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악, 지역, 신화 : 아프리카에 대한 서구적 신화에서 벗어나기 아프리카 음악과 탈식민주의 비평

        이수완 ( Su Wan Lee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다른 문화의 음악을 평가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내재된 정치적 역사적 배경에 주목하는 탈식민주의 비평을 소개하고, 서구적 음악학의 기존 담론을 반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악에서의 탈식민주의는 식민경험을 했던 세계여러 지역의 토착적인 음악문화를 회복시켜 재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적자의식을 회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음악적 탈식민주의 초기연구인 코피 아가우의 아프리카 음악에 대한 탈식민주의 비평을 중심으로 탈식민주의 음악 비평의 기획을 살펴보았다. 아가우는 전통적인 종족음악학이 가지고 있는 유럽중심적인 기본 전제를 재해석하면서 탈식민주의 비평을 시작하자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식민주의가 아프리카 음악적 삶과 재현에 미친 영향, 아프리카음악의 아카이브 형성문제, 아프리카 음악 담론에서 주요 소재가 되고 있는 리듬의 문제, 아프리카 음악에서 언어와 음악관계를 탐구한다. 이것들이 그 동안 신비와 미개라는 아프리카 음악에 대한 신화를 형성해 왔다. 그는 그 전제를 검토하는 작업이 탈식민 지역 혹은 민족의 음악적 자의식을 회복하는 첫 단계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아프리카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식민지배를 체험했던 모든 지역의 식민통치의 음악적 유산을 극복하고 식민 시대 이후의 음악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해야 하는 음악학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post-colonial criticism in music and its main task. The object of post-colonial criticism in music is to find the real value of musical culture of regions where people had experience of colonial period. So it focuses on post-colonial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But above all, postcolonial critics asserts to reconsiderate traditional discourses of western Musicology before trying to recover musical identities of people who live postcolonial times. Especially in my paper, I examined Kofi Agawu’s project about constructing post-colonial theory in African music. Agawu criticized main ideas of Western ethnomusicology such as musical representations of Africa, musical archives of Africa, and musical analyzing tools. He thought that those ideas should take blame for making all the myths about African music. He tried to show how political power during colonialism formed knowledge about music, which affects modern Western musicology even until today. And he sought for "Afro-centric" means to understand African music. I think that post-colonial criticism about all its related regions (including Korea) should begin by examining presentations of ethnographic musical data and correcting false assumptions and prejudices.

      • 『율려정의(律呂正義) 속편(續編)』에 나타난 서양 음악 이론의 중국적 해석

        이서현 음악사연구 2013 음악사연구 Vol.2 No.-

        본 연구는 18세기 중국의 음악이론서 『율려정의(律呂正義)』 에 소개된 서양 음악 이론에 관한 해석적 고찰이다. 청조의 강희제(재위 1654~1722) 시기에 방대한 분야의 지식을 집대성하는 편찬 사업의 일환으로 전통 음악과 새로운 음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 성과가 바로 『율려정의』이다. 중국 전통음악을 다루고 있는 상·하편에 이은 속편에서 서양 음악의 이론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중국에서 오선보를 이용하여 서양 음악 이론을 기술한 최초의 저작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율려정의 속편』에서는 서양 음악의 음계와 조성, 박자와 리듬을 중심으로 한 음악 기초 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음악 용어의 번역은 기본적으로 발음이나 형태의 유사성에 따라 명명하는 방식을 따랐다. 음악 원리의 해석에 있어서는 상징성과 음/양 이원론적인 측면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음악 이론에 대한 설명이 인간사에 대한 비유나 변화 속의 조화로움과 같은 철학적인 논의로 이어지고 있음 또한 중국적인 해석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The Chinese imperial encyclopedia on music, LuLu Zhengyi was completed in 1713 under the command of Qing emperor Kang-xi. Especially the last part of the LuLu Zhengyi, ‘Xubian’ introduced the elementary principles of Western music, scales and tonal system, rhythm and duration. This is the first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illustrating European music theory with the staff notation in China. Translating musical terminology has ideographic and hieroglyphic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The interpretation of music theory is reflecting Chinese traditional thought, symbolic idea and dualism of yin and yang, furthermore implying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human society.

      • 신화 속의 음악 : 음악에 대한 신화이론적 접근: 구조주의적 음악분석의 적용가능성과 의의

        박수연 ( Soo Yeon Park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신화와 관련된 음악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화’라는 다면적이고 모호한 대상과 음악의 공통적 성격을 고찰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이에 관련된 다양한 해석 이론들은 구조주의 언어학을 공통 기반으로 하여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음악과 신화의 시간적 성격과 구조적 특성에 기반하여 양자를 연관시킨 첫 번째 시도가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적 신화 이론이다. 그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이항대립적 음운론과 음악형식분석 방법론에 영감을 얻어, 800여편에 달하는 남미 원주민 신화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신화와 음악에 공통된 구조 형성 원리가 내재하고 있음을 증명하려고 했으며, 역으로 음악분석을 통해서도 이를 증명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음악의 범주와 본질에 대해 협소하고 자의적인 해석을 했으며 음악 분석을 통한 증명이 다소 일반론적인 서술에 머물렀기 때문에 그의 이론은 구체적인 음악 분석 방법론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이후 나티에, 타라스티 등은 그의 이론을 기반으로 기호학 및 서사학, 의사소통이론을 접목시켜 보다 구체적인 음악적 의미 분석을 시도하였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이론은 신화와의 유비를 통해 음악의 고유한 특성을 더욱 확장하여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고, 고유한 내적 논리를 가진 음악을 다른 장르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폭넓게 탐구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로 인해 음악의미론 영역의 활발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의 이론은 또한, 음악가들이 신화를 작품의 소재로 삼거나 감상자들이 음악을 신화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이유에 대해, 외적 텍스트의 내용과는 관계 없이 신화와 음악이 유사한 특성에 기반하여 서로를 연상시키며 인간의 마음을 건드리기 때문일 수있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보여주었다.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music concerning my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ate common nature of music and myth, which are multilateral and indefinite. Many interpretation theories concerned with it have been developed in mutual interaction on the base of structural linguistics. Among them, Structuralist mythology of Claude Levi-Strauss is especially the first attempt to connect music with myth on the base of their common tempor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He was inspired by binary opposition phonology and musical analysis theories, tried to prove that there is common structural constructive principle in myth and music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800 native South American’s myths, and tried to prove it through musical analysis of some musical works. But he did arbitrary and narrow interpretation about category and nature of music, hence his analytic proof remained in generalities, and his theory has not developed concrete methodology of musical analysis. Then, researchers like J. J. Nattiez and E. Tarasti proceeded to more concrete analysis of musical meaning based on his theory, combining semiology, narratology and communicative theory. Structural theory of Levi-Strauss became the opportunity for recognizing nature of music more broadly through analogy with myth, and searching possibility of explaining music that has distinctive logic through another genre. And his theory made it possible that follow-up studies of musical semantics could appear actively. And his theory shows suggestively why musicians take myths as materials for their compositions and why listeners accept certain musical works as mythic things, because even if there is no connection with literal contents, myth and music remind of each other on the base of similar characteristics and can touch human mind.

      • 음악, 지역, 신화 : 인도 음악과 신화 북인도 라가와 힌두교 신화와의 관계

        박재록 ( Jae Rock Park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대부분의 문화권은 자신의 독특한 신화를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인도에서도 현재 10억 명 이상의 신자를 가진 힌두 종교문화가 수천 년의 역사를 거쳐 전해져 왔고, 문헌과 구전으로 전해지는 방대한 신화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인도의 신화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고 신화와 연관된 인도음악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대로부터 예술 활동은 이러한 종교 활동을 보조하는 역할이 크며, 인도의 음악도 마찬가지로 여러 문헌에서 이러한 역할이 드러난다. 인도 음악의 시작은 베다라고 하는 고대의 종교문헌을 낭송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했다. 또한 사원에서 이루어지던 종교적인 종합무대예술에서 음악이 무용, 연극과 함께 예배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라가는 인도의 독특한 음악개념은 리듬 이론인 딸라와 함께 인도음악의 핵심적 이론이다. 현재 인도에는 수백 개의 라가들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그 중에서 몇몇은 신화 이야기의 중요한 실마리가 되기도 하고, 라가 자체가 전설과 연관 되기도 한다. 현재 인도의 고전음악 문화는 이슬람 제국의 지배시대와 영국 제국의 지배시대를 거쳐 상당 부분 세속적으로 변해왔지만 유럽 음악문화에 비하면 종교적이고 제의적인 문화가 아직도 많이 남아있는 편이다. 인도의 고전음악 자체가 독특하고 매력적이기도 하지만 신화시대와 음악문화의 접점을 찾는데 비교 연구를 위해서도 인도음악과 신화의 관계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볼 가치가 있을 것이다. Most cultures have their own unique mythologies. Hinduism is one of oldest religion in the world and has 1 billion believers and voluminous mythological stories that is handed down by words of mouth and several texts. This thesis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Hinduism mythologies and Hindustani music. Music in India began as an integral part of socio-religious life. Hindu priest’s recitations of the hymns in Sama Veda in the Vedic times is regard as beginning of singing. Raga is a melodic principle of Hindustani music beside Tala, rhythmic principle. Many of raga have relationship with myths and legends committed by gods and heroes. Hindustani music culture has become more and more secular since islamic empires era and the British empire era. But compared to European music culture, there are still a lot of religious and ritual manners in Indian music culture. Hindustani music is not only unique and attractive but also worth for comparative studies on the relation and transition of religious music and secular music.

      • 얀 시벨리우스 비평 연구: 음악사 서술과 작품 수용에 나타난 해석의 다면성

        박윤경 음악사연구 2013 음악사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음악사 서술에 있어 작곡가와 작품에 대한 평가가 다양한 해석적 관점을 반영한다는 전제에서 시작되었고, 특히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서 생산된 비평 내러티브의 한 사례로 얀 시벨리우스 비평을 고찰하였다. 시벨리우스는 음악사에서 보수성향과 대중성을 대표하는 작곡가로 분류되어 왔으나, 그를 둘러싼 동시대와 후대의 음악 비평 내러티브를 문화적 맥락과 문학비평에서의 개념들과 연계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현재의 평가에 반영된 서술 의도를 읽고자 시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시벨리우스를 둘러싼 동시대 비평들과 수용, 이데올로기 연관성, 작곡가의 자의식이나 창작 의도를 반영하는 진술들,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비평, 한스 야우스의 기대 지평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벨리우스 비평이 독일중심적, 상대주의적, 진보 위주의 서술 경향을 반영하는 한편, 다른 시대나 문화권 속에서의 수용과 해석의 다면성도 밝혀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작품의 가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컨텍스트에 영향받는다는 점을 예시한다. This thesis considers criticism on Jean Sibelius, an example of critical narratives produced b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evaluation of a composer or a work involves various interpretative perspectives. In historiography of music, Sibelius has been classified as a composer representative of conservativeness and popularity. This thesis attempts to illuminate criticism of Sibelius in relation to the cultural context and literary criticism and to read any narrative intention behind such classification and generalization. For this purpose, I maintained my focus on issues such as contemporary and later criticism of Sibelius, reception, ideology, compositional intention, Theodor W. Adorno`s modernist criticism, Hans Robert Jauss` notion of the ‘horizon of expectation’. In conclusion, criticism of Sibelius reflects a narrative tendency towards German-modernism, relativism, and the progressive on the one hand, and a multiplicity of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marked according to a specific period and culture on the other. This exemplifies that the value of a work is dependent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rather than fixed in its nature.

      • 신화를 그린 작품 : 사이렌, 음악에 관한 욕망과 초월의 담화

        박윤경 ( Yoon Kyung Park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이렌 신화가 고대로부터 시공을 초월하여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온주제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분야의 문헌과 서술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문화적 의미와 상징성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이렌 신화가 시각적 이미지, 문학과 음악 예술의 작품으로 체현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사이렌은 물의 판타지에서 기원한 이래 신화, 종교, 예술, 사회학, 심리학, 정신분석학 등 다방면에 걸쳐 그 의미와 상징성이 추구되어 왔고, 감각 세계와 초월성 모두와 연관되어 있다. 사이렌의 노래는 에토스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음악의 초월적인 힘을 부정적인 측면에서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즉 들음에서 쾌락과 갈망이 자극되고 결국 그 댓가로 죽음과 파멸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 사이렌 신화는 음악 예술에서의 주된 신화적 소재인 오르페우스와 대조를 보이나, 음악의 감각적 위력과 초월성을 비등하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예술가들은 이를 창조의 소재로 활용해 왔다. This thesis considers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symbolism of the Siren mythology by looking into various sources and narratives, based on the fact that this mythological subject has been continually discussed beyond time and space. It also exemplifies the relating visual images, and literary and musical works that capture the mythology. Siren originated from the watery fantasy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and symbolism has been pursu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ythology, religion, arts, sociology,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t has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both sensory world and transcend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thos, Siren’s song tends to present the power of music in a negative way. In other words, hearing stimulates pleasure and longing, and ultimately costs destruction or death. In this regard, Siren contrasts with Orpheus, the major mythological character in musical art. However, artists have employed the Siren mythology as artistic inspiration, in that it equally projects sensory and transcendental power of music as in the Orpheus mythology.

      • 신화 속의 음악 : 동서양 신화를 통해 보는 악기의 알레고리

        이재용 ( Jae Yong Lee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동서양의 다양한 신화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점 중 하나로 악기에 대한 언급을 들 수 있다. 악기에 대한 신화적 서술도 서로 유사하다. 악기는 신들이 발명하고 연주했던 신묘한 물건이며, 이를 인간에게 선물하였다는 것이다. 신화의 서술 구조에서 악기가 음악을 연주하는 도구라기 보다는 다양한 인간 가치를 의미한다는 매체라는 것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공통점이다. 인간성과 행위에 대한 가치가 악기의 모습으로 투사되면서, 신화의 악기는 인간 가치의 알레고리가 된다. 즉 악기는 신화 속 가치의 물질적인 실체인 것이다. 이성과 감성이 신화 속 악기가 상징하는 인간성이며, 예술적 영감과 예언, 지혜, 유혹, 화합, 경쟁, 충돌 등이 악기를 통해 표면화 되는 인간 행위이다. 절제된 음색의 현악기와, 열정적인 음색의 관악기, 그리고 화음을 추구하는 오르간은 악기각각의 특징에 따라 이성과 감성, 그리고 우주의 조화를 상징한다. 또한 이들 악기들은 신화 구조 속에서의 문맥에 따라 인간 행위와 결합되며 다양한 알레고리를 표출해 내기도 한다. 이성과 지혜의 알레고리로서의 악기는 주로 현악기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등장하는 아폴론의 리라는 아폴론의 속성인 이성적 사고를 상징하며, 영웅들에게 행했던 케이론의 리라 교육은 지혜의 전달을 의미하고, 지하세계에서 울린 오르페우스의 리라는 지혜의 힘을 은유한다. 중국신화에서 복희, 신농, 황제가 인류문명을 시작하고 문화를 개척한 후 현악기 구친을 만들어 인간에 그 연주법을 전했다고 하는 서술은 지혜의 전수를 말한다. 감성과 본능의 알레고리로서의 악기는 주로 관악기이다. 디오니소스 제전의 중심 악기인 아울로스는 감성의 신 디오니소스가 추구하는 열정과 본능의 진솔한표현을 상징하며, 판의 시링크스는 관능과 욕망을 드러내고, 세이렌의 악기는 치명적인 유혹을 의미한다. 무사이의 악기는 그들이 부여하는 예술적 영감의 우의이며, 예언자들의 관악기는 신의 목소리를 투영한다. 아폴론과 헤르메스의 화해의 매체가 된 리라와, 우주의 혼돈을 잠재우고 화합를 이루기 위해 발명된 여와의 생황은 화해와 화합의 알레고리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아폴론과 판, 그리고 아폴론과 마르시아스의 음악경연에서 경쟁하는 현악기와 관악기는 이성과 감성의 충돌과 대결을 의미한다. 인도 신화의 크리슈나가 적을 파괴하기 위한 무기로 사용하는 피리와 나팔 역시 경쟁과 충돌의 알레고리로 표현된 악기들이다. 본 논문은 동서양의 신화 중 가장 대표적이고 할 수 있는 그리스 신화와 중국신화, 인도 신화 등에 언급된 악기들을 다룬다. 동서양의 신화 구조에서 담론된 악기들에 내재된 보편가치적 알레고리들을 탐구함으로써, 악기에 대한 신화적 가치부여를 논의한다. Musical instruments are the commonly mentioned subject in the diverse myths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mythological description on musical instruments is alike in different myths; musical instruments were created by deities and given to human. It is a universal context of mythologies that musical instruments were not only instruments to play music but media to represent various humanities in the mythological contexts. Human nature and behavior were projected in the myths in the form of musical instruments, which caused musical instruments to present allegories of various humanities. Musical instruments symbolize reason and emotion; and represent human behaviors such as artistic inspiration, prophecy, knowledge, desire, harmony, conflict, and competition. String instruments are most often depicted as an allegory of reason and wisdom. In Greek myth, Apollo’s lyre symbolizes his rational mind; the education of lyre by Chiron means the delivery of his wisdom; and Orpheus’s lyre presents the power of wisdom. Chinese myth states that the progenitors of human civilization - Fuxi, Shennong, and Huang Di - were involved in the creation of guqin and taught people how to play it, which signifies that the wisdom of cultural life was passed down. Wind instruments generally allegorize emotion and instinct. Aulos is associated with a gush of emotion and instinctive pleasure, playing the crucial role in the ecstatic cult of Dionysus; Panpipes exposes sensual desire; and Siren’s instruments portrays fatal seduction. The musical instruments of Muses embody artistic inspiration. Prophet’s wind sounds deity’s voice. The conciliatory lyre by Hermes to Apollo and the harmonious sheng by Nuwa allegorize peace and harmony, while competition and conflict were represented by the string and the wind in the musical contest between Apollo and Pan as well as between Apollo and Marsyas. In Indian myth, Krishna’s pipe and conch became the allegory of conflict and destruction, played in the battles. This essay concentrates on the musical instruments depicted in three different mythologies - Greek, Chinese, and Indian. It studies the universal allegories conveyed on musical instruments in the structure of mythological discourse; further discusses how the value of humanities were assigned to musical instruments in myths of East and West.

      • 필립포 니콜레티의 슬픔에 대한 음악 표현 해석 -『광란의 오를란도』의 오를란도의 독백을 중심으로-

        이진경 음악사연구 2013 음악사연구 Vol.2 No.-

        필립포 니콜레티의 《2성부 마드리갈 곡집》(1588)은 16세기 말 파토스와 2성부의 인기를 모두 반영한 출판물이다. 모방 기법으로 작곡된 이 작품집은 (5개의 마드리갈을 제외하고) 아리오스토의 『광란의 오를란도』에서 슬픔과 비애와 관련된 부분을 가사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니콜레티의 2성부 마드리갈 중 오를란도의 독백(VIII. 76-78)에 대한 연작 마드리갈을 가사와 음악의 관계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작품은 내러티브 리듬, 가사그리기, 하행 4도와 계류의 연속 등의 당대의 음악 경향이 반영되었다. 니콜레티의 연작 마드리갈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두 가지로 정리된다. 하나는 하행 4도 (혹은 5도)가 연작 마드리갈을 구성하는 중요한 음악 모티브로 작용하여 점차적으로 고조되는 오를란도의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시에서 비유가 변하는 부분에 따라 3개의 연작 마드리갈을 크게 2부분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이 두 가지 특징을 통해, 니콜레티가 가사의 전체 흐름과 의미를 고려하였으며, 3개의 연작 마드리갈을 하나의 연속되는 작품으로 인식하고 작곡하였음을 알 수 있다. Madrigali a due voci (1588) by Filippo Nicoletti is a publication that reflects both the pathos of late sixteenth century and popularity of two-voice music. This madrigal collection, which was composed using imitation, took the passages related to tristesse and grief from Ludovico Ariosto`s Orlando Furioso as the verses of most of its madrigals (except for five of them). In this paper, I specifically selected cyclic madrigals from Nicoletti`s Madrigali a due voci, where it portrays soliloquy of Orlando(VIII. 76-78), and analyzed each madrigal, especially concentrating 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and verse. Each madrigal reflects the music trends of its contemporary, such as narrative rhythms, word painting, descending fourth, chain of suspension and et cetera.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cyclic madrigals from Nicoletti`s collection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jor points. The first is that descending fourth (or fifth) has acted as an important musical motif that comprises the cyclic madrigals in order to express growing Orlando`s grief and pathetic emotion through the pieces. And the second, the series reflects that the poem or its verse can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with respect to its semantic content-changing of metaphor for Angelica, and allows the 3 madrigals within the series to be also divided into two sections in large scale. Through these two features, it may be concluded that Nicoletti consciously took the overall progress, flow and semantics of the verse into consideration as he composed and recognized the three madrigals as one concatenation.

      • 신화를 그린 작품 : 시벨리우스 킬리키(Kyllikki)의 음악적 특징: 주제, 리듬, 화성적 특징을 중심으로

        오지희 ( Ji Hee Oh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본 글은 핀란드 신화 칼레발라의 이야기를 기초로 작곡된 시벨리우스의 피아노작품 킬리키를 분석한 논문이다. 시벨리우스는 신화적인 이야기의 흐름과 음악적 특징을 전통적인 A-B-A’라는 다카포형식의 틀 안에서 전개하였다. 레민카이넨과 킬리키의 사랑과 갈등, 이별은 시벨리우스의 음악적 표현에 따라 상징화음과 상징적인 음형으로 등장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벨리우스는 주제의 흐름에 따라 춤의 동기와 싱코페이션 리듬, 트릴음형, 감7화음과 같은 특징적인 화음과 음형을 사용하고 신화이야기의 흐름과 일치시켜 표현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Jean Sibelius’s piano work Op. 41, “Kyllikki” which was composed based upon Finnish myth, the Kalevala. Sibelius unfolded both the mythic story and musical narrative within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the da capo form (A-B-A’). The story of love, conflict, and parting between Lemminkainen and Kyllikki was depicted by the composer through the use of symbolic harmonies and figures. In particular, the work features characteristic harmonies and figures such as dance motives, syncopations, trills, and diminished seventh chords corresponding to the unfolding of the mythic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