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학술지 『한글』과 『정음(正音)』에 사용된 월의 문체적 특성

        안예리,김선영 한글학회 2009 한글 Vol.- No.286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riting styles of the sentences used in the Korean academic journals, <Han-geul> and <Jeong- eum>, published in the 1930’s. We especially focus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which determined the writing styles of those journals. We applie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on <Academic journal corpus>, which consists of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Han-geul> and <Jeong-eum>. We analyzed syn- tactic factors as follows: A. Subject nouns: na, uri, pon’go, ellipsis forms, etc B. Frequently used predicates C. Meta-predicate D. Sentence type: declarative, imperative, exclamatory, suggesting and interrogative sentences We discusse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se journals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in novels at the contemporary and recent academic journals. Furthermore, by contrasting the two academic journals,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se academic journals. 이 연구는 1930년대 국어학 학술지인 『한글』과 『정음(正音)』에 사용된 월의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자말·풀이말의 실현 양상, 메타 술어, 맺음씨끝의 실현 양상 등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동시대의 소설에 나타난 월의 특성 혹은 오늘날의 학술지에 나타나는 월의 특성과 비교함으로써, 그것이 특정 텍스트 양식에 따른 것인지 당시의 일반적인 양상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임자말의 경우 저자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임자씨의 사용이 특징적이었으며, 구체적인 임자씨 목록에 있어서는 두 학술지가 다른 경향을 보였다. 풀이말에 대해서는 고빈도 풀이말을 중심으로 개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이중 부정의 잦은 쓰임 등 특징적 현상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또한 메타 술어의 쓰임을 기능별로 살펴보고 오늘날 학술지의 메타 술어와 비교함으로써 학술적 글에 사용된 메타 술어가 지난 80여 년 간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맺음씨끝의 분포를 살피고, 두 자료 간의 맺음씨끝 사용 양상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를 각 학술지의 개별 문체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세기 초 하와이 한인 디아스포라의 국문 신문 『신한국보』의 광고 연구

        안예리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vertisement of the United Korean News (UKN) published in Hawaii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its content and the var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early Hawaiian Korean diaspora. In Chapter 2, the advertisements of the UKN were classified into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ones,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Korea Daily News published in Korea in the similar time period.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UKN relatively featured a lot of advertisements to announce the change of names, find acquaintances, promote tailor shops and recruit workers. Chapter 3 deals with the language use in the UKN. While Hangeul was mainly used, Chinese characters tended to be used to mark titles and advertisers, and Roman letters were used only in indispensable cases such as mailing address.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 of English by Koreans had not yet become common, it was found that English and Hawaiian Pidgin English words related to the everyday life in sugarcane farm had been introduced into the Korean vocabulary early on. In addition, it was different from domestic newspapers that advertising strategies appealing to patriotism and anti-Japanese sentiment were widely introduced in commercial advertisements amid competition with foreign capital. 이 연구는 20세기 초 하와이에서 발행된 신한국보의 광고를 분석하여 그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고 초기 하와이 디아스포라에서의 한국어의 변이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신한국보의 광고를 상업적 광고와 비상업적 광고로 나누고 같은 시기 국내에서 발행된 대한매일신보의 광고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신한국보에는 개명 사실을 알리거나 행방을 알 수 없는 지인을 찾는 광고, 그리고 양복점 광고, 인부 모집 광고가 상대적으로 많이 실렸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신한국보의 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하와이 한인 디아스포라의 신문은 국내와 달리 20세기 내내 국문체로 발행되었는데, 한글이 위주가 되는 한편 제목이나 광고주 표시에 한자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고 우편 발송처 표시 등 필수불가결한 경우에만 로마자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직 한인들의 영어 사용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상황에서도 사탕수수농장 생활과 관련된 영어 단어나 하와이 피진 영어 단어들이 이들의 어휘 체계에 일찍이 유입되어 있었다. 애국애족이나 항일 정신이 상업적 광고의 광고 전략으로 널리 도입된 점도 국내 신문과 다른 특징이었다.

      • KCI등재

        사라진 ‘2음절 한자어+하다’ 용언의 유형

        안예리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20세기 전반기에 쓰이던 1만 종 이상의 ‘2음절 한자어+하다’ 용언 중 30% 이상은 현재 쓰이지 않는다. 이 연구는 이들 용언의 소멸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잡지 『삼천리(1929~1942)』에 쓰인 용례를 분석하여 오늘날의 쓰임과 비교해 보았다. 20세기 전반기의 공시태에서 고빈도로 쓰이던 ‘2음절 한자어+하다’ 용언들은 대체로 오늘날까지도 그 쓰임을 유지하고 있었다. ‘2음절 한자어+하다’ 용언의 소멸 원인은 유의어 간의 경쟁,한문 문법의 영향 감소, 1음절 단위의 통사적 결합형에서 2음절 명사로의 어휘화, ‘-되-’, ‘-스럽-’ 등 기타 접미사들의 세력 확장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nalyzed the types of XX-hada verbs which came to be dropped out of use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XX-hada verbs consist of two syllable Sino-Korean base XX and suffix -hada. We analyzed more than 10,000 types of XX-hada verbs used in Samcheolli Corpus containing magazine articles from 1929 to 1942 and found out that at least 30% of them came into disuse. We examined those disappeared verbs according to two perspectives: competition between synonyms and shifts of word base or suffix. There were two types of synonymic XX-hada verb pairs. The one shares one element of the base construction and the other consists of the same constituent but reversed order. Through the synonymic rivalry, the words in lower frequency tended to disappear. The changes of the word base or suffix is thought to be affected by the lexicalization of the two syllable nouns.

      • KCI등재

        '삼다' 구문의 통시적 변화

        안예리 한국어학회 2009 한국어학 Vol.43 No.-

        The verb 'samda' takes several case frames in modern Korean and each variation has its own history. We will discuss the relations between diachronic shifts and synchronic variations analyzing usages in historical data ranging between 13th and 18th century. Additionally, the origin of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samda' construction will be explain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researches in syntax.

      • KCI등재

        20세기 초 국어 문법서에 나타난 문법 개념의 발달과정

        안예리 국어사학회 2016 국어사연구 Vol.0 No.23

        본고는 20세기 초에 발행된 국어 문법서들을 검토하여 문법 개념의 발달과정을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근대적 문법 개념이 태동하던 시기의 문법 개념 관련 용어들, 즉 ‘문법’, ‘문전’, ‘어법’, ‘어전’, ‘말본’, ‘글틀’ 등의 쓰임을 정리하고 각 용어가 갖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한문 전적에서 ‘한문의 문장 작법’을 나타내던 ‘문법’이 외국인들의 저술에서 ‘grammar’와 대응 관계를 맺으며 근대적 의미로 변용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셋째, 1900~1930년대 국어 문법서에 나타난 문법에 대한 근대적 인식을 언문일치의 문제, 문법의 범위, 시공간 개념의 변화 및 표준어 의식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Korean grammar by analyzing early 20th century Korean grammar books from three distinct perspectives. First, I explore the use of various terms that represented the concept of grammar at the time, including munbeop, munjeon, eojeon, eobeop, malbon, etc., and consider the meaning of each. Second, I describe the changes in meaning of munbeop from the rules of composition in traditional Chinese contexts to its use in modern linguistic terminology via outside (foreigners')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Finally, I analyze modern conceptions of grammar appearing in Korean grammar books published between 1900 and 1930 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eonmunilchi, the scope of grammar, the influences of modern views of time and space on the concept of grammar, and the recognition of a standard language. By doing so, the present article thoroughly explains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grammar in early 20th century Korea, which began with an urgent need for rules guiding the unification of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 KCI등재

        의료일원화 논의와 의료소비자의 보호에 관한 고찰 - 양·한방 의료행위의 구별과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

        안예리,백경희 한국소비자원 2023 消費者問題硏究 Vol.54 No.1

        South Korea adopts a dual medical system in which two systems,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coexist. If an Oriental doctor performs Western medical practice beyond the scope of his or her license, or a Western doctor performs Oriental medical practice, it becomes an unlicensed medical practice. However, the Supreme Court presented “new judgment criteria” through a recent en banc ruling, and in particular, reflecting the fact that as medical technology develops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academic principles used in the medical technology are Western medicine or oriental medicine, or that they are based on scientific technology other than medicine, it seems to have take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previous judgment standard, which is based on what the “academic principle” is. Therefore, when interpreting the legal principles following the ruling of the above en banc, the distinction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practices depending on the scope of the licenses of Western doctors and oriental doctors becomes increasingly unclear, leading to discussions that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a unified medical system. The system transformation toward medical unification also affects patients, who are medical consumers. From the medical consumer’s point of view, there is an aspect that through the dual medical system, it is possible to choose either Western or Oriental medical treatment in the direction that corresponds to one’s disease and physical condition. However, when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practices are used overlapping, fatal side effects may occur, and time and economic costs a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unified medical system, it is emphasized that the health of the people, potential medical consumers, can be improved in that the cost of patients is reduced, and the level of medical care is raised and the number of doctors is stably secured through integrated medicine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by examining what kind of practical benefits the discussion of medical unification has from the standpoint of patients, who are medical consumers. 우리나라는 양방 의료와 한방 의료의 두 개의 체제가 공존하는 이원적 의료체계를 채택하고 있다. 만약각자가 지닌 면허의 범위를 넘어 한의사가 양방 의료행위를 수행하거나 반대로 의사가 한방 의료행위를 수행할 경우에는 무면허 의료행위가 된다. 그런데 대법원은 최근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새로운 판단기준’을 제시하였고, 특히 의료기술이 발달하면서 그 기술에 사용되는 학문적 원리가 서양의학인지 한의학인지에 관하여 확답하기 어렵거나 의학이 아닌 과학기술에 토대를 둔 경우가 있음을 반영하여, 종전의 판단기준에서 ‘학문적 원리’가 무엇인지를 주요 기준으로 삼는 것과는 방향을 달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위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른 법리를 해석할 경우 의사와 한의사의 면허 범위에 따르는 양방 의료행위와 한방 의료행위의 구별은 점차 불분명해지게 되어 의료일원화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파생되고 있다. 의료일원화로의 체제 변환은 의료소비자인 환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이원적 의료체계를 통하여 자신의 질환과 신체 상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양방 의료행위나 한방 의료행위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지만, 양·한방 의료행위를 중첩적으로 이용했을 때 경우에 따라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시간적·경제적 비용이 가중되기도 한다. 반면 의료일원화 체제에서는 환자의 비용을 절감하고 나아가 양·한방의 통합의학을 통해 의료수준을 높이고 의사 수를 안정적 확보로 한다는 점에서 잠재적 의료소비자인 국민의 건강도 증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료일원화의 논의가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입장에서 어떠한 실익이 있는지를 점검하여 향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민필지』의 집필 과정과 내용적 특징

        안예리 국어사학회 2023 국어사연구 Vol.- No.36

        『사민필지』는 19세기 말 헐버트가 저술한 한국 최초의 세계지리 교과서로, 161면의 본문에 더해 8면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사민필지』에는 60여 개 국가의 인구, 물산, 정치, 종교, 교육, 산업, 수출입, 재정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담겨 있다. 본고에서는 서구에서 구축된 근대적 지식이 한글을 매개로 국내로 도입된 선구적 사례로서 『사민필지』가 갖는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헐버트가 왜 이러한 교과서를 저술하였는지, 집필 과정에서 어떤 자료들을 참고했는지, 어떠한 내용을 취사선택하였는지, 무엇을 강조하고자 하였는지 등의 문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는 헐버트가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에 나타난 『사민필지』 관련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1888년 말부터 이 책의 기획과 자료 수집이 시작되었고, 1890년 상반기에 집필이 완료되었으며 이후 교열과 지도 삽입 등의 과정을 거쳐 1890년 12월 말에서 1891년 2월 말 사이 간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가 『사민필지』 저술 당시 조선인에 대한 근대적 교육을 통해 부패한 정치를 개혁할 민중 정당의 탄생을 희망하고 있었고, 그러한 숨은 의도가 각국의 정치 체제에 대한 서술에 반영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1880년대 영미권 세계지리 교과서 42종을 분석해 서구에서 구축된 근대적 지식이 헐버트에 의해 재구성되어 국내에 도입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사민필지』는 수리지리학, 자연지리학, 정치지리학의 세 분야를 포함했다는 점에서 19세기 말 세계지리 교과서의 일반적 내용 구성을 따랐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천문지리학을 함께 다룬 점은 매우 예외적이었는데, 이는 근대적 지식을 다룬 교과서가 전무하던 상황에서 지리 교과의 확장성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했던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곳곳에서 한국의 상황이나 한국인의 관점을 적극 고려한 것이나 제국주의의 침략을 규탄하고 경각심을 일깨운 것도 이 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각국에 대한 기술에서 위도와 경도, 상하 폭, 면적, 재정 규모, 세액, 수출입액 등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것도 영미권 교과서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부분이다. 4장에서는 헐버트가 회고록에서 언급한 『정치인연감』과 『휘태커연감』 1886~1890년판을 검토해 헐버트가 『사민필지』에 해당 연감의 수치를 반영하지 않았으며, 저술 과정에서 두 연감을 직접적인 참고 자료로 활용했다고 볼 근거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의관계 근대 신어의 변화 과정 : ‘비누’, ‘우산’, ‘시계’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예리 국어사학회 2021 국어사연구 Vol.- No.32

        이 연구는 개항 이후 나타난 근대 신어 중 유의어에 초점을 두고 그 변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근대 신어의 정착 혹은 소멸의 과정에서 나타난 어휘사적 사실들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근대 신어의 유의관계는 여러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전이어(轉移語)와 차용어(借用語), 그리고 중국계 차용어와 일본계 차용어의 유의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이어는 재래의 단어가 근대 신어로 의미 전이를 겪은 것으로, 본고에서는 고유어 전이어 ‘비누’와 차용어 ‘석감(石鹼)’의 유의관계, 그리고 한자어 전이어 ‘우산(雨傘)’과 차용어 ‘박쥐우산(蝙蝠傘)’의 유의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시계와 관련된 근대 신어들을 대상으로 ‘鐘’, ‘表ㆍ鏢’ 계열의 중국계 차용어와 ‘時計’ 계열의 일본계 차용어의 유의관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성순보 를 비롯한 1880년대 자료들로부터 시작해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의 신문 용례와 사전 기술 양상을 두루 살펴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lexical phenomena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settling or disappearing of modern Korean neologisms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synonyms appearing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mong the several types of synonyms, we discuss the synonymous relations between transitional words and borrowing words, and between Chinese loanwords and Japanese loanwords. Transitional words are the type of words that have only undergone semantic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meaning to modern meaning while maintaining their forms. This paper examines the synonymous relations between the native transitional word binu (soap) and the loanword seokgam (石鹼), and the Sino-Korean transitional word usan (umbrella) and the borrowed word bakjui-usan (蝙蝠傘). Moreover,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loanwords referring to timepieces, which include jong(鐘) and pyo(票ㆍ鏢), and sigye(時計), resp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newspapers including Hanseongsunbo and the dictionaries published from the 1880s to the 1950s are examined.

      • KCI등재

        근대 신문 광고의 언어 사용 양상-주류 광고를 중심으로-

        안예리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이 연구는 1890~1940년대에 발행된 근대 신문 6종에 실린 주류 광고 250건을 대상으로 광고문의 문체적, 문법적, 어휘적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2절에서는 광고의 구조를 표제, 본문, 광고주로 나누고 각각의 문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주류 광고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문장, 절, 구 등 통사 단위의 사용 양상, 서법의 실현 양상, 상대높임법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4절에서는 소주, 맥주, 와인, 청주 광고를 대상으로 주종별 주류 광고의 어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ylistic, grammat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of liquor advertising in modern newspapers by analyzing 250 ads in six newspapers published between the 1890s and the 1940s. Section 2 looks at the stylistic shifts and variations in the headlines, body texts, and advertisers, respectively. In order to reveal the grammatical features of liquor advertisements, section 3 describes the usage patterns of syntactic units, such as sentences, clauses, and phrases, and patterns of mood and addressee honorifics. Section 4 reveal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of the vocabulary of liquor ads for soju, beer, wine, and rice w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