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기억성과 비대칭성을 띠는 실현변동성의 예측을 위한 LIHAR모형

        신지원,신동완,Shin, Jiwon,Shin, Dong Wan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7

        최근에 Cho와 Shin (2016)가 변동성 예측 모형으로 유명한 HAR (Corsi, 2009) 모형보다 단위근을 부과한 IHAR 모형이 더 우수하다는 것이 보고하였다. 금융시계열에 비대칭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IHAR 모형에 레버리지를 고려한 LIHAR 모형을 제안한다. LIHAR 모형과 IHAR 모형 기존의 HAR 모형, LHAR 모형과의 예측력 비교를 통해 LIHAR 모형의 우수성을 보인다. 모형을 평가하기 위해 Oxford-Man 라이브러리 20개의 실현변동성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특히 DJIA, S&P 500, Russell 2000, KOSPI Composite 데이터는 다양한 분석을 하였다. 주가와 같은 금융지수의 변동성에는 장기기억성과 비대칭 변동성이 존재하고, 이런 특징을 LIHAR 모형이 HAR, IHAR, LHAR 모형보다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예측력도 LIHAR 모형이 가장 우수하였다. 금융시계열의 실현변동성에 장기기억성, 비대칭변동성, 비정상성을 모두 반영하여 예측하는 것이 상당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ho and Shin (2016) recently demonstrated that an integrated HAR model has a forecast advantage over the HAR model of Corsi (2009). Recalling that realized volatilities of financial assets have asymmetries, we add a leverage term to the integrated HAR model, yielding the LIHAR model. Out-of-sample forecast comparisons show superiority of the LIHAR model over the HAR and IHAR models. The comparison was made for all the 20 realized volatilities in the Oxford-Man Realized Library focusing specially on the DJIA, the S&P 500, the Russell 2000, and the KOSPI. Analysis of the realized volatility data sets reveal apparent long-memory and asymmetry. The LIHAR model takes advantage of the long-memory and asymmetry and produces better forecasts than the HAR, IHAR, LHAR models.

      • KCI등재

        국제이주, 젠더, (비)이동성의 동학: 네팔 사례를 중심으로

        신지원 ( Julia Jiwon Shi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21 담론 201 Vol.24 No.2

        이 연구는 네팔정부의 국제이주에 대한 젠더차별적 규제의 배경을 분석하고, 이주여성과 이주가정의 남아있는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국제이주, 젠더, 이동성이 어떻게 맞물려 서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다. 이 연구는 ‘이동성 레짐 접근’을 통해 네팔의 국제이주 맥락에서 발생하는 불평등한 권력의 작동방식과 이동과 부동성의 동학을 설명한다. 이 연구는 네팔의 중부산지 농촌마을과 카트만두 일대에서 수집한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주여성과 남아있는 여성의 경험을 동시에 살펴봄으로써 공간적 이동성에 관한 기존 이주연구의 단편적이고 이원적인 접근을 넘어서는 시도를 한다. 네팔의 젠더화된 국제이주는 공간적 이동성이 권력의 위계와 공간성에 의해 구성되는 사회ㆍ정치적 과정임을 확인해준다. 네팔여성에게 부과된 이동성의 엄격한 제약은 이동성에 대한 사회적 위계를 구성하며, 이동성 레짐에서 네팔여성의 위치를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그러나 국제이주는 이주여성과 남아있는 여성 모두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와 젠더관계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존의 관습과 이데올로기에 도전한다. 네팔여성들은 국제이주를 통해 그들만의 궤적을 생성하고 끊임없는 경계넘기를 시도하며 새로운 사회관계와 이동을 매개하는 초국적 이주공간을 생성해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international migration, gender, and mobility intertwine and influence each other. Through a ‘regimes-of-mobility approach’, the study explores the dynamics of mobility and immobilit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migration as well as Nepalese society. It criticall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onsequence of gender-discriminatory regulation of international migration imposed by the Nepalese government. By reflecting experiences of both migrant and left-behind women, the study also attempts to go beyond the fragmentary and dualistic approach to spatial mobility in migration studies. The gendered international migration of Nepal confirms that spatial mobility is a social and political process constituted by a hierarchy of power and spatiality. Strict restrictions on mobility imposed on Nepalese women lead to a social hierarchy of mobility and make Nepalese women’s position in the mobility regime even more vulnerable. Nevertheless, international migration has a complex effect o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relations for both migrant and left-behind women, challenging existing customs and ideologies. Nepalese women are creating their own trajectory through international migration, endlessly attempting to cross boundaries, and creating transnational spaces that mediate new social relations and mobilities.

      • KCI등재

        다문화 도시의 다양성 관리와 ‘디아스포라 공간’

        신지원(Shin, Julia Ji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지난 50년 동안 이민자의 지속적인 유입을 경험한 영국은 프랑스나 독일과 같은 이웃 국가와는 차별된 고유의 이민자 통합정책을 발전시켜왔다. 영국의 이민자 통합정책은 ‘통합과 공동체 화합(integration and community cohesion)’이란 정책 패러다임 안에서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분담과 협의체를 통한 정책결정과정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영국에서 다문화 도시의 모범사례로 잘 알려진 ‘레스터 모델’의 형성 배경을 좀 더 심도 있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레스터는 도시의 인구 약 34만 명 중 절반이 넘는 인구가 비백인 이민자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레스터의 다문화 현황 및 관련 정책에 대한 현상적인 분석을 넘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디아스포라 형성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지역의 ‘다양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되어왔는지 살펴본다. 과거 이민자의 유입을 노골적으로 반대하고 인종차별적인 분위기가 만연했던 레스터 시가 효과적인 다양성 관리 제도와 정책을 발전시킬 수 있던 배경에는 인구학적(종족 및 종교구성의 다양화), 제도적(인종관계법 및 지방정부 책임성 강화), 경제적(에스닉 산업) 요인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아브타 브라(Avtar Brah)의 ‘디아스포라 공간’ 개념을 차용하여 레스터의 다양성 관리 담론, 제도 및 실행에 있어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영역에서의 권력관계와 자리매김이 어떻게 작동해 왔고 경합해왔는지 살펴본다. Over the last 50 years, Britain has experienced a constant influx of migrants and developed its own unique migration integration policy that is different from its neighbours, such as France and Germany. The migrant integration policy in Britain is implemented within the policy paradigm of “integration and community cohesion”, which emphasises the policymaking process based on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aking a renowned British multicultural city, Leicester, as a case study,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Leicester model’. Over the half of the total population in Leicester are non-white immigrants and their descendants. The paper scrutinis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iaspora formation that constitutes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of Leicester and the ways in which local ‘diversity’ have been managed. Leicester, which was blatantly opposed the influx of migrants in the past, was able to develop effective diversity management policy due to demographic (ethnic and religious diversities), institutional (local government’s commitment to racial relations and community cohesion), and economic (ethnic businesses) factors. By using the Avtar Brah’s concept of ‘diaspora space’, it also explores the ways in which power relations and social positioning in the discourse, institutions and practices of diversity management are constructed and contested in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 KCI등재후보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 담론에서 ‘디아스포라’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지원(Shin, Julia Ji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전례 없는 수준의 활발한 국제인구이동이 발생하고 있는 시대적 현상과 맞물려 디아스포라의 개념은 초국가주의의 개념과 중첩되고 확장되어 오늘날 국제이주와 발전의 담론에서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주와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잠재적 역할은 ‘이주와 발전에 관한 국제포럼(GFMD)’에서 매년 빠짐없이 논의되는 주제이다. 본국의 발전에 있어 디아스포라의 영향력은 주로 송금, 두뇌 유입 혹은 순환, 초국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이 글은 국제이주와 발전의 연계성 담론에서 부각되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그 역할에 대해 탐색하고, 인도와 아프리카 지역 출신 디아스포라의 지식교류를 통한 두뇌순환 및 공동발전프로젝트(MIDA)와 멕시칸 디아스포라의 향우회(HTAs) 결성을 통한 초국적 네트워크 및 활동 사례를 통해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체화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 이 글은 ‘디아스포라에 의한 발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국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가치와 동기를 통해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어야 하고, 디아스포라의 활동 및 고국과의 유대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송출국과 수용국 내 사회적, 구조적 환경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아울러 송출국과 수용국은 개인 혹은 공동체와 시장으로 ‘발전’의 실천적 책임을 전가하는 경제중심적 관점을 넘어서서 진정한 ‘공동발전’의 개념을 정립하여 디아스포라가 고국의 경제발전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변화에 긍정적인 역할과 기여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함을 주장한다. With the unprecedentedly vigorous international movement of population in the present epoch, the term, diaspora, has received prominent attention in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The potential role of diasporas in development is one of the key issues discussed at the Global Forum on Migration and Development (GFMD) every year. The contribution of diasporas to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is explained mainly by remittances, brain gain/circul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This paper explores the contemporary concepts and roles of diasporas emerged in the migration-development nexus. It discusses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examining the cases of brain circulation, co-development projects (MIDA - Migration for Development in Africa) and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Mexican hometown associations (HTAs). The paper highlights that, in order to fulfill the development by diasporas, a diaspora should be formed based on shared values and interests on the home country’s development, and positive social and structural environments need to be established both countries of origin and destin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sustainable link between the diaspora and the home country. In addition, both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should seek for the tangible measures to promote ‘co-development’ that goes beyond the economic-centered perspective which passes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of ‘development’ merely on to individuals, communities or markets, and makes progressive way for diasporas to fully contribute to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economic development in home countries.

      • KCI등재

        대학생 진로역량개발을 위한 진로교과내용 개편의 방향성 : 학습자중심학습환경 제공 사례 중심으로

        신지원(Shin J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역량개발을 위한 진로교과내용 개편의 방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제공한 사례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진로교육이 활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및 플립러닝을 활용의 진로교육 사례, 학습자가 체험을 통하여 진로탐색을 할 수 있는 도전학기제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의 개편의 방향성은 학습자가 능동적이며, 주체적으로 느끼고 생각하며,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험적인 형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깊이 있는 실천적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했다. 둘째, 대학생 시절 다양한 진로탐색행동으로 학습자 스스로 진로역량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것이 중요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다양한 진로탐색 행동을 통해 진로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환경을 대학에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진로역량 개발을 할 수 있는 진로교과내용의 개편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organize a carer course contents direction for develop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undergraduates. Using the collected data, we examined the case of career education by using portfolio and flip learning, where learners can lead learning the case of the challenging semester syste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career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requires an experiential form that enables learners to be active, subjectively feel, think, and act. It will help you adap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university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their career competency and gain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it through practice of conducting various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as a college stud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areer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to develop career competency suitable for the changing tim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원생들의 온라인 학업적응과정 : COVID-19 이후 입학한 석사과정생 중심으로

        신지원(Shin J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원들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대한 적응과정에서 어떤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가를 제시함으로써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대학원수업에서 학습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준거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업수행중인 대학원생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의도적 표집방법에 따라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생들의 온라인 학습적응과정의 중심현상은 ‘불안함, 답답함, 고립감으로 인한 부정적 시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원생들의 온라인 학업적응과 관련한 범주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일당백을 해야 하는 새로운 학업 플랫폼 만들기, 지쳐감’, ‘우연한 경험을 통한 구심점을 가진 안정적 노력, 긍정성’, 이며, 장기화되는 온라인 강의에서 학업에 대한 기대는 3개의 유형으로 막연하게 대면강의를 바라는 유형, 현실적으로 대면강의가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 냉정하게 판단하여 대학원 학업의 목표설정을 변화하는 유형, 학업이외에 할 수 있는 활동이 줄어들어 연구에 더욱 몰입하는 적응적 수용파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원생들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한 학생 이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riterion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in online graduate school classes by suggesting what characteristics they show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in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7 graduate students who are conducting online studies. In order to select subjects deemed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cedur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online learning adaptation process of graduate students was found to be ‘negative gaze due to anxiety, frustration, and isolation’. In addition, the core categories that can comprehensive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related to online academic adaptation of graduate students are ‘creating a new academic platform where you need to do a daily job, getting tired’, and ‘stable effort with a central point through accidental experiences, positivity’. In the long-term online lectures, there are three types of expectation for study: the type that vaguely desires face-to-face lectures, and the type that changes the goal setting of graduate school study by coldly judging that face-to-face lectures will be difficult for a while. It turns out that there are adaptive audiences who are more immersed in research due to fewer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graduate studen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ent understanding to design educational programs suitable for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