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업 환경에서 스케치 상자를 이용한 스케치 주석입력 기법

        신은주(Eun-Joo Sin),최윤철(Yoon-Chul Choy),임순범(Soon-Bum L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6

        3D 가상공간이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계자들 간에 직접적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때 의사표현으로 사용되는 Annotation은 내용표현이 쉽고, 빠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면에 대해서도 의미의 내용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입력 가능해야 하고, 나아가 3차원의 의미를 지니는 내용에 대해서도 다양한 각도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면에서도 입력이 가능한 Sketch-Box를 이용한 Sketch Annotation 기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 Sketch-Box는 3D Annotation으로서 3차원의 의미를 지니는 내용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ketch technique is being researched as the method of expressing intentions in 3D virtual space for cooperative work. The annotation which is necessary in 3D virtual space 1) not only enables the quick, easy and intuitive delivery of contents,, but 2) must enable the input of sketch even on diverse and complicated surfaces and 3) must be expressed to recognize this in various angles in case of having the significance of 3D. Even if the sketch technique settles the precondition of 1), if 2) and 3) are not considered, the annotation is unable to deliver the contents accurately to the participant of cooperative work. Accordingly, a sketch annotation technique which enables the input of annotation even on complicated surfaces and also considers the contents of 3D is proposed using sketch-box technique.

      •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방법

        신은주(Eun-Joo Sin),이다솜(Da-Som Lee),임순범(Soon-Bum Lim) 한국전자출판학회 2016 전자출판연구 Vol.- No.6

        음소원리가 뛰어난 한글은 기록할 수 있는 문자가 없는 언어권에 좋은 지원책이 될 수 있다. 또한 한글은 문자가 있더라도 비효율적인 체계로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언어를 대체할 수 있어 그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우리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발음들로 정규화 되어 있어, 발음 체계가 다른 외국어 표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훈민정음에 근거한 추가 자소들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 자소들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시스템 및 관련 서체 개발들이 필요하다. 특히 추가 자소들이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 대한 분석 및 현 키보드 입력 환경을 고려한 입력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확장 한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력 문제를 분석, 이에 적합한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편리하며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입력 단어를 추천해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입력을 도와줄 수 있는 시스템이다. Hangul can be a good supporting plan for language groups who do not have characters to write since Hangul has great phonemic principl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applicability of Hangul because it is able to replace some languages which are difficult to use in the digit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inefficient system. However, Hangul that we are usually using now is impossible to write expressions of Chines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which have different pronunciation system with Korean because Hangul was normalized by pronunciation expression that we mainly use. To solve this problem, it needs additional phonemes based on Huminjeongeum. But it is impractical since we cannot input these additional phonemes on the current keyboard input system. Mostly, we have to use special input interface or experience inconvenient steps and a time lag for input additional phonemes. In this paper, we analyze input problem in extension Hangul system and suggest appropriate input system based on Huminjeongeum for phonetic notation of Chines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It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need special input interface. In addition, this system is effective to help input by recommending input word using dictionary database.

      • KCI등재
      • KCI등재

        장 · 노년층 대상 키오스크 사용성 측정 지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코레일 열차 발권 키오스크 개발 사례

        신은주(Eun-joo Sin),임순범(Soon-Bum L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최근 증가하고 있는 키오스크의 보급에 비해 이를 활용하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격차는 줄지 않고 있다. 키오스크의 사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가고 있는 환경에서 장노년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은 삶의 질에 직결되는 문제가 되고 있다. 장노년층을 고려한 키오스크의 개발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모호하거나 어떤 사용성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보다는 디자이너의 경험적 능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 콘텐츠 개발을 위해 키오스크의 사용성에 대해 분석하고, 그 측정지표로 가용성, 유용성, 효율성, 매력성, 그리고 시인성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측정지표의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이을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의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과정의 키오스크가 장노년층을 지원할 수 있는지 혹은 개선된 키오스크가 실제 장노년층의 사용성을 높이는지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키오스크의 접근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추후 장노년층이 겪게 될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성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though the use of kiosks is increasing recently, the digital divide for the elderly who uses them is not decreasing. We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 of kiosks is becoming a necessity rather than an option. In such an environment, the digital alienation of the elderly is becoming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Even if a kiosk is developed considering the elderly, the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is ambiguous, or in most cases, it depends on the designer’s experiential ability ra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usability. In this study, the usability of the kiosk was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of kiosk contents for the elderly. The metrics were defined as availability, usefulness, efficiency,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And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measurement index was developed, and the usability of the kiosk for the elderly was confirmed by performing usability evaluation. This is a method to verify whether the kiosk in the development process can support the elderly or whether the improved kiosk actually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elderly.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kiosk.

      • KCI등재
      • KCI등재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신은주(Sin Eun-j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본고는 충청남도 내포 출신으로, 20세기 초반 서울에서 판소리와 가야 금병창, 산조, 재담 등으로 활약했던 명인 심정순과 그의 가계 음악인들, 심매향ㆍ심상건ㆍ심화영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음악적인 특성을 정리하고, 이를 타 지역의 판소리와 비교하여 보았다. 그리고 충청남도 내포 지역의 다른 문화 양상과 결부시켜, 이 지역의 판소리 문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심정순과 그 일가 음악인들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음악 특징은 ① 평조를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고, ② 선율 진행은 매우 평탄하며, 고음을 질러 순차적으로 하행하는 선율 및 4도 하행하여 종지하는 형태를 갖고 있다. 그리고 ③ 즉흥적으로 소리를 구사하는 특성을 보인다.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나타나는 선법과 선율의 특징은, 그들의 소리 기반이 되는 충청 지역의 기층 음악 어법과 상통하는 면을 보여준다. 판소리 평조는 충남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남부경토리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순차 하행 선율이나 4도 하행 종지 형태는 경기 무가나 경기 민요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이다. 그리고 경기 출신의 판소리 창자인 염계달이 판소리에 도입한 추천목과 경드름 대목의 특징적인 선율 형태이기도 하다. 즉, 심정순 일가의 소리는 서산 지역을 소리 기반으로 하고 있는 만큼 충남 기층 음악 어법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전라도를 기반으로 한 동ㆍ서편제 판소리 창자들의 소리와 큰 차이를 보이고, 충청 지역의 중고제 창자인 김창룡, 이동백의 소리와는 공통적인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김창룡ㆍ이동백의 소리는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특성을 보이되, 또한 조금 구별된다. 평조를 많이 사용하는 점은 동일하나,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평조의 특징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평탄한 진행이나 순차하행, 4도 하행 종지도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더 두드러진다. 중고제 판소리로서의 특성이 심정순 일가의 소리에서 더 명확히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심정순 일가와 김창룡ㆍ이동백이 충청지역의 창자인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심정순은 내포 지역인 서산 출신으로 경기도에 인접한 지역에 거주하였고, 김창룡과 이동백은 서천 지역으로 전라도에 인접한 지역 출신이라는 점에서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중고제를 경기ㆍ충청 지역의 소리라고 했을 때, 내포지역은 경기도와 충청도의 한 가운데 핵심부이지만, 서천은 충청남도의 가장 남쪽 지역으로 전라도와 닿아 있고, 그만큼 전라도 판소리의 영향을 일부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포 지역은 충청남도의 여타 다른 지역과 지리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하여 온 지역으로, 민요나 무가에서도 이러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경기 지역과 문화적 친연성을 보인다. 결국, 심정순 일가는 심팔록 - 심정순 - 심상건, 심재덕, 심매향, 심화영으로 여러 대를 거쳐 가문의 소리를 이루면서, 내포 지역의 문화를 자신들의 소리에 담았다. 이로서 전라도 음악과는 매우 구별되는 독특한 소리를 이루었고, 이는 평조를 중심으로 한 악조의 사용이나 경기 어법이 녹아 있는 선율 진행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특성은 충청 지역 창자인 김창룡ㆍ이동백의 소리와 충청제로서 동일성을 띠기도 하지만, 내포제로서 또한 구별되는 특성을 보여주고 내포라는 지역이 매우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여 왔음을 알게 한다. Sim, Jeongsun was a Pansori master from Naepo, Chungcheongnam-do and he took an active role in Pansori, Gayageum Byeongchang, Sanjo, and Jaedam in Seou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including Sim, Maehyang, Sim, Sanggeon, and Sim, Hwayeong and compares these with those of Pansori songs of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ansori culture of Naepo area in Chungcheongnam-do in connection with other cultural aspects of the regi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m family are as follows; ① Mostly Pyeongjo is used, ② Progress of melody is very smooth. The melody goes down gradually from a high note or ends after going down 4 notes, and ③ Songs are sung impromptu.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s and melodies used by the Sim family are similar to those of Chungcheong area, the base of their songs. The structure of Pansori Pyongjo is similar to that of Southern Gyeongtori used frequently in Chungnam area. And a melody that goes down gradually and a melody that ends after going down 4 notes a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haman songs and folk songs of Gyeonggi area. These are also the characteristic melodies of Chucheonmok and Gyeongdeureum introduced to Pansori by Yeom, Gyedal, a native of Gyeonggi. In short, the songs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us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hungnam music as the base of their music was Seosan, an area in Chungnam. As a result, their songs are very different from Dongpyeonje and Seopyeonje Pansori of Jeollado and quite similar to the songs of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the founders of Junggoje Pansori in Chungcheong area. Pansori by the Sim family and those b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are quite similar but a little different. Both use Pyeongjo a lot but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jo are clearer in the songs by the Sim family. Smooth progress, gradual going down, and ending after going down 4 notes are more profound in the songs by the Sim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Junggoje Pansori are clearer in the songs by the Sim family. The Sim famil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are the founders of Pansori in Chungcheong area. The fact that Sim, Jeongsun was from Seosan, an area closer to Gyeonggi-do and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were from Seocheon, an area closer to Jeolla-do might explain this difference. The Junggoje Pansori are songs of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 As Naepo is in the middle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hile Seocheon is in the southern part of Chungcheong touching Jeolla-do, songs b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were influenced by Jeolla-do Pansori. In addition, unlike other areas in Chungcheongnam-do, Naepo has unique geographical,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uch differences are found in folk songs and Shaman songs. And these reflect cultural affinity to Gyeonggi. In conclusion, the Sim family established the songs of their own family through several generations of singers from Sim, Palrok to Sim, Jeongsun, Sim, Sanggeon, Sim, Jaedeok, Sim, Maehyang, and Sim, Hwayeong and expressed the culture of Naepo area in their songs. Their song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do music and use Pyeongjo and other one jo and melodies of Gyeonggi music. Such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by Kim, Changnyong and Lee, Dongbaek but they also reflect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aep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