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본질과 인문학의 발전방향

        조호연 ( Ho Yeon Cho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論叢 Vol.35 No.-

        이 논문은 대학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인문학의 발전방향을 고찰한 글이다. 교육제도로서의 대학은 서양 중세에 동업조합으로 성립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19세기 초에 건립된 독일의 베를린 대학에서 연구와 교수의 일치라는 특징이 등장하였고,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대중사회가 도래하자 멀티버시티라는 다원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그렇지만 대학의 역사를 각 시기별로 보더라도 대학의 중요한 본질은 자유였으며, 이 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대학의 존재이유를 구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한편으로는 대학의 여러 학문 중에서도 특히 자유라는 가치를 핵심으로 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현상이 빈번히 논의되어 왔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문학 열풍이 불기도 하였다. 인문학 위기의 근원에 대한 진단은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그에 대한 해결책은 크게 보아 논리학적 전통에 따른 것들과 수사학적 전통에 따른 것들로 대별할 수 있다. 논리학적 전통에 따른 해결책은 주로 연구내용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수사학적 전통에 따른 해결책은 대체로 교육내용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동안 이런 해결책을 실행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역시 현재의 위기론의 핵심은 인문학 전공자들의 사회진출 문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학은 원래 성립되었을 때 교양(liberal arts)으로서의 학문적 전통을 중시했듯이, 오늘날에도 인문학은 각 대학의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에서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인문학과 관련된 주체들은 인문학 전공자들의 사회진출 역량을 키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리라고 판단된다. This essay examines the short history of universities and the essence of this high educational institution in order to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humanities. Throughout all the histories, the universities continued to maintain and respect the freedom from all kinds of authorities. The tradition of respect for the liberal arts has been well preserved in the humanities, which form the core in the subjects of the contemporary universities. Nowadays, the universities in Korea are faced with the restructuring, through which many universities were forced to close down or to reduce the number of their students. Even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e humanities must not be abandoned in the universities, because they make the division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the trade schools.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is bound together by the so called humanities crisis while the humanities boom took place in societies. After the humanities crisis began to be discussed, some proposed the solutions based on the tradition of logics, while others suggested the solutions following the tradition of rhetoric. In principle, it must not be denied that the suggested solutions have their own validities. Moreover, it is considered that a high level of lecture concerning the humanities should be provided, which enables students to prepare well for the entry into society.

      • KCI등재

        전화영어회화 방법을 이용한 사이버대학 영어회화 수업

        박은영 ( Eun Young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본 논문은 사이버대학교 영어회화 과목에서 전화영어회화를 도입하여 그 과정을 살펴보고, 특징 및 어려움,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학기 K사이버대학교의 ‘중급영어회화’ 과목에서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를 실시 하였다. 미국에 거주하는 원어민강사와의 전화연결은 국내통화료로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학습자들은 5분씩 일대일예약시스템으로 예약 후 통화하도록 하였다. 49명의 학습자들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체적으로 전화영어회화에 대하여 즐거움, 회화에의 도움, 피드백의 유익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더 긴 시간을 희망하고 있으며, 통화품질 등의 문제에서도 추후 보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사교육의 일환으로만 주로 이용되었던 전화영어회화를 사이버대학교에 도입하여 문자로만 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매개 의사소통의 제한점을 극복하며 새로운 장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how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can be implemented in English conversation course in a cyber university; 2)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3) to examine students` overall attitudes towards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For this,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activity was implemented in a cyber class in 2012 for 4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can be done through one to one reservation system, and feedback is given both in an oral and written way. Overall, learners` attitudes towards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are positive, but there were some problems in the process. Therefore, when designing telephone English, the professors and the designers have to take a careful consideration. Other findings, along with their implications will be reported in more detail.

      • KCI등재

        충남 아산시의 인문학 관련 사업의 현황과 과제

        유춘동 ( Choon Dong Yoo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論叢 Vol.43 No.-

        이 글은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선문대학교(이하 선문대)에서 이 지역을 기반으로 참여하는 각종 인문학 관련 사업의 상황과 성과 등을 살펴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곳곳에서 인문학 관련 진흥 사업, 지역문화 부흥 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아산시 역시 이러한 추세에 맞게 지역 인문학 진흥 사업,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사업,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의 발굴과 활용 사업, 구도심(舊都心)을 대상으로 한 도시재생사업 등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선문대의 역사문화콘텐츠학과에서는 이와 관련한 각종 사업에 직간접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내용은 아산시를 기반으로 준비 중인 인문도시 사업, 도시재생사업, 역사문화자원 발굴 사업 등이며,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이거나 준비 중인 사업의 공과(功過), 같은 지역 내의 다른 대학과의 연계 가능성이다. 이 글에서 다룬 내용은 우리나라 소도시의 특정 대학의 사례이기 때문에, 보편성을 획득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를 소개하고 공과(功過)를 검토하는 일은 타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거나 앞으로 진행할 인문학 관련 사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ungnam Asan(牙山) regarding the status and outcomes of projects related to the humanities in the area sponsored by Sunmoon University, one of the universities located there. Presently, projects intended to promote the humanities or cultural development in the region are being carried out nationwide in Korea. Along with the trends, in Asan, too, they are developing projects intended to vitalize old downtown area, develop cultural contents in the region, enhance the humanities in the region, or to excavate or utilize resources of history and culture. In fact, Sunmoon University`s department of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is aggressivel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s. So far, national projects or projects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mainly considered to be done by professors of engineering, and it has been regarded as virtue that majors of the humanities should stay away from them. These days, however, majors of the humanities or liberal arts are in desperate reality that they also should pay attention to that matter and cope with or participate in it positively not to fall behind. Even projects to promote the humanities have been mostly dealt with in the aspects of urban or architectural engineering while the humanities have been playing only auxiliary roles in them. Now is the time to conduct competitive research differentiated from what has been done by universities of engineering by developing new methodology in the aspects of the humanities and sociology and also supporting scholars of the humanities join in them actively. This study is going to deal with this issue focusing on Asan.

      • KCI등재

        해체에의 권리와 '새로운 인문학':자크 데리다의 『조건 없는 대학』읽기

        윤동구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論叢 Vol.47 No.-

        In The University Without Condition, Jacques Derrida intends to reconstruct 'academic freedom,' the idea that represents the tradition of the modern university in terms of some conditions called 'the right to say everything publicly' and 'the unconditionality.' Derrida emphasizes 'the right to deconstruction', a full scrutiny and unconditional question about various thoughts and ideas that have laid the foundations of the university and humanities, and proposes it as a central principle of 'New Humanities' to come. 'New Humanities' try to explore possibilities that the unconditional promise and affirmation of 'the impossible' and the event could produce the power to bring meaningful changes to established universities and humanities. For Derrida, the university without condition, 'that can say everything' is not a greedy system that captures all the existing spheres and objects, but a open institution that affirms and welcomes uncalculable and unpredictable things, or 'the impossible.' The continuation of the university and its 'sur-vival' will only be possible so far as we affirm the unconditionality and the right to deconstruction as its own condition. 데리다는『조건 없는 대학』에서 근대 대학의 전통을 대표하는 이념인 학문의 자유를 '모든 것을 공적으로 말할 권리'와 '무조건성'이라는 조건에 따라 재구성하고자 한다. 데리다는 대학과 인문학의 기반을 다져 왔던 다양한 사유 및 개념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무조건적 질문의 권리를 '해체에의 권리'라고 명명하고, 이를 도래할 '새로운 인문학'의 핵심 원리로서 제시한다. '새로운 인문학'은 '불가능한 것'과 사건에 대한 해체의 무조건적인 약속과 책임에서 기존 대학과 인문학에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과 동력을 확보하려 한다. 결국 데리다가 말하는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는' 조건 없는 대학이란 기존에 알려진 온갖 영역과 대상들을 자기 것으로 포획하는 탐욕적 제도가 아니라, 계획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것, 곧 '불가능한 것'을 긍정하고 환대함으로써 제 자신의 변형과 그에 따른 위험까지 장래에 내맡기는 열린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의 지속과 '계속 살아감'은 이 같은 무조건성과 해체에의 권리를 자신의 조건으로서 긍정할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융합, 통섭, 또는 융복합, 그 의미와 환원가능성

        한기호 ( Kiho Ha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본 논문은 지금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융복합 열풍의 주요 개념들을 분석하고 그의미를 분명히 하는데 있다. 과학기술 영역과 학문적 탐구의 영역에서 동시에 시작된 이 열풍은 융복합을 시대의 화두로 만들어주었다. 그런데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것만큼 융복합의 의미가 분명한 것 같지는 않다. 게다가 그것에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공정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융복합 이라는 개념에 여러 가지 다른 개념들이 침투해 있기 때문인데,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융합 (convergence)과 통섭 (統攝, consilience)이다. 융합은흔히 과학기술분야의 수렴적 활동을 대표하며, 통섭은 사회생물학자인 에드워드윌슨에게서 유래한 개념이다. 그런데 연구자들의 대체적인 견해를 보면 융합에 대해서 호의적이지만 통섭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데, 그 뿌리에는 환원주의(reductionism)를 반대하는 생각들이 자리 잡고 있다. 나는 그것이 정말 통섭을 반대하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환원주의는 여전히 유효한 설명 방식이며, 특히 통섭을 바라보는 환원주의적 관점은 좋은 설명적 틀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통섭을 이런 방식으로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로저 스페리와 장하석에 의해 제안된 역방향의 환원(reduction), 즉 인문학(humanities)의 상보적(complementary) 역할의 가능성을 주목하게 된다. Now, the wind of the convergence is blowing in the academic community. The wind has spread throughout our whole society beyond all industries without tying down the academic field. People have clamored as though big trouble happen if they are not doing convergence . However, it seems that sense of convergence is not that clear enough the way that many people say to it. In addition, I feel that the evaluation of it is not impartial; because the concept of convergence that we often used has been contaminated by many miscellaneous meanings. The core concept among them is the consilience ; the concept is derived from biologist Edward Wilson and it has its roots in reductionism. Anti-reductionist criticisms of consilience appear often in philosophical discussions. But I do not think it is justified to oppose this just because consilience rooted in reductionism. I think we should note what Jang Hasok pointing out that the reversed of the reduction, namely, complementary role of the humanitie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claiming reductionist consilience is possible.

      • KCI등재

        중국의 재해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지도

        이석현 ( LEE SUKHY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중국은 근대 이후 지진과 홍수 등으로 인한 재해의 충격과 영향으로 본격적인 재해(사) 연구가 시작되었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역사 시기 방대한 재해 기록에 주목하여 이들 자료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들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역사 기후의 복원과 지진 자료의 정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후 변화는 홍수, 가뭄, 태풍, 蝗災 등과 같은 재해의 발생 원인으로 함께 연구되었는데, 주로 지리학 등 자연과학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역사시기에는 재해의 원인이 주로 기상의 변화와 같은 자연재해가 다수였으며 때문에 자연과학적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자료의 축적을 통한 규칙성과 이를 통한 재해 예측의 시도이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정치적 혼란기를 겪으며 일부 부침이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재해 자료의 수집 정리 작업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문화혁명이 종식된 80년대 이후 재해 연구의 활성화와 함께 자료 정리,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도 기관, 연구소, 대학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재해 자료의 수집 및 정리 분석 작업은 특유의 실용적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추진과 지원을 통해 수행되었다. 이런 까닭에 현재까지의 중국 재해(사) 자료 정리는 전국적, 지역적, 재해 종류별로 다양하고, 방대한 성취의 규모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이미 수집 정리된 자료와 함께 각 기관의 웹사이트 등에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자료 분석을 통한 재해의 시공간 분포 등과 같은 재해 지도의 편찬도 다양한 성과를 보였으며, 중국국가지 도집에 그러한 성과물들이 잘 반영되었다. 또한 3천년 전염병 자료를 수집, 정리, 분석하여 각 시기별 전염병관련 시공간 분포를 구현한 華中師範大學의 중국역사 전염병정보시스템은 GIS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구현작업으로 주목해야 할 성과이다. Since modern times, disaster research has begun in earnest due to the impact and impact of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and floods. Researchers in China conducted research based on these materials, noting the vast history of disasters during the period of history.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they carried out restoration of historical climates and the cleanup of seismic data. Climate change has been studied together as the causes of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typhoons, and locust disasters, mainly in natural sciences such as geography. During the period of history, many natural disasters, such as weather changes, were mainly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o many natural scientific studies were conducted, and it was also an attempt to predict disasters through accumulation of data.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ups and dow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ollection of disaster data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In particular, since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80s, data organization, collec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round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The collection and theorem analysis of disaster data was carried out through various forms of promotion and support because of its unique practical value. For this reason, the organization of Chinese disaster data so far has shown a wide range of achievements by nationwide, regional, and disaster type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Institute of Science, the Institute of Geology, the Institute of Geology, and the National Centr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compilation of China's disaster records. They organically establishe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universities and local research institutes in the organization of data, and they were able to maintain work such as data organization and analysis on the background of n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each research institute and institution systematically disclose disaster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its website, and that work on the organizatio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data is also actively carried out at the digital level. In recent years, data has already been collected and organized, and data has been provided by each organization's website as a database. In addition, the compilation of disaster maps, such as the time-space distribution of disasters through data analysis, showed various achievements, and such achievements were well reflected in Chinese national maps. In addition, the Chinese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 which collects, organizes, and analyzes 3,000-year infectious disease data and implements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space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t each time, is a new space implementation work using GIS technology.

      • KCI등재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장기파동이론

        李殷珍 慶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7 人文論叢 Vol.9 No.-

        1996년 10월 30일 문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주최 세미나에서 근대와 탈근대라는 특정시기에 의미를 부여하였고, 또한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종흡 교수는 시간의 절대적인 의미를 부정하고 특정시점은 항상 과거와 미래를 공유한다고 표현하였다. 사회학에서도 시대마다 시간이 갖는 의미를 개인적인 수준에서 때로는 사회적인 수준에서 해석을 시도하였다. 즉 실직한 개인이 갖는 시간에 대한 의미를 라자스펠트와 짜이젤(1933/1983)은 1930년 오스트리아의 한 마을을 연구할 때 자유시간의 의미, 시계를 차는 사람의 수, 하루의 시간 계획, 잠자는 시간, 아침식사를 거르는가의 여부, 가사를 돌보는 정도, 사회적인 활동에 시간을 쏟는 정도, 도서 대출량, 길거리를 걷는 속도, 미친 사람의 비율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본주의 사회의 생활습관과 시간의 관념변화는 베버(1904/1980: 36)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시간이 자본주의의 정신의 핵심으로 등장하여 합리적 계산의 가장 중요한 척도로 등장한다. 같은 맥락에서 福井憲彦(1996)와 Schaeffer(1982)도 시간은 이제 측정가능하고 계산 가능하며 또한 교환 가능한 시간으로 표현되고 있다.

      • KCI등재

        인지과학의 세 패러다임에서 본 자아 개념

        김효은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論叢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self is constructed through three representative models of cognitive scientific explanation: symbolism, connectionism, and recently proposed embodiment theory. The description of the self is very diverse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cognitive science, and there is no consensus on how to approach the problem of self. The lack of consent means that the problem of self is a multi-dimensional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only by one level of explanation or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empirical scientific studies that seem to have the implication that the self can be reduced or eliminated to the physical basis of the brai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the recent explanatory model of cognitive science. Representation in the explanatory model of cognitive science is also important in dealing with the self, because it is used in contexts involving agents. In conclusion, the self-concept can be extended beyond the traditional self-basis such as the individuality of the body or the identity of the memory. In order to elucidate the self,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the conscious side of the existing experiential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analysis, Research is needed. 이 논문의 목적은 인지과학의 대표적인 세 모형인 부호주의, 연결주의, 그리고 최근에 제안된 체화이론을 통해 본 자아 개념을 검토하는 것이다. 자아에 대한 설명은 철학 뿐만 아니라 인지과학에서도 매우 다양하며, 접근 방법에 대한 합의가 없다. 이는 자아의 문제가 한 이론으로만 해결할 수없는 다차원적 문제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 개념을 뇌의 물리적 기반으로 환원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지에 대한논의가 있어왔다. 이 논문은 자아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정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검토한다. 인지과학의 설명 모형에서의 정보표현은 행위자를 포함하는 맥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자아를 검토하는 데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자아 개념은 신체의 개별성이나 기억의 정체성과 같은전통적인 기준을 넘어 확장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아에 대한 설명은 경험적, 과학적, 철학적 분석에서 주로 의식을 중심으로 견지해왔던 설명을 넘어설 필요가있다.

      • KCI등재

        해체에의 권리와 ‘새로운 인문학’ : 자크 데리다의 『조건 없는 대학』 읽기

        윤동구 ( Dong-goo Y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論叢 Vol.47 No.-

        데리다는 『조건 없는 대학』에서 근대 대학의 전통을 대표하는 이념인 학문의 자유를 ‘모든 것을 공적으로 말할 권리’와 ‘무조건성’이라는 조건에 따라 재구성하고자 한다. 데리다는 대학과 인문학의 기반을 다져 왔던 다양한 사유 및 개념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무조건적 질문의 권리를 ‘해체에의 권리’라고 명명하고, 이를 도래할 ‘새로운 인문학’의 핵심 원리로서 제시한다. ‘새로운 인문학’은 ‘불가능한 것’과 사건에 대한 해체의 무조건적인 약속과 책임에서 기존 대학과 인문학에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과 동력을 확보하려 한다. 결국 데리다가 말하는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는’ 조건 없는 대학이란 기존에 알려진 온갖 영역과 대상들을 자기 것으로 포획하는 탐욕적 제도가 아니라, 계획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것, 곧 ‘불가능한 것’을 긍정하고 환대함으로써 제 자신의 변형과 그에 따른 위험까지 장래에 내맡기는 열린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의 지속과 ‘계속 살아감’은 이 같은 무조건성과 해체에의 권리를 자신의 조건으로서 긍정할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In The University Without Condition, Jacques Derrida intends to reconstruct ‘academic freedom,’ the idea that represents the tradition of the modern university in terms of some conditions called ‘the right to say everything publicly’ and ‘the unconditionality.’ Derrida emphasizes ‘the right to deconstruction’, a full scrutiny and unconditional question about various thoughts and ideas that have laid the foundations of the university and humanities, and proposes it as a central principle of ‘New Humanities’ to come. ‘New Humanities’ try to explore possibilities that the unconditional promise and affirmation of ‘the impossible’ and the event could produce the power to bring meaningful changes to established universities and humanities. For Derrida, the university without condition, ‘that can say everything’ is not a greedy system that captures all the existing spheres and objects, but a open institution that affirms and welcomes uncalculable and unpredictable things, or ‘the impossible.’ The continuation of the university and its ‘sur-vival’ will only be possible so far as we affirm the unconditionality and the right to deconstruction as its own condition.

      • KCI등재후보

        경남권 킬러 콘텐츠 소재 연구: 가야 설화를 중심으로

        김용환 ( Yong Hwa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論叢 Vol.28 No.-

        경남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개발은 지역 내 주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원형을 형상화함으로써 내부적 유대를 강화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과 자긍심을 고양시키는 경제적, 사회적 선순환의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것이다. 이글은 가야의 역사가 전개된 공간적 범위와 현재 경남지역이 거의 일치한다는 전제 하에 경남이라는 공간으로서의 지역성과 공통의 역사 환경을 공유할 수 있는 토대로서 가야의 의미를 상정하고 문화콘텐츠로서 OSMU를 실현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의 가능성을 가야 설화 속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가야 설화는 ``수로왕 관련 설화``나 ``황세와 여의낭자 설화``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완결된 형태의 서사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대중성과 오락성의 요소도 다양하게 내포함으로써 킬러 콘텐츠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중요한 것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어떻게 설화의 소재나 구조를 매체에 맞게 효과적으로 전환시킬 것인가, 설화의 문화적 가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창조적인 현재성을 확보하는가의 문제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latent possibilities capable of converting into a killer contents for Gyeongnam area, focusing on Gaya Tales. The study is based on a premise that historic space of Gaya almost correspond with Gyeongnam area. So I posit Gaya Tales as original source that appeal to residence. A Development of contents by utilizing cultural heritage in Gyeongnam area is the figuration of culture archetype. Not only does it contribute to reinforcement of cultural ties, but it also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y activation and brand value. Therefore successful contents produce a virtuous circle that can help increase self-wor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torytelling in process of contents production. Local authority has to procure and cultivate talented storyteller on a long term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