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서개발관리 분야 최근 연구동향 분석에 대한 연구

        신유미,박옥남,Shin, You Mi,Park, Ok Nam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scholarship by analyzing recent research trends in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field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four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during period of 2003 to 2017. Related artic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field were retrieved, and author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selected papers.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 program was performed based on frequency analysis, connection-centered analysis, and parametric analysis. The analysis covers all sections from 2003 to 2017 to look at the changes in research over time, and three sections on five-year basis. As a result, main keywords such as 'open access', 'institutional repository' and 'academic journals' were identified, and topics to be continuously researched were identified. 본 연구는 장서개발관리 분야의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핵심 연구주제를 파악하고 학문의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간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지에 등재된 논문 중 장서개발관리 분야의 키워드를 가진 연구논문을 선정하여 저자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저자키워드를 가지고 NetMiner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성한 뒤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매개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전 구간을 대상으로 한 분석과 5년 단위의 3구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오픈액세스', '기관 레포지터리', '학술지' 등의 장서개발관리 분야의 핵심키워드를 파악하고, '대학도서관' 등의 계속 연구될 분야의 주제어를 파악하였다.

      • KCI등재

        $\beta-Glucan$ 첨가 Pound Cake의 이화학적$\cdot$관능적 특성

        신유미,김미경,조한영,김미리,Shin Yu-Mi,Kim Mi-Kyoung,Cho Han-Young,Kim Mee-Ree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made of substituted flour with different amount of $\beta-glucan$ i.e. 3, 6 and $9\%$ respectively. $\beta-glucan$ is a functional food material produced from Agrobacterium sup. R259 KCTC 10197BP. The specific gravity and pH of dough were found to be increased according to $\beta-glucan$ content Rheological property such as adhesiveness of dough has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beta-glucan$ added groups. The pH of baked pound c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beta-glucan$ groups. The volume of baked pound cake wag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he ones with up to $6\%$ $\beta-glucan$,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 of Hunter color system of cake crum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ated groups, except a value of crust in $9\%$ $\beta-glucan$ group. the moisture content of cake increased according to $\beta-glucan$ content. Hardness by texture analyser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beta-glucan$ content although cohesiveness wag not changed in β$\beta-glucan$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over·all acceptability in 3 and $6\%$ $\beta-glucan$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addition of $\beta-glucan$ to pound cake up to $6\%$ was considered to be desirable especially in terms of texture.

      • KCI우수등재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신유미(Shin, Yum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4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 4년차~6년차 자료를 사용하여, 손자녀 돌봄 이행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특히, 손자녀 돌봄 시작뿐 아니라 돌봄 중단까지 다루어, 손자녀 돌봄 이행의 효과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우울수준의 관계를 확인하는 데 있어, 선택편의와 같은 내생성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패널분석의 특성을 이용하여 집단 간 차이가 아닌 개체 내(within) 차이를 바탕으로 시불변 미관측 요인을 통제하는 First Difference(FD)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손자녀를 돌보지 않다가 돌보게 되는 이행(시작)에서는 조부모의 우울수준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손자녀를 돌보다가 돌보지 않게 되는 이행(중단)에서는 조부모의 우울수준이 높아져 부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시작하는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단하는 경우에는 조부모의 우울수준이 높아져 부정적 심리상태가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자녀를 돌보다가 돌보지 않는 조부모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 돌봄을 중단하는 조부모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mpact of transitions in caring for grandchildren on depression among grandparents in Korea. Focusing not only transition into caregiving but also out of caregiv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ansitions in caring for grandchildren as a whole. Analyses were based on data from the fourth to sixth wave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is study applied First Difference(FD) model to control unobserved time-invariant factors that cause the endogeneity of caregiv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he effect of transition into caring for grandchildren on depression of grandparents was not significant, though the direction was as expected. Whereas transition out of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was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grandparents’depression. These finding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grandparents in transitions into and out of caring for grandchildren. Most of all, grandparents who are out of caregiving have change negatively. So there should be more attention and support for grandparents in transition out of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to prevent their depress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ransitions in caring for grandchildren for future researcher and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to protect grandparents from becoming depressed.

      • KCI등재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방법론 비교

        신유미(Shin, Yum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60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어 더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효과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도구변수-고정효과 모델(이하, IV-FE 모델)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손자녀 돌봄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IV-FE모델을 적용한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에서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이를 보완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와 이전의 결과를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IV-FE모델을 적용한 연구에서 사용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사용하였다. 다만, 변수로 사용하는 문항의 측정기준이 차수에 따라 동일하게 유지된 2차~4차 자료를 사용한다. 도구변수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결혼 경험이 있는 성인자녀 수, 일하는 성인자녀 수, 손자녀 수를 각 선행연구 버전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선행연구 버전에 따른 조합 모두에서 도구변수의 외생성은 확보가 되었으나 도구변수의 적합성 및 설명변수의 내생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즉, IV-FE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대한 손자녀 돌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FE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결과, 손자녀 돌봄은 조부모의 우울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조부모의 우울수준에 대한 손자녀 돌봄의 효과는 부정적 또는 긍정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IV-FE모델 적용의 타당성뿐 아니라 손자녀 돌봄의 건강 효과도 해당 선행연구와는 다르다. 따라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 논하며, 손자녀 돌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방향을 결정할 때 신중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손자녀 돌봄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application of the instrumental variable(IV)-fixed effect(FE) model (IV-FE model) to estimate the effect of grandchild care on the depression level of grandparents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papers applying the IV-FE model and reveals limitations in each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metho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sults. The analysis data used the same“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used by the papers applying the IV-FE model. However, the second to fourth wave data in which the measurement used as the variable is based on the same criteria is used. The instrument variables used were (1) the number of ever-married adult children and (2) the number of grandchildren, and (3) the number of worked adult children reported by the grandparent used in the previous study. The IV-FE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each previous study version, and each model used a combination of instrum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ver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ndogeneity of explanatory variable was not found in all of the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three previous research version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applying the IV-FE model is not suitable. In this study, the FE model was applied instead of the IV-FE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caring for grandchildren on depression of grandparents was not significant, though the direction was as expected. However, these results are not just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IV-FE model, but also health effect of grandchild care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Our finding suggests that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social support for grandparents who care for their grandchildren, and suggests follow-up study to confirm the effect of grandchild care more clearly.

      • KCI등재
      • KCI등재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 유형 및 특성 연구

        신유미(Yumi Shin)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3

        본 연구는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 차이 및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재가급여, 시설급여(요양시설)이지만, 현실에서는 의료기관인 요양병원이 장기요양시설처럼 이용되는한국의 특수한 상황이 보고되고 있다.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및 이행은 재가급여, 시설급여(요양시설), 요양병원까지 다양한 서비스 형태사이에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행위를 장기적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일 개인을 중심으로장기간의 서비스 이용 변화를 추적 관찰하여 장기요양 서비스 간 이용 행위를 연속적이고 총제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연구는 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재가급여와 시설급여만이 아니라 요양병원까지 포함하여,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을 유형화하고유형별 차이 및 시간에 따른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DB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배열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은 11개로 유형화되었다. 재가급여 시작 비중이 큰 유형이 9개(78.6%), 시설급여 시작 비중이 큰유형이 1개(16.1%), 요양병원 시작 비중이 큰 유형이 1개(5.4%)로 확인되었고, 처음 이용하기 시작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패턴 유형이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재가에서 시설(요양시설/요양병원)로 이행하는 패턴은 이행 시기가 세분화되어 유형화되었고, 시설에서 재가로이행하는 패턴은 유형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재가에서 시설로 이행하는 패턴 유형 중 요양시설로 이행하는 패턴 비중과 요양병원으로이행하는 패턴 비중은 2:1로, 재가에서 요양시설로 이행하는 패턴 유형의 비중이 많았지만 요양병원으로 이행하는 패턴 유형도 적지않았다.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패턴 유형별로 인구학적 특성, 돌봄욕구 특성, 가족돌봄자원 특성, 경제적자원 특성을 비교한 결과, 유형간 자원 격차가 나타났다. 이에 장기요양 서비스 간 합리적 이용 및 지역사회 거주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changes in characteristics by type. By applying the sequence analysis method to the Senior DB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the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s were categorized. We tracked the transitions between long-term care in-home benefits,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experienced by the sam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hanges in service use patterns type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s were categorized into 11 types. The pattern type of continuing to use the service that has been started occupied the majority. The transition from home to facility(LTCFs/LTCHs) was subdivided into types by the transition period, while the transition from facility to home was not identified as a type. Among the types of transition from home to facility(LTCFs/LTCHs), the proportion of transition to LTCFs and transition to LTCHs was 2:1. While the transition from home to LTCFs accounts for a greater proportion, transitions from home to LTCHs have also been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mpa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re needs, family care resources, and economic resources by type of long-term care service use pattern, a resource gap was found between the types. Accordingly, policy and practical tasks were proposed for rational use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support for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스피루리나가 유산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손찬욱,신유미,심현정,김미연,김미리,Son, Chan-Wok,Shin, Yu-Mi,Sim, Hyun-Jung,Kim, Mi-Yeon,Kim, Mee-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3 No.6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irulina powder on the growth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n reconstituted skim milk. The spirulina powder supplemented to S. thermophilus and L acidophilus slightly stimulated lactic acid production. In addition,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L. bulgaricus were enhanced by the addition of spirulina powder. When the spirulina powder was added to reconstituted skim milk at the level of 1%, the mixed cultures of S. thermophilus and L. bulgaricus showed higher numbers of viable cells and higher acid production than the other cultures. The effects of the addition amounts of spirulina powder (1%, 2% and 3%) to the reconstituted skim milk on the growth properties of the mixed cultures of S. thermophilus and L. bulgaricus were evaluated. The pH of the skim milk with added spirulina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ut the amount of spirulina did not have a significant affect.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ith the incubation time until 12 hr.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skim milk with added spirulina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pirulina. Thus, the spirulina was effective for the increasing lactic acid bacteria in yoghu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