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 연구 성과의 회고와 전망-정치 분야에 대한 소고

        심흥수 ( Heung Su S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지금까지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그 동향을 밝혀 앞으로의 남명학 연구의 방향을 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여기서 남명학은 남명 조식(1501-1572)과 그의 문인 집단인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는 1947년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2000년까지의 연구는 거의 대부분 교육사상 일반에 집중되어 있다. 그것도 남명에 편중되어 연구되었다. 2000년 이후는 남명학의 교육부분에 관한 연구가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2000년 이후에는 기존의 연구자가 새로운 방법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였고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가 남명학의 교육부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명의 문인에 대한 개개인에 대한 연구가 남명학파라는 문인집단을 중심으로 연구의 방향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인접 학문의 연구방법이나 결과를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연구는 첫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교육에 관한 다각도의 연구와 남명학의 계승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역사 속에서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향촌사회에서의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영향이 향촌사회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향촌사회 변화와 발전에 기여해 왔는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세 번째로 남명과 비교될 수 있는 사람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교육사에 있어서 남명과 남명학파의 위상을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로 남명과 남명학에 대한 연구에 현대 서양교육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지속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찾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교육영역에 있어서의 남명과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교육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고 나가가 미래 교육발전의 방향을 제공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1) to assess research papers written on the sixteenth century Great Teacher Cho Sik(曺植, 1501~1572, referred by his nickname Nam Myung from here on), which focus on political aspects of his life; 2) to find out why such research papers are scarce; and 3) to suggest how the current state of the discipline can be rejuvenated. Despite two previous reviews lamented on the scarcity of political analyses of Nam Myung, the results are positive but not satisfactory. They are positive in that a number of research efforts have in recent years increased, political scientists by training have appeared in the discipline, and some analysts began to examine not only Nam Myung`s political thoughts but also his other political aspects of his life. They are not satisfactory for the number of research outputs are still not many compared to those of education, literature, and history. The paper argues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scarcity is due to the fact that people in general and political scientists, both oriental and western in particular narrowly define politics. As a result, scholars on Nam Myung have failed to grasp the totality of Homo Politicus Nam Myung. Thus this paper offers a new definition of politics: politics is a phenomenon which results from actions to handle collective interests. Political actions in turn consist of meta-systemic utterances and writings, systemic utterances, writings, and actions as office-holders or power holders, and off-the-system utterances, writings, and actions. It is the third type of political action that promises abundant contemplation on Nam Myung`s political behaviors, especially political criticism in the form of petitions. The paper also suggests two methodological tools that may enrich these endeavors to enlighten Homo Politicus Nam Myung. One is the method of consilience amongst otherwise idiosyncratic academic fields. Modern academic training programs produce tunnel-visioned scholars most of whom do not know other fields than their own. Consilience amongst various specialties is therefore necessary as well as inevitable. The other is Quentin Skinner`s methodology which helps us rethink the debates within and without textualists and contextualists. He has argued that utterances represented in historical texts become knowable only if we recover illocutionary forces of those utterances. These suggested tools together with our new definition of politics will expand our intellectual horizon so as to meet a truly political Nam Myung.

      • KCI등재

        생시몽과 마르크스: 공상적, 과학적, 또는 교화적?

        심흥수 ( Heung Soo S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1

        이 논문은 생시몽과 마르크스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 분석하면서 이 둘 모두를 공상적이고 교화적인 계몽주의의 유산으로 결론짓고 있다. 마르크스를 19세기 공상적 사회주의자와 근본적으로 다른 혁명이론가로 여기던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마르크스의 이론들이 사회를 재편하려는 생시몽의 사상에서 발전되어 나온 것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마르크스가 계몽주의 철학자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현실과 동떨어진 사상가라는 사실에 대한 주장 또한 새로운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생시몽과 마르크스의 비교적인 차이점도 물론 다수 적시하였다. 다만 이들 차이점들은 생시몽이 공상적이고 마르크스는 과학적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보다는 둘이 다 공히 계몽주의의 유산을 공유하는 공상적이고 교화적인 사상가라는 것을 부각시켜준다. 비교적으로 생시몽은 더 나은 미래의 어떤``상태``를 지향한 반면 마르크스는 노동자들의 단합과 사회전복적 혁명을 향해 나아가는 ``움직임`` 그 자체를 지향하였다고 여겨진다. 또한 각각의 목표를 추구하는 수단에 있어서도 생시몽은 비폭력주의인 반면에 마르크스는 폭력주의인 점이 비교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생시몽은 ``엘리트 산업자의 지배로 모든 계층이 생산자로서 이득``을 추구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세상을 꿈꾸었다면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가 지배하는 새로운 세상 건설``을 목표로 하였으므로 오직 노동자계급을 위한 혁명을 꿈꾸었다는 것은 둘의 큰 차이로 여겨진다. 즉, 생시몽은 과학자-산업자가 통치하는 새로운 사회를 꿈꾸고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가 세상을 지배하는 사회를 꿈꾼다고 하는 것이 둘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이렇듯 혁명의 주체가 서로 다르다는 점은 둘 사이의 매우 큰 차이점이다. 프랑스대혁명과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각기 살아간 두 거장은 각각의 환경에서 보다 나은 정치를 지향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생시몽은 과학과 산업 엘리트가 지배하는 세상이 불가피하게 도래할 것이고 그 안에서의 질서와 정의를 추구하고자 하였고 마르크스는 산업혁명으로 나타난 자본주의의 어두운 그림자로부터 보다 나은 사회를 찾아보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결국 이들은 이상주의적 인간관에 함몰되어 현실과 동떨어진 세상을 갈구한 셈이 되었고 빠르게 변하는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상상력의 부재 속에서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단순화 시키는 오류를 범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공통적으로 유토피아적 자산을 공유한 계몽주의의 후예들이라고 불려지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변화에 대한 관점이나 정부 대신 관리의 부상에 대한 생각, 사회 재조직 계획 등은 생시몽의 그것들에서의 진화의 결과임이 역력하다. 과학적 사회주의 요소라고 주장된 생산자의 낙원이나 프롤레타리아의 공산주의 세상이 공히 실현되기 어려운 유토피아적 요소를 담고 있다. 근원적으로 각각은 불확실한 미래의 도래와 그 때 출현할 예정인 새 인간상을 맞물고 돌아가는 환원적인 논리적 연계고리를 갖고 있다. 생시몽과 마르크스의 이성중심의 계몽주의적 공통성이 여실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고민과 노력은 보다 복잡해진 현실세계에서 뛰어난 적응력을 보여주며 변신을 거듭하고 있는 자본주의나 이제 막 어둠에서 벗어나려는 많은 제3세계 국가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그리고 그 사회를 이루기 위한 적절한 정치에 대한 끊임없는 되물음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민은 종종 생시몽과 마르크스와 같이 공상적이고 교화적인 요소를 담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실에 실재하는 한계, 특히 인간 심성에 대한 몰이해와 불확실한 미래상에 대한 상상력의 부재 때문이다. This essay purports to discover commonalities extant in Henri de Saint-Simon and Karl Marx while bearing in mind that the two thinkers markedly differ from each other. It compares and contrasts between the thoughts of Henri de Saint-Simon and those of Karl Marx and argues that both can be rightly called the children of the Enlightenment, exhibiting such characteristics as utopianism and enlightenment. This argument defie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Marx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utopian socialists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confirms that Marx too was utopian for many of his revolutionary theories evolved from Saint-Simon``s thoughts on social restructuring and Marx reflected the quest for immutable laws of society just like Saint-Simon, which was a lasting effect of the Enlightenment, the Age of Reason. The essay shows how Marx shares with Saint-Simon the heritage of the Enlightenment. Saint-Simon, on the one hand, tried to discover due just social order in the advent of a scientific and industrial society following the French Revolution. Marx on the other hand, faced with the ill-effec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agonized over a way out from inhumane capitalism. Both producer``s paradise and proletariat``s communist society are not practical but utopian. Marx``s view of change, idea of replacing government with administration, and plan for reorganization of the society evolved from Saint-Simon’s thoughts. However the faults in both Saint-Simon and Marx lie in a circular logic in which the uncertain future and newly born creatures complete a loop. Thereby the fundamental question deals with the advent of a new generation of men, which does not seem to occur any time soon. Their efforts still bear significance not only in the advanced capitalist society but also in the third world countries for they propounded for a just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s through which the society comes into being. These efforts often contain the elements of utopianism and enlightenment as seen in both Saint-Simon and Marx.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Elites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outh Korean Progressive Party

        Heung Soo Sim(심흥수)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6 국제정치연구 Vol.19 No.2

        한국의 진보 정치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어떤 정치평론가는 대표 격인 통합진보당이 진보운동의 최대 자산인 진정성과 약속에 기반한 대중적 신뢰를 희생시켰다고 논평하였다. 2012년에 행해진 당내 경선의 부정 의혹, 중앙위원회 폭력 사태, 내란음모죄로 체포되어 실형을 선고 받은 이석기 의원 사건, 헌법재판소에 의한 통진당 강제해산 등은 핵심적 가치에 근거하여 대중에게 호소하여야만 하는 진보에 대한 정당성을 손상시켰다고 여겨진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진보적 가치의 향상을 위한 정치자금 지원의 필요성과 효율성의 측면에 비추어 소위 “통합진보당 사태”를 진단하였다. 이 논문의 독창성은 특정 시점에 학생들이 선정한 엘리트들의 견해를 대면면접을 통해 수집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엘리트와 학생들 간에 이 사건을 바라보는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고 검토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 논문은 따라서 우리 사회의 엘리트들이 이러한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정치자금 지원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어떠한 처방을 주문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더불어서 이러한 엘리트들의 진보 운동 전반에서의 부패에 대한 인식을 대학생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엘리트로서의 교수 군과 교수 이외의 다른 사회적 엘리트 군 사이에서 또는 엘리트와 학생들 사이에서 이들 그룹이 가진 인식 렌즈는 확연히 달랐다. 교수 이외의 엘리트 군이 통합진보당에게 가장 동정적이지 않게 나타났다. 그 다음이 학생들이었다. 교수 군은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나 또는 지원의 당위성을 가늠하는 잣대에 있어서 통합진보당에 훨씬 동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들은 진보 운동이 통합진보당을 넘어서서 미래 지향적으로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듯했다. 한국 진보 정당의 부조리극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냉엄하다고 분석된다. 진보 운동이나 정당이 새롭게 태어날 합(合)을 위해 낡은 정(正)을 버리고 새로운 반(反)의 도전을 기꺼이 받아야 하는 변증법적 진화의 기로에 서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현재로서는 교수 이외의 다른 엘리트들과 학생들이 그들에 대한 징벌자이고 엘리트로서의 교수 군이 진보 진영에 대한 기꺼운 지원자일 지도 모르지만 많은 사람들은 장차 진보적 가치가 발전하고 실현되기를 희망한다. 진보 진영의 새로운 시대와 세대에 대한 적응과 변모는 진화과정에 있어서 필연이다. South Korean progressive politics has faced a crisis. Some political experts argue that the dissolved Unified Progressive Party (UPP) sacrificed the progressive movement"s biggest asset - popular trust in its sincerity and commitment. Both improper handling of primaries in 2012, violence in central committee, the guilty verdict for UPP"s lawmaker Lee Seok-kee on charges of "conspiracy to carry out insurrection," and the forced dissolution of the UPP by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hurt the progressive cause as a whole.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elites and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crisis of the UPP at a certain point in time before its forced dissolution by the highest court in Korea. Since it is limited in scope and time, its objective is to document how elites and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viewed the crisis of the UPP and how elites and students in the area perceived the appropriateness of public subvention with tax money to the UPP and its causes. The study offers an instant capture of public perception on the UPP in May of 2014 within the area of Busan and Gyeongnam. The study is also invaluable for its comparative findings not only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the elites and those of the students, but also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the elites in academia and those of other social elites. In short, the perceptual lenses of elites and students, as well as those of professors and other elites, differed from one another. Other social elites were the least sympathetic to the UPP. Next were students. Professors seemed to envision progressive movements which go far beyond the UPP. The public generally views Théâtre de l"Absurde of the South Korean progressive party as absurd. Yet the progressives other than the UPP must realize that time is progressing into a dialectical process in which the movement and the party can do away with old theses and meet the challenges posed by new conditions and generations. Other elites and students may be the nemesis and professors may be willing supporters. Nevertheless, many of them want progressive causes advanced. Adaptation and metamorphosis is a virtue for an evolutionary process.

      • KCI등재

        성폭력 상담자와 경찰관의 역할 인식과 연계 경험에 대한 비교 분석: 심층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이명신 ( Lee Myung Shin ),심흥수 ( Sim Heung Soo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성폭력 상담자와 경찰이 연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일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상담자와 경찰의 입장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성폭력관련 전문직인 경찰과 상담자를 각각 심층 면접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와 경찰이 스스로와 상대방에 대해 가지는 역할 인식과 기대, 연계과정에서 함께 일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방안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담자의 역할에 대해 상담자와 경찰 모두 피해자의 상처치유, 심리적 안정과 지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기대에 있어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었는데 경찰은 상담자의 업무가 경찰의 수사에 도움 주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둘째, 경찰의 역할에 대해 상담자와 경찰 모두 성폭력 범죄를 수사하고 범인을 검거하며 성폭력 범죄의 예방 및 재범 방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기대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상담자는 경찰이 피해자 보호와 이차피해 예방을 위한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셋째, 상담자와 경찰은 모두 연계경험에 있어 철학, 언어, 훈련, 일의 방식 등에 차이가 있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계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공유를 통한 전문직 간 이해,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조, 체계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전문직 간 상호이해 증진, 의사소통체계 구축, 연계의 수준 향상, 이중책무에 대한 인식증진 및 지원의 필요성, 성인지적 가치관 확립을 위한 노력 등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unselors and police officers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and collaborating together for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s in-depth interview results as to what the rol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about themselves and their counterparts are,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working together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and how they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due course.The study has found that both groups perceived the counselor’s role as providing therapeutic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victims to overcome their victimization, but the counselors perceived their role as more diverse than the police officers.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 toward the counterparts were found. Police officers expected that the counselor’s work would be helpful for their investigation. Both groups recognized the role of the police officers to investigate the criminal case, to arrest the offender, and to prevent recurrence and occurrence of the offence. The differences in expectation toward the counterparts were also found. counselors expected that police officers could protect the victims and prevent the secondary victimization. Both groups in general reported difficulties in their communicative dealings with sexual violence due to the differences in philosophy, training, language, and service practice. Finally both groups suggested a cross-professional system of information share,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and a better system of collabo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forementioned difficulties.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makes a number of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establish an effective cross-professional communication channels; to increase the level of collabor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to increase the awareness for the dual responsibilities(legal and care); to enhance gender-sensitiveness; to establish a better system of support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police officers and counselors.

      • IMF체제 논리로서의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 : 패권의 존재와 약육강식적 시장 The Existence of A Hegemony and A Predatory Market

        심흥수 경상대학교 해외지역연구센터 1998 해외지역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hreefold. First, we identify the neoliberal ideology as the core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regime. By illuminating the orgins of the ideology, we show why it is necessary to offer a new definition of the ideology, We argue that the neoliberal ideology is a mix between the "fantastic" neoliberal promise of markets and American power politics. We trace its upbringing in United States-Latin American relations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Cold War. Second, we attempt to explain why the ideology has rapidly been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in the postCold War era. We argue that a structural change from bipolarity to unipolarity is the permissive cause for the proliferation of the ideology. The problematic is the presence of an unchecked power, the United States. Third, we identify various problems that result from the proliferation. We focus on market failures which are well recognized in the political economy literature, and on anarchy which i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ur arguments together point to an unfair and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worldwide, which the neoliberal ideology consequently produces. We question the legitimacy of the ideology since it exercises power politics and perpetuates a predatory market that mainly serves the interests of the hege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