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베리아 알타이 지역의 샤먼상 암각화

        송화섭(Song Hwaseob)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시베리아 알타이 산맥과 몽골의 출루우트 지역에는 동석기시대(신석기시대말에서 청동기시대초)의 얼굴상과 전신상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이 암각화들은 무덤의 판석이나 입석 및 암벽의 암각화에 나타난다. 그림의 형상은 얼굴상과 인형상이 분명하지만,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라 신이(神異)한 형상이 대부분이다. 얼굴상의 외곽선을 따라서 사선문이 표현되어 있기도 하고, 머리에 두개의 소뿔 형상이 나타나고, 새 발갈퀴 형상의 손과 발이 묘사되어 있기도 하고, 세모, 네모, 마름모꼴의 기하학적 도형으로 전신상이 표현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그림들은 인간의 신격화(神格化) 또는 신의 의인화(擬人化)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알타이 지역의 초원-스텝 지대에서 생활하는 유목민들이 천신과 지신, 자연신을 대상으로 제사를 지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암각화이다. 다양한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주관하는 자는 제사장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제사장을 샤먼이라고 부른다. 샤먼들은 의례를 매개로 신의 정령과 교류를 하면서 신비적인 엑스타시(ecstasy)를 체험한다. 엑스타시는 보조령의 도움을 받아 천계여행을 하는 것을 말한다. 천계여행은 샤먼의 영혼이 조상신 또는 동물의 정령에 실려 우주 삼라만상의 모든 정령들과 교유를 하게 된다. 샤먼의 보조령(補助靈)으로 등장하는 동물은 순록, 소, 사슴, 말 등과 매, 독수리, 종달새 등이다. 이러한 샤먼의례 과정에서 샤먼의 영혼이 천계여행의 매개물인 동물, 조류에 실려있는 모습이 암각화에 나타난다. 암각화에서 태양광선 상징의 사선문 머리장식 인형상과 조족문(鳥足文)인 형상과 늑대머리형 인형상, 소뿔 머리 장식의 인형상은 샤먼상 암각화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샤먼상 암각화는 태양신과 천신을 숭배하는 유목민들의 생활관습에서 비롯된 것이며, 제의를 주관하는 샤먼의 신령이 조상 및 동물의 정령에 실려 천계여행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암각화라고 본다. 특히 무복(巫服)을 펼치거나 망토를 걸친 인형상은 새가 날개를 펼쳐 하늘을 나는 날개옷을 가진 샤먼상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샤먼상 암각화에는 사람과 신의 결합된 반신반인형(半人半神形) 암각화와 인간의 영혼과 동물의 정령이 결합된 반인반수형(半人半獸形)의 샤먼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샤먼상들은 생식기(生殖器) 표현의 남녀의 샤먼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생식기 표현의 샤먼상은 암각화가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상징적인 신앙예술품임을 말해준다. 샤먼상 암각화는 미학적 관점보다 종교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일반인의 시각보다 샤먼의 시각에서 바라본다면 샤먼상 암각화를 통해서 초원지대 유목민들의 정령관과 신관과 우주관을 이해할 수 있으며, 시베리아 알타이지역의 초원지대 유목민 생활에 스며있는 원시신앙 즉 에니미즘, 토템이즘, 샤머니즘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Rock carvings of faces and appearances (from the late of Neolithic Period to the early of Bronze Age) have been found in Altai, Siberia and Chulut, Mongol. Those rock carvings are appeared on tomb stones and rocks. They are faces and appearances of not normal people but more like gods. Sasunmoon is expressed along the shape of the faces. They have horns on the heads or rake like hands and feet. The bodies are expressed with triangles, squares or diamond shapes. These pictures are considered to be god-like-humans or human-like-gods. The rock carvings show how nomads had religious services for the gods of heaven, nature and the earth. The one who was in the charge of the services ar The shamans experience unexplainable ecstasy from the communication with the spirit of a god through the services. Their spirits go to heaven and communicate with the spirits of their ancestors, animals or everything in the world. The assistant spirits of the shamans are animals or birds such as reindeer, cow, deer, horse, hawk, eagle, and lark. The rock carving show the spirits of the shamans in the animals or the birds in the process of the services. The rock carvings of the pictures of heads with sasunmoon (a beam of the sun) and with horns and the pictures of rake-like-feet and hands and wolf head can be considered as rock carvings of shaman. The rock carvings of shaman came from the life style of the nomads who worshiped the god of the sun and the god of heaven. They are considered to be the pictures of the shamans who managed the religious services with the spirits of their ancestors or animals. Especially a cape on the shamans is considered as wings. So there are half human and half god rock carvings and half human and half animal rock carvings. There are rock carvings of man and woman classified with genitals and the ones with genitals are for wealth and fecundity. The rock carvings of shamans can help people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nomads on the spirits, gods and universe and they are important to know the religious belief such as animism, totemism and shamanism which are in the lives of the nomads.

      • KCI등재

        백제 가요 정읍사의 역사적 배경지 고찰

        송화섭 ( Song Hwa-seob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그동안 백제 가요 정읍사는 국문학의 영역에서 연구되었다. 정읍사 연구는 설(說)만 무성하였을뿐 실증적, 역사적 연구는 없었다. 정읍사의 상징은 망부석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정읍현 고적조에 망부석은 정읍현의 북쪽 10리에 있다(在縣北十里)에 있다고 기록해놓았고, 세상에 전해오기를 고개에 오르면 망부석의 발자취가 아직도 있다(世傳登岾望夫石足跡猶在)는 구체적인 기록이 있다. 망부석의 사료적 가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고적조에 편재하여 실려 있다는 사실이다. 고려시대에 망부석은 `고적(古蹟)`의 대상이었다. 고적의 시점은 백제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다. 정읍시에서 북서 방향 10리 거리에 천곡리 샘실마을이 위치한다. 샘실마을은 백제시대 정촌현(井村縣)의 치소로 추정된다. 샘실마을의 뒤쪽 치마바위산에 오르면 마을기념물로 전승되는 부엉바위가 위치한다. 망부석은 고개에 오르면 있는데(登岾望夫石), 등점(登岾)은 샘실마을에서 동죽리로 넘어가는 동죽재를 지칭한다. 따라서 망부석은 샘실마을의 동죽재 부근에 위치하는 부엉바위로 비정된다. 백제시대 정읍(井邑)은 정촌현(井村縣)이었는데, 샘실의 지명이 정촌(井村)이다. 백제 가요 정읍사의 역사 기록과 정읍사 가사와 망부석 사료를 샘실마을의 지리적 위치, 산세와 고개, 부엉바위 등에 적용시켜보니 딱들어 맞는다. Jungupsa has been studied frotm the aspect of literature.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er who has tried to study Jungupsa with historical evidence. A symbol of Jungupsa is Mangbusok (the stone on which a faithful wife stood waiting for her husband until she perished). There is a record on Jungupsa in `Shinjungdonggukheojisungram`and it says that there is Mangbusok, 10-ri (0.25 mile) away from the north of Jungup-hyeon. It also says that a trace of Mangbusok could be seen from the peak of mountain. The historical worth of Mangbusok is recorded in Gojeokjo of `Shinjungdonggukheojisungram`. Mangbusok was worth as Gojeok (historical remains) during Goryeo Kingdom. The time of Gojeok goes up to Baekje Kingdom. There is Samsil village, 10-ri away from the north of Jungup. Samsil village is assumed to be Chiso in Jungchon-hyeon, Baekje Kingdom. There is Bueong-Bayu (a rock that looks like an owl) in Chimabayu-san (mountain) behind of the village. Mangbusok is on the peak of the mountain. According to the record, Dungjeom is Dongjukjae that located on the way to Dongjuk-village from Samsul village. It is assumed that Mangbusok could be the Bueong-Bayu near Dongjukjae and Jungup was called Jeongchon-hyeon and the name of Samsil was Jungcheon.during Baekje Kingdom.

      • KCI등재

        智異山의 老姑壇과 聖母天王

        송화섭(Song Hwa Sup)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道敎文化硏究 Vol.27 No.-

        신라가 삼국통일을 성취한 이후 전 국토를 장악하는 수단으로 9州 5小京을 설치하고 三山五岳과 大祀ㆍ中祀ㆍ小祀 체제를 도입하여 배치한다. 남원에는 남원경이 들어서고 지리산을 남악으로 선정하였다. 신라정부가 삼산오악을 배치하면서 경주의 삼산 여신과 선도산 성모를 지리산으로 이전시켜 聖母天王을 山神을 삼게하였다. 聖母의 구체적 모습은 『삼국유사』 선도산성 모수희불사조에 묘사되어 있다. 그 내용에 선도산 성모는 중국의 제실의 딸이요, 신라의 선도산의 산신이요, 불상을 조성하는데 황금을 시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내용은 통일신라시대 불교융성기에 신라의 산신이 불교적 산신 또는 관음산신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신라의 불교적 산악숭배가 지리산으로 옮겨온 것은 지리산이 그 이전부터 영적인 성산이었기에 무불습합적인 측면에서 경주 삼산 여신과 선도산 성모의 산악숭배가 지리산 일대에 유포되었다고 본다. 남원경을 설치한 후에 신라불교가 남원으로 옮겨왔음을 보여주는 사찰이 지리산 실상사이다. 신라말 실상사가 지리산 자락에 들어선 이후 라말려초기에 다양한 마애불과 불상이 지리산 일대에 암면에 새겨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불교유적은 경주계 불교적 산신숭배가 라말려초기 이후 지리산권에 확산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지리산에서 불교적 산악숭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불교유적이 여원치 마애불이다. 여원치 마애불의 명문에는 이 여상을 道姑라고 표현하였다. 도고상은 산신이 여성이요, 도교적인 신선상을 뜻한다. 이러한 마애불은 지리산 곳곳에 분포하고 있는데 독특한 도불적 산악숭배의 산신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도불적 산악숭배는 고려, 조선시대를 내려오면서 다양한 민간신앙과 교유하였다. 지리산 성모천왕의 실체는 지리산 정상의 聖母祠에 봉안되어 있었던 돌로 만든 婦人像이다. 성모사당에 봉안된 백의여상이 성모천왕상인데, 도교와 불교가 조합된 도불신상이라 할 수 있다. 노고단의 노고신은 마고계 산신으로서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면, 천왕봉의 성모천왕은 성모계 산신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지리산의 산신은 노고신앙의 기반위에 성모신앙이 정착하였기에 지리산의 성모천왕상은 불교의 觀音菩薩像과 도교의 女仙像이 중첩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도불신앙이 고려시대 백의관음신앙이 지리산의 성모천왕에 영향을 미치어 노고단과 성모천왕이 산신으로 등장하였다고 본다. 이러한 도불계의 관음신앙이 라말려초기 이후 산신신앙과 교유하면서 관음산신이 민간계층에 널리 확산되었던 것이다. 지리산권에 분포하는 老姑, 老, 道姑, 老母 등 다양한 산신들은 麻姑계통의 산신으로 역사는 삼국시대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라말쳐초 이후에 노고는 성모천왕으로 대체되어 갔다고 본다. 이러한 변천은 현재 마을단위로 전승되는 동제의 마을수호신에까지도 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야 좋을 듯싶다.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Kogurea, Baekjae and Shila, Shila established 9 provinces and 5 small capitals to control the country and had SamsanOak (they worshiped three big mountains, Samsan, and five middle size mountains, Oak) and big religious services, middle size religious services and small religious services. There was a small capital Nanwon in the present place of Namwon and Jiri mountain was appointed as Namak, one of the Oak. When Shila made SamsanOak system, they moved the goddess of Samsan in Gyeonju and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to Jiri mountain and made them one which became the goddess of the mountain, the Holy Mother. The appearance of the Holy Mother is described in the book, Samgukusa (a history book on the three countries, Kogurea, Baekjae and Shila), on a tale of Suhee Bulsajo,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According to the story,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was a daughter of a chinese royal family, goddess of Seondo mountain in Shila and a person who donated gold for making a statue of Buddha. It tells a goddess in Shila became a goddess of Buddhism or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hen Buddhism was thriving in the Unified Shila. It is assumed that Jiri mountan had been a holy mountain and that was the reason why the mountain-worship moved to Jiri mountain with the mountain-wroship of the goddess of Samsan in Gyeonju and the Holy Mother in Seondo mountain. Shilsangsa, a temple, shows that the Buddhism of Shila came to Namwon after Shila established the small capital, Namwon. After Shilsangsa was built in Jiri mountain, various Buddha images and a statue of Buddha began to be carved on rock cliffs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These remains show that goddess of mountain-worship of Buddhism in Gyeongju was expanded to Jiri mountain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The Buddha image carved on the cliff in Yeowonchi is an example of mountain-worship of Buddhism in Jiri mountain. The Buddha image in Yeonwonchi is a woman and a passage on it says it is Dogo, a Taoist hermit in Taoism.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Buddha images carved on the cliffs on the top of the mountain says mountain-worship in Buddhism prevailed around Jiri mountain and they are statues of mountain gods, expressing a unique mountain-worship in Taoism and Buddhism. It says that worshipping of mountains was prevailed around Jiri mountain. The mountain-worship tradition was handed down to Corea and Chosun and mingled with various folk believes. The statue of the Holy Mother in Jiri mountain is a statue of a woman made of rock, which was enshrined in Seongmosa, a temple, on the top of Jiri mountain. The statue of a woman at Seongmosa is Seongmocheonwangsang which is a statue of a god, a mixture of Taoism and Buddhism. The god of Nogo of Nogodan is a god of Mago which is influenced from Taoism and Seongmocheonwang on Cheonwang-bong is a god of Seongmo which is influenced from Buddism. The god of Jiri mountain is made from Seongmo belief based on Nogo belief so the statue of Seongmocheonwang is a mixture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in Buddhism and a woman Taoist hermit in Taoism. An example of a mixture of Buddhism and Taoism, Baekugwanum belief in Corea had influence on the Seongmocheonwang and so Nogodan and Seongmocheonwang became mountain gods and the Gwanum belief was mixed with the belief on the gods of mountains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and it was spreaded among the public. The mountain gods, Nogo, Nogu, Dogo, Nomo, around Jiri mountain are Mago gods and their origin was from the Three Country Age. However Nogo was alternated with Songmocheonwang in the late Shila and the early Corea. The change might influence on the village guardians in religious services of each village.

      • KCI등재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

        송화섭(Song, Hwa-Seob)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2

        洞祭의 역사는 마을의 역사와 함께 한다. 자연마을은 약 300여 년전에 촌락 분화로 생성된 곳이 많다. 촌락의 분화는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住民 移動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17세기말 18세기 초에 自然災害에 따른 天災地變으로 기근과 전염병 창궐의 大災殃을 맞게 된다. 마을과 고을을 지키는 사람은 위기극복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집을 버리고 마을을 떠난 流浪民들은 새로운 삶터를 찾아야 했다. 촌락공동체 주민들은 위기 극복의 수단으로 동제를 지내고, 마을수호를 위한 다양한 종교적 장치물을 마을 입구에 조성한다. 당산, 장승, 짐대, 돌탑, 입석 등 마을 수호와 관련된 종교적 장치물이 그러한 것이다. 이와같은 민속신앙물은 17세기말 18세기초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발생하였다. 부안 지역에서 당산입석은 1683년에서 1749년에 걸쳐 조성되었다. 이 시기에 변산반도와 부안현에서는 자연재해로 인한 凶年 饑饉으로 사람들이 수없이 죽어가고, 백성의 생활상은 비참한 상황이었다. 또한 지속되는 흉년으로 유랑민들은 변산으로 몰려들었고, 내변산의 도적떼들은 사찰을 급습하여 점거하고 약탈을 일삼기도 했다. 사찰과 마을에서는 社會的 凶難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찰에서는 재난 극복을 위한 水陸濟와 神衆道場을 설행하여 중생구제와 백성들을 慰撫하는 法會를 열었다. 18세기 초에 내소사와 개암사에서 掛佛畵를 제작하여 대중적인 수륙재를 열어 영혼천도의식을 거행하였으며, 밀교의례의 신중도량을 열어 기근과 질병 등 재난으로 시달리는 백성들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변산에서는 내소사, 개암사, 실상사 등에서 신중도량을 열었고, 지역주민들도 두 사찰에 모여 기근과 전염병으로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수륙재에 참여하였던 것이다. 조선 후기에 수륙재와 護法善神을 위한 神衆道場과 信仰이 성행하면서 사찰의 수호신앙이 마을의 수호신앙으로 내려갈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擁護神衆壇가운데 堂山天王壇을 설행하고 神衆作法과 儀式이 마을의 堂山祭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사찰의 당산신앙이 마을로 내려간 모습을 내소사의 사하촌인 입암리, 원암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원암리, 입암리에는 동구에 당산, 장승, 돌탑, 짐대, 입석 등이 조성된 사례가 그것이다. 17세기말과 18세기초에 사찰에서는 괘불화를 제작하여 수륙재를 거행하면서 영혼천도와 전염병 억제를 간절하게 빌었고, 마을주민들은 마을에 당산을 조성하여 마을이 평안하고 풍요롭게 되기를 간절하게 비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주민들은 사찰에 의탁하여 정신적으로 위안을 삼고 사찰은 중생 구제를 위하여 마을로 내려갔다. 그 과정에서 불교신앙이 민속신앙화하면서 마을의 당산제가 성립된다. 사찰의 擁護神衆信仰 가운데 堂山天王濟가 堂山祭, 堂山天龍祭 등으로 마을신앙화된 것이다. 사찰의 수호신앙이 마을로 내려가 마을의 수호신앙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 당산제다. 석포리의 당산제는 고려시대 이후 지속된 상원절 연등회의 전통을 유지해오고 있다. 상원절 연등회의 줄다리기가 조선 후기에 당산신앙과 결합하여 상원절 당산제를 정착시킨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역사민속학(歷史民俗學)의 태동(胎動)과 전개(展開) -손진태(孫晉泰) 민속학(民俗學)을 중심으로-

        송화섭 ( Hwa Seob S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한국 민속학은 1930년대 초에 태동하였다. 한국 민속 연구의 성립 배경은 일제강점기였으며, 일본에 유학하였던 손진태와 송석하가 선도하였다. 당시 일제 관학자들은 식민통치의 수단으로 역사 연구와 민속 연구에 집중하는 시점이었고, 초창기 민속학자들은 일본인 인류학자의 영향을 받으며 민속학 연구를 전개하였다.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인 손진태도 일본 유학중 역사학적 인류학도로서 민속 연구에 강한 집념을 보였고, 많은 연구 업적을 냈다. 손진태 민속학은 민족 문화를 인류학적으로 해석,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민속을 원시문화로 기술하는 논조가 강하였다. 손진태의 초창기 민속 연구는 일제가 추구한 제국주의적 인류학 연구에 묵시적으로 동조한 면이 있다. 그러나 1934년 귀국한 이후 10여 년간 식민지 민속학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신민족주의 사학자로서 과감하게 변신을 시도한다. 민속학자가 아닌 한국사학자로서 민족사 및 민족문화에 대한 역사관을 드러낸다. 그는 민속학을 민족문화학이라 규정하였다. 현장 중심의 한국 민속 연구가 농촌의 공동체 붕괴로 위기를 맞을상황에 놓여 있다. 한국 민속학의 위기 극복은 “민족문화학으로서의 민속학”이 대안일수 있다. 손진태는 일제하에서 식민지 민속학에 기여하였지만, 자신의 역사관을 재정립한 뒤 해방 이후에는 민족문화학의 정립에 앞장섰다. 오늘날 한국 민속학계도 일제강점기 이후 지속되어 온 식민지 민속학 연구 방법론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거듭나야 한다. 손진태가 제창한 민족문화학으로서 민속학을 실천하고, 민속의 현장을 중시하고 역사 속에서 민속자료를 찾아서 연계시키는 역사민속학 방법론을 적극 수용하는 것이 민속학의 위기 극복의 지름길이라고 본다. Studies on folklore in Korea started in the early of 1930s. Jin-Tae Son and Suk-Ha Song who studied in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were the leaders of the studies. Those were the times when Japanese scholars studied on Korean history and Korean folklore as a way to rule Korea and they influenced on Korean scholars who studied on folklore. The pioneer of the studies on Korean folklore, Jin-Tae Son, ha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folklore while he was in Japan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field. His early studies described Korean folklore as a primitive culture which shows that he agreed with the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anthropology to control Korea. However, after he returned to Korea in 1934, he regretted his previous studies and turned into a neo-nationalist. He revealed his ideas on Korean history and nationalistic culture as a Korean historian. He prescribed folklore as national culturism. Studies on Korean folklor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with the breakdown of village community. The conquest of the crisis can be an alternative of folklore. Jin-Tae Son l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ism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hile contributed on the folklore with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Today, Korean scholars who study on Korean folklore should change their way to study which they took after the Japanese scholars. We should study folklore in the way of Jin-Tae Son’s national culturism, consider the spots of folklore seriously and accept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folklore and it can be an way to overcome the risk which we have today in studies on folklo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韓·中 觀音化身說話의 比較 硏究

        송화섭(Song, Hwa-Seob)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0

        觀音化身說話는 관음보살이 33應身으로 변신하여 중생이 있는 곳이면 어느 곳에라도 나타나 빠짐없이 구제해준다는 佛菩薩의 이야기를 말한다. 관음화신설화 가운데 海岸漂着形說話가 있다. 해안표착형설화는 먼 바다에서 진귀한 문물과 보물을 실은 배가 표류해와 해안에 당도한다는 이야기인데, 배에 실린 문물은 불상, 불경, 보살상, 보석 등 불교의 전래와 관련되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해안표착설화는 배에 관음상을 싣고서 오는 경우가 많으며, 바다에서 표류하는 것은 인연의 땅을 찾아가기 위함이다. 因緣이 있는 땅의 해안에 표착한 후에 노구나 승려에 의하여 영접의식이 이루어진 뒤에 관음상과 불상은 사찰이나 가람터에 안치되는 형식을 취한다. 이러한 설화는 주로 한반도 서남해안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에 상주하는 老?와 승려가 배를 인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觀音船은 한반도 서남해안과 바닷길이 연결된 항로를 따라 올라오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한반도 서남해안과 연결된 사단항로는 중국 주산군도 영파와 보타산이다. 주산군도의 보타산은 동아시아 최대의 관음성지로 알려졌는데 보타산에도 해안표착형 관음화신 설화가 존재한다. 普陀山의 紫竹林에 상주하는 노파가 해안에 접안하는 배를 위하여 부두를 만들고 참배객들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노파는 관음보살의 화신이다. 보타산에서 관음보살의 화신은 섬과 섬 사이로 뛰어다니는 거인으로도 現身하고 있다. 보타산은 해양지리적으로 남해에서 동해로 전환되는 분기점이어서 남해는 동남아시아와 연결되어 있고, 동해는 동북아시아와 연결될 정도로 해상교통의 요충지이다. 보타산에서 일컬는 남해 관음보살은 남인도의 보타락가산에서 해양실크로드를 통해서 전파해온 힌두신앙과 결합된 관음신앙이며, 이 관음신앙이 보타산에서 중국화되고 다시 동해를 이용하여 한반도 서남해안으로 쿠로시오를 타고 북상해온 것으로 보인다. 주산군도의 보타산에서 전승되던 노구설화와 관음화신설화가 한반도로 건너와 서남해안에 퍼트려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보타산의 관음화신설화는 해상 교역과 교통이 활발하던 통일신라 이후 고려시대에 한반도 해안에 사신과 해상들이 의해서 확산된 것으로 보이며, 해양신앙과 더불어 해안표착설화가 서남해안 곳곳에 남아서 구전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해양지리적으로 보타산이 관음성지로 조성되기 이전부터 해상교통의 요충지였지만, 관음성지로 조성된 唐宋代 이후에 해안표착형 관음선이 한반도 서남해안으로 들어오면서 관음화신설화가 확산되어 간 것으로 보인다. The myth of the goddess incarnate (Gwanum Bosal) is a story on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ho changes into 33 Ungsin (goddess) and relives people from the pain of life. There is a myth of the goddess incarnate cast away on the coast. It means a ship with valuable things was drifted away on the coast and the valuable things were Buddhist statues, Buddhist scriptures, statues of Buddhist Goddess, and jewels. Most of the myths of the goddess incarnate cast away on the coast are related with a ship with statues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and its drifting on the sea was to find a place to land. After it landed on the coast which it was supposed to, Buddhist statues, statues of Buddhist Goddess were welcomed by people including monks, and finally placed at a temple. The myths are mostly distributed on the South East coast and a monk lived on the coast leaded the ship. The ship, Gwanumseon, is assumed to come through a sea route connected between the South East coast and Youngpa and mountain Bota in Jusan archipelagoes in China. The mountain Bota in Jusan archipelagoes is a well known place as the biggest holy place of Gwanum and there is a myth of the goddess incarnate cast away on the coast. An old woman lived in Jajukrim in the mountain Bota made a quay and help worshipers and she was one of the incarnates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The incarnate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was also known as a giant jumping from one island to another. The mountain Bota is a diverging point of the East Sea and the South Sea. The diverging point is an important place as the South Sea is connected with South East Asia and the East Sea is connected to North East Asia.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from the South Sea in the mountain Bota is a combination of Hindu belief which was from the mountain Botarakga in South India through the Silk Road of the sea and it became chinese in the mountain Bota and came to South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through East Sea and Kuroshio current. It is assumed that the myth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in the mountain Bota came to the South East coast. It was distributed by diplomatic representatives and merchants during Corea period when sea trades were active. The mountain Bota was an important place even before it became a holy place of Gwanum but after the periods of Tang and Song when it became a holy place, the ship, Gwanumseon came to the South East coast and the myth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as spreaded.

      • HCCI 엔진에서 연료 전처리 변화에 따른 연소 현상 분석

        송화섭(Hwasup Song),송한호(Han Ho S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HCCI engine has desirable emission characteristics as well as high efficiency, but its limited operating range makes it difficult to come into wide use. From our previous study, it is shown that pre-procesing of the fuel during NVO (Negative Valve Overlap) leads to extend the low-load limit of HCCI.1) In this study, zero-dimensional single zone model, along with fuel injection timing variation strategy, was adopted to simulate and analyze the combustion phenomenon. With this fuel pre-processing, more stable operation can be achieved compared to the main injection case which doesn"t perform pre-processing of fuel. In addition, the controllability of combustion phasing can be achieved by varying pilot injection tim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