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평등의식과 옹호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와 통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성자,이원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9 No.-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rejudice against the homosexuality,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95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s a result of causal analysis of the variabl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equality and advocacy attitudes have no direct effects on the prejudice against the homosexual, however, those influence on it through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prejudice against the mentally disordered people. Second, while among people with high spheres of control, the perception of equality has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prejudice against the homosexual through the prejudice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order, people with low spheres of control show that advocacy attitudes has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prejudice against the homosexual through the prejudice against mentally disordered people. Therefore, the relat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rejudice against the homosexual are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pheres of control, the moderation effect of spheres of control are verified. In conclusion, social welfare students' prejudice against the homosexual does not directly influence by their perception of equality and advocacy attitude, however, the prejudice is reduced according to how they perceive people with mental disorder in a proper way as a mediation effec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Individuals' level of spheres of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program is developed to reduce discriminative perception to the homosexual.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954명)이 사회적․성적 소수자인동성애자에 대한 낙인적 인식과 관련요인들의 직․간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규명하는 것이다.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전체 표본의 경우, 옹호태도와 평등의식이 동성애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각각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유의하지 않았지만,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전매개로 각각 유의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통제성이 높은 집단(423명)에서는, 평등의식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전매개로 동성애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통제성이 낮은 집단(531명)에서는 옹호태도가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전매개로 동성애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대조를 보였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평등의식 또는 옹호태도가 동성애자에 대한인식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는 못하지만,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동성애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매개요인임이 입증되어, 정신장애인에대한 인식의 개선이 중요한 선행과제라는 실천적 함의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자율적 통제성 수준에 따라 동성애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의 상이한 양상이 발견되어,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 및 편견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시, 대상자의 통제성 수준을 고려한 차별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중년 아들・딸의 노부모 돌봄실천의지에 규범적 헌신과 정서적 헌신이 미치는 영향 - 부양부담의 매개효과와 성별 및 종교유무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신성자,이원준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2

        The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middle aged adult male and female adult children's willingness to perform physical care-giving practices for their elderly parents who can not perform common day-to-day activities, and its correlates. The primary concerns of this study focus on:(1) the direct effects of individuals' normative and emotional commitment to physical care-giving on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such physical care-giving practices for their elderly parents; (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urden of care-giving; (3)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igious background between those who practice a religious faith and those who do not,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among 775 adult children aged in middle age, who have at least one living parent In order to conduct our research,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is explored by using AMOS program. First of all, we found four significant direct effects from 4 paths--‘normative commitment➝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emotional commitment➝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normative commitment➝the burden of care-giving’, ‘emotional commitment➝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burden of care-giving➝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however, we failed to find the direct effect of the normative commitment on 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Second, we fou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he burden of care-giving from the path of ‘emotional commitment➝the burden of care-giving➝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rom the path of ‘normative commitment➝the burden of care-giving➝the willingness to provide physical caring practice’. We failed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the religious background and affiliation.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upon the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아들과 딸이 노부모 돌봄에 대한 ‘규범적 헌신’과 ‘정서적 헌신’이 돌봄실천의지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부양부담’의 매개효과(mediating effect) 그리고 ‘성별’ 및 ‘종교유무’의 조절효과(moderating)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대구 및 경북지역의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최종표본은 775명(남성 318명, 여성 456명)이다. 자료 분석결과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5개 경로(‘규범적 헌신➝돌봄실천의지’, ‘정서적 헌신➝돌봄실천의지’, ‘규범적 헌신➝부양부담감’, ‘정서적 헌신➝부양부담감’, ‘부양부담감➝돌봄실천의지’)중에서 ‘규범적 헌신➝부양부담’ 경로만을 제외한 나머지 4개 경로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양부담’은 돌봄에 대한 ‘정서적 헌신’이 ‘돌봄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역할을 하였지만, ‘규범적 헌신➝부양부담➝돌봄실천의지’ 경로에서는 ‘부양부담’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종교를 가진 응답자들에 비해, 종교를 가지지 않은 응답자들이 돌봄에 대한 ‘규범적 헌신’이 ‘돌봄실천의지’에 미치는 정적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종교유무’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의 개입수준과 관련요인들의 10년의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

        신성자,권신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6

        With the significant prevalence and negative effects resulting from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at school, this paper intends to empirically examine the teachers' intervention and correlate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based on the two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in 1999 and 2009 respectively The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170 and 351 teachers respectivly from 10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5 different districts of the city of Daegu, South Korea. Logistic analysis(backward condition)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by using SPSS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1)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2) school support for preventing and coping with school violence, especially in terms of increasing support available from experts such as school social workers and counselors. However, we failed to find the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es on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urvey conducted in 1999, is ‘support initiated by school’ such as regular survey or conference (odds, 3.213). Interestingly, the ‘support by experts’ (odds, .309) negatively influence the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among the first survey group. Third, in the second survey group conducted in 2009, the significant correlates of teachers' active intervention includes ‘support by experts’ (odds, 1.517), perception on violence' (odd, 1.489), ‘definition of school violence’ (odds, 1.495), ‘awareness of the need of coping strategy or arrangement’ (odds, 1.926). Finally, we found tha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survey group showed far more active intervention(mean, .8217) in situations involving school violence than the teachers (.4840) of the first survey group did. It brings us to conclude that a variety of social effor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during the decade(1999-2009) turns out to be fruitful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s empowerment in coping with school violence situation.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major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상황에서 교사들의 개입수준과 관련 요인들이 10년간에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대구 지역의 5개 행정구역에 소재한 10개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이다. 본 연구는 첫째, 1999년 조사응답자(집단 1, N=170명)와 2009년 조사응답자(집단 2, N=351명)를 대상으로 10년간 ‘학교업무특성’, ‘교사의 인식’, ‘학교지원’ 그리고 ‘개입’등 4개 영역에서 변화를 탐색하였다. 학교업무특성에서는 10년간 유의한 개선이 없었지만,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학교지원’은 크게 증가하였다. 교사들의 개입수준은 괄목할 만큼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로지스틱 분석(후진 조건법) 결과, 집단 1의 경우, 학교폭력 상황에서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하는데 학교지원영역에서 ‘학교차원지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전문인력지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집단 2의 경우, ‘대책인식’, ‘전문인력지원’, ‘폭력인식’, ‘학교폭력정의’가 교사들의 적극적인 개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전문인력지원’의 경우, 집단 1의 경우에서는, ‘전문인력지원’이 증가할수록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 수준은 오히려 감소하는 수동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집단 2의 경우에서는 훨씬 더 적극적인 개입을 하는 긍정적인 변화가 발견되어, ‘전문인력지원’의 효과를 인정할 수 있다. 셋째, 집단 1과 집단 2의 구별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두 집단 이항 변수’(집단1=0, 집단2=1)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분석 결과, 소극적 개입이 아닌 적극적 개입이 집단 1이 아닌 집단 2에 속할 승산비(odds)는 약 32배 이상 크게 증가하여 10년 전에 비해 교사들의 적극적 개입 수준이 괄목할 만큼 향상되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학원폭력 가해, 피해 그리고 대응관련요인

        신성자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2005 社會科學 Vol.17 No.-

        본 연구는 대구 시 소재 인문계 및 실업계 남·녀 고등학생 74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은 ‘성별’과 ‘학교유형’에 따라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21.8%)이 학원폭력을 실제로 행사한 경험은 여학생(10.7%) 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중에 절반이상(51.9%)이, 여학생의 경우는 약 1/4이상(25.9%)이 학원폭력을 실제로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남성성과 폭력성과의 유의미한 관련성이 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실업계 남학생(24.6%)이 인문계 남학생(19.2%)보다 학원폭력을 더 많이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인문계 남학생(59.6%)이 실업계 남학생(46.6%)보다 훨씬 더 학원폭력을 실제로 많이 당하고 있는 것과 대조를 보인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실업계 여학생(15.6%)이 인문계 여학생(6.6%)에 비해 학원폭력 가해경험이 약 2.4배 이상 많았고, 피해경험도 실업계 여학생(31.7%)이 인문계 여학생(20.9%)보다 약 1.5배 이상 많았다. 실업계 여고생은 학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모두 많은 집단이다. 그리고 가해 및 피해 중복경험 또한 높은 집단으로 추정되어, 학원폭력 고위험군(high-risk group)으로 집중적인 개입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폭력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성과, 폭력상황에서의 적극적 대응과 유의미한 관련요인들을 다양한 영역(인구통계학적 배경, 심리성격, 학교생활환경, 성장 시 폭력경험, 약물, 그리고 학원폭력에 대한 인식 등)에서 탐색하여, 학원폭력 대처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cerns the (1) prevalence and (2) correlates of both offenders and victims regarding school violence and (3) correlates of individuals' assertive reactions in sexual violence situ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b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both 385 male students and 363 gir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from 4 different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correlates of the 3 major dependent variables-(1) the actual experience in terms of initiating school violence, (2) the actual experience of being harassed in terms of school violence and (3) the perception of individuals' assertive reaction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the step-wise regression (backward) is applied to all 33 of the dependents variables which is composed of 7 general/demographic variables, 8 psychological/characteristic variables, 4 school adjustment related variables, 2 family violence related variables, 2 substance abuse related variables and 10 variables from the various perceptions of the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 suggest 3 models which is useful in terms of predicting the propensity of offender, victim, and the individuals' ability being able to be assertive by confrontation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These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both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KCI등재

        치료견 보조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능수준향상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정숙희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본 연구는 대인관계 및 사회기능 손상이 심각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7명)과 비교집단(7명)을 구성하여, 치료견 매개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치료견 매개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회원들이 자아 존중감,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민감성 등 일부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주었다. 회원들과 치료견 및 자원봉사자들간의 상호작용 향상과 함께, 회원들간의 상호작용이 향상되어 회원들과 치료견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인간관계에도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치료견 매개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과 병행될 때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이 명백하게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치료견 매개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사회기능이 상당히 손상된 만성정신장애자들의 사회적응력 훈련에 매우 운용한 치료방식(treatment modality)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치료견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다양한 정신보건 실천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될 수 있도록 현장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한 학회차원에서 워크숍 및 단기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an empirical research with 7 subject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7 subjects of a comparison group. The major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hreefold. This study aims (i) to present the influence of therapy dog-facilitated program on the social functioning level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ii) to develop therapy dog facilitated program, and(iii) to reveal through data analysis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sets up the following goals: first, not only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ssertiveness, problem solving and self esteem but also investigating the chang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examining the both level of experimental group members' participation of group and the interactional level among the group members, the therapy dogs and the volunteers. We discovered that the therapy dog facilitated program is a very useful treatment modality for the people with severe dama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functioning.

      • KCI등재후보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업무환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신체적, 비신체적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정숙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0 학교사회복지 Vol.- No.19

        With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resulted from peer victimization among adolescents at school, this paper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factors both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of school environment for job performance perceived by teacher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66 students and 273 teachers from 16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of the city of Pohang. Logistic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by using SAS program.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is study consists in: (1) the correlates on peer victimizations on overall violence, non-physical violence and physical violence; (2) the prevalence of a variety of peer victimization types. In order for subjects to locate the significant correlates on these three distinctive modes(3 dependent variables), 14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set, being divided into 3 categories such as: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6 variables) on the part of teachers; both demographic-social background(5 variables) and perceptual variables regarding violence(3 variables) on the part of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it has been noted that 51.8% of student subjects have experienced peer victimization. The male victims are outnumbered by female victims. Next, the significant correlates on peer victimization among students to each type of violence include: (1) an nonphysical violence type -‘change’(odds ratio 5.042), ‘overburden at work’(3.949), ‘support’(0.327), ‘achievement’(2.208), ‘students' perception on violence’(0.678), ‘peer relationship’(1.321),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evalence of peer violence’(1.32); (2) an physical violence type - ‘gender’(odds ratio 0.293), ‘support’(0.339), ‘students' perception on violence,’(0.378),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evalence of peer violence’(1.410); (3) overall violence -‘change’(odds ratio 4.73), ‘overburden at work’(0.669), ‘support’(p.283), ‘achievement’(2.224), ‘students' perception on violence,’(0.669) ‘economic difficulty’(0.746), ‘students' perception on the prevalence of peer violence’(1.333), ‘lacks of parental care’(1.269), ‘poor academic record’(1.224).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claim our attention in that they provide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s, with the emphasis of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perceived by teachers,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in previous research.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이항 로지스틱분석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간과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업무환경변인’과 학생의 개인요인(‘인구사회학적변인,’ ‘폭력인식관련변인’)이 또래폭력 피해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폭력형태(신체적 또래폭력, 비신체적 또래폭력)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북 포항시 소재 16개 중학교에서 남녀학생 566명과 교사 273명이다. 이원화된 표본구조를 설정한 것은 독립변인(14개)중에서 학교업무환경 변인(6개)에 대한 정보는 교사응답자로부터 제공받았기 때문이다. 학생표본 자료에 통계절차를 거쳐 처리된 교사표본자료를 병합시켜 분석을 위한 자료(data set)를 구축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전체 또래폭력’(신체적 폭력과 비신체적 폭력 모두 포함)피해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변화성(odds ratio 4.73), 교사부담(3.535), 지지성(0.283), 성취성(2.224), 폭력인식(0.669), 경제적 곤란(0.746), 폭력발생인식(1.333), 부모양육부진(1.269), 성적부진(1.224)이었다. ‘비신체적 또래폭력’에는 변화성(odds ratio 5.042), 교사부담(3.949), 지지성(0.327), 성취성(2.208), 폭력인식(0.678), 또래관계부진(1.321), 폭력발생인식(1.321) 순으로 영향력을 보였고, ‘신체적 또래폭력’에서는 성별(odds ratio 0.293), 지지성(0.339), 폭력인식(0.378), 폭력발생인식(1.410) 순이었다. 분석결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업무환경이 학생 개인의 특성에 비해 또래폭력 피해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밝혀졌고, 또래폭력 형태에 따라 관련변인의 특성이 차이가 있었다. 교사와 학생의 ‘지지성’은 모든 형태의 또래폭력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소’로 기여하였고, ‘변화성’, ‘교사부담’, ‘성취성’은 전체또래폭력피해발생 및 비신체적 또래피해발생을 크게 증가시키는 위험요소로 밝혀졌다. 또래폭력 대책에서 학교업무환경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라는 것과, 폭력형태에 따라 개입에서의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