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비교우위구조 분석

        심재희(Jae-Hee Shim)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4 e-비즈니스 연구 Vol.25 No.1

        석유화학산업은 천연자원으로 얻는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여,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같은 여러가지 제품의 기초가 되는 화학제품을 생산한다. 정유회사는 석유화학산업에 필요한 석유를 생산하기 위해 매장된 장소를 찾아 정제하거나 석유화학산업 제품을 생산한다. 최근 국내 정유·석유화학 기업들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에 주목, 관련 기업들과 협업하는 등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각국의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되는 등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이 급성장이 예상되며, 또한 ESG 경영이 확대됨에 따라 기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친환경을 고려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관련 분야의 투자 확대도 필요하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기초유분은 0.337-0.524사이의 값으로 석유화학부문 중에서 기타석유화학제품 부문 다음으로 낮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중간원료는 2019년 0.767에서 2020년 0.688로 하락하였다가 2021년부터 회복세에 있다. 합성수지는 2019년-2021년에 상승세에서 2021년 0.682에서 2022년 0.669로 경쟁력이 소폭 하락하였다. 합성원료는 2019년 0.632에서 2020년 0.510, 2021년 0.404로 하락세에 있는 부문이나 2022년에는 0.554로 반등하여 경쟁력이 회복세에 있는 부문이다. 합성고무는 2019년 0.711, 2020년 0.746, 2021년 0.789로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2년에 0.749로 경쟁력이 주춤하였다. 기타석유화학제품 부문은 초산, 카본블랙, PA, MA, 페놀, 아세톤, 옥탄올, 부탄올, 아세트알데히트, 에틸아세테히트, 에탄올, BPA 등으로 구성된 제품부문으로 2019년 0.114에서 2022년 0.176으로 경쟁력이 점차 보완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문이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중국의 자급률 확대와 탄소중립 요구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R&D(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사업 진출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으며, 주요 석유화학기업과 정유사들은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R&D에 힘을 쏟고, 이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미래의 성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export competitive power in petrochemical enterprises and products of oil companies of Korea under the condition that global petrochemical industry was depressed due to continuing facility extension of Chinese petrochemical enterprises. Research Metho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ategorized petrochemical industry into six products; fundamental oil, intermediate materials, synthetic resins, synthetic crude materials, synthetic rubber and other petrochemical products and analyzed comparative advantages using Trade Specification Index(TSI). Results in Research: To consider the overall petrochemical industry, the comparative advantage slightly decreased from 0,514 in 2019 to 0.535 in 2020, but it rebounded from 0.580 in 2021 to 0.583 in 2022. Therefore, it was discovered that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petrochemical industry took comparative advantage and it was specialized in export. Research Conclusion: The followings are required: to overcome difficulty derived from requirement of self-sufficiency and carbon neutral of China,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y should reinforce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city and accelerate the progress of new industries, influential petrochemical industries and oil companies should present future visions and strategies and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this,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y can respond to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and be prepared for future growth.

      • KCI등재

        문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심재희(Jae-Hee Sh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문화산업의 경제구조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경제구조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문화산업의 중간투입률은 하락세를 보이고 광고가 높고 운동 및 경기관련서비스는 중간투입률이 낮게 나타났다. 문화산업의 평균 부가가치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운동 및 경기관련서비스가 높고 광고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문화산업의 중간수요율은 증가세에 있으며, 업종별로 보면 컴퓨터관련서비스, 영화제작 및 배급이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셋째, 생산유발계수는 2009년 1.98로 2005년 2.02에 비해 하락하였고, 업종별로 보면 2009년에 광고가 2.70으로 가장 높고 귀금속 및 보석이 1.27로 가장 낮다. 부가가치유발계수를 보면 문화산업 평균은 2005년 0.80에서 2009년 0.76으로 하락하였다. 업종별로는 2009년에 기타 오락서비스가 0.91로 가장 높고 악기가 0.52로 낮게 나타났다. 수입유발계수를 보면 문화산업 평균은 2005년 0.20에서 2009년 0.24로 상승하였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2009년에 악기가 0.47로 높고 기타 오락서비스가 0.0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영향력계수는 2005년 1.04에서 2009년에 1.00으로 소폭 하락한 것을 알 수 있다. 업종별로는 인쇄, 운동 및 경기용품, 문방구, 모형 및 장식용품, 기타제조업제품, 컴퓨터관련서비스, 국공립문화서비스는 2005년에 비해 상승하였다. 감응도계수는 2005년 0.86에서 2009년 0.83으로 하락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the economic structures of cultural industry and inter-industry effects using Input Output Table of the Korea Bank.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intermediate input of cultural industry tended to decrease, that of advertisement was high and that of sports and game services was low. The average added value rate of cultural industry tended to increased, that of sports and game services was high and that of advertisement was low. Second, the rate of intermediate demand of cultural industry tended to increased, and that of computer-related services and film-making and distribution was high. Third,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was 1.98 in 2009, which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2.02 in 2003. Its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which was 0.80 in 2006 decreased to 0.76 in 2009. Its Import Inducement Coefficient increased from 0.20 in 2005 to 0.24 in 2009. Fourth, the Dispersion Power Coefficient decreased from 1.4 in 2005 to 1.0 in 2009. Fifth, the Dispersion Sensitivity Coefficient decreased from 0.86 in 2005 to 0.83 in 2009.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악기류의 수출경쟁력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 미국 악기시장을 중심으로

        심재희(Shim, Jae-Hee) 韓國商品學會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5

        본 연구는 한·중 양국간 악기산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미국 악기시장에서 양국의 악기제품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지를 동태적 경쟁력 변화 측면에 초점을 맞춰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악기산업의 실태를 점검하고 한국 악기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양국간 악기류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무역협회의 무역통계에서 피아노,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전자 악기, 뮤지컬박스, 부분품 등 7개 품목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수출입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HS 코드 기준 악기제품별 데이터로부터 무역특화지수, 수출편향지수, 시장별 비교우위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시장에서 한국산 악기제품의 수출 경쟁력은 중국산에 비해 전반적으로 비교열위에 있었다. 연구결과는 우리 정부와 관련업계에 한국 악기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산 악기제품의 고부가가치 브랜드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과 동시에 새로운 악기 수요 분야로 부각되고 있는 전자악기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악기산업의 수요기반이 되는 음악산업을 필두로 한국내 연관산업의 발전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some implications which will develope Korean musical instrument industry by empirically analyzing changes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musical instrument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U.S.A.market. For the purpose, Trade Specialization Index, Export Bias Index, an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were selected as analyzing method. HS 4 unit code in the musical instrument industry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ed in the study were obtained fromthe trade statistics from2000 to 2010 produced by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ITA).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Koreanmusical instruments products are less competitive than Chinese ones in the U.S.A. mark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 government authorities and relevant industry shoul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musical instrument industry by pursuing such development plans for musical instrument industry as making high value-added instruments, developing electronic instruments, and promoting domesticmusic industry.

      • KCI등재

        BDI, 유가, 실질소득이 한국의 항만 수입단가에 미치는 영향

        심재희 ( Shim Jae-hee ),김창범 ( Kim Chang-beom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9 해운물류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기간에 대해 표준적인 시계열 분석방법으로 운임, 유가, 실질소득이 항만 수입단가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방향 및 지속 정도의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기적 균형관계의 추정에서 수입단가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국내실질소득, 유가, 운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기적 불균형에서 장기적 균형으로의 조정을 보여주는 오차수정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음(-)의 값을 보여줌으로써 공적분검정과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도입된 독립변수 충격의 영향에 대해 수입단가 반응의 크기와 지속기간은 유가가 가장 크고 지속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항만정책의 수립과 같은 정책적 관점, 수입단가 전망과 같은 학술적 관점, 그리고 해운물류 기업들의 경영에 유용한 참고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port import unit value in the short and long term by the standard time series analysis metho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8. Firs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n the unit value of imports was in the order of real income, petroleum price, and freight in estimation of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 Second, the error correction term showing the adjustment speed from the short-term imbalance to the long-term bal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a negative valu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cointegration test. Third, the magnitude and persistence of the import unit value fluctuation responding to the introduced independent variable shock are analyzed to be the largest and persistent oil pric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as a useful reference material for the management of shipping and logistics companies, policy perspective such as establishment of port policy, academic view such as forecasting of the import unit valu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주요 수출품의 글로벌 권역별 무역구조 분석

        심재희(Jae-Hee Shim) 한국무역연구원 2013 무역연구 Vol.9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se trade structure of Korea's main export goods by specific contin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9 continents as an export target area and 10 Korea's export commodities as an export product. Trade Specialization Index, Export Bias Index,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were chosen as an analyzing method. Analyzing period was 2009-2012.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many of the main products were exported to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while only a few products to Latin America, Eastern Europe, Southeast Asia, Oceania, and Africa. In particular, among the main exports the competitiveness of automobile and steel plates was high, whereas of petroleum products and semiconductors was relatively low. The results show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and export items is needed to increase Korea's exports. In this regard, the ways to increase export to Latin America, and Africa, etc. should be actively pursued, and the strategic approaches to mitigate the competitiveness deviation between exports be required.

      • KCI등재

        우리나라 해조류산업의 무역구조 분석과 시사점

        심재희 ( Jae Hee Shi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해조류산업의 무역동향과 경쟁력 및 SWOT 분석을 통해 한국 해조류산업의 위상을 점검하고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목표를 둔다. 해조류 무역은 수출이 수입을 상회하는 가운데 무역수지는 미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총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으며, 특정 국가에 대한 수출입 편중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무역특화지수 등 몇 가지 경쟁력 측정지수를 활용하여 표본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경쟁력 분석에서 수출집중도와 무역특화도 및 산업내무역의 형태 등에서 해조류산업의 위상이 국가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해조류산업을 둘러싸고 있는 대내외적 환경은 긍정 및 부정적 요인들의 혼재로 유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장기간의 생산경험과 높은 수준의 양식기술, 생산 어장의 노후화와 일부 국가에 대한수출 편중, 특정 품목의 해외시장 선점 가능성과 저탄소 녹색산업의 발전 전망, 국가 간 경쟁 심화와 불안정한 수익구조 등의 요인들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조류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다양한 제품군 개발과 고급화, 수출국가의 다변화와 수출품목의 다양화, 한ㆍ중 간 해조류 무역경쟁 심화 가능성에 대한 대비책 마련 및 관련 법률과 제도의 개선 등이 제안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structure of Korea``s seaweed industry, and proposes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analysis, the statistical data are obtained from homepage of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ITA) during the period of 2005-2014. Index of export bias(IEB),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and intra-industry trade index(ITI) are used as an analytical method. In seaweed trade exports exceed imports, and the trade balance shows a slight increase. The ratio of seaweed industry occupying in total exports and imports is very low, and its exports and imports are also highly concentrated on a specific country. According to IEB analysis, Korea maintains a low market concentration against China, while a high market concentration against Japan in both seaweed industry and seaweed items. By TSI analysis, Korea is in an export specialization against China in seaweed industry and in an export or import specialization against China in seaweed items, whereas is in an export specialization against Japan in both seaweed industry and seaweed items. Owing to the analysis of ITI, Korea maintains an active intra-industry trade with China in seaweed industry and a week intra-industry trade with China in seaweed items, while keeps a weak intra-industry trade with Japan in both seaweed industry and seaweed item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seaweed industry include diversification and sophistication of seaweed products, cultivation of high value-added industries related with seaweed industry, relaxation of export bias for a particular country,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trade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improvement of laws and regulations, etc..

      • KCI등재

        한·미 FTA 발효 전후 수출산업의 대미국 비교우위 및 산업내무역 분석

        심재희 ( Jae-hee Shi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7 통상정보연구 Vol.19 No.4

        한·미 FTA 개정 협상이 국가적 현안이 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시장비교우위지수에 의한 경쟁력 분석과 산업내무역 분석을 통해 한·미 FTA 발효를 전후하여 수출산업의 무역구조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FTA 발효 전후로 대미 상품 및 서비스무역이 각기 흑자와 적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대미 투자는 미국의 대한국 투자를 훨씬 상회하였다. 시장비교우위지수를 활용한 수출상품의 경합보완관계 분석에서 미국과 수출우위의 보완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산업내무역은 전반적으로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품목에서는 저품질 수직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서비스 무역의 경쟁력을 높여가면서 FTA 개정 협상에서 서비스와 상품부문에 대한 손실과 이익의 균형을 추구한다. 둘째, 경합 품목과 비교열위 품목의 경쟁력을 강화해 가면서 수출우위 품목에 대해서는 미국시장의 소비패턴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고, 생산기술 기반 확충과 원가절감을 통한 기술 및 가격경쟁력을 계속 높여 간다. 셋째, 대미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품목에서는 수평적·수직적 분업을 진행하고, 비교열위 품목에서는 수평적 분업을 추진한다. As a revision negotiation on the KORUS FTA has become a national pending iss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the trade structure of Korean export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KORUS FTA.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MCA) and Intra-industry Trade(IIT) indexe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competi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of export products using the MCA index, it was discovered that Korea has formed an export- orient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ng IIT showed that Korea has made a low-quality vertical IIT with the U.S. in some items while it has usually made a weak IIT with the U.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oposes a few policy suggestions in the following area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in trade-deficit service sector, achievement of the balance of profit and loss in goods and service sectors through the revision negotiation of the KORUS FTA,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in competitive and comparative disadvantage items, reinforcement of ability to respond to consumption patterns in U.S. market, etc. in export-dominant items, and pursuit of horizontal-vertical division of labor in comparative advantage items and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in comparative disadvantage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