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가요 정읍사의 역사적 배경지 고찰

        송화섭 ( Song Hwa-seob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그동안 백제 가요 정읍사는 국문학의 영역에서 연구되었다. 정읍사 연구는 설(說)만 무성하였을뿐 실증적, 역사적 연구는 없었다. 정읍사의 상징은 망부석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정읍현 고적조에 망부석은 정읍현의 북쪽 10리에 있다(在縣北十里)에 있다고 기록해놓았고, 세상에 전해오기를 고개에 오르면 망부석의 발자취가 아직도 있다(世傳登岾望夫石足跡猶在)는 구체적인 기록이 있다. 망부석의 사료적 가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고적조에 편재하여 실려 있다는 사실이다. 고려시대에 망부석은 `고적(古蹟)`의 대상이었다. 고적의 시점은 백제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다. 정읍시에서 북서 방향 10리 거리에 천곡리 샘실마을이 위치한다. 샘실마을은 백제시대 정촌현(井村縣)의 치소로 추정된다. 샘실마을의 뒤쪽 치마바위산에 오르면 마을기념물로 전승되는 부엉바위가 위치한다. 망부석은 고개에 오르면 있는데(登岾望夫石), 등점(登岾)은 샘실마을에서 동죽리로 넘어가는 동죽재를 지칭한다. 따라서 망부석은 샘실마을의 동죽재 부근에 위치하는 부엉바위로 비정된다. 백제시대 정읍(井邑)은 정촌현(井村縣)이었는데, 샘실의 지명이 정촌(井村)이다. 백제 가요 정읍사의 역사 기록과 정읍사 가사와 망부석 사료를 샘실마을의 지리적 위치, 산세와 고개, 부엉바위 등에 적용시켜보니 딱들어 맞는다. Jungupsa has been studied frotm the aspect of literature.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er who has tried to study Jungupsa with historical evidence. A symbol of Jungupsa is Mangbusok (the stone on which a faithful wife stood waiting for her husband until she perished). There is a record on Jungupsa in `Shinjungdonggukheojisungram`and it says that there is Mangbusok, 10-ri (0.25 mile) away from the north of Jungup-hyeon. It also says that a trace of Mangbusok could be seen from the peak of mountain. The historical worth of Mangbusok is recorded in Gojeokjo of `Shinjungdonggukheojisungram`. Mangbusok was worth as Gojeok (historical remains) during Goryeo Kingdom. The time of Gojeok goes up to Baekje Kingdom. There is Samsil village, 10-ri away from the north of Jungup. Samsil village is assumed to be Chiso in Jungchon-hyeon, Baekje Kingdom. There is Bueong-Bayu (a rock that looks like an owl) in Chimabayu-san (mountain) behind of the village. Mangbusok is on the peak of the mountain. According to the record, Dungjeom is Dongjukjae that located on the way to Dongjuk-village from Samsul village. It is assumed that Mangbusok could be the Bueong-Bayu near Dongjukjae and Jungup was called Jeongchon-hyeon and the name of Samsil was Jungcheon.during Baekje Kingdom.

      • KCI등재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송화섭(Song, Hwa-Seob)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한국의 줄다리기는 쌍줄다리기(고싸움놀이) · 외줄다리기 · 게줄다리기 · 앉은줄다리기가 있다. 줄다리기는 한국에만 존재하는게 아니라 일본, 중국, 베트남,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연행되는 의례행위이다. 동아시아 관점에서 한국의 줄다리기는 고싸움놀이형은 투륜견삭형(鬪輪?索形), 龍줄다리기형은 나가(Naga)형, 게줄다리기형은 게(蟹)형상과 닮은 꼴을 하고 있다. 줄다리기는 내륙산간지역보다 해안평야지대에서 전승 비율이 높다. 그동안 한국의 줄다리기는 농경의례라는 시각이 주류였다. 그러나 한국의 줄다리기 전개과정에서 뱀보다는 용의 이미지가 강하고, 용은 내륙평야 지역에서는 천룡(天龍), 해안도서 지역에서는 해룡(海龍)의 상징으로 신앙의 대상이다. 이러한 사실은 줄다리기의 강신(降神)과 오신(娛神)과 송신(送神)의 과정에서 나타난다. 평야지대에서 줄다리기 후에 줄을 당산 입석과 나무에 감는 방식은 하늘로 돌려보내는 송신을 의미하고, 줄을 바다에 던지는 방식은 줄을 해룡(海龍)의 신체로 인식하고 바다로 돌려보내는 송신의 의미이다. 줄다리기를 정월보름과 팔월보름에 거행하는 것은 동아시아의 관행이다. 한국의 줄다리기는 정월보름에 거행하는게 일반적이며, 동아시아 줄다리기의 원형질이 남아있다. 투륜견삭형, 나가형, 게줄다리기의 밀교적 요소가 그러한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의 줄다리기가 밀교와 관련있음은 『동국세시기』에 “검은 승복입은 무리들이 줄다리기를 즐겼다(緇徒又有此戱)” 는 기록이 말해준다. 밀교의례가 발달했던 고려시대의 줄다리기는 上元節(음1.15) 연등회에서 행해졌다가 조선시대에 마을민속놀이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줄다리기가 밀교의례라는 사실은 캄보디아 앙코르왓트 나가형 줄다리기와 중국의 시구지희(施鉤之戱) 줄다리기가 불교경전인 『涅槃經』의 투륜견삭에서 나온 것이라는 기록으로 알 수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전승하는 다양한 줄다리기가 동아시아 해양실크로드를 따라 한반도에 전파되었고, 동아시라 해류의 최종기착지인 한반도에는 동남아시아 다양한 줄다리기가 전승되고 그 사상적인 배경도 읽어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한국의 줄다리기는 인도의 밀교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밀교가 동아시아로 확산되면서 줄다리기는 밀교의례로 실행되었다. 티베트 고원에서 줄다리기가 승려들이 번뇌와 윤회를 극복하는 수행의례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신년축제에서 신년하례의식으로 정착한 것이다. 뱀이 허물을 벗고, 게(蟹)가 탈피(脫皮)를 하듯이, 사람도 새해를 맞이하여 새롭게 태어나는 재생의식이 줄다리기였다. 줄다리기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신년하례였다. 낡은 사고와 세계는 보내고 새로운 세계, 새롭게 탄생하는, 새로운 생명력을 얻는 재생의례(再生儀禮)로서 줄다리기를 신년하례(新年賀禮)로 거행하였던 것이다. Korean Juldarigi (a tug of war ) consists of Ssang-juldarigi(Gossaum), Oi-juldarigi (with a dragon shape rope), Gae-juldarigi (with a crab shape rope), and Anjun-juldarigi (a tug of war in sitting position). A tug of war is a game performed at a ceremony or an event in Southeast Asia such as Japan, China, Vietnam, Laos, and Cambodia including Korea. The Korean tug of war has similar properties to other tug of war played in other countries in Southeast. Gossaum is similar to Turoongyeonsak, Young-juldarigi can be compared to Naga and Gae-juldarigi looks similar to with a crab shape rope. A tug of war was handed down more often to the people in coast areas than in inland areas. Korean tug of war was considered as a part of an agricultural event. However, Korean tug of war has Young-juldarigi (with a dragon shaped rope) and people worship a dragon as a symbol from heaven in inland areas and from the sea in coast areas. We can see this from the processes of Gansin (a process that calls for a god), Oshin (a process that pleases a god), and Songshin (a process that bids farewell to a god). People send a dragon back to heaven by wrapping a stone or a tree on Dangsan (a mountain where village people believe that god lives in) with the rope after a tug of war in inland areas. People in coast areas send a dragon back to sea by throwing th rope into the sea. It is an Asian custom that a tug of war is conducted on the fullmoon day in January and August in lunar calendar. Korean tug of war is commonly performed in January and it has the origin of Asinan tug of war. Turoongyeonsak, Naga and Gae-juldarigi shows that Asian tug of war has components of Esoteric Buddhism. It was recorded in 『Dongguksaeshigi』which says “Monks in blak Sungbok (cloths that monks wear) likes to play a tug of war. The tug of war was performed at lotus lamp festival in Corea dynasty when Esoteric Buddhism was developed and became a traditional game conducted in a village in Chosun Dynasty. There are other records that a tug of war was from Esoteric Buddhism and they say Naga in Angkor Wat and Shigujihee in China are from Turoongyeonsak in a book on Buddhism 『Yeolbankyeong』. Varies kinds of tug of war came from Southeast Asia to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sea silk road and we can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m. Korean Juldarigi was based on Esoteric Buddhism of India and became a part of a ceremony for it as it came to the East Asia. A tug of war was performed by monks in Tibet as a way to overcome agony and reincarnation at first then it began to be a part of the New Year festival. The tug of war was a ceremony to become a new person on New Year’s Day like a snake and a crab that do self-renewal. People did a tug of war as a symbol of regeneration thinking they were sending old ideas and the old world and greeting a new world and a new life.

      • KCI등재

        역사민속학 관점에서 본 한국민속연구의 나아갈 방향

        송화섭(Song, Hwa-Seob)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59

        한국민속학의 태동기는 일제강점기이다. 일제는 한국의 민족정신을 말살시키려는 식민정책 수단으로 제국주의 학자들을 민속조사 사업에 참여시켰고, 이에 대응하여 신채호, 정인보등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한국 민족문화의 뿌리깊은 정신세계를 상고시대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1920년대 일본유학생이었던 손진태, 송석하 등이 일본인 인류학자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1932년에 조선민속학회를 태동시켰다. 일본인 관학자들은 제국주의 민속학을 지향하였고, 그들의 영향을 받은 유학생들은 민속 현장에서 자료를 채집하는 지향점은 같았다.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민속학은 해방후에도 현장민속 연구방법론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민속학은 민족문화학으로서 민족학의 범위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손진태는 “민속학은 민족문화를 연구하는 과학이다”라고 하였다. 해방 7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민속학은 독립적인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 민족에서 민속을 찾고, 민속을 통해서 민족문화를 복원하고 전승하는데 민속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The fomentation period of Korean folklore is Japanese colonial period. To get rid of the spirit of Korean, Japan made a group of Japanese scholars for investigation of Korean folklore. Korean historians, such as Chae Ho Shin and In Bo Jeong, studied Korean ancient times (Sanggo period- a period from old Chosun to Sam-Han) to find spiritual background of Korean ethnological culture to be against the manipulation of Korean history by the Japanese scholars. Jin Tae Son and Seok Ha Song who studied in Japan in 1920s had influence of Japanese anthropologists and made Association of Chosun Folklore. The Japanese scholars intended to make Korean folklore as imperial folklore and the students who had their influence collected data in the field. The colonial folklo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still affect the means of study on Korean folklore eve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olklore is a study of ethnological culture and should be investigated in the field of ethnology. Jin Tae Son said that “Folklore is science that studies ethnological culture”. Even these days, 70 years after Korean liberation, we still have no foundation of independent learning for ethnology. Scholars who study on folklore should try to find traditional Korean culture in ethnology, restore it, and hand it down to our descendents.

      • KCI등재

        조선후기 類書類의 구황과 벽온 민속 : 『증보산림경제』를 중심으로

        송화섭(Song Hwa Seob)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34 No.-

        17~18세기는 주기적으로 자연재해(自然災害)가 발생하여 백성들의 삶이 매우 고달픈 시기였다. 특히 기상이변(氣象異變)은 농작물을 황폐화시키고 심각한 농사흉년은 기근을 발생시키고,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기사자(饑死者)들이 늘고, 기근으로 불결한 위생(衛生)환경이 질병과 전염병을 유발하고 전염병은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급속하게 확산되면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이 많았다. 기근과 전염병을 피하여 집을 버리고 떠난 사람들은 굶주림에 지쳐 거리에서 죽음을 맞이하거나 거지 행세를 하거나 마을에 들어가 도둑질하는 것이 일상적이었다. 이와같이 자연재해로 인한 흉년은 기근을 유발하고 전염병을 확산시켰으며, 유민(流民) 현상과 도둑들이 횡행하는 사회현상이 100여 년간 주기적으로 지속되었다. 오랜 기간동안 자연재해로 생활의 재앙을 겪게 되자, 백성들은 자구책으로 굶주림을 극복하는 구황식(救荒食)을 개발하고, 전염병을 치유할 수 있는 벽온방(辟溫方)을 만들어 냈다. 특히 17세기말 유중림이 편찬한 『增補山林經濟』는 벽온과 구황에 대한 지식과 지혜를 상세하게 기술해 놓았다. 백성들은 구황에 대비하여 구황장(救荒醬)을 만들고 곡물, 열매, 한약재, 나무를 이용하여 구황식과 벽온에 필요한 약재와 열매로 환, 분말, 액 등을 만들어 상시 복용하는 등 다양한 구황민속과 벽온민속을 태동시켰다. 구황 민속은 흉년 발생시에 기근을 극복하는 지혜를 유포시켰으며, 벽온 민속은 전염병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지혜를 유포시켰다. 구황 민속과 벽온 민속은 과학적·의학적인 대응수단 뿐만 아니라 주술적인 대응민속(對應民俗)도 유발시켰다. 유중림은 『증보산림경제』에 구황편에 벽온의 항목을 두어 농촌에서 실천적인 체험에서 얻어진 생활의 지혜를 기술해놓았다. 그 결과 조선후기 민간에서 의료민속을 정착시키는데 기여하였다.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people had a hard life because of frequent natural disasters such as drought and owing to the deficiency of water supply, people could not grow crops well so they died of famine and disease caused from malnutrition. People who deserted their home to avoid famine and disease also died of hunger on the streets or become a begger or a thief and this phenomena lasted for about 100 years. The long lasted drought made people develop meals to overcome famine and places to treat disease. Jungbo Salrim Kyeonjae written by U, Jung Rim in the late 17th century described on disease treatment and famine relief. People made a special sauce and meals by using grains, seeds, herbs and trees to overcome famine and special medicine for treatment of disease. Folklore on Guhwang was about how to overcome famine and folklore on disease treatment was about ways to treat disease. The folklores induced development of scientific medical disease treatment and sharmanistic ways to treat disease. Jungbo Salrim Kyeonjae of U, Jung Rim which had a part on disease treatment contributed the establishment of folklore on medical ways to treat disease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

        송화섭(Song, Hwa-Seob)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2

        洞祭의 역사는 마을의 역사와 함께 한다. 자연마을은 약 300여 년전에 촌락 분화로 생성된 곳이 많다. 촌락의 분화는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住民 移動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17세기말 18세기 초에 自然災害에 따른 天災地變으로 기근과 전염병 창궐의 大災殃을 맞게 된다. 마을과 고을을 지키는 사람은 위기극복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집을 버리고 마을을 떠난 流浪民들은 새로운 삶터를 찾아야 했다. 촌락공동체 주민들은 위기 극복의 수단으로 동제를 지내고, 마을수호를 위한 다양한 종교적 장치물을 마을 입구에 조성한다. 당산, 장승, 짐대, 돌탑, 입석 등 마을 수호와 관련된 종교적 장치물이 그러한 것이다. 이와같은 민속신앙물은 17세기말 18세기초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발생하였다. 부안 지역에서 당산입석은 1683년에서 1749년에 걸쳐 조성되었다. 이 시기에 변산반도와 부안현에서는 자연재해로 인한 凶年 饑饉으로 사람들이 수없이 죽어가고, 백성의 생활상은 비참한 상황이었다. 또한 지속되는 흉년으로 유랑민들은 변산으로 몰려들었고, 내변산의 도적떼들은 사찰을 급습하여 점거하고 약탈을 일삼기도 했다. 사찰과 마을에서는 社會的 凶難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찰에서는 재난 극복을 위한 水陸濟와 神衆道場을 설행하여 중생구제와 백성들을 慰撫하는 法會를 열었다. 18세기 초에 내소사와 개암사에서 掛佛畵를 제작하여 대중적인 수륙재를 열어 영혼천도의식을 거행하였으며, 밀교의례의 신중도량을 열어 기근과 질병 등 재난으로 시달리는 백성들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변산에서는 내소사, 개암사, 실상사 등에서 신중도량을 열었고, 지역주민들도 두 사찰에 모여 기근과 전염병으로 죽은 영혼을 천도하는 수륙재에 참여하였던 것이다. 조선 후기에 수륙재와 護法善神을 위한 神衆道場과 信仰이 성행하면서 사찰의 수호신앙이 마을의 수호신앙으로 내려갈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擁護神衆壇가운데 堂山天王壇을 설행하고 神衆作法과 儀式이 마을의 堂山祭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사찰의 당산신앙이 마을로 내려간 모습을 내소사의 사하촌인 입암리, 원암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원암리, 입암리에는 동구에 당산, 장승, 돌탑, 짐대, 입석 등이 조성된 사례가 그것이다. 17세기말과 18세기초에 사찰에서는 괘불화를 제작하여 수륙재를 거행하면서 영혼천도와 전염병 억제를 간절하게 빌었고, 마을주민들은 마을에 당산을 조성하여 마을이 평안하고 풍요롭게 되기를 간절하게 비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주민들은 사찰에 의탁하여 정신적으로 위안을 삼고 사찰은 중생 구제를 위하여 마을로 내려갔다. 그 과정에서 불교신앙이 민속신앙화하면서 마을의 당산제가 성립된다. 사찰의 擁護神衆信仰 가운데 堂山天王濟가 堂山祭, 堂山天龍祭 등으로 마을신앙화된 것이다. 사찰의 수호신앙이 마을로 내려가 마을의 수호신앙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 당산제다. 석포리의 당산제는 고려시대 이후 지속된 상원절 연등회의 전통을 유지해오고 있다. 상원절 연등회의 줄다리기가 조선 후기에 당산신앙과 결합하여 상원절 당산제를 정착시킨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송화섭(Song, Hwa Seob)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7

        한국의 구전설화에서 마고할미설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마고할미의 연구는 주로 국문학적 관점에서 무가 자료를 통하여 천지창조신화의 대상이라고 규정해왔다. 무속신화에서 마고할미는 渡來神이 아니라 自生神이라는 관점이 우세하다. 그동안 마고할미 연구는 구전자료에 의존하였지 문헌자료는 연구대상의 관심 밖이었다. 그런데 조선시대 문집에서 마고선녀와 마고할미에 대한 시문과 가사가 문학작품에 등장하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서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마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데, 이들이 인식하는 마고는 중국의 마고선녀였으며 18세기에 이르러 마고할미가 문헌에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마고할미는 천지창조신화, 창세신화가 아니라 단지 구전자료의 대상일 뿐이다. 중국에서 마고는 도교적 신선이며, 산신으로 등장할 뿐 힘센 거구로 등장하지 않는다. 마고할미가 거구의 신체로서 신통력을 발휘하는 모습은 한국적인 특수성이다. 한국에서도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마고를 낭랑 18세의 선녀로서 아름다움을 찬탄하고 있는데, 서민문학이 흥성하던 18세기 가사문학에 비로소 선녀가 할머니로 전락하고, 신선세계에 있던 마고가 인간세계로 내려와 서민생활 속에 정착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마고할미설화를 분석해본 결과, 부분적으로 중국의 마고전설을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마고전설이 한국으로 전파해왔고 다양하게 變異해갔다. 조선후기 가사문학이 발달하면서 마고할미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구전설화와 결합하면서 변형설화를 발생시켰다. 마고할미설화의 핵심이 거인설화인데, 거인설화의 근원은 해안지역에 유포되어 있는 관음보살의 화신인 할미신과 할아버지신이다. 이 관음보살과 마고할미설화가 결합하면서 거구의 마고할미가 출현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마고할미가 해안지역과 도서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마고할미의 배후지는 중국 최대의 관음성지인 보타산 해안으로 설정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明淸交替期이후 麻姑獻壽圖가 민간신앙의 대상으로 전승하면서 마고선녀는 마고할미로 전환하는 모습도 엿보인다. 보타산과 한반도는 황해남부 사단항로를 따라 바닷길이 열려 있었다. 보타산에서 마고와 관음이 결합한 거구의 白衣觀音菩薩이 사단항로를 따라 건너왔으며, 이 관음보살이 할머니로 화신하여 바닷가와 섬에 해신으로 좌정하게 된 것이다. 한라산 꼭대기에 좌정하고 있는 거구의 설문대 할망이 마고와 할미가 결합한 백의관음보살의 화신이다. 마고산신과 백의관음이 조합된 백의관음보살이 마고할미로 화신하여 한반도 전역에서 신통한 위력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 변산반도의 관음신앙

        송화섭(Song Hwa-Seob) 역사문화학회 200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5 No.2

        The Byeonsan peninsula is part of the Jeonbuk Province Buan-gun area. A particular place which seems to have been a site for memorial services, suggests that people at the time have been performing certain services ever since the 4th century, hoping that the entities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the sea would look after them. The people of the Baekjae dynasty already knew that the Byeonsan peninsula was an important area for sea traffic. There are also tales depicting the Gwaneum's arrival and various types of pictures depicting the Gwaneum figure, found, collected or confirmed through the area. The mystic religions involving the Gwaneum figure are mostly found in the Seonun-san mountain and other areas. The tales and pictures collected in this area suggest that the area was immensely prospering at the time as one of the most strategically important traffic points. And from the site which seems to have been meant for memorial services, the artifacts from the Chinese and Japanese people were also found, suggesting that the area was indeed a focal point, crowded with both domestic and foreign entities who exchanged cultural qualities in the process. In China, the Botarakga Island of the Jujang(浙江) area was one of the most famous places to deliver a prayer for the safety of ships passing by. According to the record of Seo Geung, who was a Chinese emissary to Koryo, it seems that there was a seaway established between this island and the Byeonsan peninsula of Koryo. The Gwaneum worship which was introduced to the Koryo dynasty seem to have originally been from the Botarakga- Isl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Shilla dynasty, ships carrying mercenaries and emissaries seem to have usually delivered a prayer or memorial services at this place hoping the Gwaneum figures to oversee their safety. These kinds of worships are still being strongly demonstrated by the big part of the public, today.

      • KCI등재

        조선 후기 부안의 돌짐대와 석당간

        송화섭(Song Hwa-Seob) 역사문화학회 201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5 No.1

        부안읍에는 석당간과 돌짐대와 돌돛대가 읍성 안팎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짐대는 솟대를 지칭하는 것인데, 솟대는 정체성을 상실한 명칭이며, 마을 현장에서는 짐대, 진대, 오릿대, 오리짐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마을 짐대는 오리 조각이 간주(竿柱) 꼭대기에 얹혀져 있는 것을 말하는데, 오리 장식의 짐대가 부안읍에 세워진 시기는 1689년이다. 부안읍 서문안 오리짐대에는 짐대를 세운 조성 연대가 처음 등장하여, 짐대의 역사를 말해준다. 짐대의 역사가 문헌기록에 등장하지 않아 역사추적이 어렵지만, 부안의 돌짐대 명문은 짐대의 역사를 말해준다. 짐대는 행주형지세의 마을에 세워진 돛대를 말하는데, 부안읍에서는 돌돛대와 돌짐대가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후기에 짐대가 돛대에서 파생되었음을 말해준다. 돛대에는 오리 장식이 없는 반면, 짐대에는 오리 장식이 등장하여 돛대에서 짐대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돛대는 재질에 따라 목장(木檣), 석장(石檣), 철장(鐵檣)으로 구분된다. 부안읍에는 17세기 후반에 세운 석장이 등장하는데, 부안읍이 행주형지세(行舟形地勢)이므로 돛대의 기능으로 세워놓은 것이다. 행주형지세에 석장의 등장은 고려시대 행주형지세의 사찰에 철당간(鐵幢)을 세우는데서 비롯하였다. 따라서 고려시대 사찰에 세워졌던 철당간은 사악한 마귀(魔鬼)를 누를 목적으로 세운 압승(壓勝) 기능의 당간이었다. 이와같이 고려시대 행주형지세의 사찰에 세워졌던 석장은 조선시대 주현 단위의 행주형지세 읍성에 세워졌고, 조선 후기 마을 단위의 행주형지세의 마을에 세워졌다. 짐대의 변천 과정은 고려시대 철당간에서 고려시대 말 조선시대 전기에 석장으로 변모하였고, 조선 후기에 오리짐대로 변화하였다. 부안 지역의 돌짐대는 조선 후기에 당간에서 돛대로 변화하고, 돛대에서 짐대로 변화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ere are Seokdanggan, Doljimdae and Doldotdae in Buan. Generally Jimdae is known as Sotdae but it is called in unique names such as Jimdae, Jindae, Oritdae or Orijimdae since Sotdae just means a pole with a bird on it. Jimdae was first appeared in 1689 in Buan. The Orijimdae which is located inside of the West Gate in Buan tells the history of Jimdae as it shows when it was built, which is important because there is no record on Jimdae in history books. Jimdae is a Dotdae (a pole on a ship) built in a village which had a shape of sailing ship. There are Doldotdae (a pole made of stone) and Doljimdae (a jimdae made of stone) in Buan which shows that Jimdae was from Dotd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Dotdae has no duck on top of the pole while Jimdae has duck on it. Dotdae was named according to what material was used to make it such as wood, stone or steel. There is a Doldotdae that was made in the late 17th century in Buan. The Doldotdae was from Cheoldanggan (a pole made of steel) at a temple built in an area which had a shap of sailing ship. Cheoldanggan was first built in Corea Dynasty to protect a temple from evil. Like this, Doldotdae was also built in a village which had a shape of sailing ship. The Cheoldanggan in Corea Dynasty became Doldotdae in the late Corea Dynasty an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ater Orijimdae which had a duck on top of i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oljimdae in Buan is a historical evidence of this transition.

      • KCI등재

        1930년대 전주 덕진연못의 단오물맞이

        송화섭(Song Hwa Seob),김경미(Kim Kyung Mi) 역사문화학회 2013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6 No.1

        전주 덕진연못은 바닥에서 龍泉水가 솟는 天然못이다. 덕진연못은 주변의 숲이 울창하고 연못의 깨끗한 물은 항상 넘쳐흘렀다. 이러한 신비스러운 경관으로 연못 속에는 龍이 머물고 있다는 神聖 관념이 생겨났다. 그래서 고려시대부터 덕진연못의 용에게 祈雨祭를 지내고 聖水로 물맞이를 즐기는 관행이 전승되어 왔다. 기우제는 용왕에게 雨順風調를 기원하는 의례이고, 물맞이는 단오일에 목욕으로 不淨을 털어버리는 淨化儀式이었다. 고려시대 밀교신앙의 영향을 받은 부녀자들이 연못의 성수로 목욕하는 관행이 태동하였고, 그러한 전통은 조선 후기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에 기녀들이 단오일에 반나체로 목욕하는 그림으로 묘사되었다. 부녀자들이 덕진연못에서 반나체로 목욕하는 단오물맞이 광경을 1938년 동아일보에 기사화한 것이다. 조선 후기는 烈女女性像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던 시기여서 덕진연못에서 반나체의 물맞이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부녀자들의 반나체 목욕은 고려시대 전통의 물맞이 관행이었지만, 조선 후기에는 性的 억압에 대한 性的 충동의 반작용으로 보인다. 여성의 신체 노출은 신분제 해체와 민중의식의 성장에 따른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된 자연스러운 현상이 덕진연못의 단오물맞이에서 표출된 것이었다. The water of Duckjin Pond in Jeonju is a natural spring. The pond was considered a holy place as people thought there was a dragon living in there since there was a lot of trees around it and the water was always clean. People began to pray the dragon for rain and bathe in the holy water during the Koryo Dynasty. A ritual for rain was a ceremony that people pray dragon for rain and bath in holy water (Mulmatjee) was a rite to get rid of all the bad luck with holy water. During the Koryo Dynasty, women who belived Esoteric Buddhism bathed in holy water and it was shown in the paintings of Yoon Bok Shin who was a famous painter in Chonsun Dynasty, which Gisaengs bathed in water half naked. The bathing scene of half-naked women in Duckjin Pond was a news item of Dong A news paper in 1938. Freedom of women in the late Chonsun Dynasty was strictly restricted so their bathing in half-naked was exceptional. Although the bath in holy water was a rite during the Koryo Dynasty, it seemed that it became a reflection of sexual desire against suppresion of the society on women. The exposure of the body of women shows the improvement of women’s position in the society and it was naturally expressed through the bath in Duckjin Po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