and support need to be prepar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ailored to individual needs to increase work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ithin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과 자기결정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라경 ( Kim Rahkyung ),장세영 ( Jang Se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성별, 장애유형, 장애정도 등과 같은 고정적인 요인을 통제한 후 대학지원에 대한 만족과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이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장애학생지원센터의 담당자를 통하여 온라인형식으로 작성된 설문을 의뢰한 결과 장애대학생 236명이 응답하였고 이 중 응답 중 분석 가능한 194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와 장애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장애정도, 장애종류, 경제상태)을 통제변수로 사용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장애대학생의 대학지원만족에서는 장애학생지원센터를 통한 교수학습지원, 학습보조도구 및 학습도우미 지원, 수업등록 지원과 같은 교수학습과 자기결정성 중에서는 유능성과 관계성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서 유능성은 대학생활 중 습득한 기술과 형상된 능력을 통하여 자신감을 고취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고, 관계성이 높을수록 교우관계 및 대인관계에서 긍정적 효과를 통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대학이 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교수학습을 지원한다면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학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focused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upport and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fter controlling fixed factors such as gender, types of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After creating an online surve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isseminating it through the staff of the Disability Support Center, a total of 236 responses were received, of which, 194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controlling fo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In the area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support, teaching-lear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area of self-determination, compet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 their self-confidence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kills, abilities, and companionship. Additionally, if a university supported appropriat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lso improved. We compared the above results with those from previous studies and discussed ways for successful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Improving Educational Outcome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lication of the Illinois Work and Well-Being Model : 일리노이 진로-웰빙(Illinois Work Well-Being) 모형을 활용한 장애대학생 교육성과 증진 방안

        김라경(Rahkyung Kim),Chelsea E. Greco,David R. Strauser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선행연구에서 중등이후의 고등교육이 장애인고용에 있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장애대학생이 대학교육 이후 고용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이어주는 진로-직업 모형이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리노이 진로-웰빙 모형을 소개하여 장애대학생의 진로와 직업을 개발하고, 이들의 대학교육 이후 고용서비스로 연계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데 있다. 본 모형의 주축을 이루는 3가지 ‘개념(Contextual)’, ‘진로발달(Career Development)’, ‘참여(Participation)’ 영역과 이 3가지 영역과 연관된 요소(factors)들을 소개하고, 개인의 장애가 사회적 환경에 의해 발생되는 요인들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장애대학생들의 국제기능, 장애, 및 건강분류((ICF)를 바탕으로 한 가정, 직장, 사회, 지역사회 등의 참여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대학생 취업과 진로발달에 있어 재활서비스 및 정책 및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Research suggests that postsecondary education positively impacts the employment outcom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career model supports to facilitate transition to employment for this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llinois Work and Well-Being Model as a multi-domain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guide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ervice and research regard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utilized and explained to develop a theoretical based conceptual model. The model’s contextual, career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domains and associated factors are introduced and synthesized. Interaction of contextual and career development domains to facilitate Participation domains in the areas of home, work, society and community are emphasized in the model. Future research need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은경(Kim, Eun Gyeong),김라경(Kim, RahKy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여 AAC 중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대상은 총 25편으로 대화상대자를 연구한 6편의 논문과 AAC 사용자에 대해 연구한 19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연구의 일반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실험환경, AAC중재, 실험절차, 측정도구 및 방법,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결과, 유지 및 일반화 10가지의 변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들이 질적 기준을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 알아보기 위해 Horner 외 5명의 연구자(2005)가 제시한 7가지 질적 지표를 사용하였으며, AAC 중재의 전체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한 결과 AAC 중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메타분석결과는 단일대상연구와 집단연구 각각 AAC 중재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상아동의 학년이나 AAC 중재 도구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정한 논문 25편 중 7가지 질적 지표를 모두 만족시키는 연구는 5편 밖에 되지 않았다. 향후 AAC 중재로 실험연구를 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등 질적 지표를 고려한 중재를 수행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중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reviews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13 to identify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on competency in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25 journal articles (6 AAC listeners and 19 AAC users) were analyzed using: (1)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 the 7 quality indicators for evaluating single-subject research results for documenting evidence-based practices as suggested by Horner et al. (2005), and (3) a meta-analysis. The 10 variable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are: study subjects, experimental setting, AAC intervention, experimental procedure, measurement tools and methods, reliability among observers,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fidelity, results, and maintaining and general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AAC intervent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meta-analysis shows that AAC intervention improved communication ability in both single-subject studies and group-subject studies. However, only five out of 25 articles meet all standards of the 7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offer powerful and useful methods for improving the practices that benefi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more systematic AAC intervention that satisfies the quality indicators is required.

      • KCI등재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검사 개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김은삼(Eunsam Kim),김라경(Rahkyung Kim),안예지(Yeji An),이정은(Chungeun Lee),이현주(Hyunjoo Lee),이미지(Miji Le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청소년의 진로탐색에 필요한 능력, 태도, 행동을 평가하는 진로성숙도검사 도구를 개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진로성숙도검사 예비 문항을 도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진로성숙 관련 문헌 및 검사도구 27종을 분석하고 초점집단인터뷰조사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3개 대영역, 10개 하위영역, 103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발달장애학생 진로 및 직업교육, 검사도구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특수교사 및 교수, 장애인고용공단 평가사 등 21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 검사도구의 대영역, 하위영역, 각 문항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별 중요도, 적합도, 수렴도, 합의도, CVR, 질적 의견 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삭제, 수정, 통합, 이동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검사 도구는 진로능력, 진로태도, 진로행동이라는 3개 대영역 및 9개 하위영역, 총 70문항으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전공과와 대학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진로성숙도검사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validate preliminary item to revise a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for youth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career maturity-related literature and 22 tools were analyzed and based on opinion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3 domain, 10 sub-domain , 103 items were develope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wo rounds with 21 expertise who ha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oo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mportance, suitability, convergence, consensus, CVR, and qualitative opinions of each item were review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areer maturity measurement tool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as proposed in three domain, nine sub-domain, and a total of 70 ite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informa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developing a career maturity tool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post-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학급 중도중복장애학생 의료컨설팅 사례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한형욱(Hyeong-Wook Han),김라경(RahKyung Kim),김재형(Jae-Hyung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광역시 지역에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일반학급 및 중도중복장애학급)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의료 컨설팅 프로그램의 과정과 결과를 조사하고 일반학교 내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의료적 지원의 요구 상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의료 컨설팅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개선할 점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자 하였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30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방문의료컨설팅과 병원 방문 진료하였으며, 학생의 기능적 상태와 의학적 상태에 대해 평가하였다. 학교 방문 결과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중도중복장애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신체검사, 기초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을 실시했다. 학교방문의료컨설팅 결과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 모두가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며, 거의 모든 일상생활 동작에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였다. 병원방문컨설팅 결과 대부분 심한 기능장애와 함께 최소 1개 이상의 내외과적 질환을 앓고 있거나, 추가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였다. 연구결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은 다양한 의료적 지원과 건강관리지원이 요구되었다.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통합된 서비스를 통한 효율적인 의료 컨설팅 시스템 구축과 학생들을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적인 관리할 수 있는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a medical consulting program conducted for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enrolled in special classes of general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o find out their medical conditions and needs of medical service. The successful and effective medical consult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was recommended. For this purpose, from March 2018 to December 2019,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enrolled in special classes at general schools were treated with school-visit and hospital visit medical consulting programs, and their functional and medical conditions of the students were evaluated. Physical examinations, basic blood tests, and imaging tests were conducted on 20 stud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isabilities who needed additional tests as a result of their school visit. All students in special classes were unable to walk, and almost all daily activities required the help of others. As a result of hospital visit consulting, most of the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y suffered from at least one internal or external disease along with severe functional impairment, or needed additional examination and medical treatment.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interagency collaboration with various services that exist in the local community and provision of efficient medical consulting system through service integration were needed,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continuously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was discussed.

      • KCI등재

        국내 다문화가정 아동대상의 언어중재관련 문헌분석 연구

        장세영 ( Jang Seyoung ),김라경 ( Kim Rahky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국내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언어중재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방법] 선정된 논문의 연구 동향은 연구실시연도/학술지명, 실험설계, 대상자 정보, 회기, 측정 도구, 독립변인, 종속 변인 총 7개의 영역에서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특수교육 분야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CEC(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14 지표 중 단일대상연구 질적지표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국내연구 동향은 연구설계 방법은 집단연구가 단일대상연구의 2배 정도 되었으며 4~6세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를 중심으로 한 유치원이나 어린이 집 또는 학교 교실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주로 중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회기 빈도는 15~19회기 사이(3개월 미만)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직접 제공하거나 아동의 담당교사가 제공한 중재가 대부분이었다. 언어적 촉진을 사용한 어휘에 대한 중재가 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중재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 평가도구는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CEC 질적지표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적타당도와 중재 충실도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인다. [결론]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언어 중재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ent trends in language intervention research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evaluated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 A total of 16 papers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year. [Method] The research trends of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in seven areas: publication year/journal name, experimental design, subject information, sessions, measurement tool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stud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indicator of the single-target study among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2014 indicators for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Results] First,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shows that the study design method is about twice as large as the single study and the intervention was mainly conduct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day care centers, or school classrooms centered on play for children aged 4-6 years. The frequency of interventions was extensively studied between 15 and 19 sessions (less than 3 months), and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by the researcher or by the child's teacher. More than half of the interventions used in verbal facilitation were used, a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ale (PRES) was the most commonly used assessment tool. Second,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CEC qualitative indicators shows that social validity and mediation fidelity are very low compared to other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on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scussion on language intervention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경기지역 소방공무원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경향분석

        김사라(Sa rah Kim),김라경(RahKy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인구학적 통계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실태현황에 대한 경향분석을 통해 어떤 변인이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예측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1,980명을 대상으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증상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진단율은 16.4%로 일반인들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 유병율 1.6%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집단은 비외상후스트레스장애(non-PTSD)집단에 비해 성별, 연령, 혼인관계, 근무년차, 현재직무,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집단이 높았고, 직무별로는 구급대원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PTS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tatistics of firefight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dicting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f firefighters. For this purpose, 1,980 firefightersworking in the Gyeonggi area were measured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TSD symptoms. First, the rate of diagnosis of TSD) was 16.4%, which is higher than the prevalence of PTSD of 1.6% in the general public. Second, PTS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ge, marital relationship, year of work, present job, and type of work compared to Non–PTSD group. The PTS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men. In terms of job tasks, firefighters who work in emergency service have higher PTSD group than others..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s the ground data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firefighters, and suggests a follow–up study for th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