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양식 검사에 따른 초․중등교사의 뇌 선호와 음악 교수스타일 비교 연구

        승윤희(Yunhee Seung)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19 Brain, Digital, & Learning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eaching style depending on brain preferenc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wenty-eight teachers at A University Graduate School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ere L. Crane’s ‘Alert Scale of Cognitive Style’ was used and the assignment of writing out music lesson plans were given to teachers. There were two noticeabl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it seems that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howed various brain preference aspects from the strong left brain to the strong right brain, middle school teachers’ results were focused on a symmetric aspect of the middle brain (de facto both sides of the brain). Second,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mirrored in the learning objectives, the main contents and activities, and the strategies for singing class reflected brain preference. Analyz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 groups respectively, similarities among music lesson plans depending on brain preference were discovered while middle school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the ability to express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mentary teacher group and the middle teach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such as teachers’ cognitive style as an individual reflecting brain preference and that this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 teaching style and learners.

      • KCI등재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통합 학급에서의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음악교육의 목표는 장애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 활동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며, ‘음악을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개인과 공동체 의식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있다. 또한 통합 학급의 음악 수업에서, 진정한 의미의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이란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공간적ㆍ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교육적 통합의 실천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모두 담을 수 있는 통합교육의 개념과 방향, 교수ㆍ학습 방법 등의 이론적 기반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념으로 최근에 대두되는 것이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이론적인 기반으로서 보편적 설계의 개념과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를 고찰하고,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에 따른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의 적용 방안 및 기본 틀을 제시함으로써, 통합학급의 음악 수업에 있어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일곱 가지 원리와 각 원리에 따른 지침들을 음악교과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음악 수업과 연계하여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음악 학습의 목표, 내용, 방법 및 매체, 평가,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의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music education is to provide various music activities for all students, regardless of a disability, and to let students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 to grow the ability to enjoy music in life ,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individual spirit . The tru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is not the spatial/physical integ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students. Rather, it is the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m. Therefore,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cover the educational needs of both special and general students is required. Recently,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has emerged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in inclusive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considered,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an academic basis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goals were achieved by presenting applications and a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for music learning that conform to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guidelines for each principle in the aspect of music discipline.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music learning connected to a music class is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a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for music learning that concentrates on the goals, the contents, the methods/media, evaluation, and the music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승윤희 ( Yunhee Seung ),정진원 ( Jin-won Ch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일반적인 특징, 기준 및 조건 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중등 음악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와 ‘좋은 음악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질적으로 탐구하여 학교 음악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와 요인을 중심으로 집단 심층면담(FGI)과 개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NVivo 9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좋은 음악 수업’이란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집중할 수 있는 수업이며 학생의 음악적 성장에 기여하고 음악 활동의 가치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요인 분석에서는 내용 분석을 통해 24개의 세부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 세부요인들을 FGI 내용 전개의 맥락과 내용의 관련성을 반영하여 ‘교사 요인’, ‘학생 요인’, ‘수업 요인’의 세 가지 축 요인으로 재분류하고 축 요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해석하였다. 세 가지의 축 요인 중 ‘교사 요인’은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실제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수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판단과 선택,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요인이며, ‘학생 요인’은 음악 수업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수행하는 수업과 관련된 선택과 결정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좋은 음악 수업’ 원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상으로서의 ‘좋은 음악 수업’은 음악적 의미를 공유하기 위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를 실천적 관점에서 확장하여 ‘음악적 성장을 위해 학생과 교사가 함께 만족할 수 있는 합의점을 찾아가는 음악활동 가치 생성의 과정’으로 제안하였다. Being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music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meaning of ‘good music instruc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good music instruction’, which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based on understanding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Focused Group Interview(FGI) and individual questionnaires based on the meaning and factors of ‘good music instruc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Vivo 9. Teachers understood 'good music instruction' as classes where students could concentrate and classes that could contribute to students’ musical development and internalize the value of music activity. In terms of factor analysis, 24 detailed-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after reflecting the content development of the context and relevance of the FGI, these sub-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primary factors of ‘teacher factor’, ‘student factor’ and ‘instruction factor’,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main factors were interpreted. Among the three main factors, the role of the ‘teacher factor’ was to be the mediator in most class-related judgments, choices, and decisions affecting the clas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carrying out an actual class, afte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a student. The role of the ‘student-factor’ is considered the main cause of good music instruction in that it is the basis of the selections and decisions related to the classes that instructors perform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of music classes. Therefore, ‘good music instruction’ as a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a teacher-student interaction to share musical meaning.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original meaning of ‘good music instruction’ in a practical perspective, by suggesting the term as ‘a process of creating value for music activity in which the student and teacher find a bilaterally satisfying agreement for musical development’.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통합 음악교육을 위한 최근의 국내연구 동향 분석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환경에서 음악수업을 연구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동안의 연구 주제 관련 학위논문 34편과 학술논문 1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에서는 중등교육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는데(64.7%), 중등 장애학생 대상, 일반/장애학생 대상 연구가 각각 10편씩(29.4%)으로 많았고, 학위는 대구교대, 이화여대, 한국교원대에서 많이 수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유형은 교육대학원(82.4%)이, 연구자 전공은 음악교육전공(52.9%)이 가장 많았고, 연구 주제 및 내용은 교수학습 지도 및 교육적 접근 방안(64.7%)이, 연구방법은 사례연구(26.5%)와 문헌연구(26.5%)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학술논문에서는 초등교육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는데(66.7%), 초등 일반/장애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33.3%), 「음악교육연구」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이 각각 3편씩(25.0%)으로 많았다. 연구자 전공은 대부분 음악교육전공(91.7%)으로 조사되었으며, 연구 주제 및 내용은 교수학습 지도 및 교육적 접근 방안(58.3%)이, 연구방법은 문헌연구(41.7%)의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장애학생 통합 음악교육의 국내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usic classes with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4 theses and 12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of the past decade have been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for graduate theses, there was a big proportion of research conducted on secondary education (64.7%), 10 researches (29.4%) were conducted each on the subjec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general/disabled students, and a decent number of students earned their degree from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graduate school types, most of the research was done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82.4%),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ers major was Music Education (52.9%), and Teaching Education Guidance and Educational Approach (64.7%) was a popular choice for the topic and content as were case study (26.5%) and literature review (26.5%) for research methods. Second, for academic papers, a lot of research was conducted on primary education (66.7%) as was on the subject of general/disabled students (33.3%) and the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and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each had 3 papers (25.0%) published in their journal. The majority of researchers major was Music Education (91.7%) and for topic and content, and research method, Teaching Education Guidance and Educational Approach (58.3%), literature review (41.7%) showed a high percentage respectively. Through a comparison with prio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meaningful data to identify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inclusive music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 KCI등재

        인문학 관점에서의 감상 수업 방안 탐색

        승윤희 ( Seung Yunhee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2015 음악과 교육과정은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로 진술하고 있다. 삶 속에서 즐기는 음악 활동은 다양하지만 특히 감상은 삶 속에서 음악을 즐기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삶’을 다루는 학문인 인문학 관점에서의 감상 수업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인문(학) 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성격을 고찰하고 2015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통해 알 수 있는 감상 영역의 지식 및 실행 수준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내용체계에 제시되어 있는 감상 영역 ‘기능’의 유형을 ‘연계하기’ ‘공감하기’ ‘소통하기’ ‘상상하기’ ‘인식하기’ ‘성찰하기’의 실행 수준으로 확장하여 제시하였다. 인문학 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은 단편적 지식을 가르치기보다는 음악 예술을 통한 인간다움의 의미를 탐색하고,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성찰하는 실천적 교육이다. 인문학 관점의 감상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음악을 개인의 삶과 연계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인간다움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인문학 관점에서의 음악 수업 연구는 감상 수업뿐만 아니라 모든 영역, 모든 활동에서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가 인문학 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실천이라는 주제를 확산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2015 music curriculum defines music as a subject that ‘can be enjoyed in daily life’. There are many ways in which music activities can be enjoyed in life, but appreciation is the best method to enjoy music in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of appreciation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 subject that deals with mankind’s ‘life’.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as a humanities education and describes the appreciation scope and level of implementation measurable through the 2015 music curriculum’s system of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study then displays the types of ‘skill’ presented in the system of content. Such skills were expanded to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n forms of ‘connecting’, empathizing’, communicating’, imagining’, and ‘reflecting’. Rather than being fragmentary knowledge, music education as a humanities education is a practical education that explores the meaning of personhood through the art of music, understands and sympathizes with the world that surrounds mankind, and reflects upon it. In appreciation class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students can expect the ability to connect music to individual lives and ultimately, reflect on personhood. Music class research from the humanities perspective requires study not only in appreciation classes, but in all areas and activities. This study can hopefully serve as the basis for spreading the subject of practicing music education as humane studies.

      • KCI등재

        학교 교육을 위한 예술기반(Arts-Based)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토대 연구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예술을 통한 교육’의 관점 및 그 역할은 전인적 인격의 형성 이나 바르고 아름다운 인간적 품성을 넘어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역량을 기르는 것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다. 학자들이 제시한 뇌기반 학습 (brain-based learning)의 원리들을 살펴보면 예술 활동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 하라는 내용이 발견된다. 뇌 과학 연구자들이 지지하는 예술기반 교육은 학교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 안에서 비예술 교과수업에 예술을 활용하는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던 교수· 학습 이론 및 방법이 뇌 과학과 예술 분야로 확장되고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이 예술기반 교육으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여 비예술 교과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 였다.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비예술 교과의 학업성 취를 높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잠재된 상상력과 창의성을 예술의 힘으로 이끌어내는 데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교육의 역할이 예술교육을 통해 실현되 기를 기대한다면, 양질의 예술교육과 예술기반 교육의 실천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s we enter the 21 st century, the perspective and role of ‘Education through Art’ is expanding beyond the formation or application of a holistic personality and beautiful human character to developing not only individual capacity,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capacity. Looking into the principles of brain-based learning presented by scholars, content suggesting arts activities to be actively used in education is discovered. Arts-based education, supported by brain science researchers,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utilize arts in non-art subjects within school education. For this, it was recogniz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psychology have been expanding into the fields of brain science and arts. Seek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required in the future to be arts-based education, five principles of the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re applicable to non-art fields of study are suggested. The ultimate purpose of studying the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not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of non-art subjects, but to bring out learners’ potenti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the power of arts. If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of education needed for future society be achieved through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btain arts-based specialty and arts education of high quality.

      • KCI등재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 재고(再考)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세기의 학교교육은 지식의 습득과 이성적 능력을 중시 여기는 주지주의 교육이 중심이 되었다. 학교음악교육은 예술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감성교육에 직접 적으로 관여한다. 그동안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는 저평가 되어 왔는데, 이는 이성을 중시하였던 20세기 동안 감성의 역할이 저평가 되어온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뇌 과학의 발달로 인간의 정신능력에서 감성의 역할이 재평가 되고 있듯이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역할 또한 재평가 되어야 한다. 음악교육을 통한 감성교육의 의미를 분명하게 정리하는 것은, 미래 학교음악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와 음악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고 음악활동의 교육적 활용 도를 높이는데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감성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의미를 재조명하기 위해 먼저 교과교육과 예술교육 차원에서 학교음악교육을 기술하고, 감성지능, 감성역량, 사회감성학습(SEL)을 고찰함으로써 음악교육을 통한 감성 교육의 의미를 ① 미(美)적 경험과 음악적 심성의 성장, ② 정서의 심리적 체험과 인성․사회성 계발, ③ 실천적 표현 능력과 사회변화의 주도 및 예술문화의 창출, ④ 감성지능의 계발과 감성역량의 향상이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For the past century, school education was focused on intellectualism, in whic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rational ability is considered crucial. School music education has played a key role in art education and has actively taken a part in emotional education. Until now,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had been undervalued, and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role of emotion being undervalue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when rationale was seen with more valu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the role of emotion is being reevaluated in the realm of human mental capacity and thus, the role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should be done likewise. Clarifying the meaning of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sic education is necessary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music activity and is also helpful to establishing a music education identity and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school music education.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as an emotional education, this study first described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subject and art education, considered emotional intelligence/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sic education from the four following perspectives: ① the improvement of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musical mind, ② the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emotion and of personality and sociality, ③ the practical capacity of expression and the lead of social change and the creation of art culture, ④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좋은 수업과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지난 10여 년 동안 ‘좋은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그동안 ‘좋은 수업’과 ‘좋은 음악 수업’ 연구는 주로 중등교육을 중심으로 수행되어왔기 때문에 이 연구는 초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과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으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 및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들의 인식을 이해하여 초등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인식조사 결과, 첫째, 좋은 수업은 ‘학생들이 흥미롭게 참여하는 수업’(30.6%), 좋은 음악 수업은 ‘즐거운 수업’(30.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둘째, 좋은 수업을 위한 요건은 ‘학생들의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 유도’(16.6%), 좋은 음악 수업을 위한 요건은 ‘교사의 음악적 능 력’(25.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셋째, 좋은 음악 수업의 특징은 ‘음악적 수준에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즐거운 수업’(3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넷째, 좋은 음악 수업을 준비하는데 있어 스스로의 강점을 ‘음악적 능 력’(33.3%)과 ‘학생들이 음악을 좋아하게 할 수 있음’(31.8%)이라고 응답한 예비교사들은 스스로의 약점을 묻는 문항에도 ‘음악적 능력이 부족함’(75.7%)이라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좋은 음악 수업을 준비하는데 개인적 차원에서의 필수적인 조건은 ‘음악교육적 능력의 향상’(53.6%),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지원적 차원에서의 필수적인 조건은 ‘실기시수 확대, 반주능력, 악기체험을 위한 지원’(19.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 연구와 현장 연구 병행의 필요성, 좋은 음악 수업에 관한 학교급별 후속 연구의 활성화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For the past ten years, interests in ‘good instruction’ have increased and discussions about the issue have also grown active. Since studies on ‘good instruction’ and ‘good instruction in music’ had been reported based on secondary education,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need of ‘good instruction’ and ‘good instruction in music’ within elementar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in ‘good instruction’ and ‘good instruction in music’ and to understand their awareness in order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e answers that received the highest percentage are as follows. 1) Good instruction is ‘lesson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with interest’(30.6%) and good instruction in music is ‘lessons that are exciting’(30.8%). 2) Factors that affect good instruction is ‘induc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16.6%) and factors that affect good instruction in music is ‘the musical ability of the teacher’(25.1%). 3)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good practice in music is ‘lessons that are enjoyable and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regardless of musical levels’(33.3%). 4) For their strength in preparation for good instruction, pre-teachers replied ‘musical ability’(33.3%) and ‘being able to make students enjoy music’(31.8%). Interestingly, in the section asking their weakness, they also replied ‘insufficient musical ability’(75.7%). 5) The individual essential requirement in preparation for a good music lesson was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ability’(53.6%). The essential requirement in the training institu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expanding practical skill opportunities, accompaniment capacity, support for instrument experience’(19.6%).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theoretical studies along with field studies are needed, and that activation of follow-up studies for good instruction in music are also needed.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Preference/Non-Preference Aspects of Subjects and Music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rain Preference

        승윤희(Yunhee Seung)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brain preference test (L. Crane’s Alert Scale of Cognitive Style) on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preference/non-preference aspects of subjects and music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brain preference. A total of 126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University A have been subjected to this study’s research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imple survey questionnaire after their brain preferenc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most participants were either left-brain dominant (46.7%) or bilateral (44.2%). Second, in general, the most preferred subject was ‘Math’ (15.4%), followed by ‘Music’ and ‘Science’ (13.2% each), and ‘Korean’ (11.2%). ‘P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least preferred subjects with 16.4%, followed by ‘Art’ (12.6%), then ‘Korean’ and ‘Ethics’ (10.7% each). However, there was a distinctive difference in terms of analyzing brain preference. Third, students tended to prefer an in-depth class of the subject they took part in. Fourth, in overall music teaching methods, ‘eurhythmics’ was highly preferred while ‘hand signs’ were the least preferred, but a difference was shown in the brain preference analysis. If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ight-brain dominant (Koh, 1989), learners’ learning style and the instructor’s cognitive style may not correspond in a music class should it be taught by a left-brained instructor. This study provides a learning point that more interest should be shed o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북한의 1학년 ‘음악’ 및 ‘음악무용’ 교과서 내용 비교를 통한 교과서의 변화 양상 연구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최근 들어,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수십 년 동안 변하지 않았던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은 많은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동안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과 음악교과서 관련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지만 대부분 2002년까지 발행된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다. 본 연구는 1학년을 중심으로 2002년과 2007년에 발행된 ‘음악’ 교과서와 교과목 명칭의 변경 후 2013년에 발행된 ‘음악무용’교과서의 내용을 분석․비교하여, 그간 북한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인민학교와 소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고, 김인선(2016)이 연구한 소학교 1학년‘음악무용’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세 종류의 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주요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2002년 이후 북한의 ‘음악’ 및 ‘음악무용’교과서는 첫째, 오선악보의 사용(2002)에서 숫자악보의 사용(2007)이라는 새로운 시도 이후 오선악보와 숫자악보를 함께 사용(2013)하고 있고, 둘째, 교과서의 악곡은 10여 년 동안 송가의 비중이 낮아지고 서정가요의 비중이 현저하게 높아졌으며, 셋째, 노래활동이 주를 이루기는 하였지만 기악과 감상을 일부 포함하던 음악활동은 2007년 교과서에서는 기악활동이, 2013년 교과서에서는 기악과 감상활동이 완전히 사라지고 대신 무용활동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에 있어 통일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북한 음악교육의 변화 양상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학교 음악교육과 관련된 미래지향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In recent days, school music education in North Korea is going through a great degree of transitional process. This change had not been possible in the past few decades due to the country’s strict social system. Despite continuous efforts of the past to study North Korea’s school music education and music textbooks, there seem not to be more studies other than those based on textbooks published until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al flow of North Korean music textboo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music’ textbooks published in 2002 and 2007 with ‘music dance’ textbooks published in 2013, focusing on the first grade. In order to achieve its objective, this study display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 of North Korean people’s schools and primary schools. Additionally, by examining the ‘music dance’ textbooks of primary school first graders this study analyzes the mains aspects of transition shown in the three types of North Korean textbooks. North Korean ‘music’ and ‘music dance’ textbooks published after 2002 show the following features: 1) the five line musical notes and numeral musical notes are used simultaneously (2013) after the attempt to use numeral musical notes (2007), a change from the original usage of five line musical notes (2002), 2) for the past decade, there is a remarkable decrease in praising songs and an increase in lyrical songs in textbooks musical pieces, and 3) song-oriented activities experienced change as instrumental activities disappeared in 2007 and both instrumental and appreciation activities disappeared in 2013, leading to a greater proportion of dance activities instead. In terms of music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age of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cognition and realization regarding the aspects of transition in North Korea’s music education, and the need for future-oriented study based on school music education is being brought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