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크놀로지 활용에 따른 교육활동의 변화와 교사의 심리적 배경의 영향

        신원석(Won-Sug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요약 본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 이후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배부하여 311명의 초중등 현직교사로부터 회수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교사들의 심리·태도적 배경변인인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와 테크놀로지 유능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인해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한편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보다는 교사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잘 활용할 수 있다는 테크놀로지 유능감에 따라 교육활동의 변화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echnology integrated instruction change teachers' activities in schools since using technology in classrooms. A total of 311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In addition, technology attitude in education and technology competence as psychological factors are analyzed to be influenced by the five extract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outstanding change since using technology in schools. Also changing of teachers' activities in schools is influenced by technology competence which reflects teachers‘ confidence on using technology rather than technology attitude in education which reflect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echnology integrated instruction.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 행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원석(Won Sug Shin),이용진(Yongjin Lee),문은경(Eunkyung Moon) 한국교육방법학회 2018 교육방법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학교현장실습의 구체적인 지원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 행동’에 대한 인식을 학교현장실습 전후에 걸쳐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좋은 수업 행동의 중요수준과 실행수준에 대한 인식차이가 학교현장실습 전후에 어떻게 달라지는 지와 수업시연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서울소재 K대학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학교현장실습 전후 좋은 수업을 위한 행동들에 대한 중요수준 및 실행수준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수업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요도에 비하여 학교현장실습 후에 인식하는 실행도가 유의하게 달라진 것은 20문항 중 8개 문항(학생의 환경 이해, 개별 수준에 따른 기회 제공, 개별 학생 이해, 오개념 파악 및 활용, 수업 목표 도달 파악, 수업 내용 명확히 전달, 수업진도에 충실, 테크놀로지 활용)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분석결과, ‘집중’면에 3개 항목(학생의 환경 이해, 개별 수준에 따른 기회 제공, 오개념 파악 및 활용), ‘유지’면에 10개 항목, ‘후순위’면에 7개 항목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 시연 정도에 따른 인식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문항은 3개 항목(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진도에 충실, 오개념 파악 및 활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을 위한 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학교현장실습을 기준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찾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good teaching’ and change of their perception on the basis of teaching practicum. This study tried to confirm whether the perception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racticum vari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eaching demonstr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provid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support of the teaching practicum.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of K university in Seoul through online, and it was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teaching behavior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practice. Specifically, eight item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s of perceived performance after school practice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ree items were included in the ‘Concentration’ side, ten items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side, and seven items in the ‘Low priority’ side. There were 3 ite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change according to the class demonstration level. This study have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teaching’.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ICT활용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신원석 ( Won Sug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교사들의 ICT활용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다층모형이 사용되었으며, 31개 초등학교의 661명의 교사로부터 수합된 설문지는 개인적 배경과 태도변인을 포함한 교사수준의 변인들과 사회조직적 요인을 포함한 학교수준의 변인들을 포함하여 제작되었다. 연구결과 교직경력, ICT활용 연수 및 태도변인(컴퓨터 태도, 혁신성, 테크놀로지 유능감)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교수준에서의 요인(테크놀로지 사용압력, 학교지원, 학교관리자지원)들이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교사 개인의 배경 및 태도뿐만 아니라 학교를 구성하는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영리목적으로 제작된 웹사이트를 교사들이 오남용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CT 정책을 통해 교사들이 ICT활용교육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자발적인 변화의 추구는 교실모습을 피상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보다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원연수를 통해서 교원들이 양질의 ICT활용교육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eacher-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use of ICT in Korean schools. The study employed the multilevel modeling to analyze survey data. The sample consisted of 661 Korean teachers from 31 elementary school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Korean teachers` use of technology in practice a survey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two levels of factors: teacher level(individual background and attitudinal background) and school level(socio-organizational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ttitudinal factors(attitude toward computer in education, innovativeness, technology competence) were significant, and school level factors(pressure to use technology, school support, administrator`s suppor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s` use of technology in practice. It indicates that teachers` use of technology in practice is affected by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including teachers` individual background, attitudinal factors, and socio-organizational factors. The use of third party websites by teachers emerges as a substantial issue in the area of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Korea has a centralized educational system which mandates that teachers us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which appears to increase teachers` use of third-party websites, particularly experienced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mandated changes included in ICT policy may result in superficial classroom modifications. For substantial teaching changes,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chnology integ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들이 인식한 강의실 환경 요인에 대한 분석

        최고은,신원석,Choi, Ko-Un,Shin, Won-Sug 한국교육시설학회 2011 敎育施設 Vol.18 No.6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designing classroom or school environments influenc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little research on how students perceive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classroom and whether physical factors of classroom affects students'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fferent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on their classroom environments depending on where they take class, traditional classroom or newly constructed classroom. Also, the study demonstrates how the difference of classroom environment affects students' learning out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lassroom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혁신(모바일 LMS)의 확산 모형 및 측정 도구 개발

        강민석 ( Min Seok Kang ),신원석 ( Won Sug Shin ),한승연 ( Seung Yeon Han ),한인숙 ( In Sook Han ),박종선 ( Jong Ssun Pa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분야에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 확산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ogers의 혁신의 확산이론 중에서 혁신의 속성을 기반으로 어떠한 속성이 혁신의 채택을 설명해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국내 A 사이버대학의 모바일LM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혁신의 사용에 대한 채택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 LMS 확산의 통합적 요인구조가 Rogers의 모형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가능성, 복잡성, 적합성, 시도가능성, 상대적 이익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를 통해 심리적 저항이라는 추가적인 요소가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이론적 토대 및 질적연구 등을 통해서 제안된 바 있는 혁신의 속성을 수용하는 종합적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는 혁신의 확산 이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factors affecting learners` adoption of mobi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diffusion of the innovation in organizational level. To identify the attributes of innovation, the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based on Rogers`s theory of diffusion of innovation. The participants were 1,608 students in A cyber university in Korea. An extensive survey was conducted in Spring 2013.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ers identified integrated factor`s structure, including observabilitiy, complexity, compatibility, trialability and relative advantage, as Rogers suggested. Additionally, psychological resistance was identified as an emerging f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usion theory of innovation empirically.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유기웅(Ryu Ki-ung),신원석(Shin Won-su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5

        Studies on general education have been performed using a broad perspective or have focused on the stance of the university offering it. Little research, however, has been done on how students select courses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ir consequent satisfaction.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with and the selection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is study considered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strategies, individual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courses for general education wa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strategies, from amo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strategies, individual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ies. In addition, within th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strategies, individual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ie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as reported in SEM analysis,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the selection of courses. 대학의 교양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교양교육에 관해 주로 거시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거나 교양교육을 제공하는 대학의 입장에서 이루어져 온 반면, 실제로 학생들이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와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을 진행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와 강의 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의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관련된 요인으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및 강좌 구성,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인의 능력신장, 지원시설 등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인 능력 신장, 지원 시설 중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된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강좌 구성,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인의 능력신장, 지원 시설 중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강좌 구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강의선택기준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Ko, Yujung),신원석(Shin, Won Sug)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