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테나적 개념에 기반한 사면유형 분류기법의 개발과 적용

        심우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Hillslope position classification technique based on the catena concept and to examine the usability of these results. The UcaP(Upslope contributing area Priority) technique utilizes the concept of catena based on the movement process of sediments. And the basin, which is a similar form by self-organization, is presented to the analysis scale.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existing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SlgP(Slope gradient Priority), PrcP(Profile curvature Priority), and ReeP(Relative elevation Priority) results showed that structural problem at the division point causing overclassification of the Summit and Backslope. On the other hand, the UcaP results well reflect the distribution of hillslope in the upper and lower stream basins. Second, a chi-squared test analysis was performed on six properties and the results of four different methods to compare whether the catena’s origin purpose is reflected. All four methods are significantly classifying soil properties, but require attention to interpretation and complementary research. Third, comparing to the river network for the morphological comparison of ea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UcaP method had the highest morphological accuracy of Toeslope. Fourth, a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sediment movement patterns in each method confirmed that only UcaP showed the suitable sediment distribution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ach hillslope position Next, the natural environment policy applicability and utilization of UcaP results, which were found useful in comparison and evaluation with other methods, were examined as example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 total of nine machine learning models were constructed with different landslide impact factors groups and binary classification machine learning group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lthough all nine models showed good predictive performance, the results by points were up to 90% or more, confirming uncertainties in the results of machine learning. However,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machine learning through UcaP, it can be seen that the probability of landslides of the Backslope is highest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morphological,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well-classified hillslope position can specify the boundary of spatial management of landslides. Finally, the applicability of the UcaP results was examined as methods of past routes Restoration. In the least-cost path analysis study, cost surface generation has been dependent on the slope gradient. However, since the slope gradient only reflects the anisotropic, it was intended to add an isotropic as UcaP results. Comparing the slope-based route with the UcaP-based route based on the 10 boulevards of the Joseon Dynasty, the UcaP-based route was found to be close to both the entire route length and the length of each boulevard. A visual difference of detail paths confirmed that the slope-based route tended to vary in detail from 10 roads due to the small difference in slop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visual differences of the routes, detailed rout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10 boulevards and the slope-based routes in many area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hillslope position classification methods in that it is based on the sediment process and limits the basin boundary as an analytical scal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UcaP will be highly useful as a policy that require the spatial boundary of dangerous slopes and as a new cost of route restoration studies. 본 연구는 카테나 개념을 활용한 사면유형 분류기법을 개발·평가하고 이 결과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퇴적물의 침식-이동-퇴적이라는 지형학의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카테나 개념을 활용하고 자기조직화 현상에 의해 비슷한 형태로 존재하는 유역을 분석 스케일로 한정하는 UcaP(Upslope contributing area Priority)사면유형 분류기법을 개발하고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사도를 우선으로 하는 SlgP와 단면곡면률을 우선으로 하는 PrcP 결과는 사면유형 분기점의 구조적 문제로 산정상부 사면유형인 Summit 사면을, 상대고도를 우선하는 ReeP 결과는 Backslope 사면을 과분류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UcaP 결과는 하천의 상류와 하류에 나타나는 사면유형의 분포 특징을 잘 반영한다. 둘째, 카테나 본래의 목적인 지형과 토양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를 위해 토양 속성 6가지와 각 사면유형화 결과를 교차분석한 결과 네 가지 방법 모두 유의미하게 토양 속성을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해석에 주의를 요하며 보완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각 방법의 형태적 비교를 위해 하천망도와 비교한 결과, UcaP 방법이 Toeslope 사면의 형태적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방법의 퇴적물 이동 형태 반영 정도를 비교한 결과, UcaP 결과에서만 각 사면유형의 이론적 배경에 맞는 침식량 분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다른 방법들과의 비교·평가에서 유용성을 확인한 UcaP 결과의 자연환경 정책적 적용가능성과 활용성을 산사태 위험 예측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이진분류 기계학습 모델인 랜덤 포레스트, 서포트 벡터 머신, 로지스틱 회귀를 산사태 영향인자를 달리하여 총 9개 기계학습 모델을 구축하여 산사태 민감성 평가를 한 결과, 9개 모델 모두 준수한 예측 성능을 나타냈지만 지점별 예측 결과는 최대 90% 이상으로 나타나 기계학습 결과의 불확실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UcaP와 같이 잘 분류된 사면유형 분류결과를 통해 기계학습 결과를 살펴보면 이론적·형태적·위치적 특징에 따라 Backslope 사면의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산사태의 공간적 관리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로 복원을 사례로 사면유형 분류결과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기존 최소 비용 분석을 통한 경로 복원 연구는 경사도에 의존한 비용면 생성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경사도는 비용의 비등방성 측면만 반영되기 때문에 사면유형화 결과로 등방성 요소를 추가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10대로를 기준으로 경사도 기반 경로와 UcaP 기반 경로를 비교한 결과, UcaP 기반 경로가 전체 경로 길이와 대로별 길이 모두 10대로에 근접하게 나타났다. 세부 경로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살펴보면 경사도 기반 경로는 사면의 작은 경사차이에 의해 경로가 결정됨으로써 세부 경로가 10대로와 달라지는 경향이 곳곳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퇴적물의 침식-이동-퇴적 프로세스를 기본으로 하고 유역을 분석 스케일로 한정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사면분류방법들과 차별성이 있다. 이러한 사면유형 분류결과는 위험 사면의 공간적 범위가 필요한 환경정책과 경로 복원 연구의 새로운 비용면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심우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need of lifelong education is getting increased. Recently, cyber university is getting important as a useful way to realize lifelong education and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cyber university can b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learners can learn everytime, everywhere and every course at their own choices, also can study and work at the same time. With these advantages of cyber university,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about its effectiveness. Actually, many previous studies mentioned that cyber university has a big problem of lower persistence rates than traditional educ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bout continuous and successful learning in cyber environment are focused only theoretical approach and relationship or expectation between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outcomes. However, learning outcome in cyber environment is a complex phenomenon influenced by a multitude of variables. Therefore, it is need to whole approach which considers the direct and indirect casual relationship among multiple variabl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are selected for the learning outcome related variables and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are selected for learning outcome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usal model that explains the learning outcomes (satisfaction, achievement, persistence) focused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in cyber university.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casual relationship among multiple variables and test the mediation effects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2.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have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3.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ve direct effect on persistence? 4.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5.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6. Do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achievement as a mediator? 7. Do the satisf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achievement as a mediator? For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the learners who enrolled at ‘W cyber university’ in first semester of 2009. Instrument for measur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interaction,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e first survey, the learners’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ask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t the end of the course,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such a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were asked in the second survey. A total of 538 learners respon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but 48 respondents who were unreliable were excluded. Finally 538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 Also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internal locus of control (β=.206), interaction (β=.621) have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Learners with a strong internal locus of control tend to be highly motivated, and feel more satisfaction than external locus of control. Also, satisfaction is affected by activity interaction. Second, interaction (β=.191) has effect on achievement. As teacher can hardly control the learner directly in cyber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interaction among teacher, learner and content. For successful cyber education, it is need to systematic strategy about interaction. Third, learners’internal locus of control (β=.117) and satisfaction (β=.667) have direct effect on persistence. Fo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highly satisfaction, it is need to not only learners’effort but also support of university. Teacher should encourage learners with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help learners solve their problems related dropout. Fourth, learners’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have indirect effect on persistence through satisfaction as a mediator. For the high persistence rat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atisfaction as well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outcome are variety. Instead of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learners’ characteristics, goal orient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support of institution could be affected learning outcome. Therefore, it is need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 Second, instead of the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as the learning outcome factors, various learning outcome factors, such as learning attitude, flow and commitment could be used to explain the effectiveness of cyber education. Learning outcome in cyber environment is a complex phenomenon influenced by a multitude of variabl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veal the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ous factors. These researches will contribute to build a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오늘날 지식기반사회에서 평생학습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평생학습 실현의 유용한 수단으로 사이버대학이 각광받고 있다. 사이버대학은 전통적 방식의 교육이 지닌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강의를 들을 수 있고, 직업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이 전통적 방식의 교육에 비해 낮은 학습지속률을 보이는 것을 문제점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이버 환경에서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학습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면, 학습의 성공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이론적인 논의에 그치거나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예측에만 관심을 가져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이버 환경에서 학습의 성과는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구조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을 학습성과 영향변수로,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을 학습성과 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설명하는 구조적인 모델을 구안하는 것이다. 또한 변수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비롯해 만족도 및 성취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2.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가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3.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 성취도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4.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매개로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5.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6.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와 상호작용, 만족도는 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7. 사이버대학생의 만족도는 성취도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W사이버대학의 2009학년도 1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1차 설문은 학습자의 배경변인을 비롯해 내적통제소재를 측정하였으며, 2차 설문은 상호작용,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였다. 1차 설문과 2차 설문에 모두 응답한 학습자는 586명이었고, 이중에서 불성실한 응답 48부를 제외한 총 538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시에는 먼저 측정도구의 적합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성과 변수 및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β=.206)와 상호작용(β=.621)은 학습성과 요인 중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내적통제소재 성향을 지닌 학습자는 그렇지 않은 학습자 보다 전반적인 사이버교육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상호작용(β=.191)은 학습성과 요인 중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수록 학습자는 높은 학업성취를 달성하므로 성공적인 사이버교육을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설계와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β=.117), 만족도(β=.667)는 학습성과 요인 중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통제소재 성향을 지니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의 노력도 요구되지만, 학교차원에서도 지속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를 격려하고 동기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만족도 역시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학습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사이버대학생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은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이버 상에서 학습자의 학습지속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과 더불어 만족도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학습성과 변수로 설정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은 내적통제소재나 상호작용 외에도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목표의식, 교수설계적인 측면, 교육기관 차원에서의 지원과 같이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 변수로 만족도,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만을 선정하였으나 이외에도 학습에 대한 태도, 몰입, 참여도 등 다양한 지표를 학습성과 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종합하면, 학습성과는 여러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보다 큰 맥락에서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포함시켜 이들 간의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후속연구에서는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다양한 변수가 포함된 확장된 구조모형을 검증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겐타마이신의 中耳腔內 注液이 前庭機能에 미치는 影響

        심우진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명이 발달할수록 현기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현기증은 여러가지 원인들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많은 경우 전정기능의 손상에 의하며, 현훈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방법들은 없는 실정이다. 겐타마이신은 전정기관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파괴하지 않고 전정의 평대부룽의 모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메니에르병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전정기능이 정상인 건강한 가토를 현저한 겐타마이신의 농도 차이를 가진 두 군으로 나누어 겐타마이신을 중이강내에 주액하여 일측 전정기관을 손상시켰다. 회전자극에 의한 안구운동을 관찰하여 전정기능의 손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 전과 전정기능의 손상이 나타난 후 정현파회전자극기를 이용하여 전정 안구 반사를 관찰하였다. 정현파회전자극에 의한 검사는 0.1, 0,2, 0.5 Hz의 회전자극을 가하였고, 회전자극에 의한 안구 운동의 이득과 방향우위성을 측정하였다. 전정기능의 손상이 나타난 후의 회전운동의 이득은 손상시킨 측으로 회전자극을 가할 때 감소되었고, 방향우위성은 겐타마이신의 농도와 무관하게 각각의 회전자극에서 높게 나타났다. 겐타마이신의 농도는 안구운동의 양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고실 내로의 겐타마이신 투여는 일측 전정기능의 감소를 초래하며, 겐타마이신은 전정기관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파괴하지 않고 일측 전정기관의 기능을 파괴시킬 수 있으므로, 겐타마이신의 중이강내 주액이 메니에르병과 같은 전정기능의 이상에 의한 현기증을 외과적 수술의 합병증을 피하면서 치료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ith the advance of civilization, the number of patients who complain of dizziness increases. Although various therapeutic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there is so far no definitely established therapy for Meniere's disease which accounts for the great portion of vertiginous diseases. Gentamicin is believed to destroy hair cells in the crista ampullaris of semicircular canals. Therefore, chemical labyrinthectomy induced by intraotic administration of gentamicin is used as one of therapeutic methods for Meniere's disease. In this study, unilateral vestibular dysfunction was induced in 14 adult rabbits by means of the injection of a small amount of gentamicin into the middle ear, and vestibule-ocular responses (VOR) to various sinusoidal rotatory stimulation were investigated before gentamicin injection and at the time of presence of symptoms of vestibular dysfunction. The sinusoidal rotation test was performed at frequencies of 0.1, 0.2, and 0.5 Hz, and the directional preponderance of the VOR gain (DP) was measured. D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gentamicin administration at each. frequency of the rotatory stimulation with independency of gentamicin concentration. This suggests that gentamicin tympanoclysis leads to impairment of vestibular function, and that gentamicin tympanoclysis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treat Meniere's disease as chemical labyrinthectomy with the avoidance of surgical complications.

      • 타이어 노면마찰계수 추정을 활용한 AWD 구동력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심우진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4WD 시스템은 주요 성능인 연비, 내구, 구동, 핸들링, NVH 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4WD 시스템의 주요 성능들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휠의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계수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마찰계수의 감지에 따른 토크배분을 수행함으로써 성능들을 종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계수 정보는 현재 일반적인 차량에 장착된 센서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BS(Anti-locking Braking System)가 장착된 사륜구동 차량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기반으로 직진 구동 시 타이어의 힘과 노면마찰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마찰계수 추정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차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노면마찰계수 추정 알고리즘을 AWD 구동력 제어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륜구동 차량의 구동, 연비, 내구 성능향상을 위한 제어 방법을 제안 및 검증하였으며 이로써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진 구동 상황에서 사륜구동 차량의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슬립률과 타이어 힘을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실차 주행시험을 통해 WFT(Wheel Force Transducer)와 비교하여 힘 추정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추정된 타이어 힘과 슬립률 정보를 기반으로 노면마찰계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RCP(Rapid Control Prototyping) 장비를 이용하여 마른 아스팔트와 젖은 ABS 시험 노면(Proving Ground)에서 반복 실차 주행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시험을 통해 반복성(repeatability)과 재현성(reproducibility)을 확보하고, 알고리즘의 유용성과 유효 범위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마찰계수 알고리즘의 유효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구동 시 전 후륜 휠 속도 차이를 분석하여 노면마찰계수 추정기를 보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실차 주행 시험을 통해 반복성과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넷째, 마찰계수 추정 정보를 AWD 구동력 제어 알고리즘에 접목하여 사륜구동차량의 구동, 연비,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마른 아스팔트, 젖은 ABS, 롤러 레일 시험 노면에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대해 비교 실차 주행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노면마찰계수 추정 알고리즘은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계수 정보를 제공하여 eLSD, Torque Vectoring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향후 새시 제어 시스템과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어 말하기 시험에 나타난 구어담화의 특성 연구 : 말하기 시험 준비교재와 수험자 발화를 중심으로

        심우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구어담화의 특성을 구어적 특성, 서사 장르의 구조, 지시적 의사소통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에 따른 전체적인 구어담화의 특징은 구어담화의 전략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제시되기 보다는 일부 몇 가지 전략에 집중되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로 구어적 특성에서는 외국어로써 영어를 학습한 국내의 수험자들이 교실 안팎에서 구어적 특성에 명시적으로 노출되지 못했고, 문어를 기반으로 영어말하기 학습을 진행한 것에 주목해야 할 필요도 있다. 수험자들이 오랜 동안 노출된 영어교재의 구술 대화문도 구어적 속성으로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생 수험자들이 구어를 구어답게 사용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서사 장르의 구조분석 결과를 보면 열거 구조가 지배적이고 서술 구조가 선호되는 문항과 예시답안의 이야기 장르는 시험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야기의 가변성과 즉흥성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이야기의 다양한 구조를 인정하면 보다 다양한 예시답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시험개발 측의 채점기준 등에도 변화가 있어야 하겠지만 마치 이야기의 구조와 내용에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처럼 시험과 시험 준비 과정에서 하나의 이야기 구조로만 숙지시키는 지금의 관행은 서둘러 변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시적 의사소통의 수행에서도 본질적인 지식은 여러 문항에서 명시적으로 전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조물과 비참조물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서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Glucksberg & Krauss, 1967), 본 연구에 사용된 시험에서는 화자가 참조물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하는 과정을 배제시키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수행기술 분석에서는 수행하는 것을 제한시키며 이미 문항내용에서 제공한 정보만을 활용하여 단답형 또는 단문으로 답변할 수 있는 문항이 자주 사용되었다. 절차적 지식의 활용 역시 제한되었으며 특히 청자의 부재로 역할조정의 기회를 어느 시험도 제공하지 못했다. 절차적 지식 중 일부라고 할 수 있는 차별화 규칙도 화자가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 말하기 구사능력이란 무엇인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의문점을 제시해 보며 이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 문제점을 이해하고 개선안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 of spoken grammar, story genre structures and referenti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poken discourse features were focusing on a few strategies rather than using various speaking strategies. First, as for the spoken grammar, domestic test-takers who learned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failed to be explicitly exposed to spoken grammar both inside and outside classroom. And there is also a need to notice that the learning of English speaking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written grammar. It may be judged that the collegian test-takers were not used to using the spoken language because even verbal conversations in English textbooks to which they had been exposed for long periods of time were not composed of spoken grammar. Second, to look a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ory genre structure, the validity of the test may be questioned in view of the dominant recount structure and the preferred narrative structure in the story genre of questions and example answers. Given the diverse structures of stories as well as the variability and spontaneity of stories, more diverse example answers should be presented. Of course, while there should be changes in the criteria for marking on the part of test developers, the current practice of acquainting test takers with only one story genre structure in testing and test preparation process as if there were only one correct answer to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story should be changed without delay. Lastly, in the performance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as well, it was found that substantive knowledge was explicitly assumed in many quest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eferential and the non-referential, and yet the tests used in this study excluded the process of the speake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referential. In the analysis of enabling skill, questions that restricted performance and could be answered with short answers or simple sentences by using only information provided already in the contents of questions, were frequently used. The use of procedural knowledge was also restricted, and in particular, no test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role adjustment due to the absence of a listen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rule, which may be viewed as part of procedural knowledge, could neither be used properly by the speaker. Therefore, this study raises again the question about what English speaking abilities are and urges once again the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problems in methods for evaluating the abilities.

      • 영어 말하기 시험에 나타난 담화 표지 연구 : 직시와 응집성 중심으로

        심우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담화 능력(discourse competence)이란 통일성 있고 적절한 담화를 이루어 나가기 위해 문법적인 문장이나 의미, 내용 등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Canale, 1983). 그런 담화 능력의 분석 방법 중 하나가 담화 분석 중 결속성과 일관성 영역에서의 담화 표지이다. 담화 표지는 문장의 이해에 있어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선, 후행 담화의 의미를 분명히 해 주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력이 비슷한 15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영어 말하기 시험 중 TOEIC 말하기 시험, TOEFL ibt 말하기 영역, OPIc를 모의시험으로 선정하여 시행하고 그 결과물을 전사하여 담화 표지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Hatch(1992)의 5가지 대상 직시와 6가지 응집 장치를 기준으로 담화 표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대상 직시 중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것은 인칭 직시이다. 3가지 모의시험의 과업이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록 되어 있어 1인칭 직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빈도수가 가장 낮은 것은 담화 직시이다. 참가자들은 동일 어휘의 반복 등으로 응답을 평면적으로 나열했기 때문에 담화 직시의 빈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은 당연하다. 응집 장치 중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것은 접속사이다. 대부분의 문항이 1문장 이상 발화를 하였기에 참가자들은 의도적이던 의도적이 아니던 매 문장마다 접속사를 사용하였다.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것은 대용, 1회 사용된 것은 생략이다. 비교와 지시사도 빈도수가 낮았다. 이것은 학습자들의 응답방식이 입체적이지 못하고 평면적인 나열에 그쳤기 때문이다. The discourse competence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grammatical sentence, its meanings, and contents in order to communicate unified and appropriate discourse(Canale, 1983). The discourse marker in the field of unity and consistency is among the analysis method of discourse competence. The discourse marker is no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sentence, but is needed to clarify the meaning of preceding and following discourses. This study has sampled 15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f similar English speaking abilities, and have found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by selecting and implementing mock tests such as TOEIC-Speaking, TOEFL ibt Speaking, and OPIc tests to transfer each results. According to Hatch(1992)'s 5 kinds of subject deixis and 6 cohesion system, th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 was analyzed. Among the most frequently used subject deixis was the person deixis. 3 kinds of mock tests assignments were set to introduce oneself, so the first person deixis was the most used deixis. The least frequently used one was the discourse deixis. Since participants listed the responses by repeating same vocabularies plainly, it is most likely that the frequency of discourse deixis was quite low. The most used cohesive system was the conjunction. Most questions were developed as one or more utterance, so the participants have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used the conjunction for each sentence. The least and never used grammar was the substitute, and only one abbreviation was used. Both comparison and demonstrative grammars were the least used one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participant's way of responding was limited to plain arranging, rather than dimensional.

      • 기업의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식공유 및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심우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요지 기업의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이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공유특성 및 공유리더십조절효과 중심으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은 프로젝트 성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지만, 프로젝트의 성공률은 여전히 낮다. 최근 기업의 동향을 보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식을 활용한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활발하게 모색하고 있다. 기업구성원의 경험에 의해 축적된 노하우를 습득, 저장, 공유함으로써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지식공유 활동은 기업경영의 핵심 어젠더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이유는 지식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지식을 활용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기업의 프로젝트관리의 현실은 프로젝트관리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기업내부의 체계적, 효율적인 프로세스나 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기업이 많으며, 프로젝트 전문가가 프로젝트를 관리하기보다는 회사의 인력 상황에 맞게 개인적 경험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 결과 반복되는 실패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프로젝트성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로 인한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해외 프로젝트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 프로젝트 경험이 많은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관리를 하게 되면 비교적 계획대비 목표성과를 달성하는 빈도가 높으나, 경험이 부족한 관리자가 프로젝트관리를 하게 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아지는 사례를 경험 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프로젝트성과를 위해서 지식공유가 기업의 수익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산업계는 전 산업에 걸쳐 인력의 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저하, 고도 성장기를 이끌었던 전문인력의 노하우가 다음 세대로 잘 전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산업계 전반에 걸쳐 기업의 경쟁력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이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는데 있어, 지식공유특성과 공유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포함하여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참여자는 대기업, 공기업, 외국계 기업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한 전・현직 유경험자 및 직접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유사 경험을 한 자, 프로젝트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자를 대상으로 기업의 지식공유 활동과 프로젝트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함에 목적을 두었다. 설문 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총 253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SPSS21, AMOS22를 활용한 다중 회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연구모형적합도 검증을 실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이 프로젝트성과에 유의한 성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이 지식공유특성에 따라 프로젝트성과에 및는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유리더십의 정도에 따라 프로젝트성과가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 향상을 위한 지식공유의 주요 요인과 프로젝트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기업의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이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어 지식공유특성과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국내기업의 프로젝트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기업의 지식공유체계 구축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에 기여 하려 한다. 주제어: 지식공유, 프로젝트성과, 프로젝트관리 개인역량, 공유리더십, 지식경영 Abstract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Company's Project Management Individual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of knowledge sharing and shared leadership In order to secure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invest a lot of time and money in project success, but the project success rate is still low. Looking at recent trends in companies, they are actively seeking creative problem-solving solutions using knowledge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that improve core competencies by acquiring, storing, and sharing know-how accumulated from the experience of corporate members are becoming a core agenda of corporate management. The reas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a company using knowledge without knowledge sharingCurrently, the reality of corporate project management is that many compan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ject management, but there are many companies that have not established a systematic and efficient process or system within the company, and project experts often manage projects with person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ompany's manpower situation rather than managing them. As a result, repeated failure cases frequently occur, which greatly affects project performance. As a result, the company is struggling with sustainable growth.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verseas projects, the degree is even more serious. When a project manager with a lot of project experience manages the project, the frequency of achieving target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lan is relatively high, but if an inexperienced manager manages the project, the probability of failure may increase. It can be assumed that knowledge shar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securing the company's profitability for the project performance of the company. Currently, the Korean industry is in a situation where the know-how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who led the period of productivity decline and rapid growth due to the aging of manpower across all industries is not well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This is causing the company's competitiveness to decrease across the industry. In this study, in verifying the effect of a company's project management personal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har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The purpose of the survey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s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nd project performance, targeti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similar experiences and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e project directly or indirectly, even if they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ject in large companies, public corporations, and foreign companies. A total of 253 respons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lin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search model fi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1 and AMOS22,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performance on the project performance, and that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management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projec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project perform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hared leadership.This paper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actors of knowledge sharing and project performance for improving project management personal capabilities, and confirms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characteristics and shared leadership in verifying the effect of a company's project management personal capabilities on project performance. In addition,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by deriving strategic implications for a new perspective on project management of domestic companies and suggesting guidelines for building a company's knowledge sharing system. Keywords: Knowledge sharing, project performance, project management personal competency, shared leadership, knowledg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