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육 교사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안전지식

        변길희(Byon, Kil-Hee) K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학리뷰 Vol.6 No.2

        본 연구는 보육 교사의 안전지식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33명이다. 연구 도구는 백서윤(2013)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김영옥(2021)의 안전지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안전교육의 목적으로 ‘자신과 남의 생명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게 해 준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안전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영유아 교육시설에 근무하며 안전사고의 경험이 있었으므로 안전교육은 필요하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로는 ‘안전에 관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 교사의 안전지식에서는 눈에 모래가 들어간 상황과 유아의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간 상황에서의 응급처치에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화상을 입은 상황과 친구에게 물린 상황에서의 응급처치에 대하여 정확한 지식을 가진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보육 교사의 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safety knowledge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3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buk-do. As a research tool, Baek Seo-yoon (2013) s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and Kim Young-ok (2021) s safety knowledge questionnaire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urpose of safety education was to “cultivate an attitude that respects oneself and others lives.” In terms of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the highest perception was that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 worked in educational facilities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had experience in safety accidents.’ As for the teacher s demand for safety education, the educational materials on safe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was the highest. In terms of safety knowledge of childcare teachers, the percentage of people with accurate knowledge in first aid in situations where sand is in the eyes and foreign substances are in the airway of infant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accurate knowledge of first aid in burned and bitten by a friend was very low.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afety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후보

        아동권리보장을 위한 유아의 성인지 감수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변길희(Byon, Kil-Hee) K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학리뷰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인지 감수성 제고를 위한 교육적 접근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지 감수성 제고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 평등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이 성인지 감수성을 높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유아의 성인지 감수성 제고를 위한 성 평등교육의 방법으로 첫째, 그림책을 활용하되 성 고정관념이 내포되어있는 그림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해본다. 둘째, 성 평등 내용이 내포되어있는 그림책을 선정기준에 맞게 선정한 후 그림책을 유아에게 들려주고 내용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해 본다. 이에 덧붙여 그림책을 유아에게 들려줄 때 목소리 표현에서도 성 역할 고정관념이 표현되지 않도록 고려한다. 본 연구결과가 성인지 감수성 제고를 위한 한 방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approach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gender sensitiv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erived that education using gender equality picture books could be a way to increase gender sensitivity. As a method of gender-equal education for improving young children s gender sensitivity, first, use picture books, but critically analyze picture books that contain gender stereotypes. Second, after selecting a picture book containing gender equality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picture book is told to the children and various activit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 contents. In addition, when listening to picture books to children, it is considered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are not expressed in voice 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way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gender.

      • KCI등재후보

        저출산 고령사회의 자녀양육 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변길희(Byon, Kil-Hee) K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학리뷰 Vol.4 No.1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사회, 직장인 부모들의 자녀양육 지원정책에 관한 욕구를 토대로 자녀양육 지원정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영유아 자녀를 둔 대전광역시 30~50세 직장인 부모 287명이다. 연구도구로는 김은정·오신휘·안현미(2018), 조성호·김지민(2018), 유아랑(2008)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고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양육 지원을 위해 도출된 정책은 첫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용 측면의 정책에서는 자녀의 수와 연령,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전액 지원하는 방향의 정책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측면의 정책에서는 온종일 돌봄 서비스의 일반화와 전문인 자격제도 강화, 지자체 내의 전담 부서 및 전문 공무원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설 측면의 정책에서는 국·공립시설의 확대뿐 아니라 모든 보육시설에 대한 수준의 상향평준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들은 자녀양육과 관련한 다양한 어려움의 해결책으로서 차별 없는 경제적 지원과 믿고 맡길 수 있는 질적으로 우수한 기관에서의 양육지원을 통해 자녀양육에 대한 심리적 지원까지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 및 각 지방에 저 출산 고령화문제 전담기관을 설치하여 현장중심 양육지원정책 전달체계의 확립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eeds of low birth rate, aged society and working parents on child care support policy., For the analysis, we surveyed parents of 30 to 50 year old work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ho ha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bout problems of child support policy, solution of problems, and required policy. The biggest problem of the child-rearing support policy was lack of facilities, and it was unrealization of the child-rearing support policy and system, lack of professionalism of the workers related to child-rearing support, discrimination support by income level, child abuse of the workers, and service tailored to the cost., As a solution to this, all day care service for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expans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training institution, and full-time care service for all expenses regardless of the number, age, and income level of children were presented., The child-rearing support policies include full support regardless of the number and age of children, income level, generalization of day-to-day care services, nationalization of all facilities, expansion of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and leveling of all facil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eld-based service delivery system by establishing a dedicated agency for low birth and aging in the central and each region and cultivating professionals.

      • KCI등재

        유아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안전교육인식과 안전지식

        변길희 ( Kilhee By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안전교육인식과 안전지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충북소재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교사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유아교사의 안전교육인식과 안전지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안전교육의 목적은 학력과 보육경력에 따라,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학력에 따라, 안전교육의 요구는 학력과 보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화상, 손가락 끼임, 심폐소생술은 보육경력과 학력, 사고경험에 따라, 눈에 모래 삽입과 친구에게 물린 경우는 보육경력에 따라, 베임, 할큄은 학력, 고열은 보육경력과 사고경험, 영아 기도 이물질 삽입은 사고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현직교사의 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afety education awareness and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method surveyed 275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Chungbuk. The main content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safety education perception and safety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urpose of safety education differed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childcare experience,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differed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the demand for safety education differed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childcare experience. Second, burns, finger entrapment, and CPR differed according to childcare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accident experience. Situation with sand in the eye and bitten by a friend differed according to childcare experience. Cuts and scratches i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high fever is according to childcare experience and accident experience, and implantation of foreign substances in infants and toddlers differed according to accident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safety education for incumbent teacher.

      • KCI등재

        평생교육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한 대학운영 방안

        변길희 ( Kilhee By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지역사회 예비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학습으로서의 대학진학 의향 및 목적 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평생교육을 위한 대학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청주시 거주 25세 이상 성인 220명이다. 조사는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조사문항을 구성한 후, 문항타당도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 4년제 대학’ 진학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대학진학 이유는 ‘직무능력 향상’이었다. 둘째, 대학선택기준은 ‘전공’이었고 전공선택기준은 ‘선호하는 전공’ 때문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육에 대한 기대 성과에서 유형별로는 ‘경제적 성과’, 문항별로는 ‘사회생활에서의 자신감 획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진학을 기피하는 이유로는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평생교육을 위한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versity management plan for lifelong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university entrance as lifelong learning for prospective adult learners in the local commun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adults 25 years of age or older residing in Cheongju. The survey was used after the researcher constructed the survey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n teste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ntering a ‘general four-year university’ was considered the most, and the reason for entering the university was ‘improvement of job competency.’ Second, the university selection criterion was ‘major’, and the major selection criterion was found to be due to ‘preferred major.’ Third, in the expected performance for university entrance, ‘economic performance’ by type and ‘acquisition of confidence in social life’ by item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ourth, the reason for avoiding going to university was ‘difficulty in balancing work and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for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공동육아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변길희(Byon, Kil-Hee)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시대적 필요성과 인식을 확산시켜 사회적 합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서산시 시민 33명의 인터뷰 결과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과정과 의미를 해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귀납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확산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적 경제의 이념과 목표 등을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널리 알려야 한다. 셋째, 사회적 경제를 바탕으로 한 공동육아의 방법을 시민과 함께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할 때 사회적 경제와 공동육아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함을 발견하였다. 공동육아를 위한 수단으로 사회적 경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경제와 공동육아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사회적 합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social consensus by spreading the necessity and awareness of the social economy for co-parenting at the same time, and to seek the development direction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47 people who met the conditions suitable for the study among citizens of Seosan, Chungcheongnam-do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 interview results of 33 meaningful respondents through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was focused on interpreting the process and meaning, and an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spread of awareness about the social economy should be prioritized. Second, the ideology and goals of the social economy should be widely publicized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a method of joint parenting based on the social economy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gether with citizens.’ When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and co-parenting was very insufficient. In order to use the social economy as a means for co-parenting, the spread of awareness and social consensus on the social economy and co-parenting should be preceded.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과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

        변길희(Kil-Hee Byon)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과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C도 보육교사 보수교육에 참여한 교사 32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 수준은 높지 않았고 하위 요인별로는 결과지각이 가장 높았다. 에피소드 별 인권 관련 항목에서 신체의 자유와 안전에 대한 권리가 가장 높았고 장애인의 교육받을 권리는 가장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전체 실행수준은 비교적 높았다. 하위영역별로는 하루일과 존중에서는 화장실 다녀오기(기본욕구)가 가장 높았고 특별활동은 가장 낮았다. 아동 최선의 이익 중에서는 의사존중이 가장 높았고 정보제공은 가장 낮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이 높을수록 권리존중 보육 실행수준이 높았다. 하위영역별로는 화장실 다녀오기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권리존중 보육 실행수준이 높고 지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과 실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권리존중 보육실행을 위해서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322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in Chungbuk in 2023. First,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not high, and the perception of results was the highest by sub-factors. In terms of human rights-related items by episode, the right to freedom and safety of the body was the highest, and the right to education of the disabled was the lowest. Second, the overall level of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infant rights was relatively high. By sub-area, toilet visits (basic needs) were the highest in daily work and respect, and special activities were the lowest. Among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respect for intention was the highest and information provision was the lowest. Third, the higher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 care that respects rights. By sub-area, going to the bathroom (basic desir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practice measure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have a high level of respect for rights and continuously implement them in the childcare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implications for preparing various support measures to improv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order to implement childcare with respect for right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