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Authenticity)개념

        송화숙 대중서사학회 2009 대중서사연구 Vol.- No.21

        대중음악이 여타의 다른 음악카테고리들과 경계를 설정하고 스스로를 하나의 독립적인 장 (sphere)으로써 구성하기 시작하면서 주도적으로 떠오른 문제는, 대중음악에 관한 가치평가에 관한 것이었다.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다층적이면서도 분산적으로 작동되는 대중음악에 대해, 어떤 통일적인 미적판단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아직도 대중음악연구에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져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적 시각에 의거해 양적/질적으로 대중음악을 정의하거나 판단하는 기존의 방식들에 대한 비판적 검증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 이 글에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질 내용은 대중음악 내에서의 ‘진정성 개념’이다. 진정성 개념은 이론적, 일상적 범주에서 흔히 대중음악에 관한 일종의 질적/미적 가치 판단 기준으로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자세히 고찰했을 때,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 개념은 예술음악이나 민속음악에서처럼 “진정하고 정통한 ’근원‘ ’원전‘ ’작가‘ ’연주가‘”를 보증하는 방식과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에 대한 역사적 형성 방식을 관찰함으로써, 이 글은 결론적으로, 대중음악 내에서 진정성개념이란, “주도적인 매체화의 방식이 다른 것으로 전이될 때 등장하는 일종의 상징적 가치에 관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고, 이 개념 역시 복합적인 역사적 과정을 통해 구성된 형성체이며, 이 개념의 상징적 가치들을 둘러싼 대립을 통해 실제로 작용되고 있는 것은, ‘진정성의 유무에 관한 차이’가 아니라 ‘대중음악의 매체화와 이를 통한 감각방식의 차이’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광인들의 배” : 대중음악의 생산과 전유에 대한 사운드-퍼포먼스적 접근

        송화숙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이화음악논집 Vol.19 No.1

        As Foucault pointed out, in any society and culture the norms have existed, which distinguish between normal and abnormal, but the ways of handling were different historically. Based on his theoretical deliber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sound-performance’ in popular music. The aspect of sound-performance has been the subject of a kind of exclusion and isolation in the age of reason, that is time and space of Modernity. Especially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restrictions and controls of sound-performance of music have engaged with process of otherizing, that imposed on whole domain of the popular. Popular domain, which has been regarded as madness or abnormal, had appropriated the aspect of sound-performance to expose its identity in opposition to art music, which managed popular music and its sound-performance as the Other to ensure its legitimacy. Given the increasingly blurred (or still suspended) boundaries between art and popular music, performance may need to be redefine as actual act itself and sensual experience process rather than as fixed ‘text’. For that reason this study argues that popular music experience need to be approached as performance instead of musical text, and sound instead of musical tone.

      • KCI등재

        근대적 사운드스케이프의 형성: 1920년대와 30년대 음악문화의 변이와 (재)구성에 관한 연구

        송화숙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4 音樂論壇 Vol.31 No.-

        1920년대와 30년대는, 19세기 말 이후로 가속화 되어오던 ‘음악적 근대성’의 지표들이 극적으로 가시화 되어가는 시기이다. 신식 음악교육 제도와 음악단체들의 설립, 새로운 음악 매체들의 등장은 새로운 음악적 환경을 만들어냈으며, 이에 따라 ‘통일적/통합적’으로 상정되었던 기존의 음악생산방식과 전유의 관습은 전통음악, 서양예술음악, 대중음악이라는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화되기 시작한다. 이와 더불어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음악을 경험한다거나 체험한다는 것이 특정한 계층(예컨대 궁중 음악, 귀족음악)이나 기능(노동요, 연희음악, 제례음악 등)에 따라 특별한 이벤트로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곳곳 어디서든 경험할 수 있는 일상적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는 점이다. 집안에서나 길거리, 카페나 다방, 백화점이나 악기점에서 음악은 일상적으로 경험될 수 있었으며, 이는 장르나 형식이나 선율에 대한 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 이전에 ‘소리’ 그 자체로 감각되었다. 음악적 일상성의 확립이라는 역동적 변이과정은 일차적으로 새로운 음악생산 기술의 도입과 연관되는 것이지만 보다 중요한 지점은 바로이러한 새로운 ‘사운드적 시공간’의 형성을 통해 음악적 감각하기의 방식이 전이 되었다는데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환과정을 사운드스케이프개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During the 1920s and 30s the indicators of musical modernityhad been dramatically visualized, its oncoming was accelerating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emergence of new musiceducation systems, music organizations and musical media hasestablished new musical environment, thus old convention, thatthe ‘unified/integrated’ approaches to music production andappropriation, began to differentiated into a variety of categories,traditional music, western (art)music, and popular music. Evenwith this it should be noted that music experience was no moreas special events, rather than seperated along certain class (forexample, court music, aristocratic music) or function (worksong,festival music, ritual music), had become a element of everydaylife. In the house or in the street, cafes, coffee shop, and stores,music was routinely experienced, that was perceived more'sound' itself, than professional judgement about genre or style.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this conversion process on theconcept of soundscape.

      • KCI등재

        대중음악학, 대안적 학문성으로서의 흐름과 전망

        송화숙 세계음악학회 2020 음악과 문화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becoming a ology of popular music studies and to examine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e period when the humanities interest in popular culture and popular music rose rapidly in Korea was a turning point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hen the "cultural thing" that had been considered secondary to issues on political and social expanded enough to embrace the existing metadiscourse and various academic approaches to popular culture have exploded. Under the evaluation, that in the last three decades popular music studies has exploded on its extension, but the academic integrity has not been imploded, this paper focuses on aspect of historiography and aesthetics of Korean pop music. .

      • KCI등재

        육체감각을 통한 서사가능성 - 댄스음악의 미학과 정동적 전환 -

        송화숙 한국대중음악학회 2022 대중음악 Vol.- No.29

        If the criteria for judging good and not good music correspond to the musical content or meaning, much popular music would not escape the judgment of yet being qualitatively low, and its representative genre is dance music. Compared with movies and dramas, pop music lacks clarity of reproduction and narrative structure. Dance music is more multi-layered and ambiguous than other pop music genres as it contains music, lyrics, and body movements as basic genre characteristics. To discuss the aesthetic aspects of dance music, focusing on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raised from the theory of affect, this study examines dance music (especially Korean dance music since the 2000s), the area farthest from meaning and narrative, as a process of acquiring “non-narrative narrative” based on physical sensibility and popularity.

      • KCI등재

        신체의 타자화, 타자화된 신체 : 댄스-음악-공간의 미학과 사회사

        송화숙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3

        본 논문은 한국의 댄스음악 시기적으로는 , 근대성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개화기부터 1940년대에 이르는 기간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댄스음악은 다른 어떤 대중음악 장르보다 육체와 가장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바로 이 때문에 가장 문제적 장르로 인식되어 왔다. 주관, 감정, 육체, 자연에 대해 객관, 이성, 정신, 문화를 우위에 두는 서구의 이항대립적 사고체계의 전통에 의해 육체와 육체성은 오랜 기간 동안 억압 및 배제의 역사를 걸어와야 했고 이에 따라 댄스음악이 드러내고 있는 육체성은 직접적인 제재가 가해지는 대상이었다. 이 글에서는 그 어떤 대중문화의 장보다 몸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몸에 대한 두려움/공포/억압/통제, 또 이에 대한 저항이 가장 첨예하게 부딪히는 곳이었던 춤추는 신체, 그리고 이것이 실질적으로 펼쳐졌던 댄스공간이 중점적으로 다뤄진다. 춤추는 신체는 ‘신체를 타자화’ 시키는 강력한 수단인 동시에 ‘타자화된 신체’를 ‘주변부화된 신체’에 덧씌워, 육체성을 제한하고 한정시키는 수단이기도 했다. 이는 대체로 세가지의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첫째 ‘서구화된 신체’, 둘째 ‘성성을 띈 신체’(Sexualized Body), 셋째 ‘새로운 젊은 세대의 신체’가 그것이다. 이들은 선명하게 구분된다기 보다 혼재되거나 중첩되어 나타났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며, 이들을 둘러싸고 담론이 작동하는 양상 및 이것이 실질적인 규제로까지 이어지는 과정들을 살펴본다.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dance music, the period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to the 1940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odernity in Korea. Dance music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body than any other popular music genre, and it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problematic genre for this reason. By the tradition of the Western dualistic thinking system which presupposes objectivity, reason, spirit, and culture over subjectivity, emotion, body, and nature, the body and bodyness had to walk through the history of repression and exclusion for a long time. Accordingly, the bodyness of dance music was subject to direct sanctions. This article covers the subjects of the dancing bodies, which are the most directly exposed the bodyness than any other popular culture, and where fear/suppression/control of the body and resistance to it was most acutely encountered, as well as dance floors, where this colflict is practically unfolded. The dancing body was a powerful means of ‘Otherizing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limit the body, covering the ‘Otherized Body’ with the peripheral Bodies’. This is generally express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Westernized body’; second, ‘Sexualized Body’; and third, ‘the new younger bod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y appear to be mixed or overlapping rather than clearly distinguished. This article looks at the way in which discourse works around them and the process by which they lead to substantive reg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이 죽일 놈의 사랑” : 발라드의 성정치학

        송화숙 ( Song Hawsuk ) 한국음악학학회 2017 음악학 Vol.25 No.1

        대중음악에서 사랑이야기는 흔한 주제이지만,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 중 오직 사랑이야기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발라드는 독특한 장르이다. 본 논문은 1980년대 `주로 남성(적) 화자에 의한 사랑노래, 서정적인 선율, 화려한 화성과 반주 그리고 극적인 절정부`라는 장르적 전형을 완성한 발라드가 특히 1990년대 후반을 경과하며 격정적으로 강화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이 격정화의 특징은 첫째 음악적 내러티브 측면에서 수잔 맥클러리가 칭한 `서정적 절박성`이 더욱 고도화되어 가는 방식, 둘째 가사 (및 이미지)의 내러티브 측면에서 타자의 죽음이나 삭제를 통해 화자의 슬픔, 좌절, 고통을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발라드의 격정화와 그 서정적 절박성은 낭만적 사랑 이념의 성립 및 위기, 그리고 남성성과의 관계 속에서 서술된다. In popular music, love story is a common theme, but ballad is a unique genre in that it deals only with love stories among various popular genres of music. Particular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the ballad, which completed in the 1980s a genre typology of love songs by mainly male narrators, lyrical melodies, brilliant harmonies and accompaniments, and dramatic climax, is fervently intensified by the late 1990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ervent ballad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usical narrative, “lyric urgency” by Susan McClary becomes more sophisticated. Secondly, in the narrative aspect of the lyrics (and images), the grief, frustration, and pain of the masculine speaker are strengthened through death or deletion of the other. In this paper, the emotional urgency of this fervent ballad and its lyric urgency are described in the perplexing of the ideation of romantic love and its crisis on the one hand, establishment and identification of maleness on the other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