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와 중등부 교사의 인식 비교

        신상용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와 중등부 교사들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적용 현황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고, 특수학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두 집단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파악하여 실행에 필요한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특수학교 및 전국 유아특수학교 교사 262명(유치 83명, 중등 179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의 인식, 적용 및 지원요구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인식의 정도는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팀 접근에 대한 문항만이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의 정도는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인식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각 집단별 차이는 후속결과 강화, 지속적인 평가 두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해 본 두 집단 교사의 대부분이 문제행동이 감소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실행에 어려운 점에 대해 우선순위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두 집단 모두 관련 경험 및 시간의 부족, 장기 지속적인 지도의 어려움을 선택하였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는 교사연수, 부모교육 순으로 두 집단이 동일한 요소를 선택하였으며, 교사 연수에 필요한 내용도 기능 분석 방법, 중재 계획 수립 순으로 동일한 요소를 선택하였다. 마지막 행정 · 재정적인 지원 요구도 두 집단이 동일하게 학교 업무 경감을 선택하여 두 집단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가 대부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기 위해 문제행동 기능분석 및 중재계획 수립에 관한 교사연수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학교 업무 경감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by Kindergarten and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utilizing it as basic data to prepare for support plan necessary for practice, by grasping support demands of teachers of two group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special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erception, application and support demand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 262 teachers (83 kindergarten/ 179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in special infant schools nationwi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found to be high in both groups, and only the item of team approach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Second, the level of practic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high in both groups, but the results were lower than perception, and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only in two items of subsequent consequence reinforcement and continued evaluation. Also, most of the teachers in two groups who had practiced positive behavior support responded that problematic behavior reduced, and although there was a bit difference in priority, both groups picked shortage of relevant experience and time and difficulty of prolonged/continuous instruction as the problem in practice. Third, regarding support demand for practic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both groups selected the same elements in order of teacher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Lastly, regarding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demand, both groups equally chose reduction of school work, so I could verify support demand for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two groups is mostly identical.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out that teacher training on function analysis of problematic behavior and establishment of intervention plan and parent education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re needed to imple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special schools, and efforts to reduce school work have to be preceded.

      • 모델예측제어 기반 차량의 횡 방향 거동 예측 정보를 이용한 차로 변경 경로 생성에 관한 연구

        신상용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능동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율주행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행차량을 추종하고 자 차선을 추종하는 기술에 스스로 차선을 변경해주는 기술이 적용되면서 자율주행 레벨3 근접한 차량이 양산이 진행되고 있다. 더 나아가 자율주행 레벨4~5 수준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하는 데 있어 차선을 변경해주는 기술은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기술이 될 것이다. 차선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차로 변경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추종하여야 한다. 이때 차량의 운동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다양한 도로 환경(차속, 직선도로, 곡선도로)에 적합하게 경로를 생성하지 않을 경우 경로를 추종하는 데 있어서 추종성이 떨어지고 횡 방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차로 변경 과정에서 과도한 횡 가속도의 변화로 인해 탑승객이 불안함과 이질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차로 변경 과정에서 횡 방향 안정성을 확보하고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줄 수 있는 경로 생성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동역학 모델 기반으로 차량의 미래의 횡 방향 거동을 예측하고 MPC(Model Prediction Control) 이론을 적용하여 전방의 경로 정보를 반영하여 최적화하여 차로 변경을 위한 최적의 횡 방향 거동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예측한 횡 방향 거동 정보를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 점을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제어 점 대하여 B-Spline curve를 생성하여 차로 변경 경로를 생성하였다. 이를 통해서 차량 모델을 통해 예측한 제어 점을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추종성 높은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MPC 이론을 통해서 전방의 경로 정보를 반영하여 최적화함으로써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급격한 조향 변화를 억제하여 횡 방향 안정성을 확보하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MPC의 연산을 통해 얻어진 결과 값을 직접 차량 제어에 활용하지 않고 경로 생성에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적용하여 연산 주기를 늘릴 수 있음으로써 연산의 부담을 낮출 수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Matlab/Simulink와 CarMaker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생성된 경로와 기존의 방법으로 생성된 경로를 Stanley Method 기법으로 추종하여 차로 변경 과정에서 Overshoot 및 횡 가속도의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 대학건물의 End-Use별 전력사용량을 기반한 전력수요 예측모델의 성능 분석

        신상용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lectricity consumption has continuously increased in Korea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Management of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s essential, especially in the building sector, which accounts for about 44.7% of the national electricity consumption, which is considered a major management target. Smart grid and its complementary AMI have been developed to efficiently manag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he electrical consumption of End-Use can be collected by sub-metering. This study forecasts the electricity demand by using the measured electricity consumption of End-Use as an input value of building energy model (eQUEST) and compares it with forecasting performance of two statistical methods. In order to compare and evaluate the forecasting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ergy modeling practices, three case model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etail of electricity consumption inform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metering data into the energy model, the main input variables of the case models were selected as the schedules (occupancy, lighting, plug, HVAC), LPD(lighting power density) and EPD(equipment power density). Performance by forecasting method was compared in terms of hourly and monthly MBE, CV(RMSE). As a mater of fact, the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ergy model based on End-Use electricity consumption shows the best performance: 0.58% for MBEHourly and 45.10% for CV (RMSE)Hourly with hourly data forecasting and 0.58% for MBEMonthly and 5.18% for CV(RMSE)Monthly with monthly data forecasting . For better energy-saving building operation and control methods, it is necessary to predict energy demand by utilizing a building energy model with those main and sub-metering data.

      • 姓名學의 作名原理 硏究

        신상용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물(萬物)은 이름 없는 것이 없는데, 만물의 영장인 인간에게 이름이 없을 수 없다. 사람은 누구나 다 자기 자신만의 이름을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으며, 그 이름이 좋고 나쁨을 떠나 그 사람의 이름이란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상징이 된다. 예로부터 인생에서 이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좋은 이름을 짓고자 노력을 해왔다. 이름을 짓는 성명학은 사람이 타고난 운명에 대하여, 성명의 영향력으로 운명을 후천적으로 바꿈으로서, 좀 더 행복하게 만드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신생아 작명이나, 개명 등에 있어서 우리사회에 성명학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명학이 인정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그동안 기존의 작명 방법에 대한 이론적 타당성, 합리성, 논리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라 사려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성명학을 정리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올바른 성명학을 정립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성명학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수리오행성명학과 음령오행성명학에 관한 근본적인 논리가 어느 연구 자료에서도 찾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성명학의 원리를 분류하고, 정리하여 문제점과 함께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며 연구 자료로는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 성명학 관련 도서와 논문 등을 연구하고, 그 이론들을 분류하고 실제 증명을 통하여 재정립하여 보았다.

      •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산정에 관한 연구

        辛相鏞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Bearing capacities of cast-in-situ piles were estimated by use of the results of both the static pile load test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bed rocks. Also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cores, which were sampled from the cast-in-situ piles,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in-situ strength of the concrete with the required strength on design criterion.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ies evaluated by Zhang&Einstein's method was compared with those predicted on the basis of RQD or RMR. Both the yield load and the ultimate load obtained by static pile load test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yield load and the ultimate load could not be easily determined from the pile load test result of cast-in-situ pile embedded in rock. However, the load and settlements shows a nonlinear behavior. And some residual settlement was observed near the stage of maximum load. 2. The ultimate load could be predicted by only Chin's method and Mazurkiewicz's method. The ultimate load determined by Chin's method was larger than the ultimate load determined by Mazurkiewicz's method. 3.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in water was smaller by 15.4% than the design criterion. 4. The ultimate end bearing capacity of the cast-in-situ piles could be also predicted by Zhang&Einstein's equation, which is based o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ed rocks. The predicted ultimate end bearing capacity shows coincidence with the lower bound value reported by Zhang&Einstein(1998)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39 fields records.

      • 개별 문화관광객을 위한 게스트하우스 계획에 관한 연구 : Capsule accommodation 중심으로

        신상용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관광은 체험경제시대로 삶의 가치는 여가, 문화, 관광 등 감성소비를 중요시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세계가 1일 생활권에 돌입하였으며, 세계 각국은 자국의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 관광산업을 채택하고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관광산업 환경은 정보화 경쟁화의 물결 속에서 그 어느 때 보다 급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전 세계에 대한민국을 알리고 ‘Seoul’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광고 활동과 관광 인프라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정부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방문의 해’를 개최함으로써 외래 관광객 1200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2년에는 연간 5,691천 명이 수도권에 머무를 것으로 보이며, 1일 객실 수요는 약 40,829실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수도권에는 26,702객실만 등록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의 관광객들은 문화적 욕구가 다양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남들과 다른 여행을 꿈꾸곤 한다. 이러한 관광객들은 단순Ⅰ히 잠자리만 해결하는 단순 숙박기능 이외에 현지 주민과 다른 문화 관광객들과의 상호 작용을 하며 독특한 지역문화를 체험 하고, 교류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게스트 하우스나 호스텔 등의 숙박시설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숙박문화가 기업성격의 호텔 중심으로 대형화 체인화를 지향하고 있어 중소규모의 숙박시설과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고, 획일화된 숙박시설은 남들과 다른 문화체험관광을 꿈꾸는 여행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외래 개별 문화관광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중저가 숙박시설을 계획하여, 커뮤니티, 정보공유, 감성적 문화체험 공간으로서 지역특성을 은유적으로 표출한 새로운 개념의 게스트하우스를 계획하고, Capsule Accommodation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분석과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관광산업의 흐름을 파악하고, 문화산업과의 상호 연관성을 연구 발전시켜 시대성이 반영된 경제적인 숙박시설의 실내공간을 창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래 개별 문화관광객에게 선호도가 높은 중저가 숙박시설을 계획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에 전반적인 내용을 언급한다. 2장에서는 개별 여행자의 정의와 증가의 이유 및 특성을 파악하고, 문화관광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를 이해한다. 3장에서는 현대의 숙박업과 게스트하우스에 대하여 살피고 지역적 특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는가를 사례를 통해 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계획의 방향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3장의 개념들을 바탕으로 게스트하우스의 계획안을 제안한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정리 종합하여 본 계획의 의의와 결론을 제시한다. In this experiential economic world in the 21st century, tourism faces the new paradigm that values more on emotional consumption such as culture, leisure, pastime and them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people can now travel from one side of the country to another within a day and each country keeps striving for having more and more international tourists focusing on tourism industry. This circumstance meets a huge change ever with the wave of informationalization. Keeping up with this stream, Korea also stresses on building tourism infra with various work for advertisements and upgrading the national brand in the world. Moreover, Korean government designates 2010-2012 as "The Years of Visiting Korea" aiming at 12,000,000 international visitor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around 5,691,000 people will stay in the capital area in 2012 with the need of about 40,829 rooms per day but only 26,702 rooms are actually registered to run at the moment. These days people have different cultural appetites and tend to dream about their own unique tours and these travellers prefer to stay at a guest house or hostel which provides them chances to interact others and to experience and share exotic local cultures with them. Korean accommodation trend, however, is towards expanding and franchising way around certain corporate kind of hotels and that results in unbalance with other small-to-medium accommodations. More importantly, those standardized hotels limit cultural tourists' desires to have different experiences from others. Therefore, this paper is to design a model of "Capsule Accommodation" based on a preferred low-to-middle priced brand new guest house which metaphorically expresses local specialities and satisfies those individual cultural travellers with community, information share, emotional cultural experience.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and its outcomes, it is expected to figure out current stream of tourism industry, to investigate and develop the mutual relations with cultural industry, and to create time-reflected economic space for the accommodation. This study aims at designing a highly preferred low-to-middle priced accommodation for individual cultural tourists and proceeds it in the following order: chapter 1 introduces the background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specifies its range and research methods; chapter 2 defines individual tourists, apprehends the growing factors and features, and understand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ultural tour; chapter 3 investigates present accommodations and guest house with the cases of expressive ways of local traits and signposts for the design with the comprehensively drawn outcomes; chapter 4 suggests the design of guest house based on the ideas in chapter 3; and finally chapter 5 concludes with the result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 다중선형적 이미지 매개를 통한 도시 패러다임 가상화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신상용 부산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ity we live in today with the new media, the day is changing rapidly, and art, science, and architecture are at the center of the transformation of urban space. In addition, technological development exists at the center of modern society, and there are various media creation and disappear. This means that new media will renew existing media functions or roles or stop using media. As such, all media are constantly changing and in fluid interaction. The media can be said to be valued in their interaction with humans rather than being meaningful in their own right, and recent media have penetrated deeply into human life. This study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e special relationship they have in urban and human relationships. For example, in order to lead a better life, human beings are steadily pursuing future-oriented and ideal city construction. Plato also mentions the form of an ideal country or city in 『States』, and such an ideal city has been developed by giving each functional and formative valu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age, top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Dubai, which stands for a future city that specializes in shopping and tourism, or new town projects 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in the name of regional balanced power generation projects in Korea are intended to provide a better city. Imagination about changes in the city like this will have meaningful value as a member of the city's life. Accordingly, I want to make the characteristic of the variable city the object of production. The traces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 city, or the city and future images as the a city as presence are the main work materials of the city-paradigm formation that I want to virtualize. The urban paradigm will generally refer to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city classified by a certain criterion, and I will take over these common concepts, but I will embody the reorganization and combination of urban elements from my perspective through work. In addition, attention is paid to the effects of the experiential and experiential elements and roles of the real space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humans as the media develops. In order to set the modern urban concept as a material, first, the urban concept is rearrange through the virtualization of the real city paradigm, and the urban paradigm revealed in the works of previous artists who produced various works based on the city is analyzed. Second, the city will identify what kind of paradigm and syntagm it will make, and grasp the city image of the syntagm made of paradigm to derive the hypertextuality of the urban paradigm. The contents of these studies are deeply involved in the lives of modern people and show the features revealed in urban space in a state of constant change. A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urban space, I judge that unfixed segmented images can be combined and virtualized into various urban images. Therefore, through the use of complex media, including digital media, the urban structure is expressed as a virtual combination, and build them with hyper-mediacy visual information that emphasizes multi-linearity.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ce and mediation about new media took note of the theory to the re-mediated of Jay David Bolter & Richard Grusin. It is essential to discuss their mediation in explaining my work because urban space is a place where the mediation phenomena of Voltaire and Gruxin are well revealed. Based on their theory, my works that virtualized the city were able to verify the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stand out. In this study, Urban paradigm becomes a sign value as an indicator of this era, where structures and forms cross contemporary ideals and reality. I observe the city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nd select, shape, and virtualize the microscopic image elements that can be derived from it as the main theme of this work. In addition, the remediation method in which the affiliates that made up the past city associate with the icons of the current city is to structure the essence of the virtual city and is applied throughout the production of my work. 오늘날 우리가 사는 도시는 새로운 미디어에 의해 하루가 다르게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러한 가운데서 예술, 과학, 건축이 도시공간의 변화를 이끄는 중심에 있다. 아울러 현대사회의 중심에는 기술 발전이 존재하며 또한, 다양한 미디어의 생성과 소멸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새로 등장하는 미디어가 기존 미디어의 기능이나 역할을 갱신하거나 그 사용을 중단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모든 미디어는 끊임없이 유동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변화하고 생성된다. 최근의 미디어는 존재 그 자체로 의미가 있기보다는 인간의 삶에 깊이 침투하여 인간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그 가치를 부여받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와 인간관계에서 그것들이 맺고 있는 특수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가령 인간은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미래지향적이고도 이상적인 도시 건설을 꾸준히 지향한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이상국가나 도시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도 했으며, 그러한 이상도시는 시대와 지형, 거주자들의 특성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각각의 기능성과 조형적 가치가 부여되어 발전해 왔다. 쇼핑과 관광을 특화시킨 미래형 도시를 표방하는 두바이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역균형 발전사업의 명목 아래 추진 중인 뉴타운 사업이나 도시재생 사업들은 이상도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도시의 변화에 대해 상상하는 것은 도시의 삶을 영위하는 구성원으로서 유의미한 가치를 가질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가변적인 도시의 특성을 작품제작의 대상으로 삼으려 한다. 인간이 도시 속에서 삶을 영위했던 흔적 또는 현전으로서의 도시와 미래상들은 연구자가 가상화하려는 도시 패러다임(City-Paradigm) 이미지 형성의 주요 작업 소재이다. 도시 패러다임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준거에 의해 분류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볼 것인데, 연구자는 이러한 통상적 개념을 이어받지만, 연구자적 시각에 의한 따른 도시 구성요소의 재편과 결합에 대해 작업을 통하여 구체화할 것이다. 아울러, 현실 공간에서 사물인터넷, 가상체험, 인공지능과 같은 미디어 기술이 예술, 산업, 의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와 인간 사이의 인과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주목한다. 연구자는 현대 도시개념을 이미지 가상화의 소재로 설정하기 위해 첫째, 도시개념을 다시 정리하고, 도시를 소재로 여러 가지 작업을 제작했었던 선행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도시 패러다임 이미지를 분석한다. 둘째, 도시는 어떠한 계열체와 결합체로 구성되는지 확인하고, 계열체로 만들어진 결합체의 도시 이미지를 파악하여 도시 패러다임의 하이퍼텍스트성을 도출해 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은 현대인의 생활에 깊이 관여되어 도시 공간에서 드러난 특징을 끊임없는 변화 상태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자의 결과가 도시공간의 표상적 특징으로서 고정되지 않은 분절형 이미지들이 결합하면서 다양한 도시 이미지들로 가상화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도시 가상화 이미지는 이미 과거부터 일상 속에 흡수되어 인간과 함께 존재해 왔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과 뉴미디어의 영향으로 그 개념과 형질이 변형되고 있다. 연구자는 도시 계열체 이미지의 변형 과정에서 인간이 이상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도시구조를 희망한다고 판단하였다. 여기서 도시구조는 역사의 기록을 흔적으로 남긴 한 프레임에 불과하며 또 다른 계열체 이미지들과 결합과 분해를 반복하여 다음 계열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디지털 매체를 포함한 복합매체 활용을 통해 도시구조를 가상적인 결합체 이미지로 표현하면서 이상과 꿈의 도시를 다중선형성이 부각되는 과매개적 시각 정보로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에 관한 도시공간과 매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이 데이비드 볼터와 리처드 그루신 (Jay David Bolter & Richard Grusin)의 재매개 이론에 주목하였다. 도시 공간은 볼터와 그루신이 말한 매개 현상이 잘 드러나는 장소이므로 연구자 작품을 설명하기에도 그들의 매개 현상에 대한 이론 고찰은 필수적이다. 그들의 이론에 기반해 볼 때, 도시 이미지를 가상화한 연구자의 작품들은 비매개와 하이퍼 매개성이 동시에 두드러진다는 특징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계열화된 도시의 구조와 형태들은 동시대의 이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이 시대의 지표로써 이미지 기호가 된다. 연구자는 거시적인 시각으로 도시를 관찰하며, 거기서 파생 가능한 미시적인 이미지 요소들을 선별하여 형태화하고 가상화하는 것을 본 작업의 주제로 설정한다. 또한, 과거 도시를 구성했던 계열체가 현 도시의 도상들과 결합하는 재매개 방식은 가상도시의 본질을 구조화하는 것이며, 연구작 제작에 두루 응용된다. 연구 작품에서 볼 수 있었던 도시 계열체의 재매개적 표현은 계열체간 선형성과 비선형성의 특징들이 복합적으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시 패러다임 가상화의 특성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검증되었다. 첫째, 계열체의 가상 이미지 리사이징을 통해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확장하였다. 둘째, 도시 구조물의 파편들이 다시 다른 형태로 결합하면서 만들어진 구조물을 다중 레이어의 형태로 분류하여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셋째, 매체의 노출과 확장이 부각되는 과매개적 표현방법을 통해 역동적 도시 공간을 구축하였다. 넷째, 도시의 다차원 공간 연출은 디지털 영상 활용을 통해 계열체 이미지들을 마치 4차원 공간에서 일어나는 상황으로 연출하여 도시 패러다임 가상화를 표현하였다. 요컨대, 연구자는 현대 도시의 다양한 계열체가 뉴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도시 패러다임 이미지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시 가상화를 표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이어 나갈 것이다.

      • 인터넷 EDI 導入 方案에 관한 硏究

        신상용 漢陽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해외의 선도 기업을 중심으로 인터넷 EDI를 도입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 EDI는 인터넷을 통신 매체로 사용하는 EDI 방식으로 인터넷의 개방적인 특성과 저렴한 통신 요금을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새로운 기술로 도입 기업의 통신 비용절감, 신규 고객이나 거래처와의 접속의 용이성, 거래 기업과의 신속한 데이터 교환 가능성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VAN EDI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헌과 인터넷 EDI 도입 기업의 사례에서 밝혀진 도입 동기와 도입 방안을 비교 분석하여 인터넷 EDI를 도입하려고 하는 기업들에게 인터넷 EDI 도입 의사결정시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제공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결과와 인터넷 EDI를 도입하려는 기업의 의사결정권자나 실무자에게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EDI 도입 기업의 도입 동기는 도입 목적과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지만 통신 비용절감, 개방적인 인터넷 특성을 이용한 신규 고객이나 거래처와의 접속의 용이성, 거래 기업과의 신속한 데이터 교환의 필요성 등이 주요 도입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인터넷 EDI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인터넷 EDI를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구축하는 방법과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지 않고 자체 개발하는 방법이 있으며 도입 결정시에는 이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셋째, 인터넷 EDI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도입 기업의 도입 목적과 교환하려고 하는 데이터의 중요성에 따라 다른 구현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FTP를 이용하는 방법, SMTP/MIME를 이용하는 방법, 웹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며 도입 기업의 업무 특성과 교환하는 데이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구현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넷째, 아직 인터넷 EDI 기술은 발전 단계에 있는 기술로 인터넷을 통해 EDI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 전송 지연과 데이터의 손실 가능성 문제, 그리고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주체의 부재에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인터넷 EDI 도입 결정시 반드시 이런 문제점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인터넷 EDI 도입 기업의 인터넷 EDI 도입 결정시 의사결정권자나 실무자들의 의사결정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