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PIRAL BALANCE THERAPY에 대한 연구

        안경모,오민석,Ahn, Kyung-Mo,Oh, Min-Suk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0 혜화의학회지 Vol.9 No.1

        As above, it described Dr.Tanaka's Spiral Balance Theory and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special meridian circulation system, diagnostics and treatments. Though the considered the rule of the tenseness of the body as muscle movement theory, it corresponds with tradtional meridians theory in oriental medicine. If we study and develop the traditional meridians circulaition system more, we can expect clinical development applying to any theories in the field of oriential medicine such as acupuncture therapy, moxa therapy and chiropractc therapy. etc, as well as tapaing therapy, electronic stimulation therapy and exercising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일성의 탈냉전 전략의 등장과 좌절 -기회의 창과 계승의 정치를 중심으로

        안경모 ( Kyung Mo Ahn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3 북한학연구 Vol.9 No.1

        탈냉전 이후 북한의 대외전략에 대한 연구는 핵정책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왔다. 물론 1990년대 이후 핵문제가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변수로 작용해 왔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핵 위기에 초점을 맞춘 이와 같은 연구들은 한반도의 지속되는 갈등과 위기를 북한의 변치 않는 속성과 탈냉전이 부과한 구조적 제약이 결합된 일종의 ‘필연적 결과’로 간주함으로써 행위자의 선택을 통한 다양한 가능성을 간과하는 한계를 보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북한의 대외정책 일반을 ‘탈냉전 전략’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김일성이 추구한 탈냉전전략의 핵심은 남한과 미국을 ‘혁명과 해방’의 대상에서 ‘공존’의 대상으로 재규정한 탈급진화(de-radicalization), 그리고 한·미·일과의 관계개선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방위전략’이었다. 둘째, 1994년 이후의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은 핵 위기나 정권의 속성으로 인한 필연적 산물이라기보다는 ‘기회의 창’으로서의 대외적 환경의 변화와 ‘계승의 정치’를 중심으로 한 국내정치적 동학에 의해 선택된 결과였다.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most of the studies about the North Korean foreign policy have focused on its nuclear policy. Actually, it is no doubt that nuclear issue has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U.S-.North Korean relations and inter-Korean relations from 1990s. However, this approach cannot fully examine various chances because it has a tendency to regard the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inevitable result of the North Korean nature and the intrinsic discrepancies in interest.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North Korean foreign policy through the concept of Post-Cold War strategy. The argum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key components of the North Korean Post-Cold War Strategy from the late 1980s to early 1990s were de-radicalization and comprehensive strategy. The de-radicalization meant that North Korea decided to coexist, not to have a confrontation with South Korea and U.S., and the comprehensive strategy aimed to improve relations with South Korea, U.S., and Japan at the same time. Second, the failure of this strategy was not only due to a security dilemma, but also to a shutdown of a window of opportunity and effects of political success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선군노선과 북한식 급진주의: 이데올로기, 조직, 정책을 중심으로

        안경모 ( Kyung Mo Ahn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2

        본 연구는 김정일 정권의 선군 노선의 성격과 등장과정을 재조명하려는 시도이다. 김정일 시대를 상징하는 핵심적인 개념인 선군 노선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은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고자 했다. 첫째, 선군 노선의 현상적 특성에 주목하기 보다는 그것이 갖는 본질적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부정(negation)>, <대안적 비전 (visionary)>, <행동주의(activism)>를 그 핵심 구성요소로 하는 터커(RobertTucker)의 급진주의(radicalism)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선군노선을 ‘북한식 급진주의’로 규정했다. 둘째, 선군 노선을 외부위협에 의한 필연적인 결과물로 간주하기보다는 국내정치적 변수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카리스마적 권위의 구조, 그리고 그것이 정치적 계승의 과정에서 초래한 ‘권위의 위기’였다. 선군 노선은 급진화를 통해 정권과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권위를 재구축하려는 시도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선군 노선의 여러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선군 노선을 이데올로기, 조직, 정책의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선군 노선이 특정한 구성요소로 환원될 수 없는 매우 일관되고 총체적인 노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nature and the reason for the advent of the North Korean Military-First Line. As everyone knows, there have been so many studies about the Military-First Line of the Kim Jong Il regime. This paper, however, tries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s in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ubstantial attributes of the Military-First Line rather than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argues that Military-First Line is North Korean-Style radicalism, drawing on the concept of radicalism by Robert Tucker. Military-First Line consists of three core elements: anti-imperialism, Great,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and Military-First Politics. Each element corresponds to Tucker`s three elements of radicalism, that is, negation, vision, and activism, respectively. Second,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domestic politics rather than external threats as the causes of Military-First Line. Radicalization was a kind of authority-building strategy, which responded to the crisis of political authority erupted by succession, economic crisis, and asymmetric end of the Cold War. Finally, this study tries to describe the Military-First Line on the whole, not just in part. It accompanied the organizational and policy changes as well as ideological radicalization. The organizational changes included the advent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system and North Korean-style divisibility of politics and economy by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while the policy changes was made up of the withdrawal of Revolutionary Economic Strategy, the revival of the priority development of heavy Industry policy for Self-Reliance, and the Defense Industry First Policy.

      • KCI우수등재

        북한의 이데올로기 변화와 그 정치적 함의(1966-2012)

        안경모(AHN Kyung-Mo)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4

        본 연구는 ‘적응’의 개념을 통해 1960년대 이래 북한의 이데올로기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그것이 갖는 정치적 함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사회주의 체제의 이데올로기는 공식적 조직이데올로기로서 정치적 정당성의 핵심적인 자원으로 기능해 왔다. 따라서 체제의 변화는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의 부침과 밀접히 연동된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관련하여 본 연구는 사회주의 체제의 변화를 탈(脫)이데올로기화의 과정과 동일시하는 일종의 역사적 필연론이 재고의 여지가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북한의 이데올로기 변화 역시 ‘적응’을 통한 이데올로기의 재기능화’의 과정으로 재조명될 때 보다 정확히 이해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ideological changes in North Korea since 1960s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concept of ‘adaptation.’ The organizational ideology officially claimed by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es for political legitimacy in socialist states. Therefore, the changes of socialist states has been considered to be closely linked to the fluctuations of ideology. Many studies regard the changes of socialist system as a process of the de-ideologiza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such a claim needs to be reconsidered. The experience of ideological changes in North Korea shows that the changes in socialist states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concept of adaptation as a process of re-functionalization of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