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디어 교육에 대한 연구

        신현신 ( Hyun-sin Shin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0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 No.1

        Media literacy has been defined as the ability to access, analyze, evaluate, and communicate messages in a wide variety of forms. It is a term used by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and educators to refer to the process of critically analyzing and learning to create one's own message in print, audio, video, and multimedia. Its emphasis is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hese skills through using mass media text in primarily school based context. Media literacy, though, is a concept whose broad definition and range of applications lead to diverse approaches, creating some intriguing conflicts and tension. Educators and scholars with disciplinary backgrounds in many studies may vigorously defend one's own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access, analyze, evaluate, or create media texts without a full awareness of the extent of the complexity, depth, or integrity of various other approaches. In this essay I describe the history of education for media literacy, tracing its evolution from Leaviste's origin, through the advent of cultural studies to the more explicitly political approaches. These approaches reflect a gradual democratization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a form of cultural or political protectionism. I also discuss recent moves beyond this approach, resulting from changing views of young people’s relationship with the media, and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I outline contemporary media education in some countries.

      •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인간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신현신 ( Hyun Sin Shin ) 한국창업정보학회 2006 창업정보학회지 Vol.9 No.2

        The rapid growth of computer, we live in new media world, and the words "false phenomenon", and "false reality" are familiar concept to us. Despite rapid social aspect, we thought it just development of science or revolution. We overlooked that the change of language is essential happening because of social change. Today, lots of media have been pointed out language deviant behavior. Also, new language is not also respect culture, but distort language. It``ll be harmful to education of Korean. too. Teens usually use internet for searching information about 38.1%, using data 31.1%, and chatting is about 21.1%. This research shows using of internet in youth. The chatting occupies about 21% so that shows relative importance. But using language in cyber space has apparent difference between reality. Specially, today``s chatting language, called "alien language" makes severe social problem.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chatting language affects even real world. Also, chatting language makes generation gap between old and young that makes uncommunicative youth group culture. This study analyzes several internet chatting clubs that doesn``t damage personal privacy in Korean. First, we studied phonology that includes deletion, contraction. Second, in morphology, This study analyzed slangs, abbreviation, expression of feeling. Third, this study seized the form of colloquially using, emoticons, coined words. Last, we analyzed deletion of post-position, nouns, and verbs. This study compose of contents of conversations in internet chatting during January 1st 2004 to December 31st 2004. The investigation`s objec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some elementary and college students, too.

      • KCI등재

        체험 마케팅이 브랜드 태도 및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현신(Hyun Sin Shin),이항(Ha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과거에 비하여 소비생활의 가치관이 다양해지면서 이에 따른 유통환경 역시 급속한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고 보다 개성화되고 전문화된 리테일샵이 등장하게 된 경향에 주목하여, Schmitt의 전략적 체험모듈을 바탕으로 한 체험이 고객들의 브랜드 태도 및 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가 향후 고객의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소매업으로서 플래그쉽 스토어가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탐색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략적 체험 모듈을 중심으로(SEMs) 체험마케팅과 브랜드 태도간의 관계를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체험적 요소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쳤을 경우 브랜드 태도와 관계의 질, 고객만족과 재방문간의 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전자 플래그쉽 스토어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직장인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체험마케팅 요소와 브랜드 태도, 관계의 질, 고객만족과 재방문간의 관계를 알아 볼 수 있는 구조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 을 활용하여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체험마케팅의 5가지 요인 중 4가지 요인이 (감성,감각,인지,관계) 응답자의 브랜드 태도와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브랜드 태도 역시 관계의 질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의 질 역시 플래그쉽스토어의 재방문 의도와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주요 마케팅 전략으로서 체험 마케팅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을 뿐 아니라 소비자들과의 다양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체험마케팅 전략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brand attitude and relationship quality in flagship store. Specially,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retail stor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dimensions, brand attitude, and relationship quality.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190 sales person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flagship store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ve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such as sense, feeling, thinking, acting and relating,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most effective creative managing experiential marketing to arouse customer`s interest in the course of brand experience.

      • KCI등재

        옥외간판디자인(Sign Board Design)에서의 픽토그램 활용의 인지효과에 관한 연구

        신현신(Hyun Sin Shin),이항(Ha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시행되고 있는 간판정비사업의 내용을 바탕으로 옥외간판 디자인의 인지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따라서 문자/심볼/픽토그램 1/픽토그램 2의 각기 다른 4가지 형태의 옥외간판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정보전달 측면에서의 기억 효과와 더불어 옥외간판에 대한 호감도를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의 옥외간판 디자인 구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에 시행되고 있던 문자만으로 구성된 간판과 상점별 개성이 실린 심볼 삽입 형태의 간판에 비해 픽토그램이 삽입된 두 가지 형태의 간판이 더욱 높은 회상 및 재인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픽토그램 2 형태의 옥외간판 디자인이 픽토그램 1에 비해 더욱 높은 상점명 회상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옥외간판에 대한 호감도에 있어서는 기존의 심볼이 제시된 형태가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픽토그램 1 형태의 디자인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심볼이 삽입된 옥외간판을 제외한 나머지 형태의 디자인들은 비슷한 수준의 호감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지각적으로 간결하면서도 미적인 요소가 가미된 인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픽토그램의 사용은 옥외광고로서의 간판의 역할을 함에 있어 심미성과 정보전달 효과를 모두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디자인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가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gnitive effect of sign board design on new public design context. Thus, 4 types of sign board design(text only/symbol/pictogram 1, pictogram 2)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mory on information delivery and preference on the sign each board design for provide basic material on sign board desig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ictogram 1 and pictogram 2 types were more high memorized than text only type and symbol type sign board. Among the two types of pictogram, pictogram 2 was more well recalled than pictogram 1. I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for the each sign board design, symbol type was the most low scored, and pictogram 1 was the most high scored. But, The 3 type`s preference 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the symbol type. Thus, the use of pictogram which is visual perceptively concised and not complicated design was more effective sign board design as the outdoor advertising.

      • KCI등재

        옥외광고(sign)의 레이아웃 구성 형태와 색상조화에 따른 차이가 수용자 기억과 상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게슈탈트 이론을 중심으로

        신현신(Hyun-Shin Shin),경아(Kyung-Ah Shin),선일기(Il-Gi Shin)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최근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옥외간판 정비사업의 효과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탐색적 연구로서 레이아웃 구성의 통일성, 색상의 조화를 중심으로 게슈탈트 법칙에서의 유사성의 원리에 따른 인지적 광고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관된 디자인과 배경 색채 적용을 통한 옥외간판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정보적 측면에서의 옥외광고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기존의 각 상점의 개성을 살린 혼잡한 레이아웃과 각기 다른 색상 적용의 사례에서 더 높은 재인점수를 보임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의 간판 정비사업이 가진 지나친 통일성 강조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이는 과도한 도시 미관에 치중된 간판 디자인을 통해 오히려 광고주의 입장에서 중요시 되어야 할 옥외간판의 정보전달 효과가 무시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gnitive advertising effects focused on Gestalt Law's similarity principals to investigation of Korea's Sing board reformation. The result shown that the use of consistency design and color in signboard was actually not carried out the role of informational advertising. Then, preexistence signboard forms of confusion layout and different color shown a high score than the signboard forms of consistency layout and color harmony.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n that today' s signboard reformation was excessively focused to the unity. In other word, For the focusing on signboard's unity, advertiser's important things that information delivery effects was ignored.

      • KCI등재

        스마트폰 이용특성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현신 ( Shin,Hyun Sin ),일기 ( Shin Il G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대표적인 모바일 미디어인 스마트폰의 사회적, 개인적 이용특성에 따라서 외부자극 메세지인 광고와 그에 대한 태도 간의 영향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들이 모바일 광고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 폰 사용자들의 이용특성에 따라 모바일 광고인식과 모바일 광고 수용의 정도가 영향을 받으리라 가정하고, 스마트 폰 특성을 개인적 모바일 이용 특성(개인성, 오락성, 효용성)과 사회적 이용 특성(현존성, 이동성, 관계성)으로 나누고 이 변수들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모바일 광고의 인식정도를 측정 할 수 있는 실제 변인들(경제성, 정보성, 편의성)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미디어의 사회적 특성이 직접적으로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개인적 특성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은 광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차원이 개인적, 오락적, 효용을 제공하는 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개인적인 필요를 만족시키거나 재미를 느끼려는 이용 특성이 모바일 광고 인식과 태도에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매체 인식과 메시지 수용에 대한 전략적 접근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미디어의 사회적 특성이 직접적으로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개인적 특성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은 광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차원이 개인적, 오락적, 효용을 제공하는 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개인적인 필요를 만족시키거나 재미를 느끼려는 이용 특성이 모바일 광고 인식과 태도에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매체 인식과 메시지 수용에 대한 전략적 접근에 대해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socia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 of smart phone, the typical mobile media, the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advertising, the extrastimulation message, and the attitude toward it. It`s necessary to approach how users recognize and accept mobile advertising,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smart phones. In order to examine it, in the assumption that mobile advertising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its acceptance would b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use of smart phone users, th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obile use(individuality, entertainment and usefulness)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use(presentness, mobility and relationship), and extracted factors comprising the above variables and classified actual variables(economic feasibility, informativity, and convenience) based on the variables, which can measur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mobile advertis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characteristics of mobile media directly had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had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n it. The result shows that the dimension of general recognition toward advertising is based on how they provide personal, entertaining and useful aspects of using it.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use in which users are satisfied in individual needs or attempt to feel enjoyment demonstrate high influence on mobile advertising recognition and attitudes, suggesting strategic approach toward appreciation of media and accepting message.

      • KCI등재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 구성요인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몰입과 침입성을 매개변인으로

        일기 ( Shin Il-gi ),최수형 ( Choi Soo-hyung ),신현신 ( Shin Hyun-s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등장과 모바일의 급격한 확산은 기존 미디어의 역할과 개념을 완전히 바꾸었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 이용자 생활양식과 더불어 미디어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의 지각변동을 가져온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광고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바일미디어에 대한 접근도 필요하지만 모바일 사용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더불어 모바일 미디어 통한 인터랙티브 광고는 디자인 연구의 확장을 돕고 나아가 새로운 하나의 영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베이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광고의 6가지 구성요인들 중 오락성과 경제성이 몰입에 유의하였으며, 오락성과 정보성이 침입성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다. 또한 몰입에 따라 광고태도와 구전의도에 서로 유의하였으며, 반면 침입성은 광고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전의도에는 유의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모바일 광고의 구성요인들이 여러 효과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차별화된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Since the 2000s, the coming of the Internet and the rapid growth of the Mobile radically changed the roles and concepts of the media as we knew. With this change, it is leading the changes over the entire digital media industry as well as the life style of the media users. 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media and the mobile advertisements, which brought about such a radical change in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n the uses of the Mobile, as well as an approach toward the Mobile media. Also, Interactive-media advertising is a new field with broad space of research coming into being emergence and extensive study of design. with th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o collect the relevant study data.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done using SPSS 17.0 software through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of the six elements of the Mobile Ads, the entertainment and econom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absorption, while entertainment and informative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ntrus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intrusivenes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whil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intent of verbal spreading of the words. With the above mentioned result,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differentiated strategy on who the elements of the Mobile Ads wielded their influences through various efficacy analysis.

      • KCI등재

        Effect of User Possession Attachment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Media on Acceptance of Mobile AD

        일기,최윤슬,신현신,Shin, Il-Gi,Choi, Yun-Seul,Shin, Hyun-Si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모바일 미디어를 통하여 나타나는 확장된 개인의 자아 형성을 여러 관점에서 다양하게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미디어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에 따라 모바일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개인이 자신만을 위한 모바일 기기를 소유함으로서 소유인식이나 자아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사회적 차원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모바일 미디어 사용에서 개인적 이용특성과 사회적 이용 특성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으며, 가설 검증 결과 모바일의 이용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광고인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특성이 보다 개인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인식의 발생에 있어서 기능중심의 개인적 특징이 광고에 대한 지각이나 노출이라는 측면에서 영향력이 큰 반면 사회적 특징과 관계적 특징이 향 후 내면적 인식에 따른 상호작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personalized and socialized mobile media impacts on users' acceptance of mobile advertising, given the consideration of users' mobile possession attachment. For this, the current study used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ed mobile users. Interestingly, the findings reveal that personalized and socialized mobile characteristicssignificantly affect users' acceptance of mobile ads. That is to say, users' personalized mobile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either awareness of mobile ads or exposure to mobile 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