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수학 학습 성취도 실태 조사 :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송혜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irst, in terms of grad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ordinary students, there was difference in terms of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 for 4th and 5th grade. Second, in domain difference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ordinary students in 4th and 5th grade, by considering numbers and operation, letter and formula, measurement domain and also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has difference in 5th grade which is not included for 4th grade, there might be difference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as well. Therefore the result showed there were difference in 4 domains mentioned above. This requires attention while teaching each domain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both 4th and 5th graders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ordinary students. This show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get lot of linguistic influence for learning mathematics. Therefore for teach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 plan to overcome the linguistic achievement should be prepar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 사이의 수학 학습 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수학 학습에 있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수학 학습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초등학교 4, 5, 6학년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의 1. 학년별 수학 학습 성취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영역별 수학 학습 성취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3. 문장제 해결 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지필 검사는 2003년, 2004년, 2005년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문항지로 본 연구에 맞게 재배치 한 문항으로 각 영역의 문항이 골고루 포함되게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구, 유성구, 중구에 소재한 24개 학교에서 88명(4학년:31명 5학년:32명 6학년:25명)의 다문화가정 자녀와 동구, 유성구, 중구에 소재한 3개 학교 9개 학급 (4학년:3학급, 5학년:3학급, 6학년:3학급)의 281명(4학년:92명, 5학년:90명, 6학년:9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1, 2, 3을 해결하기 위해 ‘학년별’, ‘영역별’, ‘문장제’에 대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과의 정답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엑셀을 사용하였고,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사회 과학의 분석 도구인 SPSS 12.0KO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t-test)를 실시하여 기본적인 통계치와 집단 간의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의 학년별 수학 학습 성취도의 차이에서, 초등학교 4, 5학년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의 영역별 수학 학습 성취도의 차이에서, 초등학교 4, 5학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측정 영역과 4학년에서는 검사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확률과 통계 영역은 5학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위의 4개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영역별 지도 시 주의가 요구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일반 학생들의 문장제 해결 능력의 차이에서 초등학교 4, 5학년에서 문장제 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수학 학습을 하는데 있어 언어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지도할 때 언어 능력의 차이를 극복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경력전환교사의 교사정체성 형성과정 연구

        송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이 아닌 다른 분야의 직장에서 일을 하다가 진로를 변경하여 초등교사가 된 경력전환교사들의 교사정체성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전환교사들이 교직을 선택한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경력전환교사들의 교사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경력전환교사들의 현직 적응 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떠한가? 넷째, 경력전환교사들의 교사정체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직장에 다니다가 초등교사로 직업을 변경한 경력전환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법을 활용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전환교사들의 교직 선택 과정은 익숙함과 결별하고 새로운 자아를 찾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경력전환교사들은 고등학교 시기에 자신의 적성이나 진로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대학 전공을 선택하였고, 이것이 그대로 취업으로 이어져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다시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은 은행, 학원, 여행사, 광고회사 등 하던 일은 서로 다르고 다양했지만, 공통적으로 직장 생활에서의 부적응과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것은 일과 삶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일상에서의 여유와 삶의 질을 중요시 여기는 일-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을 교직 선택의 주요한 동기로 언급하였다. 뒤늦게 자아를 찾아나가는 과정을 거치며 새로운 진로 탐색의 결과, 교직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전환교사들의 교사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은 교직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고, 도전과 책임감으로 성숙해지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경력전환교사들은 교육대학에 입학할 때는 직업적 안정성, 사회적 인식, 여유 있는 근무환경 등 외적 가치에 의해 교직이라는 진로를 선택하였지만 교사 준비 과정을 통해 교직의 내적 동기가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교사 준비 과정 동안이 자신감 회복, 자아효능감 상승 등을 통해 교사가 되고자 하는 긍정적인 의지를 다지며 자신만의 교사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력전환교사들의 현직 적응 과정에서의 경험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교직 적응의 다양한 영역과 직무 만족 측면에서 일반인과 교사라는 두 개의 렌즈를 활용하여 교직을 바라보고 있었다. 직장인으로서 가지고 있었던 삶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교실에 가지고 오기도 하였고 일반 직장생활의 근무경험으로 학교의 행정업무에 대해서는 부담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인의 삶과 일이 분리되지 않거나 매년 새로운 환경을 맞이하는 직업적 특수성은 교직에 들어오고 나서야 깨닫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관계에 있어서 좀 더 융통성 있는 대응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립된 공간에서 재량을 발휘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은 만족하고 있었지만, 교권하락 및 교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증가 등에 심리적으로 좌절감을 느끼고, 다른 의견을 내기 어려운 학교 분위기나 결속력이 약한 교직 문화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현하였다. 넷째, 경력전환교사들의 교사정체성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이전 직장을 그만두고 교직이라는 새로운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심리·사회적 발달 및 인생사건을 통해 끊임없이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었다. 직업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교직에 대한 관심을 가진 것은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새롭게 찾는 출발점이 되었으며, 교사 준비 과정을 통해서는 교직에 대한 자신의 동기와 의지를 확인하여 교사로서 거듭나는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환경 조건과 사회적 관계의 차이는 그들이 교사가 되고 나서 같은 교육 현상을 바라보아도 때로는 일반인의 시선으로, 때로는 교사의 시선으로 두 가지의 렌즈를 활용하여 교직을 바라보게 하였다. 즉, 이들은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boundary crosser)’로서 두 영역 모두에서 그들의 관습과 인식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경력전환교사의 정체성은 일반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교사로서의 정체성 간에 조응과 협상의 과정이 병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과정은 교사정체성의 다중적인 정체성(multiple identity) 또는 혼종성(hybridity)을 드러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논의에서는 경력전환교사들의 혼종적 정체성이 갖는 의미와 그 가능성에 대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기존의 교직사회화 과정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사회에 필요한 교사상에 비추어 봤을 때, 경력전환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반성적 실천의 태도, 다양한 경험을 통한 융합지식,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력과 융통성, 협업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 등은 미래에 새롭게 제시되는 교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원양성교육을 비롯한 지금의 교사교육의 방향이 좀 더 종합적·통합적인 사고와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재고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사회화의 한계를 언급하는 기존 연구 결과와 달리 경력전환교사들이 교사 준비 과정 동안 의미 있게 교사정체성을 가꾸어 나갈 수 있었던 이유는 그들이 교육대학에 들어오기 전 삶에서 통찰과 반성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한 뚜렷한 목표와 소명의식을 형성하였고, 교사 준비 과정 동안 스스로를 이해하는 과정으로서 자신감이나 자아효능감 같은 긍정적 정서를 바탕으로 '자기 정체성‘을 찾아 나간 것임을 밝혔다. 교사가 되고 난 이후 경력전환교사들은 다시 선택한 자신의 직업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이들이 스스로 선택하여 자발적으로 주도해나가는 자신의 경력 과정에 대해 만족해하고, 그것을 성공의 준거로 느끼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제2의 직업으로 교직을 선택한 교사라는 이들의 정체성은 오히려 한계로 작용하여 교직문화 개선이나 교육개혁의 문제에 부딪쳤을 때 현실에 안주하거나 적당한 타협점을 찾는데 머무를 수 있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실제로 교직 입문 때보다 경력이 쌓일수록 점점 보수성을 띠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이는 타 직종에 비해 좀 더 동질적인 사고양식의 경향을 보이는 교직 문화에 이들 역시 순응하고 있었고, 다른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교직사회, 결속력이나 응집력이 약한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함을 밝혔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직에 입문하기까지 충분한 자기 이해의 과정을 바탕으로 한 교직 선택 동기가 필요하다. 둘째, 교원양성교육에서는 직업적 지식과 기술 훈련에 편재된 교육과정을 넘어서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다각도로 조명하여 교육과정의 다양화를 추구하고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들이 교수·학습에 전념하고 자신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자 및 교육행정가의 관심과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에드워드 호퍼 작품에 나타난 휴먼이미지

        송혜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모빌리티(Mobility)’라는 용어가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빌리티 개념 속에는 사람이라는 존재가 항상 포함되어 있다. 모빌리티는 인류의 기원과 함께 시작했으며, 과거와는 다르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였다. 모빌리티 시스템의 발달은 인류의 삶을 정치 문화, 경제 등의 모든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변혁시켜 현대는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다. 한편, 인간의 삶의 경험은 실재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재현되거나 상상의 대상이 되며, 현실 속에서 이미지를 통해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간의 삶의 경험과 성찰이 이미지로 구현된 것을 휴먼이미지(Human Image)로 명명하겠다. 이렇듯 모빌리티에 의해 촉발된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으며, 모빌리티를 통해 영감을 받은 예술가들의 작품에서도 다양한 휴먼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근대 미국의 사실주의 화가인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 1882-1967)의 작품을 통해 휴먼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당시 호퍼가 경험한 모빌리티와 모빌리티 경험 과정 중의 의미와 창작된 작품의 이미지를 고찰한다. 최근 COVID-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사람과 함께 살아가기에 타인과 관계 속에서 우리는 일정한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것이 ‘사이공간(Inter space)’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간격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여유까지 포함되는 개념으로 호퍼는 사이공간인 기차역, 카페, 거리, 영화관, 모텔을 주로 그렸다. 본 논문은 사이공간의 재현을 통해서 호퍼가 바라본 인간 삶의 모습인 휴먼이미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나아가. 유럽과 비교하여 비교적 미술의 역사가 짧은 미국미술계에 사실주의 화가로 자리매김한 에드워드 호퍼의 모빌리티 경험과 인식, 당시 미국의 사회상과 미술가들과의 접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호퍼의 작품 속에서 휴먼이미지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범위와 특징을 다섯 가지 맥락에서 살펴본다. 첫째, 호퍼 작품 속에 드러난 이미지의 이중성을 살펴본다. 호퍼의 작품에는 한 화면에 동시에 상반된 이미지의 대립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둘째, 산업화, 모빌리티 시스템의 발전으로 달라진 도시의 모습을 호퍼가 바라본 결과물인 도시풍경화에서 휴먼이미지를 분석한다. 호퍼는 모빌리티의 경험을 도시의 풍경으로 그의 작품 속에 재현하였다. 셋째, 호퍼 그림 속 사이공간을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적 열림과 닫힘의 공간과 독특한 분할과 연결된 시간의 관점으로 살펴본다. 호퍼는 극장과 같은 일상의 공간을 초현실적이고 가상공간의 모호한 공간으로 재현하였다. 넷째, 호퍼의 작품에서 들여다보는 관음증적 관점에서 휴먼이미지를 분석한다. 호퍼는 대상을 밖에서 안으로, 혹은 안에서 밖으로 들여다보는 관찰자의 시점으로 그림을 그렸다. 다섯째, 호퍼 작품 속의 타인의 일상을 공유한 ‘군중’의 휴먼이미지 관점으로 분석한다. 호퍼 작품 속에는 다수의 무리가 등장하지 않는다, 한 두명, 많아야 서너 명, 심지어 인물이 등장하지도 않지만, 군중을 대표하는 호퍼 자신과 인물들의 내밀한 자아를 휴먼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은 위의 다섯 가지 맥락을 바탕으로 호퍼의 휴먼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호퍼는 네덜란드 이민자의 자손으로 이민이라는 모빌리티의 역사적 형태를 대표하는 세대로 걷거나 기차로 자동차로 여행하며 즉 모빌리티적 행동을 통해 관찰한 일상의 삶의 모습들을 휴먼이미지로 표현하여 작품으로 남겼다. 호퍼가 주력한 것은 자신의 내면에서 이루어지는 내적 경험과 모빌리티 체험을 통해 인지한 외부 대상들을, 의미를 부여해 그의 그림으로 포착하는 것이었다. 호퍼가 재현한 도시풍경은 일상의 사이공간 속에서 쉼을 얻고자 하는 욕구와 동시에 도시인의 불안과 소외 고독이 이중성으로 드러나는 휴먼이미지이다. 우리는 매일 누군가를 몰래 훔쳐보며 타인의 삶을 엿보는 행위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현대에도 SNS를 비롯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개인의 삶을 공유하며 들여다보려는 우리의 관음증적 욕구는 현재도 유효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음증적 관점을 통해 호퍼의 작품에서 인간의 내밀한 욕망이 대중문화와 미디어라는 새로운 환경 안에서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는지 고찰하며 내면 깊숙한 곳의 또 다른 자아의 휴먼이미지의 표출을 주목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유토피아(Utopia)와 디스토피아(Dystopia)가 공존한다. 현실과는 조금 다르지만, 완전히 동떨어지지 않은 제삼의 장소,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휴먼이미지를 호퍼는 가상공간과 현실의 모호한 시공간 속에서 상상하고 자신의 작품에서 표현하였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다. 호퍼는 이동의 속도와 함께 빠른 속도로 변해가는 현실에서 변하지 말아야 할 것에 주목하였으며,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가치관의 갈등 속에서 외부지향성을 향해 가는 현대인들의 삶의 모습들을 군중의 일상을 통해 휴먼이미지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모빌리티 시대에 호퍼가 경험하고 의미를 찾고 작품의 결과물로 생산한 휴먼이미지를 다섯 가지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물이 향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는 휴먼이미지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oday's society, the term 'mobility' is commonly used. And the existence of a person is always included in this concept of mobility. Mobility began with the origin of mankind, and the development of today's mobility system has transformed human life in an integrated way in all areas such as politics, culture, and economy, and a shift in the mobility paradigm has become essential. The experience of human life does not only exist in reality, but is reproduced or imagined, and is realized through images in reality. The human images are the realization of this human life experience as an image. As suc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mages triggered by mobility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various human images can be seen in the works of many artis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human images through the works of Edward Hopper(1882-1967), a modern American realist painter. To this end, I examined the mobility that Hopper experienced at the time, the meaning of the mobility experience process, and the image of the created work. Recently, social distancing has become common due to COVID-19, but in modern society we live with many people, so we need certa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stancing in 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What is needed at this time is the ‘interspace’. With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physical distance but also psychological relaxation, Hopper mainly painted train stations, cafes, streets, cinemas, and motels, which are interspaces. This thesis attempts to understand the human image, which is the aspect of human life as seen by Hopper,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e interspace. Furthermore, I examined the mobility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Edward Hopper, who established himself as a realist painter in the American art world, which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art compared to Europe, and the contact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merican social image and artists at the time. Specifically, the research scope and characteristics for deriving human images in Hopper's works are determined from five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 the duality of images revealed in Hopper's works. In Hopper's works, conflicts of opposite images frequently appear on one screen at the same time. Second, the human images are analyzed from the urban landscape that has changed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bility system and the urban landscape viewed by Hopper. Hopper reproduced the experience of mobility in his work as an urban landscape. Third, we examine the interspace in Hopper's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connected with heterotopian space of opening and closing and unique division. Hopper reproduced an everyday space such as a theater but reproduced it as a surreal and ambiguous space of virtual space. Fourth, the human images of Hopper's works are analyzed from a voyeuristic point of view. Hopper painted the subject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observer looking into it from the outside. Fifth, in Hopper's works, it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 images of the 'crowd' who shared the daily life of others. In Hopper's works, there are no groups of people, one, two, or three or four people, or even no figures appear, but Hopper himself, who represents the crowd, and the inner selves of the characters are expressed as human images. As such,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Hopper's human images based on the above five contexts. As a descendant of Dutch immigrants, Hopper is a generation that represents the historical form of mobility called immigration. He traveled by car or by train, that is, he left an image of a human observed through mobility behavior. What Hopper noticed was that he captured the external objects he recognized through his own inner experience and mobility experience with his paintings. The urban landscape reproduced by Hopper is a human image of the ego that seeks to rest in the intervening space of daily life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the anxiety and alienation and loneliness of city dwellers as duality. The act of spying on someone every day and spying on the lives of others is not a thing of the past. Even in modern times,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who share their personal lives through various platforms including SNS is still valid today. Through Hopper's voyeuristic perspective,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inner desires of humans can be newly interpreted as works of art in the new environment of popular culture and media and pays attention to the expression of the human image of another self that exists deep within. In modern society, numerous types of utopias and dystopias coexist. This thesis confirmed that Hopper imagined and drew the human image of a human living in a heterotopia space, a third place that is slightly different from reality but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reality in the ambiguous space and time of virtual space and reality. Today, our society is wandering betwe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Hopper paid attention to the things that should not change in the reality that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speed of movement and showed the lives of modern people toward outward orientation amid the conflict betwee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t values as human images through the daily life of the crowd. This study examines the human images in Edward Hopper's works, which Hopper experienced, found meaning, and produced as a result of his works in the era of mobility from five perspectives. This point of view can be used as a base for subsequent research that analyze the human images in Hopper's works in more detail in the future.

      •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및 흥미 분석

        송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othy Heathcote 's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attitude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we developed educational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Seco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dram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3 students of 5th grader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 gu, Seoul. It studied ‘Temperature and Heat’ in the part of ‘Materials and Energy’ and ‘Solar Systems and Stars’ and ‘Structure of Plants and its Features’ in the part of ‘Life and Earth’ from the textbook revised in 2009. It performed 11 times for the plays in total. After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the Mantle of the Expert, it analyzed the students’scientific attitude using daily records of the classes, consulting materials, movies and pictures taken for the classes and activity journal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nected the play activity to the role play and helped students to concentrate into various jobs related science so that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uld be meaningful. The classes were formed so that the students actually live as a professional person. The classes are composed of the courses of ‘opening mind’, ‘suggesting the context’, ‘selecting a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 and making it mine’, ‘performing the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and ‘discussion’. Second,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positive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s such as curiosity, cooperation, and positiveness. They could be a responsible scientist understanding the society that is related to science through the activities and do the job with the sense of purpose by wearing the gown of a professional person. Third, the educational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fter the classes it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students. It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science has increased after the classes and they had positive idea about the educational paly activ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suggested the specific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educational pla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build and activate various subjects of scientific educational play classes,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Dorothy Heathcote의 '전문가의 외투'(Mantle of the Expert)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흥미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을 개발하였고,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구에 소재한 H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 개정 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영역 1개 단원(온도와 열), 생명과 지구 영역 2개 단원(태양계와 별, 식물의 구조와 기능) 1~3차시씩 5회기, 총 10차시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이 이루어진 후 교사․학생의 수업일지, 면담 자료, 비디오 촬영 및 전사 자료, 활동지 등을 활용하여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학생이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놀이 활동과 역할 입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련한 다양한 직업들을 인식하고 역할에 몰입하여 활동하는 것을 바탕으로 ‘살아보기’를 경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음 열기’, ‘맥락 제시’, ‘전문가 역할 선정 및 내면화’, ‘전문가의 역할 수행’, ‘정리’의 5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중 호기심, 협동성,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역할을 입고 활동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과학자로, 과학과 관련한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과학과 관련한 사회를 이해하고, 목표 의식을 갖고 활동할 수 있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수업 후 인터뷰 및 설문지 결과 수업 후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이는 학생들이 늘었고, 교육연극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외투'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교육연극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의 태도 부분의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과학과 교육연극 수업,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수업, 과학적 태도 부분을 함양하고 활성화하는 방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은유메시지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효과 : 조절초점과 구조화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혜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들은 브랜드/제품/서비스에 대한 광고 및 기업이미지 제고 등을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활용하고, 효과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최근 다변화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지향하고 있는 것은 간결함을 기본으로 한 주목성과 흥미로 보여지며, 이에 은유라는 수사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은유는 대부분 언어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으나, 마케팅 측면에서는 은유에 대한 깊은 고찰이 부족한 상태이다. 기존 연구들도 은유에 대한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어 은유에 대한 시각이 양분화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유의 수준을 세분화하여 은유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은유가 항상 효과적인 것이 아님을 파악하고, 그렇다면 누구에게 은유메시지가 효과적일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은유를 처리하는 동기에 따라 다른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가지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은유 수준에 따른 소비자 반응이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은유메시지의 수준을 스키마불일치 이론에 의거하여 3단계(일치수준인 평서문vs. 중간불일치 수준인 적당히 어려운 은유 vs. 완전불일치 수준인 매우 어려워 해석이 불가능한 은유)로 구분하였으며, 완전불일치 수준의 은유메시지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적정히 어려운 수준의 은유와 일치수준의 평서문은 완전불일치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단, 중간불일치 수준과 일치수준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기존 스키마불일치 이론에서 주장하는 역U자형 반응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은유메시지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대체 어떠한 경우에 평서문과 중간불일치 수준의 은유가 잘 수용되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인지 활동, 즉 어떤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있어 나타나는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다른 반응이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인지와 관련된 정보처리 동기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 다른 하나는 생소한 자극인 은유를 수용하는 과정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동기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험 2에서는 인지와 관련된 정보처리 동기요인으로 조절초점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 따라 선호하는 메시지 형태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방초점인 경우는 체계적이고 인지처리에 대한 노력에 집중하는 경향성이 높으므로 중간불일치 수준의 은유메시지를 가장 선호하여 역U자형 반응을 보였으며, 향상초점은 예방초점 대비 휴리스틱 정보처리를 하는 경향성을 보이기 때문에 평서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의 선형관계를 보였다. 실험 3에서는 은유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적 차이변수로 구조화동기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구조화동기에 따라 평서문과 중간불일치 수준의 은유에 대한 태도가 달라짐을 검증하였다. 낮은 구조화동기는 유연한 사고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으로 은유와 같은 낯선 자극에 유연하게 반응하며, 결과적으로 중간불일치 수준의 은유에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역U자형). 높은 구조화동기인 경우, 은유와 같은 새로운 자극을 스트레스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일치 수준의 평서문에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음(-)의 선형관계). 또한 실험 3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메커니즘으로 지각된 참신성과 이해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결과, 지각된 참신성을 통해 역U자형 관계가 나타나고, 이해가능성을 통해 음(-)의 선형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키마불일치 이론을 은유 메시지에 적용시켜, 은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양분화된 관점(어려운 은유가 효과적이라는 관점 VS. 쉬운 은유 또는 평서문이 더 효과적이라는 관점)을 통합시켜 보는 기틀을 마련한 점에 있어서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은유의 어려움 수준(강도)에 관해 판단할 수 있는 근거들이 실무적으로 중요하지만 학문적으로 그 기준이 모호하고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은유의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평가를 종합적으로 진단해 볼 수 있는 연구모형을 통해 파악해 볼 수 있는 것은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본 연구는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metaphor by dividing the levels of metaphors into three levels based on schema inconsistency theory. Different from what schema mismatch theory argues, it is understood that metaphors of moderate incongruity level are not always effective. Experiment 1 found that extreme incongruity(too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very negativ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tement at the congruity level and the metaphorical message at the moderate incongruity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moderate variables. 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ried to find out who the metaphor message would be effective for. Experiment 2 investigates the moderate effect of the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Specifically, the prevention focus was the reverse U-shaped response with the preference for metaphors with moderate incongruity level. Meanwhile, the promotion focus was shown to favor the statement at the congruity level the most, showing a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Experiment 3 identified personal need for structure(PNS) as a personal difference variabl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metaphors. Low personal need for structure(PNS) tends to think flexibly, so they deal flexibly with unfamiliar stimuli such as metaphors. Therefore, in the case of low PNS, the most positive response was to metaphors of moderate incongruity level(reverse U-shape). In the case of high PNS, new stimuli, such as metaphors, are more likely to be perceived as stress and thus show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in the statement at the congruity level(negative linear relationship). In addition, perceived novelty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mechanism by which the moderate effect of PNS appears was identified. In other words, we confirmed that the reverse U-shaped relationship appears through perceived novelty, and that the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appears through comprehensibility.

      • 충남 서천지역에서 생산한 김의 생산시기 별 영양성분

        송혜은 군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Nutritional compositions of the laver were assessed for the products from the Seo cheon-Gun area, Chungnam Province, and those from the Daebu Island, Kyunggi-Do: proximate compositions, pigments and vitamins were analyzed for samples harvested and drying process during November 2009 through March 2010. Of proximate compositions, the crude lip content of Daebu Island increased over time. However, other proximate contents did not show any meaningful changes during the period chlorophyll and billiprotein contents changed in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the harvest areas. Vitamin C contents declined gradually from November 2009 in Biin product, whereas they gradually increased for those from Seomyeon. Vitamin B1 contents were constant over time for all Seo cheon products, but their contents were higher than 5-fold those of the Daebu products. This difference in vitamin B1 seems to be related to the higher moisture contents in Daebu products. In general, the laver produced in Daebu Island contained higher level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alyzed except for vitamin B1. However, other important components need to be examined for better evaluation between the two remote areas

      • 제휴사 e-mail이 기존 사이트의 수신허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송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사이트들의 제휴활동을 통해 서로의 고객에게 이메일을 발송하는 상황에서, 각 고객들이 기존 사이트의 수신허가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객이 인지하는 제휴파트너와 기존사이트간의 유사성과 퍼미션 상황에 따른 그 범위에 대한 인지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하였다. 그 결과 고객이 인지하는 제휴파트너와 기존사이트간의 유사성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태도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사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제휴사로부터 받게 되는 이메일은 기존 사이트의 수신허가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어학 및 교육 사이트와 서적/CD/비디오 관련 사이트간의 유사정도를 금융(대출, 신용 등)사이트 보다 높게 인지하며, 유사성이 높은 상황에서 제휴사의 이메일은 기존사이트의 수신허가에 대한 태도저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나 관심 있게 보고자 했던 것은 퍼미션의 범위나 상황에 대한 인지정도에 따라 태도가 변화하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조건을 들었다. 약관을 통해서만 해당 사이트의 합법적인 마케팅 목적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는 항목에 동의하여 제휴파트너의 메일을 받게 되는 경우와 가입당시나 수신을 허가할 때 제휴파트너 및 고객의 퍼미션 범위에 대한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 제휴파트너의 이메일을 받게 됨으로써, 제휴상황과 퍼미션의 범위를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은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를 하게 되며, 제휴파트너가 이용약관에 준하여 합법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지만 기존 사이트의 수신허가에 대한 태도가 저하되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가입당시나 메일수신을 허가하는 상황에서 제휴파트너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고객의 퍼미션의 범위가 제휴파트너를 포함됨을 알리게 되면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해소하게 되어 태도변화가 전자에 비해 덜 일어나게 된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본 실험에서는 집단간 차이는 있었으나, 유사성에 대한 차이만 확인할 수 있었다. 퍼미션 상황 인지에 대한 것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태도가 좋은 그룹에 한해서는 유사성이 낮은 조건일 때 퍼미션 상황 인지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성적인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퍼미션의 상황 인지 요인은 프라이버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사생활 침해적인 면이 부각되기 때문에 감정적인 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WordNet을 활용한 온톨로지 기반의 웹 기사 자동 분류 저장 시스템

        송혜은 高麗大學校 工學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implicity and ease of Web led to the explosive growth of web information. As the result, information users have to pay a lot of money and spend more time to look for information they want among vast amount of data in the web. Therefore, the demand that internet users want to minimize the damage such as multiple storage and double searching has been increasing to quickly and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they require. Also, the effective management for the information providers is being need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information users and manage efficiently their intellectual property and rights. Thereupon, the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and developing about the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to manage the data efficiently but the existing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by a statistical-based classification costs a lot for training and updating. And those rarely guarantee the preferred level which the users require. In this study, I suggest an efficient way of system which ensure the correct information for users and to minimize administrative costs for the management of automated web newspaper classification system. In this paper, I lay out improved web newspaper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torage system which classify about one page long Internet news article and this one apply with Ontology and Thesaurus way to be Sementic Web 웹의 단순함과 편리성은 웹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이어졌고 그 결과 정보 이용자는 방대한 양의 웹 자료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검색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그러므로 정보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획득하려는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정보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정보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정보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자료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오래 전부터 다양한 자동 문서 분류법을 연구해 오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자동 문서 분류법은 문서 학습에 기반한 통계적 분류법으로 제공자가 지불하는 관리 비용에 비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정보 관리 및 검색의 질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서 분류법에 시소러스 및 SementicWeb을 가능케 하는 온톨로지 기법을 함께 적용하여 개선된 자동 문서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략 1장 분량의 인터넷 뉴스 기사에 대한 자동 분류 저장 시스템을 제안하며, 뉴스 기사에 대한 분류 정확도를 높임과 동시에 분류 카테고리 변경이 용이한 방법으로 설계한다. 본 시스템의 목적은 정보 이용자 입장에서 빠르고 정확한 정보 검색을 보장하고, 정보 관리자 입장에서 카테고리 변경을 쉽게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웹 환경에서 고객의 요구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재 사용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안함므로써 정보제공자에게 정보 관리에 대한 비용과 노력을 절감 시킬 수 있게 한다.

      • 도전율이 있는 자성체에서의 와전류 손실 분포 해석과 저감 설계

        송혜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너지 소비의 증가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 전력 소비는 2014년 말 현재 과거 10년 동안 평균 4.1%로 증가했으며, 2015년에서 2029년까지 15년 동안 연평균 2.1 %로 꾸준히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지중송전선로의 수요가 도시의 아름다움과 편리함을 고려하여 증가하고 있다. 국내 지하 전송 송전선은 1929년 22kV의 건설을 시작하였고, 현재 전국적으로 345kV 지하 케이블 공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중송전선로의 비율은 점진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중송전선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중송전선로 케이블에 관한 연구가 여러 연구에서 연구되었지만 지중송전선로 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금속 구조에 대한 연구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24 시간 가동되는 3상 케이블을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의 영향을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해 해석하였다.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는 Al을 기반으로 한 금속 구조이기 때문에 도전율과 투자율이 모두 있다. 도전율이 있는 금속 소재는 와전류의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중송전선로를 지지하는 금속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와전류 손실을 분석하고 와전류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와전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먼저 Al 기본 모델과 Fe 기본 모델에서의 와전류 손실 해석을 분석한다. 분석을 바탕으로 와전류의 패턴을 확인하고 와전류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와전류 감소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와류의 경로를 차단한다. 와전류의 경로를 차단하여 와전류를 줄일 수 있다. 와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차단함으로써, 와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두 방향으로 분산시켜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자기장의 크기를 줄인다. 전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은 유도 기전력을 발생 시키며, 유도 된 기전력은 와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때, 전류에 의해 발생 된 자기장의 크기가 감소되면,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와전류의 크기 또한 감소하게 된다. 이를 FEM을 통해 계산 된 값과 계산 된 값을 비교하여 와전류 감소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모델을 통해 도전율와 투자율을 지닌 금속 도체에서 와전류의 분포와 손실을 분석하고 저감방안을 도출했다. 우리는 이 방법을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에 적용하고 실제 모델에서 와전류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