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페인 근대 민족 악파의 민속 음악적 특징 : 그라나도스의 「고예스카스」와 팔랴의 「스페인 7개 민요에 의한 선율」을 중심으로

        송승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the end of 19th centry to the early 20th centry, Enrique Granados and Manuel Maria de Falla who are the modern nationalist school of Spain contributed to developement of Spanish artmusic under basis of folkmusic. The folk music of Spain is much more than any other country and each genre has execulusive chracter. There are dance music like Jota, Fandango, Seguidillas, Flamenco, Bolero and so on. They tend to accentuate the individuality of the different regions and thereby to heighten the variety of the musical folklore. Granados's「Goyescas」is inspired by the painting of Francisco Goya who is the famous spanish painter in 18th centry. The pieces utilize ornaments and spanish dance rhythm and imitate the tone of a guitar and percussions. Falla's「Siete Canciones Populares Espan~olas」are in strophic form or transformed strophic form, and most of the pieces are songs based on dances triple meter. The pieces utilize melisma, restrained phrases with four rising or falling notes, Phrygian mode and sycopation which are are all characteristics of spanish folk music as a whole.

      • 화병의 경과 및 회복요인에 관한 질적분석

        송승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gress of Hwa-byung and the influence factors in Hwa-byung.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s. We studied the progress and recovery of Hwa-byung with the lived experiences of 8 middle aged women suffered from Hwa-byung. To analyse the data collect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ology was used. Result : 8 participants who thought themselves Hwa-byung were actually 6 Hwa-byung patients and 2 non Hwa-byung patients. 4 years later, Among 6 Hwa-byung patients 4 patients recovered, 1 patient persisted, last one patient is circular Hwa-byung. Over time, The symptoms of Hwa-byung were reduced substantially. But patients recognizes their disease continuously persisted. Also, they thought the symptoms increasing. t is observed that environmental chages, physical changes, cognitive changes, emotional chages and changes of attitude toward others in the recovery period. ecovery factors is the reduction of stimuli, social support, exercise, treatment, control of rumination and some cognitive changes. Patients thought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Hwa-byung symptoms and hypertension. And They looked on Hwa-byung as cause of various diseases. Conclusion : To recover Hwa-byung, It is necessary that patients have changes of environment, cognition and emotion and need to have self management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Doctor should correct the misconception about symptoms that thought too much.

      • "We are Somewhat Competent": The Effect of Ambivalent Messages Used in Promoting Pro-Environmental Brands

        송승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사회적 이슈에서 나아가 본 연구는 친환경 브랜드의 제품 경쟁력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일반 브랜드와 달리 친환경 브랜드는 환경을 보호한다는 사회적 책임으로 비롯된 따뜻한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제품의 품질 등을 포함한 경쟁력 차원에서는 타 브랜드에 비해 다소 부족하다는 소비자 인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친환경 브랜드에 있어 브랜드 경쟁력을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이에 있어 본 연구는 브랜드 경쟁력에 대한 홍보 메시지의 태도가 소비자가 결과적으로 갖게 되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개인의 설득지식 수준에 따라 브랜드의 홍보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데 영향을 주게 되므로 중요한 조절 효과로 예상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설득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 경쟁력에 대한 양방향의 태도를 보이는 홍보 메시지는 결과적인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신의 브랜드에 대하여 무조건 옹호하지 않으며 부족한 점을 인지하고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메시지의 양방향 감정이 드러나는 태도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브랜드를 겸손하다고 여겨지며 이는 곧 브랜드에 대한 신뢰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eal a successful way of delivering pro-environmental brand’s competency information to consumers. Unlike other neutral brands, PE brands are often perceived to be high in warmth but low in competence by the general public. Thus, successfully conveying the brand’s potential competency to consumers is a significant issue to be resolv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fferent attitude portrayed through brands’ promotional messages on brand attitude. Moreover, one’s dispositional persuasion knowledge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moderator when consumers understand and accept brands’ promotional messages. The results indicate while those with high dispositional persuasion knowledge show positive brand attitude when the brand competency information is presented in ambivalent manner, those with low persuasion knowledge build positive brand attitude when the competency information is presented in univalent mann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effect were examined as well. Perceived humility and credibility towards the brand serially mediated the effect. Overall, the current research proposes that PE brands could more successfully promote their brand competency when they adapt humble and credible behavior by portraying ambivalent attitude in their promotional messages.

      •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적용한 다층모형(HLM) 분석

        송승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re known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continuation of a stable life in the community, quali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social functions. In addition, deinstitutionalization, community integration, community care, and the paradigm shift that focusing on the needs of the consumer is provide justification for expanding housing services. However, the current community housing support service in Korea is very poor and it is remain in a system centered on institutionalization. In this aspect, it is meaningful that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can be reflected in improving the access to services and, furthermore, in expanding housing services that are significantly lacking.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using the expanded Andersen Model, which added community dimensions(Contextual enabling factors) to the existing personal dimensions(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This has a advantage in that it can know who experiences inequality in access to servic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service use by verifying multilaterally and systematic factors affecting housing service use. The Anderson model can also be used to deriv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olicies related to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in 2017 was used,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t the same time, the data of community level(level 2)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extracting national level data, such as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nd The National Mental Health and Welfare Commission. And, logistic hierarchial linea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rvice users we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lev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e basic model for verifying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y community showed that the vari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at the use of housing services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has been shown to be different among communities. Accordingly, as a result of inputting personal level variables, in the predisposing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th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In the enabling factors, employment status, public assistance status, stigma, and in the need factors, housing service needs and family relation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fterwards, controlling the personal dimension factor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then analyzed the community level as a contextual enabling factor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mental hospital beds by region, the welfare budget for the disabled by region, and the ordinances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by reg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activation factors and degradation factors of individual level and community level by applying the expanded Andersen model for the use of housing service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igma level plays an important negative factor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nd it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of the consumer and their family members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use of community housing services on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y Andersen model, and identified effective practical ways for expanding and promoting housing services. The main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s of the consumer i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as found to play a major role. In view of this, it is necessary to take practical measures for advocacy programs that can guarantee the right to choose the consumer in the services. Seco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hould focus on reducing stigma were derived to promote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Third, practical implications to strengthen employment suppor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raised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Fourth,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use of housing servic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family support services that positively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nber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which are social structures, on housing services. This can lead to the need for policy changes at the community level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e mai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and to promote the real independent-living, it is required to shift the policy to reduce the number of psychiatric hospital beds and to expand the housing services. Second, in order to promote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welfare budget for the disabled and to establish a policy-oriented point that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social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rd, policy implications was derived that focusing on legal aspects such as enactment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Fourth, a policy alternatives are required to ensure the consum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future research, including housing services, such as independent housing and supported housing, which is emerging as a recent issue.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reflecting the needs of housing services not only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ut also for the family. Third, if the groups of HLM analyses are further subdivided in the later implementation of relevant research, various policy alternatives can be inferr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이 주거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는 지역사회 내 안정적 삶의 지속, 삶의 질, 사회적 기능 향상 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탈원화, 지역사회통합, 커뮤니티케어, 당사자의 욕구에 중점을 두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주거서비스 확대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지역사회 주거지원서비스는 매우 빈약하며, 시설화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 접근 향상, 더 나아가 현저히 부족한 주거서비스를 확충하는데 반영할 수 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차원(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에 지역사회차원(맥락적 가능요인)을 추가한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여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는 주거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각적이며 체계적으로 검증하여 서비스 이용 결정과정에서 누가 서비스 접근에 대한 불평등함을 경험하는지 알 수 있다는 것에 강점이 있다. 또한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면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확장 및 촉진 정책과 관련되어 실천적․이론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분석을 위해 개인적 수준(1수준)의 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연구용역 과제를 수탁하여 수행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지역사회 수준(2수준)의 자료는 국립정신건강센터 및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등 국가수준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의 특성에 대응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지역사회 수준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로지스틱 다층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여부를 지역사회별로 검증한 기초모형 결과, 분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에 지역사회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인적 수준 변수를 투입한 결과 선행요인에서는 결혼상태와 교육수준이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수급여부, 스티그마가, 욕구요인에서는 주거서비스욕구, 가족관계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차원 요인들을 통제한 후, 지역사회차원을 맥락적 가능요인으로 투입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정신의료기관 병상수, 지역별 장애인복지예산, 지역별 정신건강복지법 관련 조례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을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적 수준과 지역사회수준의 활성화요인과 저하요인들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여부에 있어 낙인수준이 중요한 부적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도출하였으며, 주거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당사자의 욕구와 가족과의 관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는 이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주거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앤더슨 모형에 따라 검증함으로서 주거서비스 확대 및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실천적 방안을 파악하였다. 주요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당사자가 가지고 있는 욕구는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하여 서비스에 있어 당사자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는 권익옹호프로그램에 대한 실천적 방안의 강구가 요구된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촉진을 위해 스티그마 감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실천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셋째,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해 취업지원 및 직업재활 서비스를 강화시킬 실천적 함의가 제기된다. 넷째, 가족과의 관계는 주거서비스 이용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해서는 가족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가족지원서비스 확충 또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구조인 지역사회 특성이 주거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 확산 및 촉진을 위해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정책적 변화 필요성을 가져올 수 있다. 주요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 활성화 및 진정한 자립생활 도모를 위해 정신의료기관 병상수의 절감과 주거서비스 확충을 도모하는 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촉진을 위해 장애인복지예산을 확대하고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서비스는 장애인복지정책과 통합되어야 하는 정책적 지향점의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조례제정과 같은 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넷째, 당사자의 주거서비스 이용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연구 진행 시 최근 이슈로 부상 중인 독립주거 및 지원주택과 같은 주거서비스를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장애인 뿐만 아니라 가족이 가지고 있는 주거서비스 욕구를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추후 관련 연구 시행 시 다층분석의 집단을 보다 세분화한다면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중소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송승연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자는 인천광역시 소재 5개 중소병원 임상 간호사 240명이었으며, 2018년 3월 1일에서 4월 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연구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3.28(±0.55)점, 조직몰입은 평균 2.88(±0.50)점,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평균 2.68(±0.33)점 이었다. 2.감정노동과 감정노동의 하부영역은 모두 조직몰입의 하부영역 중 정서적 몰입과 유의미한 음적 상관관계(r=-.190, p=.003).를 보였다. 3.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부영역은 모두 조직 몰입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p<.05)를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를 통해 중소병원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러므로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정서적 몰입을 높이기 위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는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영어학원 재원 경험이 있는 유아의 언어, 사회정서 발달과 유아교육 기관생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송승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전문가인 유아교사가 영어학원에서 재원했던 유아의 언어, 사회정서발달과 유아교육 기관생활 요소를 직접 평가하도록 하여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프로그램이 유아의 발달과 기본생활습관, 놀이, 대소집단활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유아대상 영어학원에서 유아교육기관으로 옮겨온 유아 140명의 담임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영어학원 재원 경험이 있는 유아의 발달과 유아교육 기관생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교사 면담을 바탕으로 제작한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은 언어발달, 사회정서발달, 기본생활습관, 놀이, 대소집단활동 총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였고, 영어학원에 재원하였던 유아가 처음 유아교육기관으로 이동해왔을 당시의 수준을 회상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대상 영어학원 재원 경험이 있는 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정서발달 수준은 또래에 비해 미흡한 수준이었다. 특히 언어발달의 경우, 사회정서발달뿐만 아니라 기본생활습관, 놀이, 대소집단활동을 통틀어 가장 부족하다고 평가되었다. 언어발달의 경우, 듣기와 말하기 수준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사회정서발달의 경우 사회적 관계발달이 가장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유아대상 영어학원 재원 경험이 있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놀이, 대소집단과 같은 유아교육 기관생활 수준은 모두 또래에 비해 미흡한 수준이었다. 특히 영어학원에 재원 경험이 있는 유아들은 놀이, 기본생활습관, 대소집단활동 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놀이와 대소집단활동에 대한 평정을 통해 공통적으로 자발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가 영어학원에서 유아교육기관으로 이동해온 유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부모가 유아기가 발달, 유아교육 기관생활 습득의 결정적 시기임을 알고,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국가와 기관 차원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부모가 유아대상 영어학원에 재원하여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따를 수 있다는 인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학원임이 드러나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교육과정 명칭 사용을 제재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rogram of the English academy for infants affects the development of children, basic lifestyle, play, an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by allow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irectly evaluate the languag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life factors of infants funded by the English academ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3 homeroom teachers of 140 children who moved from English academies for infant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experience in English academies and the standard of institutional life, a teacher questionnaire was used ba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teacher interviews. The survey consisted of five parts: language development,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asic lifestyle, play, an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children who had applied to English academies were asked to respond by recalling the level at which they first mov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language an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with experience in funding English academies for children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pe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nguage development, it was evaluated as the most insufficient not only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ut also in basic lifestyle, play, an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case of language development, it was reported that the level of listening and speaking was the most insufficient, and in the case of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social relationship development was evaluated as the most insufficient. Second, the basic lifestyle, play, an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of children with experience in funding English academies for children were all inadequate compared to their peers. In particular, children with experience at English academies were struggling in the order of play, basic lifestyle, an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ir evaluation of play and large-scale group activities showed that they had low spontaneity in comm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ach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so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ho have moved from English academi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arents will be able to conduct parental education at the n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level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addit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parents should use the name that reveals that they are academies so that they can follow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even if they apply to English academies for childre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name of the curriculum for English academies for children.

      • UCC(User Created Contents)를 활용한 중학교 생물과 교수ㆍ학습 방안

        송승연 中央大學校 校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참여와 공유, 개방이 공존하는 사용자 중심의 Web 2.0 시대가 도래 하면서 UCC가 사회ㆍ문화적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최근 들어 다양한 방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UCC 이용과 더불어 관련 연구 또한 활발한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사용자 중심의 UCC 매체를 교육적으로 활용해보고자 제기되었다. 이전에도 e-러닝 교육환경을 맞이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들을 활용해 왔으나, 이는 교사가 직접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ㆍ가공ㆍ편집하여 제공하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수동적인 학습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UCC를 보조적 교수매체로써 활용하게 된다면, 능동적인 양방향 수업이 가능해지므로 보다 효과적인 교수ㆍ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선 e-러닝 교육환경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고, Web 2.0의 원리를 대표하는 UCC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UCC 활용수업이 시행될 경우의 교육적 가치를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수업방안 제시에 앞서 실시된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서, 학생들의 일상적인 인터넷과 UCC의 이용 빈도가 매우 높으며 인터넷 활용수업과 UCC 활용수업에 대한 기대도 및 정의적 반응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1학년 과학「Ⅵ. 생물의 구성」단원을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학생들이 생물 교과에서 가장 궁금해 하는 주제인 해부 실험과 관련된 실험 UCC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미리 개설된 교과 홈페이지에 이를 게시함으로써 UCC를 활용한 생물과 교수ㆍ학습 방안의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 저하가 급속히 나타나는 중학생들에게는 다양한 학습 자료의 활용이 절실한데, 직접 UCC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UCC 활용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켜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며, 수업에 대한 집중력 향상을 기대하게 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팀을 이루어 과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서로 토론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분위기가 조성되므로 과학적 창의성과 사고력, 협동심도 고양시킬 수 있다. 다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 본 수업방안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으므로, 이에 대한 부작용 및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는 향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방향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수ㆍ학습 방안 외에도 UCC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 자료와 교수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Web 2.0 era in which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ing coexist, UCC has taken root as a socio-cultural trend and its value is recently recognized in a variety of fields, thus resulting in its frequent use and active studies on i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ategy of educationally using the user-centered UCC media in schools. In the past, a variety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were used in the e-learning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y only could deliver one-sidedly the information of which educational contents were produced, processed, edited and provided by teachers. So such a learning method could not but be passive. However, if a student uses UCC which is made by him as a assistant learning medium, a positive two-way learning is possible, thus resulting in a effective learning.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learning educational environment first of all and then looked into UCC which representing the principle of Web 2.0 in order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value of UCC-utilized learning. And through the study findings of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before presenting the strategy of learning, the investigator understood that students' use frequency of Internet and UCC in their everyday life was high and their expectation and affective response for the Internet and UCC-utilized learning were positive.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investigator designed a science lesson focusing on the unit of 「Ⅵ. The Composition of Living Things」in the science subject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n worked out an experimental UCC which was related to the dissection experiment, a theme stu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And by pinning up a notice on the curricula homepage opened in advance,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case of UCC-utiliz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f biolog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interests in science decrease radically, it is necessary to use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As shown by the positive response of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production of UCC first-hand, UCC-utilized learning induces students' interests, improves their power of concentration, and enhances their interests and understanding in science. In addition, the cooperative production of a subject by a team creates the mood of discussion and share of information, thus resulting in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creativeness, thinking power and cooperation. However,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draw out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this study's learning strategy from schools, its side effec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must be studi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is study's learning strategy, future studies must be carried out on the UCC-utilized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ies to achieve a two-way learning with which students take part in it positively and actively.

      • 사회적 배제,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의 관계 :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송승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살예방정책은 자살을 개인심리적 차원에서 바라보는 ‘자살의 개인화’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에는 사회적 배제와 같이 다차원적이고 복잡한 거시적 원인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라는 ‘자살의 사회화’ 가정 하에,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가 중장년층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직접경로와 사회적 배제가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도달하는 간접경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한국복지패널(KOWEPS) 제9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40~60대의 중장년층 5,04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 t-test,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적용하였다. 위의 분석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와 자살생각간의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검증되었으며, 사회적 배제가 높아질수록 중장년층의 자살생각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경제활동 배제, 노동활동 배제는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 배제, 주거 배제, 사회참여 배제는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부분매개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자살개입대책에 있어 ‘자살’의 원인을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로 접근하는 정신의학적 접근만이 아닌, 사회구조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사회적 배제 차원의 접근을 시도함으로 자살개입정책 관점 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자살에 대한 개입 범위가 정신의학적 관점을 넘어 사회적 배제 차원까지 확대되어야 함을 제기한다. 또한 자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사회적 배제, 우울,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방향성을 반영하여 본질적으로 사회적 배제 감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는 작금의 자살예방정책 상징인 정신과적 치료 예산을 복지 수당, 실업 급여 확대와 같은 정책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사회 안전망’ 구축이 자살률을 낮추는데 필요한 방법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은 ‘자살’이란 존재에 대해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지만, 자살을 하나의 질병으로 구체화 시켜서 통제하는 것은 본질이 호도되는 우려가 존재한다. 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자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새로운 담론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의미를 지닌다. The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re limited to the ‘individualization of suicide’ which looks the suicide in the personal psychological dimension even though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xclusion,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al ideation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under the premise that there will be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macroscopic causes like the social exclusion on the background the influences suicide. For the purpose, the study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rect route where the social exclusion explains the thoughts of suicidal ideation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and indirect route where the social exclusion reaches the thoughts of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the depression. The study utilized the Ninth (2014) data from KOWEPS, and the targets of the analysis were 5,049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between their 40s to 60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applied used SPSS 22.0, frequency analysis, ,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pplied the sobel test for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deducted through the method are as follows. First,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xclusion and thoughts of suicide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was verified, and the increase in the social exclusion seemed to increase the thoughts of suicidal ideation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Second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hold by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thoughts of suicidal ideation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and it was shown that the exclusion of economic activities and labor activities completely mediated the route to the thoughts of suicide through depression.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exclusion of health, housing,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partially mediating the route to the thoughts of suicide through depression. The study has meaning for the suicide intervention measures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as a study that may suggest the necessity on the shift of perspective on the suicide intervention policy by trying out not only the psychiatric approach which approaches the cause of ‘suicide’ with personal psychiatric problem but also the approach in the dimension of social exclusion which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socio-structural aspects. The study examined in the aspect of policy and practice suggests that the range of intervention on the suicide of middle and senior-aged individuals should be expanded to the dimension of social exclusion while exceeding the psychiatric perspective. Furthermore, the study implies that the focus should fundamentally be on the reduction of social exclusion by reflecting the directivity leading to the social exclusion, depression, and thoughts of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afety net’ which provides the psychiatric treatment budget, a symbol of suicide prevention policy, in the form of expansion of welfare and unemployment benefits is a necessary method for reducing the suicide rate. The study has a fundamental limit on the existence of ‘suicide’ which is yet clear. However, materializing and controlling suicide as a disease may mislead the essence of suicide. The study has a meaning in the aspect suggesting the necessity on the discussion of suicide in various dimensions and the necessity of new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