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Levinas 타자의 타자성이 환경교육에 주는 함의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1

        This research purpose is to try to find environmental education meaning through Levinas’s the Other. Until now environmental education usually has based upon ecocentrism, but this has not suggested the proper alterative and educational principal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We have to dissolve the dichotomize boundary between anthropocentrism and ecocentrism that separate human being as the other being from nature. This research suggests Levinas’s the Other as new environmental philosophy. Levians criticizes that subject-centered-philosophy cause cruel violence and war by human. Levinas blames the subject-centered-philosophy for that it makes subject to see the Other as the target of a competition or use and he emphasizes Levinas’s the Other to enter into relation with the Other. Levinas’s the Other is absolutely alterity, and extremity as enjoyment. The Other expresses his face. His face in which his epiphany appeals to me for response to and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the alteri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ceptualized as followed. First, there is environmental view toward the Other. Environmental view toward the Other aims at uniqueness and sanctity. At the final decision an important matter is not the subject but the Other, environment. Second, there is educational principal in response to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needs to suggest principal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not to stick in one’s heels. Third, there is pedagogical responsibility. Environmental education needs to include pedagogical responsibility to get out of the subject-centered-philosophy to see the face of Other and call the many Other forgotten.

      • KCI등재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탐색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3

        본 연구는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 개정안에서 도입된 환경 역량을 이해 및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에서 역량을 도입하게 된 취지와 환경 교육과정 문서체계에 나타난 환경 교과 핵심 역량에 대한 특징과 종류를 살펴본 다음, 각 지역사회와 학교 수준에서 학생들의 역량 함양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성격, 목표, 내용과 성취기준,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서 환경 역량을 구체적으로 넣고자 하였다. 특히 성취기준은 내용과 기능이 결합한 형태로 환경 교과 핵심 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담겨 있었다. 앞으로 환경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학교, 교사, 학생 단위에서 함양되도록 환경 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환경 교과 내용의 핵심 개념의 명료화 및 계열화, 환경 핵심역량이 각 지역사회와 학교 수업에서 구현되기 위한 보편성과 일반화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또, 핵심 역량과 환경 내용이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교육과정 실행 구조에 대한 연구, 실제 환경 문제 상황을 어떻게 교실 상황에 끌어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 등이 후속 연구로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remind and discuss environmental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reviews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major featur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he ‘Environment’ subject and explores the issues that should be included for development of these competencies at the level of the school and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subject implicates concrete competencies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bject,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Specifically,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stated as conjunctive forms both with the content and skills for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Through this effort, the curriculum suggests strong pedagogical implication as aspect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an exploration such as clarification and sequencing in key environmental knowledge for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as well as universality and generalization fo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through the environment class.

      • KCI등재

        BLDC 고속 센서리스 구동의 ZCP 추정 오차 저감을 위한 Programmable Low Pass Filter 설계

        서은정(Eunjeong Seo),이강석(Kangseok Lee),이우택(Wootaik Lee) 대한전기학회 2014 전기학회논문지 Vol.63 No.1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method of programmable low pass filter(PLPF) which reduce an estimation error of a zero crossing point(ZCP) for a high speed brushless DC(BLDC) motor drive. BLDC motor sensorless drive is possible by estimation of ZCP. The ZCP estimated by detecting a change of back-EMF polarity has the estimation error because noises exist on the measured back-EMF. Therefore a calculated commutation timing using the ZCP is inaccurate. And the inexact commutation timing leads to ripples of 3-phase current and degradation of drive performance.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method of the PLPF to overcome these problems. First, a speed calculated a inaccurate period of the ZCP is analyzed in the frequency domain. Then, the PLPF that has varying cut-off frequency according to change of the speed is design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the experiment.

      • 남북한의 개미 속담 분석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개미 속담 분석을 통해 남북한의 지칭적 문화의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개미속담 의미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구현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개미 속담을 통한 남한과 북한의 문화상호 비교의 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남한과 북한의 대응 속담 유형을 개미 자체에 대한 문자적 의미와 개미를 통한 비유적 의미를 중심으로 긍정적 가치(+)와 부정적 가치(—)로 나누어 분석하기로 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남한의 『한국의 속담 대사전』(정종진, 2006), 북한의 『조선 속담 대사전 1,2』(과학백과사전출판사편집부, 2013)로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남북한에서 발견된 개미에 대한 동일한 속담은 남북한이 한국이라는 한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개미 속담은 남북한 모두 서민의 삶과 밀접하게 닿아 있었다. 개미 모습에게서 인간을 인간의 욕심, 무모함, 무분별함, 덧없음 등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알뜰히 모아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개미를 통해 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남북한 모두 개미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보다 부정적인 가치를 더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특히 개미의 크기와 관계가 깊었다. 둘째, 남한과 북한은 각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 남한의 경우, 북한보다 개미 속담에서 개미와 관련된 명사, 형용사, 부사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한이 북한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개미와 관련되어 풍부한 어휘가 사용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북한의 경우, 개미떼에 대한 속담이 남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고, 어휘의 꾸밈이 단조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환된 산모에서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Holt-Oram 증후군

        서은정 ( Eun Jung Seo ),김광준 ( Gwang Jun Kim ),손문성 ( Mun Seong Son ),이의돈 ( Eui Do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2

        The Holt-Oram syndrome or cardiomelic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the association of upper limb and heart malformations. Most frequently, abnormalities of the thumb an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s are associated with the disease. The mode of inherit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Robottom과 Hart의 환경교육 관점 고찰 및 환경교육 과정 관점 제안

        서은정(Eun-Jung Seo)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1

        Robottom과 Hart의 환경교육 연구 관점은 환경교육과정이 분석되고, 환경교육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데 기여하는 등 환경교육의 흐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Robottom과 Hart(1993)의 환경교육 관점과 Lucas(1972)의 환경교육 영역(또는 목적)을 결합시킨 부분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Robottom과 Hart가 제시한 환경교육 연구 관점을 환경교육 측면에서 제시된 논의와 Habermas의 관점을 토대로 교육과정 측면에서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보다 나은 환경교 육과정 관점을 제안하였다. Habermas의 관점과 Robottom과 Hart가 제안한 환경교육 연구 관점, 즉 환경교육에서 실증주의 관점을 ‘환경에 대한 지식’으로, 해석주의 관점을 ‘환경 안에서 활동’으로, 사회비판주의 관점을 ‘환경을 위한 행위’로 규정하는 것은 환경교육 측면과 Habermas의 관심에 대한 측면에서 비춰볼 때, 적용 가능한 측면과 미세하나마 합당하지 못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bottom과 Hart가 제안한 각 관점에서의 환경교육 관점이 Habermas의 관점과 환경교육에 기초하여 보다 명료화 또는 구체화될 필 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먼저, 환경교육 과정에서 실증주의는 ‘환경과 관련된 과학적·명제적 지식 확증’, 해석주의는 ‘환경과 상호작 용에서 개인의 다양한 해석 및 언어적 상호작용 존중’, 사회비판주의는 ‘개인 또는 집단의 환경 정의 실현’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지식, 학습자, 사회 측면에서 환경교육 관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y of Ian Robottom and Paul Hart and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The author critically reviewed the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posed by Ian Robottom and Paul Hart (1993), and analyzed it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of Jurgen Harbermas (1971).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ed more deliberate distinctions among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E curriculum. 1) On positivist perspective, ‘that is focused on scientific or propositional knowledge related to the environ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2) On interpretivist perspective, ‘that is focused on various private interpretations in linguistic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is more appropriate than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3) On socially critical perspective, ‘that is toward the environmental justice personally or collectively’ is more appropriate “action ‘for th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