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플랫폼 세로형 광고영상의 시각적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감각추구성향의 조절효과와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창식,성열홍,고정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8 No.-

        The consumption of video content has rapidly increased recently due to the popularized use of smartphones, vertical rectangle video started to emerge. Viewers, in general, react positively to vertical videos on smartphones. But some viewers, who are used to horizontal rectangle videos, still find vertical videos awkward.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visual attributes of vertical videos, which are “concentrativeness” and “flow” for visual attributes of vertical videos, and an attempt was made to identify their influence on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viewers’ psychological perspectives. Perceived flow and atten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except product attitude, and emotional suitability, and that the emotional suitability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product attitude,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influence of perceived immersion and attention on product attitude, emotional suitability, and advertising attitude, sensation-seeking tendency is found to have a moderation effect in all paths.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suitability between immersion and attention and advertising effect and purchase intention, finds that meaningful indirect effect is discovered in all paths. 최근 스마트폰을 통한 영상 콘텐츠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세로형 영상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 세로형 영상은 일반적으로 시청자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가로형 영상에 익숙해져 있던 일부 시청자들은 세로형 영상이 어색하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세로형 영상의 시각적 특성인 인지적 몰입과 주목도에주목하고 시청자 개인의 심리적 관점 차이(감각추구성향과 감정의 적합성)에 따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몰입과 주목도는 제품태도를 제외한 광고태도와 감정의 적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감정의 적합성은 제품태도, 광고태도,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몰입과 주목도가 제품태도, 감정의 적합성,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감각추구성향은 모든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주목도와 광고효과, 구매의도 사이에서 감정의 적합성을 매개변수로 하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호주의 정신보건 개혁에 관한 연구: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을 중심으로

        신창식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2

        The National Mental Health Plan has provided the overarching policy framework that has guided and extensive process of mental health reform in Australia for the last 20 years. The Fourth National Mental Health Plan committed governments to collaborative action in 34 areas designed to achieve reform at a national level in each of the five priority areas: social inclusion and recovery,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service access, coordination and continuity of care, quality improvement and innovation, and accountability-measuring and reporting progress. There are considerable progress and outcomes in participation rates by people with mental illness of working age in employment, participation rates by you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of working age in education and employment, rates of stigmatising attitudes within the community, percentage of mental health consumers living in stable housing, rat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by people with mental illness, rates of contact with primary mental health care by children and young people, and rates of suicide in the community under the Fourth National Mental Health Plan. 본 논문은 호주의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의 추진을 통한 정신보건개혁의 주요 내용과 그 성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정책에 주는 함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수립된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은 지난 20년 동안 호주의 정신보건개혁의 광범위한 과정을 선도하는 중요한 정책 준거틀을 제공하였다. 2009년에 발표된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은 정신질환자의 사회통합과 회복,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 개입, 서비스 접근성 개선과 서비스 조정을 통한 보호의 지속성 확보, 서비스 질의 개선과 혁신, 그리고 책무성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성과측정과 보고 등을 정책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제4차 국가정신보건계획을 통한 정신보건개혁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고용률 증가, 청년 정신질환자의 교육과 경제활동 참여율 증가,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수용도의 향상, 정신질환자의 주거 안정, 초‧중등학교 교과과정을 통한 정신건강교육의 증가, 아동‧청소년의 1차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 증가, 지역사회 내 자살율 감소, 퇴원 후 28일 이내 재입원률의 감소, 퇴원 후 지역사회보호서비스 이용률 증가, 정신질환자의 치료효과성 향상 등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 KCI등재

        일하는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창식,양소남 한국웰니스학회 202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취업하여 일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를 사용하여 표본대상인 전체 발달장애인 3,000명 중 취업한 813명의 발달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인요인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심리사회요인에서는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일상생활에 만족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근무환경요인에서는 근무지가 안전할수록, 본인이 일하기에 적절한 환경인 경우, 사업체에서 차별 경험이 없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상황을 개선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ways in which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022 Work and Life Surve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xamine 813 employe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ut of a total of 3,000 respondents. As for the study results, among individual factors, higher age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As for psychosocial factors, subjectively healthy status and higher daily life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s for work environmental factors, the safer workplace, the more suitable for their work, and the abs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organiz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situation fo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