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결중심 상담 발문기법을 적용한 과학실험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혜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questions to prompt the thought activiti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will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learning ability. Traditionally, teachers’ questionings were approach to finding out the causes of the problems, but this study utilized the solution-focused therapy that focuses on constructing solutions by using clients’ resources rather than solving problem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pply and use the questioning techniques used in the solution-focused therapy and determine their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science research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ven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from 00 special elementary school in K, with the experiment group of six students from a class and the control group of five students from the other class. Through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the scientific searching competence test sheet was used as a research tool which was composed of fifteen items of five sub-categories of scientific searching competence: 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predicting, and reasoning. In addition, a scientific attitude scale composed of sixteen items of six sub-categories of scientific attitudes was used: curiosity, spontaneity & activeness, frankness, objectivity, cooperativity, and endurance. Also, a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program in which solution-focused therapy questioning techniques were applied was developed and a total of nine sessions of it was conducted one hour per day for two weeks. The solution-focused therapy questioning techniques were used questionings, such as pre-session change question, exception-finding question, miracle question, scaling question, coping question, relationship question, indirect compliment, and what else question. Research plan was carried out using pre and post test with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ies in which solution-focused therapy questioning techniques were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cientific searching compet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as a dependent variable. With individual children, the changes in the scores by sub-categories of scientific searching competence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were compared, and the observation content of the changes in the students’ behaviors were videotap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ies with solution-focused therapy questioning techniques were applied showed different degrees of difference, but were foun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ores of the overall scientific searching competence of the six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Three sub-categories of scientific searching competence, ‘observing’, ‘classifying’, and ‘reasoning’, were observed to have had a much effect on all of the six students, and they showed a great improvement in the domains of ‘classifying’ and ‘reasoning’ in particular. However, the domain of ‘measuring’ was found to have had effect only on the students with “upper intellectual level” Scientific attitudes were shown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f all of the six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nd low scores were found in the domain of ‘endurance’ indicating that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ing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t was, among them, found that the solution-focused therapy that makes use of the students’ resources showed some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implication that teachers’ questioning that can lead to students’ wills to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not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in their learning, is important, and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experiment activity programs based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upport execution studies for teachers’ questioning.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사고활동을 유발하기 위한 교사의 발문이 학생의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연구이다. 전통적으로 교사의 발문은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는 문제 중심적 접근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의 자원을 활용하여 해결을 구축하는 해결중심 상담을 중심접근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 상담에서 사용하는 발문기법을 과학실험활동에 적용하여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00특수학교 초등부 6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자의 학급 학생 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의 학생 5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 요인인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예상하기, 추리하기 5가지의 15문항으로 구성된 4지 선다형의 질문지인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솔직성, 객관성, 협동성, 끈기성 6가지의 16문항으로 구성된 과학적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해결중심 상담 발문기법을 적용한 과학실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주에 걸쳐 매일 1시간씩 총 9회기를 진행하였다. 해결중심 상담의 발문기법은 상담 이전의 변화를 묻는 질문, 예외 질문, 기적 질문, 척도 질문, 대처 질문, 관계성 질문, 간접적인 칭찬, “그 외에 또 무엇이 있습니까” 질문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 설계는 해결중심 상담 발문기법을 적용한 과학실험활동을 독립 변인으로 하고,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사전-사후 검사로 하였다. 개별 아동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별로 그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학생들의 행동 변화를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결중심 상담 발문기법을 적용한 과학실험활동이 각기 다른 정도의 차이를 보였지만 6명의 지적장애학생의 과학적 탐구능력 전체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요소인 ‘관찰하기’, ‘분류하기’, ‘추리하기’에서 6명의 학생에게 모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분류하기’와 ‘추리하기’에서 크게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측정하기’에서는 지능 수준이 “상”수준의 학생들에게서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는 6명의 지적장애 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요소의 ‘끈기성“에서 낮은 점수가 나타나 학생들에게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교수-학습 환경에서 교사 발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학생의 자원을 활용하는 해결중심적 접근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학습에서 문제의 원인이 아닌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사의 발문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고, 발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과학실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발문지원에 대한 실행연구를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에 의한 혈청 내 콜레스테롤의 정량

        신혜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asurement of total cholesterol is necessary for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ipid disorders. We have developed an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ID LC/MS) as a candidate reference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holesterol in human serum. The advantages of IDMS include a simple sample preparation without derivatization and the use of an isotopic analogue as an internal standard, because the use of isotopic analogue as an internal standard enables the compensation for the matrix effect. The LC/MS used in this study was a triple-stag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combined with a HPLC through its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interface. The experiment was operated in positive SIM mode, and cholesterol and cholesterol-3,4^(-13)C₂ were monitored at m/z 369.4 and 371.3 respectively, which correspond to [M-H₂O+H]^(+) ion. The column was a Thermo ODS Hypersil C_(18)(100 x 2.1 mm, 3 μm). The mobile phase was 100% methanol, and flow rate was 0.3 mL/min. In order to verify this method, NIST SRM 909b and 1951b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greed well with the certified values within uncertainty. The serum samples were four kinds of KRISS CRMs. The repeatability of measurement in a single measurement run was ranged from 0.1 to 0.8%, which is relatively good result. The reproducibility between independent measurement run was below 0.27%. The expended uncertainty was about 1.43% within a 95% confidence interval.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holesterol in serum can be a candidate reference method because of its precision, accuracy and provision of definable uncertainty values.

      • 교사 능력의 중요도와 준비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혜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 능력의 중요도와 준비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앞으로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방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능력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 능력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의 수행을 위해 서울ㆍ경기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교사 능력의 중요도에 대하여 교과내용과 수업 지도에 관련된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행정 관련 능력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능력의 준비도에 대해서는 수업 중 학생과의 상호작용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인식이 가장 높았고, 평가 관련 항목과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항목의 준비도 인식이 낮았다.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 능력과 현재 갖추어져 있는 능력 사이의 인식 차이는 교과지식, 수업 조직 능력, 교수방법 활용 능력 등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신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사는 교사 능력의 중요도에 대하여 초등교사와 마찬가지로 교과내용과 수업 지도에 관련된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행정 관련 능력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능력의 준비도에 대해서는 교과지식 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인식이 가장 높았고, 평가 관련 항목과 행정업무 참여태도에 대한 항목의 준비도 인식이 낮았다. 교사들이 중요하고 생각하는 교사 능력과 현재 갖추어져 있는 능력 사이의 인식 차이는 교수방법 활용 능력, 교과지식, 수업 조직 능력 등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신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중요도와 준비도 인식 간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지식 교육이고, 이에 대한 교사의 능력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준비도와 중요도 인식 간의 차이가 가장 큰 능력도 교과 지식과 수업에 관련된 능력임을 볼 때,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초등과 중등 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평가에 관련된 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준비도 인식은 낮은 편에 속한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에 대한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현직 연수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이해 능력에 대한 준비도 인식이 낮았다. 이는 한 명의 교사가 거의 모든 과목을 담당하는 초등학교 교육의 특성상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초등학교 교육에서 과목 전담 교사의 비중을 늘리고, 교사가 교육과정의 양과 폭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현장에 맞게 재구성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 넷째, 신임교사의 행정 업무에 관한 준비도가 낮게 인식되고 있다. 이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나타나듯이 학교에서의 행정 업무 관련 능력에 대한 직전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처음 임용된 교사에게 충분한 사전 연수 또한 이루어지지 않아 곤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섯째, 대부분의 능력에 대해 경력교사가 신임교사보다 준비도에 대한 인식이 높다. 능력 습득의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고 신임교사의 현장과의 괴리를 좁혀줄 수 있도록 현재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교육실습을 보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교원양성교육과정 중 총 3회의 교육실습을 실시하는 초등교사의 신임교사와 경력교사 간 준비도 인식 차이가 1회의 교육실습만을 실시하는 중등교사의 인식 차이보다 낮은 것과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mpetences and their competence level in order to point out problems in the current teacher-fostering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fostering education and teacher's expertise. The study addresses two issue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The study carries out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gions. The study finds out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found to perceive such items as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the most important and the competence to handle administrative operations less important. In terms of their competence level, they perceive that their competence level is the highest in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e class but low in assessment and comprehension of curriculum contents. The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was the largest in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competence to organize teaching and competence to utilize teaching methods. When looking into perceptu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ching years, newly appointed teachers have larger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than experienced teachers. Second, li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ary school teachers also perceive that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eacher's competences and put less importance on the competence to handle administrative operations. In terms of their competence level, they perceive that their competence level is the highest in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but low in assessment and the attitude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operations. The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was the biggest in the competence to utilize teaching methods, curriculum knowledge and the competence to organize teaching. When looking into perceptu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ching years, newly appointed teachers have larger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mpetences of importance as perceived by them and the competence level that they achieved than experienced teachers. By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what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school is knowledge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eachers are competent enough and teacher-fostering education is relatively well provided.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ompetence for assessment is important but also perceived that their competence level for assessment is low. Therefore, in-service training is necessary for them to obtain the competence for assessment applicable in the field.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their competence to comprehend curriculum contents is low. It seems because they have to teach all subjects by the natur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rtion of teachers exclusively teaching a specific subject and seek ways for teachers to reorganize the volume and depth of curriculum contents properly. Fourth, newly appointed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have a low level of competence for administrative operations. As shown in the item of the usefulness of teacher-fostering education, it indicates that pre-service training to cultivate the competence for administrative operations in school is nonexistent and newly appointed teachers are not given with sufficient pre-service training. Fifth, in most competence items, the perception of competence level was higher in experienced teachers than in newly appointed teachers.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system of teacher-fosteri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complemented and reinforced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obtaining competences as well as a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field. In regard to this, it should b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perception of compete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do practice teaching three times in total is lower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do practice teaching only once.

      • RAW 264.7 세포에서 산귤(Citrus sunki Hort. ex Tanaka) 과피 추출물과 sinensetin의 항염증 작용

        신혜선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eel of Citrus sunki Hort. ex Tanaka is a rich source of polymethoylflavones (PMFs), which exhibit diverse biological potential.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 sunki peel as anti-inflammatory resourc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t's peel extracts and sinensetin were investigated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Ethanol extract of C. sunki peel (EECP) inhibi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on 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These activities are more stronger in inmature peel extracts than mature peel. Also, EECP inhibit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 gene expression levels. After the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inensetin, which was isolated as single compound from C. sunki peel, were assessed. Sinensetin inhibited NO production,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oreover, sinensetin promoted the generation of inhibitory kappa B-α (IκBα), and attenuated LPS-induced phosphorylations of MAPKs such as JNK, ERK and p38, which are up-regulators of iNOS and COX-2 prote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inensetin may be mediated through at least two signal pathways, the regulation of NFκB and MAPKs dependent pathways. Thus, the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 of EECP may be exerted by combin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veral PMFs which are contained in EECP. 제주 재래귤인 산귤 (Citrus sunki Hort. ex Tanaka)의 과피에는 다양한 생리 활성기능을 가진 polymethoxyflavones (PMFs)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개선소재로서 산귤 과피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귤 과피 추출물과 sinensetin의 염증억제 기전을 RAW 264.7 세포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미성숙 및 성숙한 산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미성숙 산귤 과피 추출물이 성숙한 과피 추출물보다 DPPH 소거능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lipopolysaccharide (LPS)로 활성화시킨 RAW 264.7 세포에서 산귤 과피 추출물이 여러 염증 매개인자의 생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산귤 과피 추출물은 nitric oxide (NO)와 활성산소종 (ROS)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고,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단백질 발현과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mRNA 발현 역시 저해시켰다. 이러한 활성 또한 미성숙 산귤 과피 추출물이 성숙한 과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미성숙한 산귤 과피 추출물에 다량 함유된 PMFs 중 sinensetin의 염증 억제 효과와 그 기전을 조사하였다. Sinensetin은 NO 생성과 iNOS, COX-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그리고 sinensetin은 RAW 264.7 세포에서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c-Jun NH2-terminal kinase (JNK) 와 p38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p38) 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nuclear factor κB (NFκB) 경로에서 inhibitory κBα (IκBα)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sinensetin은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의 인산화 감소와 IκBα의 생성촉진에 영향을 줌으로써 전염증성 매개인자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산귤 과피의 염증 억제 활성이 과피에 함유되어 있는 PMFs의 다양한 염증 억제기전들이 통합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숙한 개체와 미성숙한 개체 간 염증 억제효과의 차이는 과실의 성숙 정도에 따른 과피의 PMFs의 함량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 학교 내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관교육 프로젝트 개발 : 초등학생 대상 대화 중심 감상을 기반으로

        신혜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내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하고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내 미술관’ 개념을 살펴보고 ‘대화 중심 감상 이론’을 기반으로 ‘학교 내 미술관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초등학교 내 미술관 감상 동아리를 구성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운영하였으며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개발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선행연구로는 ‘ 학교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 연구’ 와 ‘미적발달 단계를 기반으로 한 대화 중심 감상법 연구’를 선정하였다. 프로젝트가 실행되는 ㄱ초등학교에는 현관과 복도에 명화 위주의 대형 프린팅 작품이 40여점 배치되어 있다. 연구자는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내 미술관 감상동아리를 모집하고 운영하였다. 동아리인원은 남 1명, 여 14명, 총 15명의 인원으로 대화적 감상의 적용이 가능한 적정한 규모였다. 프로젝트는 1년을 기준으로 1학기 15차시, 2학기 10차시, 총 25차시를 운영하였다. 1학기에는 사전설문과 인터뷰가 포함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대화 중심 감상을 통해 이해-감상-표현에 이르는 ‘작품읽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2학기에는 ‘미술관 설계’와 ‘학생주도형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계획, 개발, 실행, 발표) 하였다. 프로젝트의 결과는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 학생들의 미술·미술관에 대한 관련 지식 수준 향상, 미술관에 대한 인식 변화, 주체적 경험을 통한 주인 의식향상, 미술 관련 진로에 대한 흥미도 향상 등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 내 미술관을 활용한 대화 중심 감상 기반 미술관 교육은 학생들의 미적 이해능력과 미술 비평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미술관에 대한 인식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 내 미술관 활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미술관 방문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학교-미술관연계 감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apply ‘Art museum education project using art museum in school’ and analyze i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project were 'Study on Educational Value of School Art Museum', ‘VTS(Visual Thinking Strategies)’ and 'Study on Interactive art appreci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here the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there are about 40 large-scale printed works of masterpieces in the entrance and corridor. Project was designed and applied to ‘Art gallery appreciation club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The number of club members was 15, including 1 male and 14 female. It was an appropriate size to apply interactive appreciation. The project operated 15 sessions in the first semester, 10 in the second semester. In the first semester, an “Orientation” was conducted that included a preliminary survey and interview. The ‘Reading artwork’ activity ranging from understanding-appreciation-expression was also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Art museum designing program' and 'Student-led museum education program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present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project were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educational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art and art museums, change of perception of art museums, improvement of sense of ownership through subjective experiences, and interest in art-related care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teractive art appreciation, using art museum in school can not only improve students' aesthetic comprehension and art criticism, but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perception of art museum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using art museums in schools suggested in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School-Museum connected education program that can overcome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visiting an art gallery.

      • 뮤지컬 관객의 시장세분화 연구 : 대학생 관객을 중심으로

        신혜선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trends and features of musical’s audience, of which research need has increased, as domestic musical market size has expanded. Though musical is a genre showing the fastest growth trend in the performance art markets, studies of consumers for audience creation is inadequate, compared to its commercial market possibility. Basic study of audience’ features and trends that can have an impact on musical, such as convenience intended to be acquired by consumers through musical viewing and their life styles was considered to be required. Consequently, market segmentation research, which is used as one of the major means to meet consumer needs, has been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various variables, each market’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whole musical market into groups with similar needs, and market plans suitable for each consumer group wa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paper targeted university student audience who are known to form broad consumer class in the musical market through existing studies. Through existing study review and literature research primarily, the variables us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omposed of, based on whi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within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with at least one occasion of experience of viewing musical. After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400 university students, 383 responses, which were judged suitable for an analysis, were segmented for market using a mixture model. As a result, four segmented markets were confirmed to be suitable, and the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Segmented market 1: This consumer group showing the highest preference of musical and popular music performances of the performance art accounted for 41.6% of the whole respondents, and women students constituted 74% of this market. Though this group is not very active but a large consumer group in musical consumption, they favor musical and spend money for musical. If marketing suitable for this market is used, this group has been analyzed to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a large consumer group for musical. Segmented market 2: This group accounted for 22.7% of the whole respondents, and female students took up 94% of this group. This group favors musical and plays of the performance art, and was analyzed to be a large consumer group in the musical market. This group’s performance arena online membership rate was 60.3%,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herefore, this group was analyzed as a very active market for musical viewing. Segmented market 3: This group accounted for 22.2% of the whole respondents, and 66% of this group consisted of male students. This group favored popular music performance most, and then musical. In spending for musical, this group is not active, but their interest in musical was interpreted to be high, and was classified into an intermediate consumer group for musical. Segmented market 4: This group consisted of 13.6% of the whole questionnaire survey sample, and male students’ratio was 86%,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e female students. This market, mainly composed of low grade university students, favored popular music and plays most. This group showed passive consumption, and was classified into a small consumer group for musical.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 시장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더욱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진 뮤지컬 관람객에 대한 성향 및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시작하였다. 뮤지컬은 공연예술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장르이기는 하지만 그 상업적 성장 가능성에 비하여 관객창출을 위한 소비자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소비자가 뮤지컬을 관람함으로써 얻고자하는 편익과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등 뮤지컬 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람객의 특성 및 성향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주요한 수단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시장세분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변수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뮤지컬 전체시장에서 욕구가 비슷한 집단별로 나누어 각 시장별 특성을 분석하고 각 소비자집단에 적합한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조사대상을 기존연구를 통해 뮤지컬 시장에서 두터운 소비자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학생관람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일차적으로 기존 연구검토와 문헌조사를 통해 설문조사에 사용할 변수를 구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뮤지컬 관람 경험이 1회 이상 있는 수도권소재 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383명의 설문 응답을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시장 세분화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세분시장이 가장 적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결과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세분시장 1: 공연예술 중에서 뮤지컬과 대중음악 공연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이 소비자 집단은 전체 설문응답자의 4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학생이 이 시장의 74%를 구성하고 있다. 이 집단은 뮤지컬 소비에 있어 매우 적극적인 대량소비자는 아니지만, 뮤지컬을 선호하고 또한 소비하고 있어 이 시장에 적합한 마케팅을 활용한다면 대량소비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분시장 2: 전체 설문응답자 중 22.7%를 차지하고 있고, 그 중 94%가 여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집단은 공연예술 중에서 뮤지컬과 연극을 가장 선호하며, 뮤지컬 시장에 있어 대량소비자로 분석되었다. 이 집단은 공연장 온라인 회원 가입률도 60.3%로 다른 세분시장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 뮤지컬 관람에 매우 적극적인 시장으로 분석되었다. 세분시장 3: 전체 설문응답자 중 2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시장의 66%가 남학생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시장은 대중음악 공연을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으로 뮤지컬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뮤지컬 소비에 있어서는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이나 뮤지컬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해석되어 중간 소비자로 분류되었다. 세분시장 4: 전체 설문조사 표본의 13.6%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시장의 남성 비율은 86%로 남학생의 수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주로 저학년 학생이 구성하고 있는 이 시장은 대중음악과 연극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뮤지컬에 있어서는 매우 소극적인 소비를 보이고 있어 소량소비자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 鉢 製作에 關한 硏究

        신혜선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ceramics are vessels, they go beyond the basic function and bear the life and culture of an era. Especially, bowl became a vital part of our everyday lives with its various shapes and uses. This bowl which is also called bowl is a certain vessel type whose opening is larger than its body. In general, the bigger ones are called bowl while the middle size 'Wan', and small 'Jan'. Bowl was used to put things to eat or drink, flowers, or stationery and incense. This study aims to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bowl, which had a good adoptability according to the use as well as the physical nature of soil, and thus vary the shape and lines on it by forming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vessel. In addition, the natural beauty and dynamic expression of the chapped surface will be examined to combine the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senses. The shape of the vessel will adopt the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e existing pictures, and by using the production techniques, without the need of additional decoration after formation, the effect itself of chapped and a bit cracked joints will express the esthetic features. The materials were selected to express properly the effect of making the surface soil chapped, and in a way of mixing rough ones or using sodium silicate or torch. To make better the effect of making the surface soil chapped, the form of mat finish plasticity in the firewood furnace was utilized. Adding the formative functions suitable for modern day interior environment to the various uses of bowl, enabled not only satisfying the demand for decorative features, but also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도자기는 그릇이지만 그릇에 그치지 않고 한 시대의 삶과 문화를 담고 있다. 그 중 발(鉢)은 형태와 쓰임에 따라 여러 용도로 우리의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발(鉢)은 ‘바리’를 가리키는 말로써 몸통보다 아구리(入口)가 넓은 그릇의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큰 그릇만 발이라고 부르고 중간 것은 완(碗)으로, 작은 것은 종(鍾)이나 잔(盞)으로도 부른다. 발은 먹고 마시고, 놓고 담으며, 꽃을 꽂고 문방구나 향을 받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쓰임에 따라 기능의 적응도가 높은 발의 특성을 살리고 흙이 가지는 물리적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한 기물의 위, 아래를 각각 따로 성형하여 이어 붙이는 방법으로 선의 변화를 주어 새로운 형태와 자연스러운 전의 변화, 또한 흙이 트임으로써 느껴지는 자연적인 미와 율동적인 표현을 연구하여 전통적인 미와 현대적인 감각을 부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형에 있어서는 기존의 사진자료를 통하여 응용하고 이형 제작 기법을 이용하여 성형 후 따로 장식을 하지 않아도 그에 따른 전의 변화와 바깥 기벽의 연결부위가 갈라져 트이는 효과를 유도하여 장식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소지는 흙트임의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당한 소지를 선정하고, 거친 소지를 섞어 사용하거나 규산소다 및 토치를 사용하였고, 흙트임의 효과가 더 잘 표현되게 하기 위하여 유약을 바르지 않고 장작가마로 무유소성 하였다. 발의 다양한 쓰임새에 겸하여 현대의 실내 환경과 함께할 수 있는 조형의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서, 장식적인 욕구를 충족하며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4원소론의 근원성과 물질성을 반영한 실험 타이포그래피 연구

        신혜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kind has long taken interest in and explored which of all the things in the world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Trying to identify the fundamental matter of all things and understand the world based on it has been one of the common ideas of mankind regardless of East and West. Good examples of world views among ancient people are the ‘Ideology of Five Elements’ in East and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in West.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is especially significant as a theory that has been transmitted, developed, and studied by a large group of scholars over the many years. The theory dictates that water, fire, air, and earth are the basic elements of all things and that all things are comprised of the four elements. It was first maintained by an ancient Greek philosopher called Empedocles, then intensified by Plato and Aristotle, and culturally examined a French scientist and philosopher called Gaston Bachelard in modern times when it has lost its value as scientific truth. The theory has claimed its significance even in the modern times since the past because it has been reinterpreted from a cultural and ecological perspective. The underlying fact behind it is that the theory is a concept long inscribed inside the head of mankind as a perception framework of understanding the world.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y is two-pronged between the natural philosophical concept in the past and the cultural concept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days. Traditionally the four elements have been regarded as the ultimate causes of many different phenomena taking place in the natural world as the fundamental matters and the entities possessing the invisible force of nature. Interpreting the theory in a modern way, Bachelard paid attention to the materiality of the four elements and classified human imagination into water, fire, air, and earth by considering it to be fundamentally material. He argued that the four elements representing the character of nature have their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at those natural elements create images of different attributes according to situations. The investigator approached the meanings and contexts of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through natural phenomena in daily life. Water, fire, air and earth are very close to human life. People frequently experience na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four elements in everyday life and share similar emotions.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sees man as one of the elements of nature and maintains that the spiritual world as well as the physical world originates in the four elements. In that vein, fundamental and material images via natural phenomena in daily life with respect to the four elements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a spiritual human activity.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tried to express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in the format of experimental typography with the theory as a visual motive. One of the expressive formats to deliver linguistic information, typography has gradually expanded in its significance and scop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increasing diversity of media. Modern typography expands in a direction toward visually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via the formative functions of letters beyond the old linguistic function of conveying information via the means of letters. ‘Experimental typography’ was coined by adding the word ‘experiment’ to typography of such modern significance and has evolved in an even more daring and innovative direction. Experiments on typography have continued to make interesting attempts and are open to the diverse, infinite possibilities of expression. There is a trend toward design providing users with differentiated sensitivity and experiences beyond harmony between function and formativity, and the trend is raising a need for research on experimental typography with creative and sensible visual expressions added to it. The study set out to visualize the fundamental force and material imagination of the Theory of the Four Elements through the methodology of experimental typography with creative visual expressions added to the delivery of meanings through linguistic functions. The study analyzed na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Four Elements frequently experienced in daily life, visually reconstructed them, and expressed the unique material and fundamental images of the four elements, water, fire, air, and earth. The study experimented new visual expressions using temporal and animated sequence included in natural phenomena, and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and possibility of experimental typography in terms of expression by applying it to texts and media suitable for each sensitivity and mood. 인류는 오래전부터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어떤 물질인지에 관심을 갖고 탐구해왔다. 만물의 근원적 물질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자 했던 시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존재한 인류 공통의 인식이다. 대표적으로 동양의 ‘오행(五行)사상’과 서양의 ‘4원소론’은 고대인들의 세계관을 잘 보여준다. 4원소론은 특히 오랜 시간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전승되고 발전되며 연구되어 온 이론으로 의의를 갖는다. 물, 불, 공기, 흙이 만물의 기본 요소이며 만물은 이 네 종류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내용의 4원소론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엠페도클레스가 처음 주창한 것으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거쳐 심화되었고, 과학적 진실로서 가치를 잃어버린 현대에는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인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등에 의해 문화적으로 고찰되었다. 이처럼 4원소론이 과거를 넘어 현대까지 그 의미를 갖고 있는 이유는 문화적, 생태학적 관점으로 재해석되어왔기 때문이며, 그 바탕에는 4원소론이 세계를 이해하고자했던 인식의 틀로서 오랫동안 인류의 머릿속에 각인되어온 관념이라는 사실이 깔려있다. 4원소론의 의미는 과거의 자연철학적 개념과 근대 이후의 문화적 개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전통적으로 4원소는 근원적 물질로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의 궁극적인 원인이자 보이지 않는 자연의 힘을 갖고 있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4원소론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바슐라르는 4원소의 물질성에 주목했는데, 인간의 상상력을 근본적으로 물질적이라고 생각하면서 물, 불, 공기, 흙으로 분류하였다. 그는 자연의 성격을 대표하는 4원소가 고유한 물질적 특징을 지니며, 이 자연 요소들이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속성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고 보았다. 이러한 4원소론의 의미와 맥락을 본 연구자는 일상의 자연현상을 통해 접근하였다. 물, 불, 공기, 흙은 인간의 삶과 아주 가까운 존재로 4원소와 관련된 자연현상을 우리는 일상에서 빈번하게 경험하며 비슷한 감정을 공유한다. 또한 4원소론은 인간 역시 자연의 한 요소로 보고, 물질세계뿐만 아니라 정신적 세계 역시 4원소에 기원한다는 관점을 가진다. 이러한 점에서 4원소와 관련된 일상의 자연현상을 통한 근원적, 물질적 이미지가 인간의 정신적 활동인 커뮤니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4원소론을 시각적 모티브로 활용하여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형식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언어적 정보 전달을 위한 표현 양식인 타이포그래피는 시대의 흐름과 매체의 다양화에 따라 그 의미와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현대의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라는 수단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적 기능에서 나아가, 문자의 조형적 기능을 통해 시각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적 의미의 타이포그래피에 ‘실험’이라는 단어가 더해진 ‘실험 타이포그래피’는 한층 더 대담하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타이포그래피의 실험 진영에서는 흥미로운 시도들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하고 무한한 표현의 가능성이 열려있다. 디자인이 기능과 조형의 조화로움에 그치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감성과 경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창조적이고 감각적인 시각 표현을 더한 실험 타이포그래피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언어적 기능을 통한 의미 전달에 창조적 시각 표현이 더해진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방법을 통하여, 4원소론이 내포하고 있는 근원적인 힘과 물질적 상상력을 시각화하고자 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경험하는 4원소와 관련된 자연현상을 분석하고 시각적으로 재구성하여, 물, 불, 공기, 흙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물질적 이미지와 4원소 자체의 근원적 심상을 표현한다. 자연현상은 시간적, 연속적 시퀀스를 포함하므로 이를 이용해 새로운 시각 표현을 실험하고, 각각의 감성과 분위기에 어울리는 텍스트와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개발 및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