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24개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신념 및 신념에 따른 양육 실제

        안예슬(Ye Seul Ahn),김교령(Kyo Ryoung Kim),이승연(Seung Yeon Lee)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4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mothers’ beliefs about infants and their practices. Methods: As a qualitativ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1 mothers and their 18-24 month old inf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Results: The participants’ maternal beliefs about infants were contrasted in terms of infants’ abilities and respect for infants. First, the mothers that perceived infants as competent beings, believed that infants can understand daily routine, communicate and empathize, and concentrate. On the contrary, the mothers that perceived infants as incapable beings, believed that infants lack the understanding of daily routine and the abilities of communication, empathy, and concentration. Second, the mothers that perceived infants as subjective beings, respected their infants, and their infants’ opinions when making decisions.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that perceived infants as objective beings, believed that infants should be led by adults and their opinions as not being very important. Third, their maternal beliefs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ir practices. Conclusion/Implications: Since maternal beliefs about infants turn out to be significant in mothers’ thoughts and practices with their infants,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maternal beliefs about infants and support them to have more positive beliefs.

      • KCI등재후보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안예슬(Ahn Ye-Seul),김 희(Kim He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4

        목적 : 본 연구는 수공예활동을 이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 사전-사후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사전검사 1회, 중재 10회, 사후 검사 1회로 총 12회기로 주 2회 6주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n for Korean: MMSE-K)와 일상생활평가로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thel Index: K-MBI)와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였고, 삶의 질 평가는 한국판 세계 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EF: WHOQOL-BREF)를 중재 전·후에 시행하였다. 기술통계와 비 모수 통계를 이용하여 결과분석을 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 사후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 부분에서 K-MBI의 점수 증진은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COPM은 실험군에서만 수행도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 대조군 모두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WHOQOL-BREF에서 실험군에서 실험 전·후 및 집단 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수공예활동을 적용한 그룹 작업치료 중재프로그램이 작업수행능력과 삶의 질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of arts and craft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outpatients after a stroke. Methods: Using an experimental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e conducted the following with ten participants diagnosed with stroke: one retest session, 10 intervention sessions, and one posttest session. MMSE-K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COPM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WHOQOL-BRE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scores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nonparametric statistics.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test-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MBI score improvement in term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M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HOQUP-BREF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well a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n arts and craft group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Although an arts and craft group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appears to be a promising approac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se finding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학급에서의 경험

        안예슬(Ahn, Ye Seul),엄정애(Jung Ae Oh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가 학급에서 공정성에 대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 공사립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중 3명의 학급을 참여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공정성을 우리 사회의 기본이어야 하는 것, 그 때 그 때 달라 어려운 것, 모두 동등하지만 동등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학급에서의 경험은 크게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으로 나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가 공정성을 판단하는 상황은 또래갈등 상황, 특별한 기회 부여 상황, 학급 내 의사결정 상황, 대집단 활동으로서의 게임 상황이었다. 교사들은 학급에서 수시로 공정성을 판단하고 있었지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교사의 공정한 판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가치 판단의 딜레마, 교사의 선입견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상황의 다양성, 학부모의 요구와 같은 상황적 요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공정성을 중요하게 여겨 학급의 공정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학급 내 모든 유아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찾기, 학급에서 도움이 보다 필요한 유아를 우선 배려하기, 소수 의견 존중하기, 교사의 권위를 최소화하기, 자기반성하기가 그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justice in-depth and experiences about justice in clas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5-year-old clas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ith the educational career more than 3 years. Interview w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the secondary method of this research.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justice as ‘the basic of the society’, ‘the difficult thing because of its flexibility’, and ‘equal but not equal’. Teachers believed that the justice is very important value in the society. In addition, teachers consider justice in class important because they believed that justice in class is the starting point of justice in the society. Second, teachers’s experiences were consisted of the situations that teachers judge justice, the factors that makes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and the efforts that teachers do for the justice in the class. The situations teachers judge justice was peer conflict, giving special opportunity, make a decision in the class, and game as large group activity. There were some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Individual factors were dilemma over value judgement and prejudice of their own. Situational factors were diversity of situations, and the demand of a child’s parents. Although there was factors that make teachers difficult to judge justice, teachers were making effort for the justice in class. Such efforts were finding the way that every child participate equally, considering children in special needs first, respecting a minority opinion, minimizing their own authority, and self-reflection.

      • KCI등재

        학급 맥락 내 공정성에 대한 유아의 생각

        안예슬 ( Ahn Ye Seu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학급 맥락 내 공정성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유아의 목소리를 통해 심층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의 A대학 부속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77명(만 4세 35명, 만 5세 42명)이었다.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소집단 형태의 포커스 그룹 면담이었다. 예비연구에서 연구도구인 에피소드를 수정 및 보완하였고, 본연구에서 에피소드를 활용하여 소집단면담을 실시하고 추가로 개별면담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학급 맥락 내 공정성에 대한 생각은 동등한 것,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것, 서로 동의할 수 있는 것, 상대방이 잘못했을 때 사과받는 것, 도움이 보다 필요한 사람이 더 많은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생각은 공정성 구성요인 전반을 포괄하고 있었고, 유아들은 공정성 판단 시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평등 또는 형평을 강조하여 공정성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는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주체임이 드러났으며, 이를 토대로 교사는 공정한 학급을 만들고 유아기 공정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실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fairness in a class contex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77 children (35 4-year-olds, 42 5-years-olds) enrolled in a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Seoul.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was focus group interviews in the form of small groups targeting young children.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episode as a research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n, small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the episode, and additional individual interview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fairness in a classroom context were expressed as follows: equal things, what they want to do, what they can agree with each other, being apologized when the other person did something wrong, and getting more help from those who need it more than others. It turned out that children's thoughts encompassed the overall aspects of fairness, children considered the emotional aspect when judging fairness, and they emphasized equality or equi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dicating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fairnes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young children are the subjects who a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Consequently, teachers should be involved educational practice to create fair classes and promote fairness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탐색

        김교령(Kim, Kyo Ryoung),안예슬(Ahn, Ye Seul),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0

        본 연구는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에 대해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이후 세분화된 부모지원을 위한 자료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24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 요인, 가족 요인, 사회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개인 요인은 성장경험, 양육관,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특성에 대한 관점으로, 가족 요인은 부부관계, 가족의 지지로, 사회 요인은 사회의 영아관, 모성과 양육에 대한 사회의 관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은 어머니의 양육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요인에 대한 부분적이고 분절된 정책 지원 외에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사회에서 영아, 모성, 양육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어갈 필요성과, 어머니 중심의 양육에서 벗어나 부모, 가족, 사회가 함께하는 양육으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enting of mothers of rearing 18-24 month firstborn infa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mothers" parenting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tailed parent suppor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mothers with their firstborn infants aged 18-24 months, and the data were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influencing mother"s parenting were largely divided into mother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 mother factors included their own growth history, perspective on parenting, parenting stress, and perspective on the infant’s characteristics; the family factors included their marital relationship and family support; and the social factors included the society"s perspective on the infant, and on motherhood and child rearing. In addition, each factor organically influenced the mother"s parenting, working in a complex way. These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mothers’ parenting rather than partial policy support for each factor. It also shows the need to create a culture that understands and considers infants, mothers, and parenting in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significance of moving from mother-centered parenting to co-parenting with father, family, and society together.

      • KCI등재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들의 직업 선택 요인 및 교직 선택 동기

        유한나(Hanna Yoo),안예슬(Ye Seul Ah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Z세대인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들의 직업 선택 요인과 교직 선택 동기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재학생 75명이었으며,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유형적 분석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들의 직업 선택 요인을 빈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적성, 수입, 흥미, 보람ㆍ자아실현, 근무환경, 기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들의 교직 선택 동기는 크게 교직 선택 동기가 있는 경우와 교직 선택 동기가 결여된 경우로 나누어졌다. 구체적으로 교직 선택 동기는 유아에 대한 애정, 적성, 어린 시절 꿈, 개인적 경험과 같은 내재적 동기, 사회 기여, 보람과 같은 이타적 동기, 성적, 교직의 안정성, 주변 권유, 업무 특성과 같은 외재적 동기였고, 교직 선택 결여 동기는 적성, 흥미와 같은 내재적 동기, 사회적 변화, 근무조건과 같은 외재적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 지도 및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career selection factors were for first-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f Generation Z and what their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was lik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5 first-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oul and Gyeonggi.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yp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election factors of the students, in order of frequency, were found to be aptitude, income, interest, reward/self-actualization, work environment, and others. Second, the motivation of the students to choose a teaching profession was largely divided into those who had motivation to choose a teaching profession and those who lacked motivation to choose a teaching profession. Specifically,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is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affection for children, aptitude, childhood dreams, and personal experience, altruistic motivation such as social contribution and reward, and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grades, stabil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recommendation from people, and work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lack of teaching profession was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aptitude and interest, and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social change and working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