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심성경(Seong-Kyung Shim),변길희(Kil-Hee Byon),류경희(Kyung-Hee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와 어려움을 알아보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 I?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04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Test, ANOVA, Scheffe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방법과 효과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별 실제의 수준은 인식 수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력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4년대졸 이상 학력의 교사가 전문대졸 이하 학력의 교사에 비해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 방법과 효과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가 더 컸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모든 하위문항에 걸쳐 대체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내용별로 부분적 차이만 있었다. 즉,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학력이나 경력이 높은 교사의 경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포트폴리오 평가 실시에 대해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포트폴리오 실시 여부나 질적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교사들이 생각하는 어려움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포트폴리오 관련 연수의 실시와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portfolio assessment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d analyzed their dependence on various underlying fact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304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J?I?G cities in Jeollabuk-do. The answers on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evaluating frequencies, percentag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by carrying out paired t-test, ANOVA, and Scheffe verification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practice fell meaningfully short of their perception in every sub-categories of the method and the effect of the portfolio assessment. Among the various underlying factors, only teachers’ educational level played significant ro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was relatively large among the teachers with regular 4-year college diploma as compared to junior-college graduates. Second, as we examine the difficulties in the portfolio assessment, teachers in general found difficulties on the questionnaires in all sub-categories, although the dependence on the underlying factors varies across the sub-categories. For example, teacher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or who work at public kindergartens felt relatively more difficulties in the portfolio assesment

      • KCI등재

        유아컴퓨터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지식에 관한 연구

        심성경(Shim Sung-Kyung),변길희(Byon Kil-Hee),박주희(Park Ju-Hee),송화진(Song Hwa-Jin),최은희(Choi Eun-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본 연구는 개념도를 통해 ‘유아컴퓨터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유아 컴퓨터 교육’ 강의를 수강하기 전과 후에 개념도를 작성한 후 개념도의 구조와 개념도에 나타난 주제어를 통한 지식의 내용을 분석하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컴퓨터 교육’ 강의가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컴퓨터 교육’에 대한 지식 즉, 지식의 구조, 내용, 특성 모두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is research studied 37 third - year colleg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course. They composed concept maps on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two times, before and after 'course of early childhood computer education'. Data analyzed by Won Kyong's method(2007) based on Novak & Gowin(1984), Beyerbarch(1988), Trent et al.(1938), Winizk & Kaychak(1995), and Morine-Dershmier(1992). Findings were that (1) the number of proposition in concept ma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urse. (2) in respect of knowledge content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 were 'application of internet', 'proposition of computer', 'application of CD-Rom title' before course but 'educational value' after course. (3) the specificity score of knowledge increased in respect of all knowledge contents after course.

      • KCI등재

        그림책에 기초한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입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은원기 ( Eun Wonki ),심성경 ( Shim Seong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초한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입체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북 J시 소재의 S어린이집과 J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40명을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유아의 창의성 검사는 전경원(2010)의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도구, 입체표현력은 오종숙(1988)의 입체표혁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예비검사 및 교사훈련, 사전검사 그리고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16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그림책에 기초한 푸드아트 활동이 첫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및 상상력등 유아의 창의성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둘째, 아이디어의 독특성, 주제의 특징 표현, 재료 사용의 다양성, 기법의 구사 및 구성방식, 세부적 묘사 등 유아의 입체표현력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활동과 연계하여 누리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성과 입체표현력을 향상 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andomly assigned 40 5-year-old children at S Daycare Center and J Daycare Center in J, Jeollabuk-do, to 20 experimental groups and 20 control groups to find out how picture book-based food art activities affect children's creativity and stereoscopic expression. For the creativity test of infants, Jeon Gyeong-won's (2010)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tool for infants, and Oh Jong-sook's (1988) threedimensional expression test tool was used for three-dimensional exp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 weeks in the order of preliminary research, inspector training and preliminary inspection,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picture book-based food art activities first enhanced children's creativity overall, including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Second, the uniqueness of the idea,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diversity of material use, the use of techniques, the composition metho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children's three-dimensional expression were generally enhanc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and stereoscopic expression in the Nuri process in connection with play activities.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기반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선희 ( Kim Sunhee ),심성경 ( Shim Seong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기반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 및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북 I시 소재의 S어린이집과 H어린이집 만 5세 유아 38명을 실험집단 19명, 통제집단 19명으로임의 배정하였다.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은 김광자(2004)의 음악적 표현능력 검사도구, 정서지능 측정은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0)의 교사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18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기반 음악활동이 첫째,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신체 표현하기, 음악 만들기 등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의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정서적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 등 유아의 정서지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 놀이 활동과 연계하여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과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based music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musical express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38 subjects of 5-year-old young children from S nursery and H nursery located in I city, Jeollabuk-d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19 in each. Young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was measured by the musical expression assessment tool from Kwang Ja Kim (2004),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measured by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tool by teacher’s performance rating from Young Ja Lee, Jong Sook Lee, and Eun Su Shin (2000).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8 weeks in the following order: preliminary study, inspector training and preliminary inspection, training teachers, pre-test, experiments, and post-test. Acqui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based music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ollowing; First, the overall music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including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bodily expression, and making music. Second,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ncludes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facilitation of thinking by emotions, application of emot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control of emotions. These results could serve as a base material to improve the musical express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n association with play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 KCI등재후보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어머니-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 Kyung Mee Koh ),심성경 ( Seong Kyung Sh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번안, 수정 및 보완해 실시하여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및 어머니-유아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유치원 만 4, 5세 학급의 어머니 36명과 그 자녀 36명이다.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신청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즉, 부모로서의 효능감,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 부모 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 등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유아 간 의사소통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즉, 어머니가 인식한 어머니-유아 간긍정적 의사소통을 증진시켰으며, 유아가 인식한 어머니-유아 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부정적 의사소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young child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currently attend classes for 4 to 5-year-old in kindergartens in G city. The 36 mothers who applied for the PSWS program were group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8 mother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mothers’ parental efficacy as a whole. That is, it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sub-factors such the efficacy as a parent, parent’s anxiety and frustration, and the parental roles. Second,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mother-young child inter-communication. Mothers perceive that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hile young children recognize that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impacts positively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mmunication.

      • KCI등재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출생-3세용)의 타당화 연구

        박주희(Park Joo Hee),심성경(Shim Sung 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05 육아지원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영아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관찰을 통해 영아발달을 사정, 평가할 수 있는 교육과정 중심의 측정도구로서, 개정 AEPS 검사에 기초한 교사용 영아발달 측정도구(출생-3세용)의 타당화를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1개월에서 36개월까지의 영아 총 56명, 유아교육 및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5인과 어린이집 교사 15인 총 20명이다. 본 영아발달 측정도구의 타당화 분석을 위해 측정자간 일치도, 내용타당도, K-BSID-Ⅱ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본 영아발달 측정도구가 영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서 교사가 영아의 발달을 사정,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이며 타당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fant Development Scale for teacher Based on the Revised AEPS(Birth-3yea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 infants(Birth-3years) at D child educare and 5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15 infant's teachers. Tests 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high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evaluated by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infant's teachers, concurrent validity with K-BSID(Ⅱ), internal consistency among raters. It is concluded that the Infant Development Scale for teacher Based on the Revised AEPS(Birth-3years)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infant's development in Korea.

      • KCI등재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미정(Song, Mi Jeoung),심성경(Shim, Seong 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위치한 A유치원과 B유치원 만 5세 유아 44명으로 실험집단 22명과 통제집단 22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12주 동안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맞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하위요인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하위요인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활동과 친사회적 행동촉진을 위한 협동적 푸드아트 활동의 일반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social behaviors. Forty four 5-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 and B, located in J city in Jeollabuk-do, were chosen as subjects and were divided random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had 22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for a total of 12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with normal activities based on the life theme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its overall sub-factors, and promoted their creativity; second, the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nd its overall sub-factors, and improved their prosocial behaviors. Such outcomes have shown that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osocial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explored ways of generalizing cooperative food art activities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s.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문성영 ( Moon Sungyoung ),심성경 ( Shim Seongk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7기관을 임의 선정하여 만5세 유아 188명과 아버지,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평정을 실시하고, 유아 회복탄력성을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모두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아버지의 경우 신체놀이, 게임, 기능놀이에의 참여도가, 그리고 어머니의 경우 역할놀이, 기능놀이, 신체놀이에의 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놀이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부모교육 방안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188 children who are aged in five, who currently attend 7 different kindergartens in G-city, South Korea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layfulness of parents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Especially, fathers’ play participation related to physical playing, games and functional playing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Mothers’ play participation related to role playing, functional playing and physical playing also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These reults could be significant data to increase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This study suggests continued interest and effort to improve parent’s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유아의 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의 관계

        박영심(Park, YoungShim),심성경(Shim, SeongKyung),변길희(Byon, KilHee) 한국생활과학회 2014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3 No.6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ir interactive peer play, 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455 children aged 3∼5 and their mothers of day care centers in the cities of Kimje and Iksan. To measur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 rating scale for parents and teachers(Koo, 2010) adapting DECA(1999) was used. And the interactive peer play scale of Choi and Shin(2008) adapting PIPPS(1998) and the Parental Protectiveness of Do and Falbo(1999) was used.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gener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young childre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gets higher as interactive peer play of young children gets higher. Second, there is low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gets higher as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get low.

      • KCI등재

        가톨릭 유치원의 몬테소리 교육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권오신(Kwon Oh-sin),심성경(SungKyoung Sh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09 육아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몬테소리 교육을 실시하는 가톨릭 유치원의 몬테소리 교육 운영 실태와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는 몬테소리 교육을 실시하는 가톨릭 유치원의 교사 2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몬테소리 교육 수행 후 교사경력은 대부분이 4-5년 이하이며, 몬테소리 교사교육의 동기는‘유치원 필요에 의해서’가 가장 많았다. 교사들은 대체로 AMI, AMS 1년 과정을 통해 수료증을 습득했고, 재교육은 1년에 1-2회 단기연수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운영은 대체로 5시간 정도의 시간 연장제로 단일 연령집단을 구성하고 있다. 하루 작업시간은 1시간 정도로 대개 주제관련 몬테소리 5개 영역과 국가수준 6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환경은 몬테소리 5개 영역의 교구를 중심으로 계절과 개인차에 맞는 주제로 구성된다. 교구제공은 유아를 1,2차선으로 나누어 1:1로 제공되며 가족과의 연계는 대체로 주, 월 교육계획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몬테소리 교사는 몬테소리 교육의 어려움으로 유아관찰 기록에 대한 부담감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한다. 한편 몬테소리 교육의 목적과 특징, 몬테소리 교육의 교수방법과 교사의 역할, 몬테소리 교육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a Montessori education in the catholic kindergarten.   The questions for research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present conditions of Montessori education in the catholic kindergarten? Are ther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2. What is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value Montessori education in the catholic kindergarten? Are ther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0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catholic Montessori kindergartens in Korea. The questionnaire used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upon Lee(2000).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d One way-ANOVA with 11.0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ost teachers have 3-4 years of Montessori teaching experience. Most teachers completed a Montessori teacher training course because they worked at a Montessori kindergarten. Most teachers completed Montessori teacher training through a 1 year course and are certified for completion of teacher training. Most programs were time extension programs, with one hour for Montessori programs, and operated in the same age grouping. Most program content was composed of Montessori education content and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Most kindergartens had material in five Montessori Areas. Most kindergartens changed Montessori materials according to the season and curriculum themes. Most of teachers were troubled about observation. The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 of Montessori education was very high over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