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교육에 관한 연구

        송효진,김성희,최선영,Song, Hyo-Jin,Kim, Sung-Hee,Choi, Sun-You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youth with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to help domestic science teachers in schools implement effective dietary education by examining their awareness of food additives. In the source of acquiring knowledges on food additives, the results were through mass media,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in order. The majority of students thought that they don't need the education about food additives.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y first selected the use of visual media, followed by experimental cooking classes, field trip, and inquiry lessons using processed fo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 on food additive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factors, more number of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depicted the need for education on food additives. Further, the lower the cost students spend on purchasing processed foods per day, the higher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hey indicate. The necessity of education content on food addit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ost of buying processed foods, and the degree of interest and help real-life according to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n food additives, which was implement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good eating habits among the general youth.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presentation of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r this reas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nd study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food additiv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urposes.

      • KCI우수등재

        가사소송법 개정안에 대한 고찰 - 이행의 확보 및 관할에 있어서 미성년 자녀의 복리 보호를 중심으로 -

        송효진 ( Hyo Jean So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가사소송법 전부개정법률안(이하 `개정안`)이 2017. 3. 22. 입법예고(법무부공고 제2017-73호) 되었다. 개정안은 “인격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 및 미성년 자녀의 복리 보호”를 기본 이념(개정안 제1조)으로 하여 미성년 자녀의 복리보호를 위한 제도를 대폭 보완·개선하였다. 관련하여 개정안에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이행의 확보에 있어서 미성년 자녀의 복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의 개선을 도모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관할에 있어서도 미성년 자녀에 대한 양육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를 개정안에 담고 있다. 개정안은 이행의 확보와 관련하여, 사전처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전처분에 집행력을 부여하고 즉시항고의 집행정지 효력을 배제하였다(개정안 제138조). 또한 개정안에서는 미성년 자녀 인도청구의 집행에 관한 별도의 규정을 신설하였다(개정안 제143조). 그리고 양육비 등 불이행에 대한 감치 요건을 정당한 이유 없이 `3기(期) 이상 의무 불이행` 에서 `30일 이내 의무 불이행`하면 감치가 가능하도록 완화하여 제재의 실효성을 제고하였다(개정안 제149조). 미성년 자녀의 복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건의 관할에 미성년자녀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의 가정법원을 추가하여 양육자의 재판출석으로 인한 미성년 자녀의 양육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개정안 제37조, 개정안 제140조 등). 미성년 자녀의 생계와 복리에 직접적으로 관련 되는 양육비 등의 이행확보를 위한 수단들을 강화한 가사소송법 개정안은 양육비불이행으로 고통 받는 미성년 자녀와 한부모가족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가사소송법 개정안의 조속한 통과를 기대한다. The Amendment Bill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hereinafter, `the Amendment Bill` or `the Bill`) was pre-announced on March 22, 2017, before its legislation (Justice Ministry Notice No. 2017-73). Based on the basic concepts of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Gender Equality and Protection of the Interests of Minor Children” (Article 1 of the Amendment Bill), the Bill comprehensively revised and improved the system for protecting the interests of minor children. What should be specially noted is that the Bill aims to reform the system to safeguard the interests of minor children by ensuring performance. Moreover, even in terms of jurisdiction, it includes specific provisions designed to prevent vacuums in taking care of minor children. In the context of ensuring performance, the Bill makes advance decisions executable to raise the effectiveness thereof and prevents immediate appeals from having the effect of suspending the execution (Article 138 of the Amendment Bill). It has also a new separate provision regarding the execution of requests for the delivery of minor children (Article 143 of the Amendment Bill). The detention requirement for those who fail to pay childcare costs (, etc.) was also lessened to make it possible to detain them in case they do not fulfill duties within 30 days, rather than three or more times, without valid reasons (Article 149 of the Amendment Bill). The main purpose thereof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unishment. The Bill also aims to avoid vacuums in rearing minor children attributed to a foster parents` attendance at trial by adding a family court with general jurisdiction for minor children to the list of competent courts for case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ests of minor children (Articles 37, 140, and so forth of the Amendment Bill). In particular, it has stricter rules for ensuring the payment of childcare cost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livelihood and interests of minor children, which are deemed to be of great help to the children and single-parent families suffering from non-compliance with duties to pay child rearing expenses. We look forward to seeing the Amendment Bill be passed as quickly as possible.

      • KCI등재

        가족다양성 보장을 위한 법제 대응에 있어 쟁점 고찰 - 다양한 파트너십과 공동체 관계의 제도화 이슈를 중심으로 -

        송효진(Hyo-Jean Song)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1 이화젠더법학 Vol.13 No.3

        혼인율의 감소, 1인 가구의 증가, 가족 가치의 변화에 따라 법률혼과 혈연 중심의 가족 개념을 토대로 한 현행 제도의 대응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선행 연구와 정책 및 입법 동향을 살펴보면 가족다양성에 대한 제도적 대응과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무르익었으나, 이제는 제도화의 구체적인 방향 및 쟁점에 대해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간 정책 및 입법 동향은 법률혼이 아닌 비혼의 파트너십 관계 제도화 논의에서부터 최근에는 다양한 공동체에 대한 제도적 대응 논의까지 매우 다양하고 확장적으로 또 동시에 전개되고 있다. 특히 비혼 동거 파트너십 권리보장 관련 입법 논의에서 시작되어 이제는 동시에 다양한 공동체의 포용으로까지 논의가 확장되면서, 입법론에 있어 이러한 확장적 논의를 하나의 제도안에 담아갈 것인지, 또 어떠한 프레임으로 제도의 방향을 잡아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담론부터 입법론까지 다양한 논의들을 제도화에 포섭하는 문제는 간단하지는 않다. 이는 외국에서의 입법 과정 및 사회적 논의와 국내 논의의 시작이 법률혼 대상의 확장성 및 비법률혼 파트너 관계의 제도화 이슈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입법 논의가 국내에서는 여전히 미완으로 진행 중인 상황에서, 다양한 공동체 관계까지 확장된 논의가 연장선상에서 함께 이루어지면서 세세한 입법상의 쟁점 논의를 더 모호하고 어렵게 하고 있지는 않은지 갈라서 살펴볼 필요도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파트너십과 공동체 관계의 제도화 이슈를 중심으로 쟁점을 검토하고 입법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With the rate of marriage decreasing,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ing, and the value of family changing,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modifying the existing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legal marriage and blood-oriented family system, are on the rise. Investigation into previous studies as well as policy and legislation trends uncovers those who are involved in this area well discussed the need of the institutional response and change of family diversity. It is believed that now is the time to talk in earnest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issues that have to be reviewed. Until now, policy and legislative trends have unfolded in very diverse and expansive manners, from the discussion of institutionalization of non-marital, non-legal partnership to more recently the talk ab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iverse types of commun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given that discussions that have been initiated on legislative talks in relation to the guarantee of non-marriage partnership expanded to those about the inclusion of various communities, it is time to think concretely about whether to put those growing discussions into one system and what frame to establish for proper future direction at the time of legislation. Yet, the problem of embracing various discussions from discourse to legislative theory into institutionalization is not simple. The legislative processes and social discussion in foreign countries and the starting point of domestic talks have centered on the expandability of marriage-oriented partnership and legally married people and the issues of institutionalizing non-marriage partnership. Considering that those legislative talks are still in progres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n detail whether those conclusive talks about diverse communal relationship make hot-button issues more vague and difficult in the legislative discussion because of their alignment with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reviews the issues of institutionalization of various partnerships and communal relations and seeks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에 관한 연구

        송효진(Hyo Jean Song),김소영(Soyoung Kim),이인선(Inseon Lee),한지영(Jee Yong Ha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refugee act in 2013, the number of women refugees has fundamentally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refugees in korea showed a growth in its amount. Among the population of refugees, only males make their voices, not females. By doing so, refugee women could not reveal how vulnerable they are in Korea. It makes them unable to receive timely protec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e policy for refugee women is absent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which makes the case worse. In spite of this current unfavorable conditions, there are few academic researches and the policy for refugee women. Those insufficient understandings for refugee women are a possible crucial point for future research, suggesting requirement on urgent need of basic data for further policy-making and system improvemen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refugee women staying in Korea to grasp the status of their human rights and reflect their voices and desire, finally analyzing refugee-related law in terms of gender perspective.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and legal improvement methods in order to develop better treatment for refugee women in Korea. In such context, it is indispensable to add some regulations for refugee women when they are on a process for their legal status to be determined under the current refugee law. In details, including ‘gender guidelines’ into the Refugee Law is needed, considering varied situations refugee women have. It is because there is the first priority for some groups such as pregnant women or people accompanying children who must be provided with proper space and nutrition. To simply put, there are no considerations toward those underprivileged women. Therefore, this study argues allocating the same sex officials in charge of screening refugee women at an migration office, guaranteeing gender-sensitive education toward officials at an migration office. When it comes to victims of violence such as sexual or domestic violence, providing further physical or psychological treatments are needed as well. Ultimately, this paper strongly argues importing further gender consideration into refugee Law, especially toward refugee women.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 최근 국제적으로 난민 문제가 가장 큰 현안으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국내 난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난민은 성인 남성이 주가 되어, 난민여성의 실태와 취약성은 드러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의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고, 성인지적 관점에서 난민여성에 대한 정책도 부재한 실정이다. □ 난민여성이 여성이기 때문에 노출될 수 있는 박해(정치적 박해로 인한 성폭력, 여성할례, 성매매)에 대한 이해가 국내에서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실태파악조차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난민여성은 난민신청과정에서부터 정착에 이르기까지 임신, 영유아 자녀 동반 등 특수한 상황에 처한 경우가 많으나,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난민법? 시행 이후 적절한 절차적 보호와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파악도 필요하다. □ 그러나 난민법 시행 전후로 수행된 선행연구 및 난민에 대한 실태조사에 있어 난민여성의 실태 및 현황이 드러나지 아니하여, 정책 제언 및 법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와 자료의 생산이 시급한 상황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및 난민지원 NGO 전문가들의 협조를 받아 한국 체류 난민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내 난민여성들의 인권 상황 및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상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에 체류 중인 난민여성(난민신청자, 인도적 체류자, 난민인정자) 21명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및 그 결과를 분석하여 난민여성의 인권 상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현행 난민법제를 성인지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난민여성의 인권을 젠더박해와 난민인정, 입국과정과 난민신청절차에서의 여성 인권 보호, 생활정착과정에서의 여성 인권이라는 세 차원에서 파악하고 이들 영역을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 연구의 범위에 포함하였다. Ⅱ. 한국 체류 난민여성의 인권실태 1. 심층면접 조사 개요 □ 한국에 체류 중인 난민여성의 인권상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난민여성의 경험을 들어보고자 한국 체류 난민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대상은 민간 난민 지원 단체와 관련 전문가를 통해 의뢰하였으며, 면접대상자는 난민지위(난민신청자, 인도적 체류자, 난민인정자), 출신국(아프리카권, 아랍권, 아시아권 등), 결혼여부, 자녀유무 등을 고려하여 섭외하였다. 최종면접에 참여한 난민 여성은 총 21명으로, 면접은 1회에서 필요에 따라 2회 진행되었으며, 일대일 면접 또는 소집단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면접은 2015년 12월 중순부터 2016년 2월 초까지 진행되었으며, 난민으로 본국을 떠나오게 된 사유, 난민입국과정 및 신청절차에서의 경험, 한국 입국 후 난민으로서 살아가는 경험 등의 사항으로 내용을 구성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상속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

        송효진(Hyo Jean, Song) 한국가족법학회 2010 가족법연구 Vol.24 No.3

        The issue of protecting minor heirs in inheritance is an important part of child protection because the result of such legal actions may change their lives forev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root-cause analysis as well as thoroughly-prepared legal system are necessary to prevent young victims of insufficient legal protection in inheritance. The civil law of Republic of Korea protects the minors through persons with parental authority or guardianship based on the legal guardian system. However, regulations on acting against the interest of the minor and on abuse of rights created to limit legal parental authority cannot provide sufficient control. A more proactive measure to protect the minors in parental custody must take place. Meanwhile although an amendment was adopted for the guardianship system, it is still insufficient to protect the minors as the amendment focuses on implementing guardianship for the legal aged. All in all, control over parental custody or guardianship, such as custody control by the Family Court or instituting supervision over guardians, must be strengthened for minor protection. This, however, cannot be the fundamental solution. Too much supervision or control over custodians or guardians may cause inconveniences or burden in acting out their duties, and no matter how much the Family Court strengthens its function, there still will be limitations in getting involved in actual situations. Likewise, legal supervision over the person with parental authority is weak and is unable to suffice as a preventive measure for minor protection. Given such a situation, remedy can only remain secondary in terms of priority and the legal capacity to consider the hardship and suffering of the minor until he/she is remedied is obsolete. Even if remedy may be possible later on, unlike other legal actions, the problems related to inheritance cause irrepairable damages to minors’ lives in terms of impact on their childhood and ensuing consequences in life. Especially, under the inheritance system of Korea which is based on simple acceptance system, the danger a minor may fall into in case he/she cannot be protected by the legal guardian system is significant. Therefore, as a fundamental measure, an exception provision for minors should be legislated in the simple acceptance system since the system may yield results too harsh for minors to bear. It is recommended that after expiration of the decision-making time period, the law should favor limited acceptance for the minor heirs. And improvement should be made so that a supervisory organization oversees the acceptance or refusal of succession to assure no disadvantage is caused to the minor by the custodian or the guardian and that such an acceptance or refusal of succession is made in a clear statement.

      • KCI등재

        ICT ODA에 따른 개도국 정보 확산의 반부패 효과 : 유형별 부패를 중심으로

        송효진(Song HyoJin),강혜정(Kang HyeJung) 한국부패학회 2015 한국부패학회보 Vol.20 No.3

        UN은 2000년 ‘새천년 개발목표(The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발표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보급과 확산의 중요성을 강조 하였던 것이 계기가 되면서 정보통신기술의 이전을 위한 ODA가 확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 라, 수원국의 열악한 거버넌스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반부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보화에 따른 부패감소효과에도 낙관적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화에 따른 반부패효과가 선진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개도국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되는지, 또한 다양 한 원인과 형태로 발현되는 부패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객관적 근거는 충분하 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OECD DAC회원국으로부터 정보화 원조를 수원하는 개도국을 대상으로 이들 국가에서 정보화 확산이 정치, 행정, 사법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부패에 대한 차단 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그 결과, 정보화 확산이 유의한 반부패효과를 가지기는 하나 국가의 상이한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세 가지 유형의 부패 가운데 행정부패에 대한 반부패 효과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UN published the Millenium Development Goals(MDGs) in 2000. In order to achieve the MDGs effectively, the importance of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ICT have emphasized and ODA for ICT transfer has expanded. In addition, the strengthening of interest in anti-corruption strategy as part of good governance which improve the inadequate governance of recipient countries has increased the optimistic expectations about the reduction of corruption in accordance with ICT transfer.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for objective evidence about whether the corruption reduction of ICT in developing countries are similar to the developed countries and whether the anti-corruption of ICT is verified by the types of corruption. The study on corruption reduction of ICT through ODA in developing countries can be seen as the evaluation of ODA effectivenes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nalyzed the ICT effectiveness on Political, Administration and Judicial corrup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receive the ICT ODA support from OECD DAC member nations. As result, it is found that the diffusion of ICT has a strong effect to reduce the administration corruption than other types of corruption.

      • KCI등재

        SNS 정보서비스의 질, 정치 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 촉진

        송효진(Hyojin Song),고경민(Kyungmin Ko)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1

        이글의 목적은 그동안 선거나 투표에 한정되었던 SNS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을 민원과 정책 영역으로 확장하여, SNS를 통해 생산 ? 유통되는 정치 및 정책 정보의 질과 SNS를 통한 정치 참여 경험자들의 정치 효능감이 SNS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SNS를 통해 생산 ? 유통되는 정치 및 정책정보서비스의 질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는‘적시성’과‘접근용이성’에 대해서‘보통 수준’이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신용가치성’,‘정확성’,‘보안성’에 대한 만족도는‘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SNS를 통한 정치참여 경험으로 지각하게 되는 정치 효능감은‘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NS를 통해 생산되고 유통되는 정치 및 정책정보서비스의 질과 정치효능감은 정치참여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아직까지 SNS 정보서비스의 질과 정치효능감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개선될 경우 SNS 정치참여도 더 활성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 SNS를 통한 일반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믿을 수 있는 정확하고 안전한 정치 및 정책정보서비스가 쉬운 방법으로 적시에 제공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한 시민들의 의견 개진이나 민원 제기 등에 정부 및 정치인, 정당 등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firm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related to politics and policies,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data targeted on people who have used the SNS in order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policies such as vote, election, civil applications, and government services, etc. As the result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NS users with ‘timeliness’ and ‘accessibility’ has been shown highly, while the level with ‘trust on the information sources’, ‘accuracy,’ and ‘security’ has been shown up below standard level. And, the level of political efficacy has been also shown up below standard level. However, this article has found out that the ‘quality of SNS’ and ‘political effica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via SN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order to accelerate people to participate more highly in politics through S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essible, faithful, accurate and safe information related to politics and policies. It is also important that public servants, politicians and polities should have more active and receptive interests and attitude to the civil.

      • KCI등재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홍보실태와 효과성: 정부-시민 간 관계성 증진을 중심으로

        송효진 ( Hyojin So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지방자치제도의 시행 이후 도시브랜드가 인구 유입이나 재정력 확보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면서 지자체마다 홍보의 중요성이 높아 졌다. 지자체의 홍보는 그들의 활동이나 정책을 알려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 것은 물론 갈등을 초래하거나 쟁점이 될 수 있는 이슈들을 관리하는 효과를 가진다. 최근에는 소셜미디어를 새로운 홍보 기제로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기반 홍보가 시민들의 정책이해를 높이고, 정부와의 우호적 관계 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6개의 광역 및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홍보실태를 분석하고, 시민설문조사를 통해 홍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기반 홍보에 대해 시민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고, 지자체와의 소통, 그리고 정책참여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자체의 홍보가 정책에 대한 인지나 이해, 지지나 참여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와 시민 간 관계성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has increased for each local government as city brands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population inflow and securing financial power. Recently, social media has been actively used as a new public relations t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media-based public relations of local governments improve citizens’ understanding of policies and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riendly relations with the government. As a result, citizens were positive in public relations activities using local governments’ social media,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also high. However,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social media was not intended to inform policies and induce participation, but rather to establish a light intimacy with citizens or simply to “expose” the institution. Lastly, citizen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evaluated that public relations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social media positively contributed to awareness, understanding,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policies, and these showed the possibility of positively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tizens.

      • 재혼가족 부부의재산상 평등권 제고 방안

        송효진(Hyo Jean Song),김은지(EunJi Kim),배인구(InGu Bae),김연재(Yeon-Jae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he values concerning marriage and family are changing in Korean society. These changes that are interlocked with such social phenomena as aging population, increased life expectancy, and increase in remarriage after bereavement and divorce are resulting in the increasing number of stepfamilies. Of those who choose to remarry, not a few enter into de facto marriages, evading the report of marriage for fear of causing such family problems as the conflict with children over property issues. However, the current legislation concerning the property of a couple and inheritance is not properly responding to such changes. This is demonstrated not only in family conflicts but also as gender inequality against women who are relatively in vulnerable situations in family dynamics in terms of property issues, which are also caused by conditions in the legislative system left unadjusted and uncoordinated.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reviewed and analyzed leg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property of couples of step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Furthermore, in response to changing family values and an a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suggest measures for legislative rearrangement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gender equality between couples of stepfamilies. To identify legal issues and problems in the property of couples of stepfamilies, review and analysis of the cases applied for legal counseling concerning the property of stepfamilies to the Korea Legal Aid Center for Family in 2015 and 2016 were made in cooperation with the Center. With a view to grasp the trends in remarriage, the issues and tendencies concerning the property of remarried couples, and legal problems thereof, a conference was held inviting the staff members of matchmaking companies who specialize in remarriages, and relevant professionals in academic and legal circles. The results of viewing the issues concerning the property of couples through the prism of remarried couple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Irrationalities in the existing matrimonial property system became more distinctively apparent. Private autonomy was guaranteed only as a formality. When the operating mechanism based mainly on ‘legal’ system was applied to the phenomena of diverse changes in family, some areas were found where it caused inconveniences to diverse types of families, including stepfamilies. Besides, for spouses who are vulnerable, particularly from a gender perspective, with relatively weaker pensionable rights, which are representative component of safety net, the problem is complexly linked to current conditions, where the provision of livelihood entailing the changes in family status, including conjugal relations, relies not on the public system but excessively on private relations, including property division, etc. To find solutions for such problems,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sought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the system concerning matrimonial property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gender equality between a coupl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ear legislative guidelines on matrimonial property relations that reflect the changes in family and society such as the increase in divorce and remarriage. Second, as a suggestion for coping with such diverse changes as increase in remarriage, the direction should be set in which a practical level of private autonomy in matrimonial property relations is guaranteed while setting the limits in unfairness found from a gender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Last, through strengthening of individual pensionable rights that are not affected by changes in marital relations, the vulnerability resulting from the gender-dependent design should be overcome, particularly by the public support system, and thereby a relevant social safety net be reinforced. In line with such direction, improvement measur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xtent of peculiar property, includi Ⅰ. 연구개요 1. 연구 목적 □ 한국 사회는 혼인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인구 고령화 및 수명 증가에 따른 사별·이혼 후 재혼이 늘어나면서 재혼가족이 증가하고 있음. ○ 재혼가족에 있어서 부부의 재산을 둘러싼 문제와 갈등은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지만, 현행 부부재산 및 상속 관련 법제도는 이러한 변화하는 사회 현상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 사실혼 관계인 경우 부부간 돌봄과 부양의 의무를 부담하면서도 배우자 사망의 경우 법적으로 사실혼 배우자는 재산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아, 의무는 있으나 권리는 없는 양태가 나타남. 특히 황혼재혼에 있어 잔존한 고령의 사실혼 배우자(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생계와 주거 등 경제적으로 취약한 상황에 놓일 우려가 높음. ○ 법률혼 부부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속을 둘러싸고 공동상속인인 재혼배우자와 전혼자녀 간의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더욱 어려운 고민과 과제를 던져주고 있음. □ 이에 본 연구는 성평등한 가족 관점에서 재혼가족에 있어 부부의 재산을 둘러싼 법적 이슈와 문제들을 검토·분석하고, 변화하는 가족가치 및 고령사회에 대응하여 재혼가족에 있어서 부부의 재산상 평등을 제고할 수 있는 법제 정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함. 2. 연구방법 □ 문헌연구 ○ 재혼가족 부부의 현황과 재산상 이슈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과 선행 연구, 관련 기사, 통계자료 등 문헌·자료를 조사·검토하고 관련 판례 및 법제를 분석하였음. □ 법률상담사례 분석 ○ 재혼가족 부부의 재산과 관련하여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고충 및 법적 이슈와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국가정법률상담소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접수된 상담사례 중 재혼가족이 부부 재산문제로 상담해온 경우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총 86건을 조사·분석하였음. □ 전문가 집담회 ○ 재혼 트렌드와 재혼부부의 재산 관련 이슈 및 법적 문제를 파악하고자결혼(재혼)정보회사의 재혼 전문가, 학계와 법조 실무 전문가 등과 함께 전문가 집담회를 총 3회 개최하여 현장에서 접한 재혼 희망자들의 고민과 재산상 이슈, 법적 문제 및 개선방향 등에 관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었음. □ 전문가 자문 ○ 연구과정에서 재혼가족 부부의 재산 관련 국내외 법제도 및 관련 문제 그리고 개선 방향에 대하여 서면 자문 및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에 반영하였음. Ⅱ. 재혼가족 부부재산 이슈 1. 재혼가족 재산 관련 법률상담사례 분석 □ 법률상담사례 조사 개요 ○ 재혼가족 부부의 재산과 관련하여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고충 및 법적 이슈와 문제를 파악하고자 한국가정법률상담소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접수된 상담사례 중 재혼가족이 부부 재산문제로 비교적 자세하게 상담해온 질적 분석이 가능한 사례만을 별도로 추출하여 총 86건을 조사·분석하였음. ○ 총 86건의 사례 중 내담자가 재혼부부 당사자인 사례가 51건, 재혼 부부의 자녀(전혼자녀 및 재혼자녀)인 사례는 33건, 재혼부부의 부모가 내담자인 사례는 2건이었음. ○ 분석 대상 사례 중 내담자가 재혼부부 당사자인 사례 51건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가 15건(29.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4건(27.5%), 70대 10건(19.6%)로 50대 이상이 많은 분포를 보였음. 80대도 3건이며, 내담자가 재혼 당사자의 자녀인 경우가 33건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고령층의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 분석대상 상담사례 86건 중 상담 사유를 유형별로 보면, ‘재혼 배우자 간 재산 문제’가 20건, ‘재혼부부와 자녀(계부모·친부모와 전혼자녀·재혼자녀)를 둘러싼 재산문제’에 관한 상담이 62건, ‘기타 관계 간 재산문제’는 4건이었음. ○ 전체 분석대상 상담사례 86건 중 재혼부부가 법률혼 관계인 경우는 63건, 사실혼 관계인 경우는 23건으로 나타남.

      • KCI등재

        신흥공여국 태국의 개발 경험과 삼각협력 가능성의 검토

        송효진(Hyojin Song)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2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인해 DAC회원국들이 약속했던 원조 증대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원조 재원의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면서 신흥공여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물론 신흥공여국에 대한 관심과 이들과의 협력에 대한 논의가 비단 부족한 원조 재원 확보차원에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원조 전문가들은 신흥공여국들이 과거 심각한 빈곤에서 어느 정도의 경제적 성장을 거두기까지의 개발 경험에 주목하고 있다. 개도국에게 상이한 사회문화 및 지역환경적 조건을 가진 서구 선진공여국의 발전 방식을 따르게 하는 것보다 유사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신흥공여국의 성공 사례 이전이 ‘공여국에서 수원국중심으로’ 원조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며, 수직 구도의 기존 남북 협력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아시아의 떠오르는 신흥경제국이자 공여국인 태국을 중심으로 그들의 개발 경험과 함께 이들이 이웃 국가인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베트남 등(CLMV)을 비롯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이행하는 원조의 내용과 특성, 한국과 태국 간 삼각협력의 가능성과 고려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Aid increase promise by DAC member countries has not been properly implemented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addition to this, as the issue of securing aid financial source has become important, the interest of ‘emerging donors’ increased. Interest of emerging donors and discussion for cooperation with these countries are not concerned only at the level of ensuring scarce aid financial source, of course. Aid experts are more focused on how the emerging donors achieved certain level of economic growth from the past severe poverty. Rather than allowing developing and/or underdeveloped countries to follow development method of western donors, which have different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development method, transferring the emerging donors’ success stories of the same socio-background can trigger aid paradigm shift, from the donor-oriented aid to the recipient-oriented one. Also, such transfer insists supplementation of limit on the existing north-south’s vertical cooperation. This study has considered development experience of Thailand, a rising emerging economies and donors of Asia, along with the aid policies targeted to CLMV (Cambodia-Laos-Myanmar-Vietnam) countries and the possibility of triangular cooperation wi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