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 初期의 對明 關係와 吏文政策 硏究

        宋珠永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朝鮮 初期의 對明 關係와 吏文政策 硏究 본 연구는 <實錄>에 나타난 明과의 外交文書인 表箋文과 咨文의 내용 考察을 통하여 朝鮮 初期 對明 外交關係와 15세기 吏文政策 樹立과 吏文硏究 등을 檢討하는데 目的이 있다. 元을 이어 中原을 지배하게 된 明은 遼東問題 懸案과 더불어 조선의 女眞族 招撫 그리고 조선에서 보내는 公文書인 表箋文의 吏文格式, 使用語彙 그리고 字樣 등에 불만을 제기하여 政治·外交的 摩擦을 빚게 되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선에서는 表箋文의 體制와 字樣 등을 明에 요구하기도 하였으나 明은 이를 拒絶하였다. 그것은 明의 불만이 단순히 表箋文의 문제가 아니라 이를 빌미로 裏面의 遼東征伐 計劃과 관련된 表箋文 作成者 押送을 목적으로 한 明의 의도로 파악할 수 있다. 明 太祖는 그가 1398년 死亡할 때까지 朝鮮에서 보낸 表箋文에 執着하였는데, 表箋問題의 背景에는 高麗朝에 시작된 遼東征伐 計劃과 朝鮮初의 女眞族 招撫가 핵심이었다. 특히, 遼東問題와 관련하여 실제로 鄭道傳은 遼東征伐을 계획하였으며 陣法訓練 등을 실시하는 등 군사력을 강화하였다. 정도전의 遼東征伐 計劃은 李芳遠을 牽制하기 위한 구실이었다고 하지만 그 計劃과 女眞族 招撫는 明 측에서는 領土侵略의 意圖로 받아들인 事案이었다. 한편, 朝鮮은 高麗朝부터 사용하여 온 北京 中心의 漢語에서 明의 南京 遷都에 의한 南京 中心의 官語로의 변화도 明과의 外交文書인 吏文의 體制와 使用語彙 등 吏文 作成과 그리고 朝鮮 使臣들의 言語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제로 朱元璋이 南京遷都를 하면서 元의 口語文體가 加味되고 入聲이 사라진 北京語의 收容을 拒否하고, 洪武 8年(1375)에 南京語의 欽定韻書 <洪武正韻>을 撰述하여 中原 內 諸侯國들에게 洪武體制의 呈狀式을 常用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同一하게 朝鮮에도 요구하였기 때문이다. 明은 이로 말미암아 유발된 表箋文의 格式과 使用語彙의 문제를 빌미로 表箋文 作成者들의 押送, 朝鮮 使臣들의 명 억류와 매질, 유배, 가족들의 明 移送 요구, 抑留중인 朝鮮 使臣들의 사망 그리고 마침내 明 入國禁止 措置 등으로 明과의 危機와 緊張關係는 李成桂의 在位期間(1392-1398) 7年 동안 계속되었다. 明과의 緊張關係는 1398年 明 太祖의 죽음으로 일단락되었지만, 그러나 朝鮮은 吏文의 核心이 되는 明 官語의 音子, 字樣과 回避字樣 등에 대한 硏究를 하였고 더불어 朝鮮 內에서 吏文 專門家 養成에 주력함으로써, 對 明 政治·外交 關係 改善에 노력하였다. 漢語 吏文體制와 音韻硏究 등은 明에서 入手된 <至正條格>, <吏學指南>, <洪武正韻> 등을 통하여 發展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吏文은 譯學 및 漢學과 더불어 密接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그 중 吏文과 譯學政策은 時代狀況과 그 趨移를 같이 하였다. 譯學은 隣接諸國의 言語를 學習하여 會話를 주로 하여 活用하는 것이고 吏文은 外交文書의 作成을 주로 하는 것이었다. 한편, 이러한 吏文硏究와 敎育은 朝鮮初期부터 각각 吏文·譯學機關의 설치로 이어졌으며 漢語와 蒙古語뿐만아니라 15세기 중반에는 女眞語, 倭語 등의 주변국의 言語 硏究·敎育機關들이 설립된 것을 알 수 있다. 漢語를 중심으로 한 吏文과 韻學 연구가 文書應奉司와 司譯院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文書應奉司는 太祖 11年(1411) 承文院으로 바뀌었고 司譯院은 高麗朝에 있었으나 사라졌다가 明의 朝鮮使臣 入國禁止 措置를 取하자 漢語硏究와 吏文 專門家 養成을 위하여 太祖 2年(1393) 다시 設立되었다. 世宗朝에 이르러 吏文硏究와 아울러 <洪武正韻> 등을 통한 韻學硏究와 또한 宋·元 代의 性理學 學說을 集大成한 <性理大全>을 통한 東洋哲學의 禮樂思想을 收容하여 마침내 <訓民正音>의 創製와 完成에 이르게 되었다.

      • 막 단백질 syndecan4-TM의 NMR 구조 연구를 위한 최적화된 발현 및 정제 방법

        宋周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Optimized Expression, Purification and NMR Structural Studies of transmembrane peptide, Syndecan4-TM Syndecans as cell surface receptors participate in biologically important cell-cell and cell-matrix interactions. They have a common basic structure including modified extracellular domains and conserved transmembrane and cytoplasmic domains. One of them, syndecan-4 may affect tissue development and repair as well as the pathogenesis of numerous diseases, especially such as cancer. The transmembrane domain of syndecan-4 (Syd4-TM) consists of 25 hydrophobic amino acids and is involved in formation of dimer or oligomer of syndecan that are crucial for transduction of signals. However, a lot of efforts to elucidat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yd4-TM still have been hindered by insufficient yields and low solubility. Thus, we demonstrated an optimized method for recombinant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hree kinds of Syd4-TM like wild type Syd4-TM (Syd4-TM), mutant Syd4-TM (mSyd4-TM), and Syd4-eTC. A mSyd4-TM has a partially modified sequence of Syd4-TM. And Syd4-eTC have extracellular, transmembrane and cytoplasmic domain of syndecan-4. All peptides were released from the fusion protein, and then purified by semi-preparative reversed-phase HPLC. Enough amounts of purified Syd4-TM for the analysis of peptides was obtained from 1L of M9 minimal media under optimal conditions. Their biophysical properties of peptides were studied by circular dichroism (CD),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 음악교육에 있어서 대중음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제7차 고등학교 방과 후 음악수업을 중심으로

        송주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중음악은 대중의 의식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변화를 끊임없이 수용하면서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그 원동력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청소년의 관심과 요구라고 할 수 있으며 그만큼 청소년들이 대중음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교사는 무조건적인 대중음악의 수용이 아닌 적절한 배려를 가지고 음악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갖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방과 후 음악수업에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생 스스로가 학습의 주체가 되는 방안을 연구한 것으로 다양한 악곡을 통하여 정서적 풍요로움과 안정, 풍부한 음악적 경험을 토대로 조화로운 인격형성에 기여한다는 음악교육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음악적 체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음악의 정의, 발달과정과 종류, 또한 방과 후 수업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대중음악을 방과 후 수업시간에 적용시킴으로써 대중음악은 단순히 상업적 목적에 의한 기능적인 음악의 차원이 아니라 그 자체로써의 예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현 시대를 반영하고 문화를 형성하고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생명력 있는 것으로써 예술음악과 또 다른 의미에서 그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및 음악문화, 대중음악 이용도, 대중음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대중음악 교육의 찬성과 반대론을 조명해 봄으로써 대중음악이 청소년에게 가지는 영향력은 크며 대중음악이 청소년과 가장 밀착되어 있는 예술장르인 만큼 일상과 현실을 가장 잘 반영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적극적이며 효과적인 예술장르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방과 후 음악 수업에 있어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대중음악이 수록됨을 분석하고 수록된 교과서의 네 가지 영역인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으로 대중음악 지도안을 짜 보았으며, 현재 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지도 가능한 대중음악과 그 교육적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대중음악의 사용을 알아보았다. 따라서 음악이 학생의 생활환경과 연관성을 가진 실질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다양한 교수 학습 내용을 연구하여야 하며 또한 대중음악의 유용성을 발견하여 다양한 경험 속에서 지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음악경험을 풍성히 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욕구를 무시하고 이루어지는 교육은 더 이상 그들을 위한 교육일 수가 없기 때문에 대중음악을 학교음악교육에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상호 보완적인 음악교육이 이루어 질 때 비로소 학생들의 마음이 열리고 나아가서는 교사가 하고자하는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방과 후 음악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가르치는 교사와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음악 수업에 대한 흥미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생들이 학교 정규 음악수업시간 이외의 방과 후 수업을 통해 보다 다양한 대중음악을 접하면서 즐거운 시간으로 인식하고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진다면 음악교사의 의도한 이상으로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there are many "crossover" phenomena, which break down the boundary of cultural areas and interchange each other. According to these phenomena, interchanges between art music and popular music are briskly carried on in the musical world. Above all, now the musical industry support to change the popular music to cultural industry and the studies of popular music develop actively covering wide area in a dynamic process. The teenagers who are at an impressionable age are interested in the popular music, which is the most general form in the musical world. It is urgent for professional musicians to study the popular music for an educational purpose, because the teenagers'interests and desires assimilate with the popular music. Hence, firstly this study reinterprets theses interests of popular music in the point of educational view. Secondly, this study also indicates the popular music which is possible to relate with the school musical education and those instructions in the after school classes to elicit students' real experiences. It would be easy to think that the musical instructions using the popular music should start with students' interests, the consumption and the situation of consumption without based knowledge of the musical theory. However, when underrating the importance of theoretical interests and professional knowledge, the instructions could be underestimated in that the musical classes using the popular music are just for the students' amusements. Thus, it is advised that firstly we should understand the popular music in a right way and these understandings should lead the students to musical deeper comprehension. The researcher has studied about the musical instructions in the wholly after school classes to make use the popular music concerning the teenagers' character, as the popular music is an important part of teenagers' life in a variety society. In conclusion, the popular music is a part of the youths'real life style, because they have grown up with the familiar culture. Thus, it is better to start the musical instructions in the after school class with the popular music which is students' fancy and interest. Moreover, students can easily develop their musical knowledge and naturally understand even the pure music. It als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life quality though variety music and to actualize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 중년여성의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송주영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중년여성이 자신의 존재 의미와 삶의 의미를 어떤 과정을 거쳐서 찾아가는지, 그리고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의 가치와 미술치료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미술치료사로서 어떤 삶의 태도를 형성하는지 존재론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연구자의 삶에서 나온 실존적 물음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삶과 죽음, 의미, 소외, 자유와 선택 등을 주제로 10회기에 해당하는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2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2017년 1월부터 3월까지 매주 토요일 90분 동안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각 회기는 도입단계에서 실존적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감상하고 소감을 나누는 것으로 시작하여 미술치료 작업단계와 마무리단계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는 창조적 삶의 실현, 상징적 치유, 실존적 관계 맺음의 특성을 살리고 실존의 주제와 잘 꿰어 실존적 삶을 실천하고 존재 의미를 탐색하는 장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자가 선택한 연구방법은 존재론적 탐구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진실성, 적확성, 풍부성을 기반으로 3개월의 미술치료 전 과정에서 녹취된 상담내용, 참여자들의 작품 및 소감, 관찰, 연구자 메모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자는 진정성, 창의성, 엄밀성 있는 자료 해석을 위해 존재론적 의미의 개념과 관련된 자료를 접하고 분석, 종합, 해체하는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여러 분야 교수님의 자문과 지도를 참고하였다. 이 과정에서 밝혀진 존재론적 의미와 연구 물음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들은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 과정에서 ‘존재 물음을 통해 자신의 내면과 관계 맺게’ 되었다. 미술치료를 시작하면서 ‘존재를 묻는 문을 두드리고 자신에 관해 묻는’ 과정이 반복되었으며 ‘나로서 존재하지 못하는 갈등을 드러’냈다. 이렇게 자기 인식이 깊어지면서 ‘다양한 자기 모습과 내면의 소리를 발견’하게 되었고 ‘불안에 맞서 숨어 있는 자신과의 내적 만남을 지속’하게 되었다. 둘째, 중년여성들은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를 통해 ‘삶의 상처를 넘어서 삶을 이해하고 의미를 찾게’ 되었다. 먼저 삶에서 만나는 ‘실존의 주제를 삶의 과정으로 이해’하게 되면서 숙고와 성찰이 이루어졌고 ‘통찰을 통해 삶의 상처를 넘어’서게 되었다. 나아가 ‘발견된 자원과 의지를 통해 자신과 삶의 가치를 꿰게’ 되었으며 삶의 방향을 선택하여 ‘주체적으로 삶에 뛰어들어 세상과 새롭게 관계 맺게’ 되었다. 셋째, 중년여성들은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 과정에서 창조적 삶과 치유의 힘을 경험’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소개한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만나며 실존을 접하’였고 직접 제작한 ‘작품의 상징성과 접촉하여 자신과 삶을 일깨우게’ 되었다. 그리고 ‘작품을 재창조하여 감정과 의미를 재구성’하고 연구자의 격려와 집단역동을 통해 ‘억눌려 있던 감정에 생명을 불어넣고 치유’되었다. 나아가, ‘미술 작품으로 소통하며 서로의 삶을 나누고 가치를 발견’하게 되었다. 넷째, 연구자는 실존적 접근 미술치료 과정에서 ‘미술치료사로서 실존적 삶의 길을 찾도록 격려’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참여자들과 ‘존재의 동반자로서 함께 머무르고 버텨’주었으며 ‘실존적 언어로서 실존적으로 관계 맺기를 격려’하였다. 이는 ‘작품과 자신, 참여자들을 연결’하고 ‘실존의 언어로서 표현하기를 격려’함으로써 실천되었다. 마지막으로 ‘변화와 통찰의 힘은 참여자들에게 있었음을 알게’ 하였다. 즉, 참여자들이 삶의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실존적 삶을 살아가도록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 분야에서 실존적 핵심 주제를 적용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 뿐 아니라 존재론적 탐구를 시도한 연구도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실존적 핵심 주제를 상징적으로 해석하여 구성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고, 미술치료가 창조적 삶을 실천하도록 하는 실존의 장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이 연구는 실존적 주제와 미술치료의 창조적 활동 및 작품의 의미를 충실하게 담아낼 수 있도록 질적 분석을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성장은 물론 연구자도 자기 성찰과 숙고를 통해 실존적 삶의 태도를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오랫동안 남아있던 삶의 과제와 감정의 근원을 통찰하면서 실존적 삶에 가까워지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소명과 존재 의미를 찾게 되었다.

      • 아빠와 유아가 함께하는 연극놀이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송주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를 통해 아빠가 3세 딸과 함께 연극놀이를 할 때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과정이 3세 유아에게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딸과 연극놀이를 하는 경험을 반성적으로 성찰하여 연극놀이가 아빠와 딸의 삶에 주는 메시지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3세 유아와 놀아주는 것에 어려움을 겪던 아빠가 연극놀이를 통하여 아이와 즐겁게 놀게 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자문화 기술지의 방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의 적극적인 개입(self–reflexivity)을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반영성(reflectivity)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참여관찰을 통해 영상자료, 소감자료, 면담자료 및 기억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엘리스(Ellis)가 제안한 구조분석(structural analysis)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자료를 해석하는 과정 및 자기노출을 통해 성찰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는 아이들을 좋아하는 초등교사였지만 정작 3세 딸과 놀아주는 것이 두려운 아빠였다. '불안증'을 안고 아이와 함께 놀 수 있는 방법을 찾던 중 3세 유아도 할 수 있는 연극놀이를 통해 두려움을 극복하기 시작했다. 아이가 연극놀이를 주도하게 되면서 나는 부담없이 참여할 수 있었고, 아이에게 배우는 자세로 연극놀이에 임했다. 아이와 놀아주기 보다는 함께 놀기위해 ‘아이처럼 놀이하기’를 목표로 연극놀이에 몰입(flow)하는 것에 성공하였지만, 매번 가능한 방식이 아니라는 한계를 느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극놀이의 목표를 ‘함께 만드는 즉흥 드라마’로 바꾼 후, 더욱 즐기는 자세로 연극놀이에 참여할 수 있었다. 3세 유아가 즐겁게 연극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첫째, 3세 유아는 연극놀이를 통해 자기주도성이 함양 되었다. 연극놀이에서 경험한 자기주도적 행동이 일상생활로 전이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3세 유아는 연극놀이 안에서 자기조절능력의 향상을 보여주었고, 그 자체로 즐거운 체험이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었다. 셋째, 연극놀이는 3세 유아가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고민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통로 역할을 하였고, 이를 통해 부정적 감정이 해소되는 효과를 얻었다. 나는 연극놀이를 즐기기 위한 노력으로 연극놀이 안에서 자유롭게 역할을 선택하고, 원하는 행동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허구 세계에서 했던 나의 노력은 실제 세계에서 내가 맡은 역할을 돌아보고, 페르소나(persona)를 벗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생활로 이어져 불안증의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내가 아이와 했던 연극놀이의 본질은 즐거움이다. 연극놀이를 통해 즐겁게 현존했던 순간들은 휘발되어 사라졌지만 그 자체로 가치 있었고, 언제 어디서든 즐겁게 존재할 수 있는 방법이 되어 아이의 삶을 풍요롭게 해 줄 것이다. 삶의 결과가 아닌 삶의 과정을 적극적으로 놀이하는 자세로 살아갈 때 비로소 호모 루덴스(homo ludens)로서 행복하게 존재할 수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what experiences a father had when he played dramatic play with his 3-year-old daughter and what kind of educational meaning the process had for a 3-year-old toddler. It also focused on discovering the message of life to a father and a daughter from dramatic play by the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In order to reveal vividly the process of how a father, who had difficulty in playing with a 3-year-old toddler, came to have fun through dramatic play, this study used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Efforts were made to secure the reflectivity of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researchers' self-reflexivity, and video data, impression data, interview data, and memo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analysis, an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and the self-exposure, the opportunities of introspection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 w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loved children but was a father who was afraid to play with my three-year-old daughter. While looking for a way to play with my child as a father with "anxiety," I began to overcome the fear through dramatic play that even a 3-year-old toddler could play. As my child took the lead in the play, I could feel free to participate with the attitude of learning from the child. I succeeded in immersing myself in the flow of dramatic play with the goal of "playing like a child" in order to play together rather than playing for. But I felt that it was not an available way every time.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s, after changing the goal of dramatic play to "Impromptu drama made together," I could participate in the dramatic play with a more enjoyable attitude. In the process of the 3-year-old toddler's fun dramatic play, I discovered the following educational meaning: First, the 3-year-old toddler's self-directedness was developed through dramatic play. That is because the self-directed action that she experienced in dramatic play was transferred to daily life. Second, the 3-year-old toddler showed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dramatic play and the dramatic play themselves were fun and worth playing. Third, dramatic play functioned as an effective-expressing channel for a 3-year-old child who had difficulty in expressing her issues verbally, which was effective to eliminate negative emotions. In my effort to enjoy dramatic play, I freely chose roles in the play and tried to act as the way I wanted. My efforts in the world of fiction helped me to look back on my role in reality and to take off my persona. These changes led to daily life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ing of my anxiety. The essence of the dramatic play that I had with my child was fun. The pleasing moments that had existed in dramatic play vanished, but the dramatic play themselves were valuable and it is turned out to be a pleasing way to enrich the life of my child at any time and any places. She can happily exist as Homo Ludens when she focus on the process of life with the attitude of playing actively, instead of on the result of life.

      • 효율적 군용 드론 작전 운영을 위한 Drone Force Deployment Optimization 알고리즘

        송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studied how to use the Internet of Drones, which combines the Internet of Things and Drone, among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revolution of the Fourth Industry, in an efficient and economical way. Recently, drones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military applications such as surveillance, reconnaissance, hitting, decontamination, and transportation, as well as private sectors such as traffic surveillance, shooting, shipping, and lifesaving. However, an effective strategy is needed to operate drones due to the limited battery capacity of drones and the lack of budgeting standards for fostering military drones and introducing and operating drones. In this study, when mission area is defined and the Hovering point and mission completion time are determined, at least several operational drones should be invested to determine the most efficient and successful operation. We propose a Drone Force Deployment Optimization (DFDO) algorithm that optimizes algebra. The DFDO algorithm is simulated by applying the parameters considering the actual operational situ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DFDO algorithm is compar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본 논문에서는 4차산업의 혁명의 핵심 기술 중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드론(Drone)을 접목시킨 드론 인터넷(Internet of Drones)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실제 전장상황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최근 드론(Drone)을 활용한 기술은 교통 감시, 촬영, 배송, 인명 구조 등 민간분야 뿐만 아니라 감시, 정찰, 타격, 제독, 수송 등 군사용으로도 드론(Drone)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의 제한된 배터리 용량과 군의 드론 전사 육성 및 드론 도입 및 운용에 따른 예산 책정 기준 부재에 따라 드론을 운용하는 작전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무지역(Mission area)가 정해지고 그에 따른 임무지점(Hovering point)와 임무 완료 제한시간이 정해질 경우 최소한 몇 대의 작전 드론을 투입하여야 가장 효율적이고 성공적으로 작전을 운용 가능한지 작전 투입 드론의 대수를 최적화 해주는 DFDO(Drone Force Deployment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DFDO 알고리즘에 실제 전장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실제작전상황을 고려한 parameter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시하였고 이전 연구와 비교하여 DFDO 알고리즘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여 성능을 입증 하였다.

      • 모아심리운동놀이가 모아애착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주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애착은 전 생애를 통해 타인과의 관계형성, 사회적응, 성격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애착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본 연구는 애착증진에 중점을 둔 어머니와의 모아심리운동놀이가 모아애착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또한 어머니가 유아에게 애착발달단계에 따라 반응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가정에서도 적용해 봄으로써, 유아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해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등촌동 소재의 D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중 모아애착관계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유아 7명을 대상으로 주2회, 총 14회기 동안 모아심리운동놀이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인 애착 이야기 완성과제(ASCT) 검사를 통하여 불안정애착으로 선별된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실시하였다. 애착 Q-set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애착안정성 및 하위영역(안전 기반 행동, 정서적 공유, 유아의 까다로움, 순응, 신체적 접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중재는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습득하는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비디오 분석을 통한 피드백과 중재 시 모델링 및 코칭 방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아심리운동놀이를 통하여 유아의 애착안정성이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한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모아심리운동놀이는 유아와 어머니간의 모아애착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모아심리운동을 통하여 애착안정성의 하위영역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안전 기반 행동, 유아의 까다로움의 2영역에 대해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정서적 공유, 순응, 신체적 접촉의 3영역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모아심리운동놀이가 5가지 하위 영역 중, 안전 기반 행동과 유아의 까다로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3영역 또한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했지만 소폭의 점수향상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모아심리운동놀이는 모아애착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장하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되며, 대인관계 및 성격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애착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에 모아심리운동놀이의 효과를 증명한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유아에 대한 이해 및 어머니의 반응에 중점을 두어 애착의 주 대상인 어머니들에게 이론적인 접근이 아닌 직접적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모아심리운동놀이는 모아애착이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돕는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된다고 볼 수 있다.

      • 韓國의 7次 新敎育 科程에 따른 中學校 敎室環境 改善方向에 관한 硏究

        송주영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수준별 이동수업 형태에 적합한 교육 환경개선을 위해서 문헌연구, 현장조사, 설문조사 기법을 통해서 신축건물의 개발여건을 분석,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7차 신교육과정에 대응하도륵 시설을 확충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과제는 교실형태의 다양화, 수준별 이동 수업을 고려한 교과 교실의 확보, 학생의 실내 이동을 고려한 홈베이스 설치, 학습자료실 및 교과연구실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교실의 합리적인 계획과 아울러 기존의 일반교실+특별교실형(u+v형)의 학교운영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교육지원 관련시설에 대한 우선적인 고려와 시설확충 계획이 수립될 괼요가 있다. 둘째, 신교육과정(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준별 학습단계틀 고려한 교과목별 적정 학습인원과 수준별 학습과목에 해당되는 교과목(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의 학습영역별 적정 학습인원에 대한 이해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항들은 수준별 학습을 위해 필요한 학급당 적정 학생수로부터 소요공간을 산출하고,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학습공간의 물리적인 크기를 결정하여 합리적인 규모계획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수준별 학습단계를 고려한 학급당 적정 학습인원을 20-30명, 40-50명, 80-120명 등으로 다양하게 유형별로 제시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교과목당 최대 수용인원은 40-50명 이하의 범위를 넘지 않아야 효과적인 학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준별 학습을 위한 분반 규모의 적정 인원은 교과목에 따라서 15-25명 범위로 제시되고 있어, 이 점을 시설규모 계획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준별 학습단계와 교과목별 학습영역을 고려한 적정학습인원의 다양한 유형들을 수용할 수 있는 단위학습의 물리적 공간의 크기와 형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서 융통성과 개별성 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학습공간의 유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7th curriculum differentiated moving instruction type appropriate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means of literature study, field study, interview survey method, and to suggest conditions of new building developmen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reached below conclusions. First, top priorities of facility expanding for corresponding with 7th curriculum are variety type of classroom, secure of subject classroom for differentiated moving instruction, installation of homebase by inside student moving, resource and subject study room. Rationalized plan of subject classroom and less importantly considered educational supporting facility in exist U+V classroom type manage of school should be preferentially considered and established to plan of facility expansion. Second, the understanding level of 7th curriculum is low at teacher, student, and parents. Appropriate instruction number by suect consider by differentiated learning stage and differential suect, such as Koran, English, Math, and Science, understanding level of appropriate loaming number by learning area is also low. These lists are important factors for calculating to differentiated learning required space from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 per classroom, and important for reasonable plan of size followed in determining physical size of learning space for acceptance. Different from prior study are suggested variety type of differentiate learning stage consider learning number per classroom is 20-30, 40-50, 80-120, by interview survey maximum numbers per suect are suggested less than 40-50 then effective learning is possible. Third, appropriate numbers of divided class for differentiated learning are 15-25 students by subject and these should be considered for plan of facility size. Through systematic study of the size and feature of physical space on unit learning which is acceptable number variety type of appropriate loaming considered by differentiated learning stage and learning area of each subject, variety size and feature of learning space type that have adaptability and individuality are need to suggest.

      • 지역사회의 운동지향성 : 남해군 지역대안학교 준비포럼을 중심으로

        송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95년 전국적으로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되면서 풀뿌리민주주의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지방자치의 모범사례로 떠오른 경상남도 남해군의 지역사회운동을 ‘영역’-‘공공성’개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절차적 민주주의를 획득하면서 풀뿌리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함께 지방자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왜냐하면 근대화 과정에서 왜곡된 ‘중앙집중화’는 지역이 자기 담론구조를 갖지 못하는 객체로 전락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이 사회적 토론구조를 바탕으로 주체성과 자율성을 갖지 못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은 어렵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되면서 남해는 농민운동가 출신 무소속 후보 김두관을 군수로 당선시키면서 외부로부터 ‘자치 율도국’이라는 이미지를 높였다. 보수 성향이 강한 남해 가 10여 년 이상의 지역운동 성과로 정치사회를 진보적으로 변화시켰다는데 의미부여를 한 풀뿌리학교 준비팀은 2001년~2003년 동안 남해 지역사회운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남해는 외부에서 알려진 것과 달리 지역의 사회운동 지반이 그다지 성숙되어 있지 않았다. 남해의 사회운동은 ‘운동영역’적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꾸준히 강화되어오던 남해의 운동영역은 1995년 정치기회구조를 변화시킨 이후에 공공성의 지원을 받는데 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약화되었다. 그 이유는 지역사회운동을 기반으로 제도정치로 진입한 김두관이라는 상징을 ‘풀뿌리 사회권력 창출의 가능성’이 아닌 ‘중앙 제도권력 획득의 가능성’의 가치로 읽어내면서 운동영역의 전열이 흐트러졌기 때문이다. 결국, 운동영역 내(內) 새로운 상징?가치를 형성하지 못하고 남해 지역사회는 정치지향성으로 심각하게 균열되면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다. 지역이 자기 담론구조를 갖지 못한다는 것은 결국 중앙권력으로부터 주체적?자율적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남해로서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었다. 왜냐하면 아무리 제도적으로 분권이 이루어진다 해도 지역의 시민사회가 성숙되지 않는다면 진정한 의미의 풀뿌리민주주의 실현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풀뿌리학교 준비팀은 심각한 지역균열구조로 소통의 통로가 단절된 남해군에 사회적 토론 기제를 만들어 보고자 2001년과 2003년에 걸쳐 두 차례의 포럼을 발의했다. 포럼에서는 다음의 4가지가 문제제기 있었다. 첫째는 중앙이 모든 권력과 자본을 독점하면서 생기는 지역의 객체화이다. 둘째는 상향적 체제 내(內) 권력지향성으로 인해 생긴 남해 지역사회의 심각 균열현상이다. 셋째는 지역의 의사소통구조가 부재이다. 넷째는 지역사회를 활성화시키는 데 필요한 젊은 인재 부족 현상이다. 1차 포럼과 2차 포럼이 약 1년 6개월의 간극을 두고 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럼 참석자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문제제기는 동일했다. 달라진 것은 두 차례의 포럼이 이루어지는 동안 지역주민들이 지역문제를 인식하는 방법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는 점이다. 즉, 지역주민들의 문제인식 방법이 1차 포럼에서는 ‘상향적 체제 외(外) 권력지향성’의 특징을 보였다면, 2차 포럼에서는 ‘하향적 체제 내(內) 관계지향성''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1?2차 포럼에서 지역주민들은 체제 내(內) 정치권력과 별도로 풀뿌리 관계권력 형성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지역활성화를 위한 나름의 대안들을 제시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지역인재 육성이다. 이는 남해 지역사회의 운동영역이 지역인재를 육성하는 과정에서 관계권력을 형성하는 가운데 강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또한,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상황들은 지역에 토론구조형성의 단초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그 속에서 논의된 공론 또는 공공성이 구체적 실천의 단계까지 이른다면, 지역은 중앙체제로부터 빼앗겼던 주체성과 자율성을 획득할 것이다. 결국, 앞으로 남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지역사회의 건설적인 소통구조를 확립해서 그 속에서 지역주민들이 일상생활 문제로부터 정책적인 이슈를 찾아내고 공론을 형성해 나가는 정치, 나아가 형성된 공론을 바탕으로 실천적 일감을 지역주민들이 함께 해나가는 지역사회로의 전환이 아닌가 싶다. This paper analyzes in the concept of ‘sphere’-‘public spirit'' the community movement of Namhae-gun, Gyeongsangnam-do which became as an exemplary case of local self-government with the interest in grass-rooted democracy as a local self-government system goes into operation in 1995 throughout the nation. In Korea, after June Contention in 1987, as the procedural democracy was obtained, the interest in local self-government as well as a great desire for grass-rooted democracy increased. Because ‘Centralization'' distort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made a community degrade to the status of the object unable to a self discourse structure. Under this situation, if a community can''t have subjectivity and autonomy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social discussion, it is difficult to materialize grass-rooted democrac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s a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s carried out in 1995, Kim Du-gwan, a nonpartisan candidate who was a peasant campaigner, was elected and the image of ‘autonomous Yuldo Government'' spread to the outside. The grass-rooted school preparation team, which highly evaluated Namhae in that Namhae having strong habits of conservatism progressively changed the political world as a result of a local movement for more than 10 years, made an site investigation fo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Namhae Community Movement for the period 2001~2003. Namhae, differently from the fact known to the outside, the base of a social movement of the community was not yet firmly developed. The social movement of Namhae was characterized by ‘movement sphere''. By the way, the movement sphere of Namhae that had been continuously strengthened, after changing the 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ies in 1995, was aggravated failing to receive support of popular spirit. Because, the symbol of Kim Du-gwan who penetrated into the systematic politics based on a community movement was evaluated as the value of not ‘the opportunity for creating grass-rooted social power'' but ‘the opportunity for obtaining central systematic power’, so the movement was not expanded any more. Finally, failing to create new symbol?value within the movement, Namhae Community was changed into politics-oriented habits and seriously separated, so that the Community became unable to form social discourse. Since for a community doesn''t have a self discourse structure means that it can''t be subjective and autonomous from the central power, Namhae faced serious problems. Because however systematically power is decentralized, if a citizen community of a district is not well developed, it is impossible to materialize grass-rooted democrac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Grass-rooted school preparation team proposed a forum two times in 2001 and 2003 in order to provide an discussion opportunity for Namhae-gun where a pathway to communication was blocked among inhabitants due to a seriously separated local structure. At the forum, following four problems were raised. The first problem is objectivization of a district which occurs as the central monopolizes all the power and capital. The second is serious separation phenomenon of Namhae Community which occurred due to power-orientation inside the upward system. The third is lack of the structure for a pathway to communication in Namhae Community. The fourth is lack of the young talent necessary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In spite of what the first and second forum was held at the interval of about one year and six months, the forum participants raised the same problems of the community. It was the fact that a big change in a method of the local inhabitants recognizing a local problems during the period of two forums being held that became different. That is, while the method of the inhabitants recognizing problems at the first forum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the power-orientation outside the upward system'', the method showed ‘relation-orientation inside the downward system'' at the second forum. At the first?second forum, the local inhabitants, separately from the political power inside the system,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for formation of grass-rooted relation power, proposing alternatives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The typical among them is training the local talent. This opens the possibility of the movement sphere of Namhae Community being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training the local talent and forming relation power. Also, the situations of discussing about methods for training the local talent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forming a discussion structure to the community. Furthermore, if the public opinion or public quality reaches a stage of concrete practice, the community will take back the subjectivity and autonomy from the central system. In conclusion, the direction in which Namhae must go is to establish the constructive communitive structure so that the local inhabitants may find a political issue from their daily lives within the structure and form the public opinion and to change into the community where the inhabitants work together on the basis of the formed public opi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