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뇌 (全腦) 계발의 이해와 홀리스틱 관점에서 본 음악 교육의 중요성

        승윤희(Seung, Yun Hee)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true meaning of education, along with scientific support, to emphasize the use of the whole brain and to show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Holistic education nurtures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person and is sensitive to both right and left brain learning. It is concerned with the innate/personal potentials, i.e., intellectual, emotional, social, physical, creative, intuitive, aesthetic and spiritual potentials. It acknowledges that intelligence is multi-dimensional. It has been believed that musical ability i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thinking in the right. But the right brain is not solely responsible for all musical abilities. The musical mind functions with the whole brain. Music education, like holistic education, is a process for cultivating the whole person and helps th development of the whole brain.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music education is one of the best ways to develop one’s cognitive, emotional, moral, aesthetic, creative and social potentials. Music education is comprehensive education.

      • KCI등재
      • 음악교육의 심리학적 기반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승윤희(Yun Hee Seung) 한국음악교육학회 2002 음악교육연구 Vol.23 No.-

        The matters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studied and discussed in various areas. Philosophy, psychology, and social/cultural background may be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study because these areas provide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music education. Philosophy provides the basis for the value and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psychology provides the basis for the content and method of music education, and social/cultural background is needed for an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music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the psychological basis in music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the general approach of psychology is reviewed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is described with an emphasis on the need for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from a music educational point of view. Psychological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to music instruction provides an overall insight into the psychological basis for better music education.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is significant, although the value differs from that of language, mathematics or science. The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ies and principles is important to fully realize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In this study, theories and principles from various areas of psychology, such as cognitive, humanistic, developmental, and music psychology are discussed. Also, an understanding of musical intelligence and social/cultural background for a music curriculum are described.

      • KCI등재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재고(再考)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세기의 학교교육은 지식의 습득과 이성적 능력을 중시 여기는 주지주의 교육이 중심이 되었다. 학교음악교육은 예술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감성교육에 직접 적으로 관여한다. 그동안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는 저평가 되어 왔는데, 이는 이성을 중시하였던 20세기 동안 감성의 역할이 저평가 되어온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뇌 과학의 발달로 인간의 정신능력에서 감성의 역할이 재평가 되고 있듯이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역할 또한 재평가 되어야 한다. 음악교육을 통한 감성교육의 의미를 분명하게 정리하는 것은, 미래 학교음악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와 음악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고 음악활동의 교육적 활용 도를 높이는데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를 재조명하기 위해 먼저 교과교육과 예술교육 차원에서 학교음악교육을 기술하고, 감성지능, 감성역량, 사회감성학습(SEL)을 고찰함으로써 음악교육을 통한 감성 교육의 의미를 ① 미(美)적 경험과 음악적 심성의 성장, ② 정서의 심리적 체험과 인성․사회성 계발, ③ 실천적 표현 능력과 사회변화의 주도 및 예술문화의 창출, ④ 감성지능의 계발과 감성역량의 향상이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For the past century, school education was focused on intellectualism, in whic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rational ability is considered crucial. School music education has played a key role in art education and has actively taken a part in emotional education. Until now,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had been undervalued, and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role of emotion being undervalue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when rationale was seen with more valu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the role of emotion is being reevaluated in the realm of human mental capacity and thus, the role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should be done likewise. Clarifying the meaning of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sic education is necessary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music activity and is also helpful to establishing a music education identity and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school music education.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this study first described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subject and art education, considered emotional intelligence/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sic education from the four following perspectives: ① the improvement of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musical mind, ② the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emotion and of personality and sociality, ③ the practical capacity of expression and the lead of social change and the creation of art culture, ④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인문학 관점에서의 감상 수업 방안 탐색

        승윤희 ( Seung Yunhee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2015 음악과 교육과정은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로 진술하고 있다. 삶 속에서 즐기는 음악 활동은 다양하지만 특히 감상은 삶 속에서 음악을 즐기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삶’을 다루는 학문인 인문학 관점에서의 감상 수업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문(학) 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성격을 고찰하고 2015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통해 알 수 있는 감상 영역의 지식 및 실행 수준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내용체계에 제시되어 있는 감상 영역 ‘기능’의 유형을 ‘연계하기’ ‘공감하기’ ‘소통하기’ ‘상상하기’ ‘인식하기’ ‘성찰하기’의 실행 수준으로 확장하여 제시하였다. 인문학 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은 단편적 지식을 가르치기보다는 음악 예술을 통한 인간다움의 의미를 탐색하고,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성찰하는 실천적 교육이다. 인문학 관점의 감상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음악을 개인의 삶과 연계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인간다움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인문학 관점에서의 음악 수업 연구는 감상 수업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 모든 활동에서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가 인문학 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실천이라는 주제를 확산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2015 music curriculum defines music as a subject that ‘can be enjoyed in daily life’. There are many ways in which music activities can be enjoyed in life, but appreciation is the best method to enjoy music in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of appreciation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 subject that deals with mankind’s ‘life’.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as a humanities education and describes the appreciation scope and level of implementation measurable through the 2015 music curriculum’s system of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study then displays the types of ‘skill’ presented in the system of content. Such skills were expanded to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n forms of ‘connecting’, empathizing’, communicating’, imagining’, and ‘reflecting’. Rather than being fragmentary knowledge, music education as a humanities education is a practical education that explores the meaning of personhood through the art of music, understands and sympathizes with the world that surrounds mankind, and reflects upon it. In appreciation class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students can expect the ability to connect music to individual lives and ultimately, reflect on personhood. Music class research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requires study not only in appreciation classes, but in all areas and activities. This study can hopefully serve as the basis for spreading the subject of practicing music education as humane studie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통합 음악교육을 위한 최근의 국내연구 동향 분석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환경에서 음악수업을 연구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동안의 연구 주제 관련 학위논문 34편과 학술논문 1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에서는 중등교육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는데(64.7%), 중등 장애학생 대상, 일반/장애학생 대상 연구가 각각 10편씩(29.4%)으로 많았고, 학위는 대구교대, 이화여대, 한국교원대에서 많이 수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유형은 교육대학원(82.4%)이, 연구자 전공은 음악교육전공(52.9%)이 가장 많았고, 연구 주제 및 내용은 교수학습 지도 및 교육적 접근 방안(64.7%)이, 연구방법은 사례연구(26.5%)와 문헌연구(26.5%)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학술논문에서는 초등교육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는데(66.7%), 초등 일반/장애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33.3%), 「음악교육연구」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각각 3편씩(25.0%)으로 많았다. 연구자 전공은 대부분 음악교육전공(91.7%)으로 조사되었으며, 연구 주제 및 내용은 교수학습 지도 및 교육적 접근 방안(58.3%)이, 연구방법은 문헌연구(41.7%)의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장애학생 통합 음악교육의 국내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usic classes with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4 theses and 12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of the past decade have been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for graduate theses, there was a big proportion of research conducted on secondary education (64.7%), 10 researches (29.4%) were conducted each on the subjec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general/disabled students, and a decent number of students earned their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graduate school types, most of the research was don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82.4%),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ers major was Music Education (52.9%), and Teaching Education Guidance and Educational Approach (64.7%) was a popular choice for the topic and content as were case study (26.5%) and literature review (26.5%) for research methods. Second, for academic papers, a lot of research was conducted on primary education (66.7%) as was on the subject of general/disabled students (33.3%) and th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and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each had 3 papers (25.0%) published in their journal. The majority of researchers major was Music Education (91.7%) and for topic and content, and research method, Teaching Education Guidance and Educational Approach (58.3%), literature review (41.7%) showed a high percentage respectively. Through a comparison with prio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meaningful data to identify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 KCI등재후보

        서울시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통합학급 음악 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승윤희 ( Yun Hee Se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장애학생이 통합된 음악교육의 진전을 위한 방안과 바람직한 통합학급 음악교육 방향 등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실태조사, 2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고 인식되는 교과 위주의 과목별 통합수업(87.3%)을 실시하는 현재의 교과운영 방식과 ``통합교육이 수월한 교과``의 의미를 재고할 필요가 있으며, 2 특수학급의 보조 이력은 최소한의 교육관련 경험을 갖추어 이들을 장애 유형별로 적절하게 배치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3 교재 개발은 모든 교과에서 시급하지만 가장 많은 통합수업이 이루어지는 음악, 미술, 체육교과의 교재연구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4 서울시의 학교지원 만족도는 타 지역보다 낮고 일반학생 학부모의 만족속도는 장애학생 학무모의 만족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결과 1 가장 많이 실시되는 과목별 통합수업은 음악, 미술, 체육교과(82.0%)이지만 이들 교과 에서 이루어진 교육 적 통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고, 2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어 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필요 허며, 3 장애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화합을 위해서는 비교과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악, 미술, 체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general education teacher opinion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2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ment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research and basic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of practical inclusive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5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inclusive classroom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Easy subject-oriented inclusive education is presently practiced for each subject (87.3%). However, the meaning of ``easy`` in this context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present subject management style for inclusive education. 2 Educated and experienced assistant staff members should be properly placed and used in classes. 3 Although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needed in every subjec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need. 4 The degree of satisfaction regarding support from schools is lower in Seoul than in other region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mainstream students is lower tha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an analysis of special/inclusive teacher opinions indicate that, 1 Although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are frequently included in inclusive education (82.0%), research regarding educational inclusion is presently insufficient for analysis. The perception gap between special and genera1 teachers needs to be eliminated, and to promote harmony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a variety of programs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학습동기이론에 기반한 음악 수업 연구

        승윤희(Seu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이상적인 학교 음악 수업은 문서화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준수하는 가운 데, 모든 학생들이 즐겁게 열심히 학습하고, 음악을 아름답게 느끼고 생각하며, 다양 한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일 것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이러한 음악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은 학습자의 동기이다. 학습동기는 학습 과정을 성공적으로 지속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에, 음악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내용을 제공하는 동기 관련 연구는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는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음악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기와 동기이론의 다양한 심리학적 관점을 살펴보고, 학습 과정에 중요하고도 깊이 관여되는 목표, 욕구, 자기효능감, 귀인, 학습된 무기력 등 의 동기 관련 요소들과 정서적 요소들이 실제로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음악 학습 상황에서 기술하였다.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음악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학습동기와 정서적 요소들의 특성들을 고려한 음악 수업의 원리와 초· 중등 음악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제시되었다. 음악 교수·학습 전략은 수업 시작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 수업 전개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유지를 위한 전략, 수업 정리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전략들로 구성되어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으로 기술되었다. The ideal school music class would be a class that abides by the context of documented music curriculum and that all of the students learn enjoyably, feel and think of music beautiful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music activities. However, fulfilling this type of music class in school reality is not an easy task. A learner’s motivation is what greatly influences the whole learning process. Learning mo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llows the learning process to sustain success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 study regarding motivation that provides useful contents to understand the learners in the music proce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are to look over the motivation and motivation theory in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to investigate how motivation-related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objective, needs, self-efficacy, attribu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which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deeply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affect the learners in the issue of music learning. Principles of music class based on learning motivation and emotional factors and the strategies for music teaching/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classes were suggested as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The strategies for music teaching/learning, which are categorized as strategies for learning motivation induction in the beginning, learning motivation maintenance in the development, and learning motivation improvement in the closing, are provided.

      • KCI등재후보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승윤희 ( Yunhee Seung ),정진원 ( Jin-won Ch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일반적인 특징, 기준 및 조건 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중등 음악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와 ‘좋은 음악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질적으로 탐구하여 학교 음악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와 요인을 중심으로 집단 심층면담(FGI)과 개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NVivo 9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좋은 음악 수업’이란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집중할 수 있는 수업이며 학생의 음악적 성장에 기여하고 음악 활동의 가치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요인 분석에서는 내용 분석을 통해 24개의 세부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 세부요인들을 FGI 내용 전개의 맥락과 내용의 관련성을 반영하여 ‘교사 요인’, ‘학생 요인’, ‘수업 요인’의 세 가지 축 요인으로 재분류하고 축 요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해석하였다. 세 가지의 축 요인 중 ‘교사 요인’은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실제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수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판단과 선택,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요인이며, ‘학생 요인’은 음악 수업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수행하는 수업과 관련된 선택과 결정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좋은 음악 수업’ 원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상으로서의 ‘좋은 음악 수업’은 음악적 의미를 공유하기 위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를 실천적 관점에서 확장하여 ‘음악적 성장을 위해 학생과 교사가 함께 만족할 수 있는 합의점을 찾아가는 음악활동 가치 생성의 과정’으로 제안하였다. Being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music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meaning of ‘good music instruc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good music instruction’, which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based on understanding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Focused Group Interview(FGI) and individual questionnaires based on the meaning and factors of ‘good music instruc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Vivo 9. Teachers understood 'good music instruction' as classes where students could concentrate and classes that could contribute to students’ musical development and internalize the value of music activity. In terms of factor analysis, 24 detailed-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after reflecting the content development of the context and relevance of the FGI, these sub-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primary factors of ‘teacher factor’, ‘student factor’ and ‘instruction factor’,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main factors were interpreted. Among the three main factors, the role of the ‘teacher factor’ was to be the mediator in most class-related judgments, choices, and decisions affecting the clas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carrying out an actual class, afte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a student. The role of the ‘student-factor’ is considered the main cause of good music instruction in that it is the basis of the selections and decisions related to the classes that instructors perform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of music classes. Therefore, ‘good music instruction’ as a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a teacher-student interaction to share musical meaning.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original meaning of ‘good music instruction’ in a practical perspective, by suggesting the term as ‘a process of creating value for music activity in which the student and teacher find a bilaterally satisfying agreement for musical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통합학급의 음악 수업 연구

        승윤희 ( Yun Hee Se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3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수업하는 통합교육에서는 학급에 속한 모든 학생들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특수한 교육적 요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개개인의 학습권을 존중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음악교과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수월하다고 인식되고 있지만 음악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통합교육을 위한 학문적, 실천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통합교육의 실천을 위해서는 일반학생들을 중심으로 설계된 교육과정이나 학습활동을 장애학생에게 적합하게 수정 또는 조절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의 질 향상에 노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합학급에서의 음악 수업은 일반학생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에게도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음악 수업의 내용 및 활동을 장애학생에게 적합하게 조정하는 연구가 다각도에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에서의 교수적합화에 대한 이해와 통합교육 현장에 필요한 교실친화적인 교사의 개념 및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본 연구에 참여한 현장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와 음악 수업의 교수적합화 예시를 통해 통합학급 음악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교사들이 작성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 수업의 교수적합화 예시들은 교수환경, 교수방법, 교수내용, 교수집단, 평가방법의 다섯가지 항목에 따라 분석되었고, 이러한 예시들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해 일반교사가 실행할 수있는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In inclusive education, where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ake class together, every student``s individuality and diversity should be recognized, support on special educational demand should be reinforced, and each individual``s right for learning should be respected. Generally it is perceived that music class is relatively easy when it comes to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is yet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music. To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curriculum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for general students must undergo adequate modification or accommod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make an effort to adv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se students. Thus, music class within inclusive education must be able to provide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 to both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earch that properly adjusts the content and activity of music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ust be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adaptation(or curricular adaptation) in inclusive education a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that are needed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as a means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lso,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of music class in inclusive classrooms through the examples of modified lesson planning in the perspective of music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examples of third & fourth grades music class instructional adaptation filled out by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five items: teaching environment, teaching method, teaching content, teaching group and evaluation method. Through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sought research methods for curriculum integration in inclusive music classes that general teachers could put into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