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박하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통해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나아가야 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48명의 재학생 중 연구자를 제외한 47명(N=47)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질적연구방식이 주가 되며, 양적연구방식이 부로 이루어진 혼합설계로 설문지법과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법은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와 서술형 질문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법은 4차와 5차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 14일, 5월 15일, 5월 17일에 3번에 걸쳐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이 가장 만족하는 점은 학교의 명성, 학교의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환경, 교수의 가르침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점은 장학금, 학교교실 환경, 각 수업의 학급 인원 수, 행정서비스의 질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3번의 면접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교수의 전문성, 전임교수의 부재, 과목 선택권의 문제, 서양음악전공생과 국악전공생의 통합수업으로 인한 문제점, 논문지도 문제, 학습시설 부족, 행정적 시스템의 문제, 임용고시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발전을 위하여 ① 음악교육전공 전임교수 배정 ② 음악교과교육학 과목에 있어서 1차와 2차 재학생, 3차 이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같은 과목 2개 분반 수업 실시 ③ 서양음악전공생은 국악과목 의무 수강, 국악전공생은 서양음악과목 의무 수강 ④ 음악교과내용학 과목 현행 2과목에서 3과목 개설로 선택권 확대 ⑤ 음악교과내용학 과목에 있어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특히 국악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성 있는 교수 배정 ⑥ 4차, 5차 때 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 수업 개설 ⑦ 가논문 심사 실시 ⑧ 실기과목의 경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한 학습 기자재 지원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 결과와 제시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curriculum and the system of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and to suggest the right solutions to improve the issues by the graduate students' opinion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7 students(N=47) and questionnaire methods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1 questions and short-answered questions were also given to the respondents. Interview method was carried with 6 students in 4th and 5th semester in May 14th to 17th,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music education in Chungang graduate school satisfied the most in school reputation, services by library and lessons professors provide in order. Second, the least gratifying issues were scholarship, poor classroom environment,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 of administration. Finally, the common issues that students point out as they should be improved wer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ors, lack of full-time professors, options students have when choosing courses and the problems by course combination between different majors such as that of western music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Not only that, lack of the facility for studying, the problem by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low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National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Conclusion from abridged results are as follow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at graduate students provided, school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ⅰ)allocation of full-time professors ⅱ) separation of the same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based on the semester ⅲ) mandatory classes for different majors such as western music majo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Also, ⅳ) extended options for choosing courses ⅴ) recruitment of professor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ⅵ) introduction of pre-examination system for a thesis ⅶ) providing enough facilities for practice were suggested as well.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perception music education majors have. Through this research, many respondents points out problomatic issues and their solutions which will lead the music education of Chungang graduate school to more improvement.

      • 교육대학원 영어전공 교과과정 실태조사 및 만족도 연구

        조혜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교육대학원이 교과과정에 있어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 교육전문가의 전문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한다면 그에 맞는 교과과정이 조직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교육대학원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운영하지 못하여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목적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수요자인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나 직업 등에 따라서 공부하려는 목적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소재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 전공과정을 살펴보고 응답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 교과과정의 인식과 만족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수방법과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교육대학원 행정과 복지에 관한 만족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발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 보왔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연계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문적 소양 습득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행정과 복지면에서 행정서비스의 신속한 처리와 친절한 응답이 만족요소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장학금에 대해서는 금액과 기회의 제약을 드러내며 불만족하고 있다는 결과는 보여줬다. 교육대학원 영어전공 프로그램에서 가장 개선할 부분으로는 교과과정의 개선을 꼽았다. 현재 진행되는 교육과정이 재교육을 원하는 현직교원을 위한 과정과 교원양성을 위한 예비교사양성 과정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들어났다. 교육대학원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위하여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최대한 노력해야한다. 또한 나라의 기둥인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칠 학생들을 교육시킨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겠다. If the curriculum objectiv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re-training current teachers, producing new teachers, and boosting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al experts, the compatible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Howeve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not able to accomplish such objectives by failing to operate such curriculum that meets the demands of students. Each of them has a different purpose for studying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ending on their reasons for studying or their occup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nglish education major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explored the following: perception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ending on personal background of respon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n English education major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action in teach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n administration and welfar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nglish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nk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s linked to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In terms of satisfaction in curriculum, most of respondents stated it was helpful in cultivating their expertise. As for administration and welfare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prompt handling of their administrative services and friendly responses were the satisfying factors. However,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amount and frequency of scholarships offered b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for the biggest area for improvement in English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it was the curriculum, according to respondents. Since the current curriculum doesn't have separate programs between current teachers seeking re-training and teacher candidates in need of new training, the students wanted improvement on that area.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students. In addition, they should offer more variety of high-quality educational services to current and future educators for youths, the potential driving force of the country,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ers.

      • 미술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육방안 연구 : 중앙·홍익 미술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교육방안 제안

        유지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right Art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going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For this goal, questionnaires among fine arts university students were implemented to verify “How identity form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major satisfaction influence in career selection”. <Analysis on respondents> 1.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in respondents 2. Identity formation in high school 3. Identity formation by major satisfaction in university 4. Opinions of university students 5. Correlation with identity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university students(87 students in Chung-Ang university and 72 students in Hong-Ik univerisity). Male students were 33(28 in CAU and 5 in HIU), and female students were 126(59 in CAU and 67 in HIU). Among them, 157 questionnaires except for two which were insufficient for the study (2 in HIU and 0 in CAU)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which are “Anlaysis of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Ego-identity”(Eun-mi Kim, 2012), and “Major satisfaction”(Won-suk cho, 2009) were used to measure variables. The result of verifying study hypothesis are below: 1) After analyzing 7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it firstly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absolutely more than male students. Secondly, among fine arts university students, many of them were from metropolises, and students from medium-sized cities or agricultural villages were few. That is, the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is accomplished differently according to cities and areas. Thirdly, the number of students who stay out of school temporarily increases in higher grades. The reason was that they chose to take a rest due to frustration caused by a wrong major choice and job hunting. Fourthly, according to the question of high school departments, while the expectation was that fine arts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esthetic activities in their school life, they had almost same educ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xcept that the identity formation and major satisfaction were a little higher. Nevertheless, the reason of the high ratio in fine arts related school entrance is that the fine arts high school entrance is another meri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Fifthly, the number of poor students who cannot have an expensive private tutor, which is essential to enter into a fine arts college nowadays, are naturally less in the university. Sixthly, the question that the most influential standard when selecting a major was one’s grade which means that students follow the level of their grade and a major department in choosing a major. In this point, the standard of major selection between Chung-Ang and Hong-Ik university was different, and it was caused by the different admission process. Moreover, the newly known fact through this admission process was that the cut line of Korean SAT was higher when the name of the university major department changed. Namely, high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major by just seeing the name value of the major, not considering the specific curriculum or their aptitude. Seventh, the most period when choosing fine arts major was the early high school. That is, the high school period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and it is signific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fine arts classes for students’ future.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dentity formation in high school, most of the identity formation was accomplished in high school compared to the major satisfaction. One of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im is to enter into a good department in brand name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s were in Chung-Ang and Hong-Ik university where artistic departments strengthen, so it is natural that the identity is highly measured. However, as it is shown in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students do not choose their major and future career regarding their aptitude, interest, and sense of values, but they are terribly afraid of entrance competition where there is little career counseling and identity building.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school’s role and status as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falls while subjects which are not much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such as athletic and artistic subject decrease due to the increased private education market. Therefore, students who are in those period do not seem to experience right identification formation.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jor satisfaction, social recognition of the major and the name value of university affect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It means that major satisfaction is correlated to the university satisfaction, so when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programs, the study for reducing negative effects on the lower level university is necessary. For example, this case also shows that the name value of the university is satisfied while the major satisfaction is not fulfilled. To summarize, due to the present educational problem caused by the outcome-oriented society, Korean students do not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and specific university curriculum, but spend their precious time and money in the unsatisfied major. Throughout the questionnaires, the study provides clear evidence that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s essential for the identity building of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In addition, the education for one’s ego-identity establishment to find one’s value and meaning of existence is also necessary. 본 연구는 앞으로 미술대학을 지원하고자 하는 고등학생에게 올바른 미술 진로교육(Art Career education)이 이루어지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술대학생을 중심으로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선택에 미치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특성분석>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2. 고등학교 때 정체성 형성. 3. 대학진학 후 전공학과 만족도에 의한 정체성 형성. 4. 학생들의 의견. 5. 정체성 변화와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대상은 중앙 대학생 87명, 홍익 대학생 72명으로 총 159명이었다. 남학생은 33명(중앙대학교: 28명, 홍익대학교: 5명), 여학생은 126명(중앙대학교: 59명, 홍익대학교: 67명)이었다. 이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홍익대학교: 2부, 중앙대학교: 0 부) 2부를 제외한 157부가 최종 분석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분석”, “자아정체성” (김은미, 2012), “전공만족도” (조원숙. 2009) 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7문항 요인 분석 결과 <첫 번째> 현재 미술재학생 중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 수가 현저하게 적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미술대학 재학생 중 대도시 출신자들이 많았으며 중소도시, 농촌으로 갈 수 록 비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는 평등하게 교육받을 권리가 각 도시, 지역별로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각 학년별 재학 중인 학생을 알아본 결과 고학년이 될수록 휴학생 수 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자신과 맞지 않은 학과에 대한 허탈감 및 취업걱정으로 인한 막막함을 해소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스펙다지기를 위해 휴학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고등학교 계열에 관한 질문에서, 예술 고등학교에서는 비싼 학비 못지않게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과는 차원이 다른 미적 경험들을 학습했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정체성과 전공만족도에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예술 고등학교 진학율이 높은 이유는 미대를 가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미술대학을 진학하기 위해서 미술입시학원 및 고액과외라는 사교육이 꼭 거쳐야 할 수단이 되어버린 현실에서 경제적 형편이 여의치 않은 아이들의 비중은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다. <여섯 번째> 전공 선택 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기준에 대한 질문에서는 성적 맞춤식 학과 선택이 가장 많았다. 여기서 중앙대학교학생과 홍익대학교 학생의 전공 선택 시 작용한 기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입학전형 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또 입학 전형을 살펴보면서 새롭게 알게 된 점은 전공명이 바뀐 과는 유독 그 해에 수능성적이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입시생들이 자기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학과의 상세한 커리큘럼 정보 없이 학과 이름만 보고 선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곱 번째> 미술전공을 선택한 시기는 특히 고등학교 전기가 많았다. 즉, 미술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시기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한 아이의 미술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잘 해쳐나갈 수 있도록 고등학교 미술관련 수업 개선의 중요성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고등학교 때 정체성 형성 결과에 따르면 전공만족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때 정체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리니라 중⋅고등학생들의 최종목표는 명문대학의 좋은 학과이다. 이번 설문지 대상은 예체능계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중앙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재학생 대상 비확률 표집방법 이였음으로 정체성이 높게 측정될 수 박게 없다고 본다. 그러나 설문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 교육은 지나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진로교육이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학생들은 적성, 흥미, 가치관 등에 기반을 둔 진로 설계에 따라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기보다는 입시를 위한 과도한 경쟁으로 내몰렸다. 아울러 학교는 입시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교과목 및 비교과 활동이 위축되는 한편 사교육 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공공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위와 역할이 실추되었음을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아이들은 제대로 된 정체성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3) 전공만족도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있어서는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이에 대한 만족 그리고 자신이 다니는 대학자체의 명성과 지위에 대한 만족이 전공만족과 관련된 중요한 변인임을 고려해야 한다. 즉, 전공만족도는 학교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학교만족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학교는 만족하지만 전공은 만족하지 못하는 이번 사례가 그러하다. 요약하자면 성과지향으로 흐르고 있는 현재 교육의 문제점 때문에 자신이 가고자 하는 학과의 커리큘럼도 모른 체 우리나라 대학교의 문제점인 소위 명문대학교로의 학생 쏠림 현상으로 대학교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재정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설문지를 통해서 미술대학을 가고자 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실하게 알게 되었으며, 청년기 때의 자신의 진정한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을 이루기 위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교육대학원생의 대학원교육 만족도 조사 연구

        신승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교육대학원은 교육이론 연구와 우수한 자질을 가지고 교육계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할 목표로 1963년부터 대학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지만 1965년부터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대학원도 제한적으로나마 중등교원양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교육대학원은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교육을 복합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듯이 교육대학원은 설립 이래 양적팽창을 거듭해왔지만 이와 비례하여 질적 문제 또한 증대해온 것도 사실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고 행정 운영을 하는 등 손쉬운 학위 취득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교육대학원의 실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 중 수요자 관점에서 질을 논의하거나 측정할 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는 만족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소재 교육대학원 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교육만족도를 교육과정, 수업운영, 교육여건, 졸업 및 취업관리 4가지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령, 차수, 현직교사 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 학생은 교육대학원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 가운데 학위 취득을 위한 기능을 핵심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향후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으로 일반대학원과 같은 전공 심화교육 및 연구 기능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만족도의 4가지 구분 중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수업 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는 교육 여건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의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연령이 낮을수록, 차수(학기)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현직교사와 비현직교사로 구분한 만족도 비교는 대부분 현직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론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 여건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 비현직교사의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first established in Korea in 1963 to conduct educational studies and to cultivate educational leaders who serve in education with expertise. A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started to give a regular teacher's certificate to the enrolled students since 1965, they play a role in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present tim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ake charge of education for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But, as many preceding researches indicated, problems arise with respect t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1) establishment purpose without obvious legal basis; and (2) coexistence of two different functions,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ince their found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expanded qualitatively 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qualitative problems occur. The quality of each graduate school differ. Some studies criticize these schools under the ground that they grant the degree easily in spite of the poor education quality. Understanding graduate school's actual condition is prerequisite for solving these problems. Further,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the most widely used index to discuss or estimate the quality is satisfaction. As a standard of value-oriented analysis, satisfaction is not only applied to appreciat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ervice, and it also easy to be utilized. In this researc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investigated. Four area were selected to compare student's perception: curriculum,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environment and, graduation and career management. Our thre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erforms only a role of granting a degree among its various function.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tudents hope that in the future the graduate to provide intensive major courses and to improve educational research which general graduate schools offer. Second, in the survey of 4 part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lassroom management was the highest par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indirect factor of class, was the lowest part which was even lower than average. Finally, the comparison of satisfaction level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others showed that in-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things for the future study. First, the quality of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eeds to be enhanced. The graduate schools are expected to improve facilities and other services as well as quality of education. Finally, the method to increase pre-service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needs to be considered since the prospective teacher take the majority of student group.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clarify their identity a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교육대학원 영어과 예비교사의 중등 임용고사 관련 사교육 활용 실태

        이예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원 영어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예비교사들의 중등 임용고사 대비를 위한 사교육 활용 실태를 분석하며, 2014학년도부터 변경되어 실시된 중등 임용시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교육대학원 영어과 예비교사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교직 수업과 영어 전공 수업이 임용고사를 준비함에 있어 일정 부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사교육 강좌가 임용고사의 준비에는 더 도움이 된다고 평가하였다. 임용고사 대비를 위한 사교육의 활용 실태 측면에서는 예비교사의 절반 이상이 관련 사교육을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들의 상당수가 추후에 사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부터 변경·실시된 중등 임용시험이 관련 사교육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지는 못하였으며 오히려 변경된 출제방식으로 인하여 사교육의 필요성이 더 늘었다는 예비교사들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교육대학원 영어과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수업만으로는 임용고사를 준비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교육대학원의 수업이 임용고사와 연관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에서는 이러한 영어과 예비교사들의 임용시험 준비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수업을 개편하여 운영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핵심어: 교육대학원, 임용고사, 임용시험, 사교육, 영어교육, 예비교사, 활용 실태 This study has examined the following through the survey of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in the cours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erceptions of course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se of privat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and perceptions of revised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fr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ated that courses from the school helped them to prepar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in some degree. Private education, however, was regarded as a better way to study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Over half of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fr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used private education to prepar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Moreover, the prospective teachers who haven’t yet been involved in private education are likely to use it in the near future. Revised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was not helping to decrease the degree of the use of private education for the test. And a lot of prospective teachers felt that private education is now more necessary because of new types of questions in the test.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thought education from the Graduate School is not good enough to study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Also they stated the classes are not closely related to the test. Putting all th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ir curriculum based on the demand of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in the school. Key Wor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private education, English education, prospective teacher

      • 교육대학원 커리큘럼과 2009 개정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이수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은 중등 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커리큘럼’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들과 비교·분석하여 대학원 커리큘럼이 적절한지 살펴 본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 음악교과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을 부여하는 서울 10개 ‘교육대학원’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대상으로 표현·감상·생활화 영역을 각각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영역 비교의 경우, 어떤 이론을 가르치는 것 보다는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표현을 중시하는 교육 영역에 속하는데,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지식을 먼저 쌓는데 주력한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상’ 영역 비교의 경우, 기존의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없었던 새로운 영역인데,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감상보다는 이론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이 영역의 내용체계 및 목표를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만족하기 어려운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생활화’ 영역 비교의 경우, 생활 안에서 적용하여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 영역이 추구하는 음악교육 당위성의 이해와 체험활동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커리큘럼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교육대학원의 커리큘럼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제, 서구와 비서구, 국악과 서양음악이라는 이분법적 학습체제에서 벗어나야한다. 본 논문에서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관련된 현상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구성주의의 문제 중심 학습기법인 ‘PBL’ 교육법 활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바람직한 음악 교사의 능력과 자질을 기를 수 있는 여건과 기반이 교육대학원 커리큘럼의 변화와 개혁에 있음을 인식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discuss whethe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training institu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would be appropriated for students. To do this, 'music curriculum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uld be compared with '2009 revised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have granted the certification of full-time music teacher, and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t middle schools' were compared in terms of how to express, how to listen, and how to make music a part of our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rea of 'expression', students' creativity and their own characteristics should be focused: however, knowledge has been mor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s than other skills and abilities. Secondly, in the area of 'listening to music', a newly adopted area in 2009, the curriculum didn't seem to satisfy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since the contents were more related to theories than music listening. Thirdly, in the area of 'making music a part of life', since the curriculum consisted of many subjects related to theories, it seemed to fail to pursue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 - understanding the reason why students learn music and perform various activities. Thus,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2009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a dichotomous teaching method in music education - theory and reality, western style and non-western style, Korean classic and western music - should be avoide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has suggested to employ 'PBL' method, a constructive learning method focusing on problem solving, which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three areas of music education. Summing up,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need for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in order to develop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abilities and the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 문헌정보교육학분야의 학위논문 인용행태에 관한 연구

        허진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오늘날 학교교육은 교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교사의 성품과 역량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학생들에게 최적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사의 재교육이 필수적이다. 교사의 재교육은 주로 교육청이나 교육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대학원은 1963년에 최초로 설립된 이후 2000년대까지 꾸준하게 양적으로 증가하였고, 2000년대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헌정보교육대학원은 1971년 최초로 설립되었고, 현재 전국의 14개 대학에서 교육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회에 걸맞은 사서교사를 양성하고자하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재 문헌정보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학생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문헌정보교육대학원의 학업성취도와 결과물의 가치 파악에 대한 사회적관심이 증가하였다. 이에 문헌정보교육대학원에서의 연구기능과 학술적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인용과 피인용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10년간 7개 교육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 163건과 피인용논문 8,170건을 대상으로 인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피인용논문 8,170건 중 교육대학원 논문은 933건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933건을 대상으로 대학원별, 연도별, 전공별로 분석하였다. 인용논문을 대학별로 조사한 결과 F대학, D대학, E대학, A대학, G대학, B대학, C대학순으로 나타났으며, 논문제출여부에 따라 논문발행건수가 차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163건 중 교육대학원 논문을 인용한 논문은 전체의 79.8%를 차지하고 있어 교육대학원 논문 작성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교육대학원의 논문을 참고하고 인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헌정보교육전공의 논문은 2008년에 가장 많이 발행되었고, 점차 감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피인용논문의 형태별 의존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75.8%, 국외 24.2%로 국내문헌을 주로 의존하며, 국내문헌 중에서는 학술지, 단행본, 교육대학원, 일반대학원, 웹자료, 기타자료 순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원별로 인용건수를 분석한 결과 F대학, D대학, A대학, E대학, G대학, B대학, C대학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인용건수는 5.7건으로 밝혀졌다. 최다인용 대학은 D대학으로 전체 85개 대학원 중 상위 10개 대학원을 살펴본 결과 9개 대학원에 문헌정보교육전공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인용논문은 총 75개 전공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14개 전공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의 51.9%가 문헌정보교육분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 논문 작성시 동일분야의 논문을 주로 인용 하는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분야는 문헌정보교육분야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oday, school education has high dependence on teachers and is largely influenced by teacher's character and competence. To provide students the best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continued retraining is essential. The retraining of teachers is being made by Department of Education 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in quantity until the 2000s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3, After the 2000s, it has decrease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first built up in 1971, currently 14 universities in Korea are opera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goal is to train teacher librarian suitable for the community. Now,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ent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s growing, In the flow of these times, the social interest in determining the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sul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s increased. The analysis of citing and the cite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earch capabilities and academic direc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citation analysis targeting the 163 papers published and the 8,170 papers cited in 7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recent 10 years from 2003 to 2012. The 933 pap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cited papers of 8,170 were calculated, theses 933 papers were analyzed by graduate school, year, maj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ited papers by university, F, D, E, A, G, B, C university in order appeared, the number of paper publish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paper submiss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The papers to cite thes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163 papers accounted for 79.8% in all.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noted and cited the thes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writing paper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these of majoring in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most published in 2008, which have gradually reduced. As a result of analyzing dependence by type in the cited papers, researchers depended on the 75.8% of domestic papers and the 24.2% of the abroad papers, Journals, books, these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web data, other data among the domestic literature in order showed to be depend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the citation by university, F, D, A, E, G, B, C university in order appeared, the average number of the citation was 5.7 cases. Most cited university is D university an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top 10 graduate schools of all 85 graduate schools showed 9 graduate schools had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ited papers were also classified into a total of 75 majors, as a result of re-classifying them into 14 majors, the 51.9% of all indica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en writing the pape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can be determined to cite that of the same field, this topic areas will be provided as the basis on the study in the field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전통 민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2019년을 중심으로

        정순경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민요는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음악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는데 매우 중요한 교육수단이다. 이러한 민요를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시키기 위해 어떠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고 선행 연구들을 통해 연구방법과 틀을 마련하여 발행연도별, 학교별(소속별), 연구대상별, 활용요소별, 연구방법별로 연구동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 석사학위 논문 분석내용을 보면 2005년을 기점으로 상향되었고 2013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2019년 약간의 상승이 있었으나 전체적인 흐름으로 볼 때 점점 하향 추세의 결과를 보였다. 학술논문의 경우 연도별로 크게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고 2014년에 5편이후 2019년까지 하향 추세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학교별(소속별) 분석내용을 보면 수도권 대학에서 많은 연구를 하였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한국국악교육학회·한국민요학회 등이 민요교육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졌고, 그 중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에서 28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8편을 연구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 분석내용을 보면 학위논문은 중등-초등고-고등 순으로 중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많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술논문은 초등고-중등-전체 순으로 초등고가 많이 연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활용요소별 분석내용은 교과서 음악에 수록된 제제곡을 그대로 사용하여 어떠한 것도 소재로 삼지 않았지만, 다양한 시도를 통해 민요와 졸탄코다이 교수법, 시김새 등 국악가창기법, 가야금, 토리등을 활용하여 여러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전통민요교육과 관련한 연구방법별 분석내용은 학위 논문의 경우 조사 6편, 개발 176편으로 여러 제제곡의 지도안 개발이 많았으며, 학술 논문의 경우 조사 15편, 개발 16편, 문헌연구 1편으로 조사와 개발이 비슷한 추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민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도별에서는 민요교육 연구가 점증적으로 축소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에서 전통민요 교육연구가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지방소재 대학들도 전통민요 교육에 관심을 두어야 하겠고, 민요 교육자들이 다양한 대상과 교육 소재를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예술적 가치가 있는 우리의 전통민요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고 교육적 동기부여와 관심, 그리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민요교육자들이 학습지도 계획을 세우고 효과적인 민요교육을 진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들로 활용되어지는 것이라 하겠다. Folk songs are music representing our nation and are a very important educational tool to cultivate cultural identity. I investigated what kind of research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educate learners about this folk song. and By preparing research methods and frameworks through previous studies, we tri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by publication year, school (by division), research subject, application factors, and research methods.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analysis of master's thesis by publication year, It has increased since 2005, with the most research done in 2013, with a slight increase in 2019. but In terms of the overall flow, the result was gradually downward trend.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y year. After 5 reserches in 2014, there was a downward trend until 2019. Second, looking at the analysis of each school (by division), many studies we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sociation, and the Korean Folk Song Association were interested in research related to folk song education. Among them, 28 studies were conducted at the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Music at Chung-Ang University, 19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yunghee University, and 8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Hanyang University. Third, if you look at the analysis contents of each research subjec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esis has been studied mainly in secondary school in the order of secondary school-elementary school-high school. The academic papers were studied in elementary-secondary-all ord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a lot of research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s. fourth, according to Analyzing the utilization factor of the music textbook, although the songs were used as they were, through various attempts,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proposed using folk songs, Zoltankodai teaching methods, traditional Korean singing techniques such as sigimsae, gayageum, and tori. Fifth, if you look at the analysis content by research method, for thesis, 6 research articles and 176 developments articles, there was a lot of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lans for various songs.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there were 15 surveys, 16 developments, and 1 literature research showing similar trends in survey and development. Analysis result of research trend of traditional folk song education, As a result of yearly analysis, folk song education research is gradually decreasing as the years go by. Regionally,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raditional folk s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future, local universit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raditional folk song education. Folk song educators should pay attention to education so that learners can more easily access traditional folk songs of artistic value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feel motivated, interested, and fu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 basic material for folk song educators to establish a learning guidance plan and to conduct effective folk song education.

      • 재즈 댄스 교육과정 현황 조사연구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신유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 무용학과의 재즈 댄스 교육과정의 현황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즈댄스 전공자들이 되고자 하는 일반인들에게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의 내용, 교육 현황의 문제점, 앞으로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5개 학교의 교과과정을 연구한 결과 재즈 댄스 전공자들의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1,2 학년에는 기초 이론과 기초 실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3,4 학년에는 전문적인 실기와 여러 종류의 춤 장르, 전문적인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각 학교의 특성을 고려해 용인 대학교와 조선대학교의 경우는 교과목을 모두 2학점 이상으로 하였다. 학점이 늘어남에 따라 시수도 늘어나기 때문에 모든 수업이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지게 하였고, 용인 대학교의 경우는 실기수업을 일주일에 두 번으로 나눠서 수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그 외의 대구 예술대학교, 우석 대학교, 원광 대학교는 학점을 1점에서부터 이론수업의 경우는 3학점까지 골고루 하여 전공 선택 과목을 대폭 늘려 여러 종류의 춤의 장르와 다양한 이론 수업을 시행 하고 있었다. 대구 예술 대학교는 춤의 전문화와 다양화를 통해 모든 춤의 장르를 섭렵하여 전문적인 안무활동이나, 자신만의 작품세계, 다재다능한 춤꾼이 되도록 교육하고 있었다. 우석 대학교는 우리나라 최초로 실용무용전공을 개설하여 순수 무용만을 고집하는 무용과의 고정관념을 무너트리기 시작하였다. 이런 고정관념을 무너트린 우석 대학교는 순수 무용과 실용무용의 접목을 시도하여 교육하고, 학생들에게 많은 공연의 기회를 제공하여 재즈 댄스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원광대학교나 조선대학교는 비록 현대무용이나 발레에 흡수되어 교육을 받고 있지만, 재즈 댄스 전공인 학생들이 공연 활동을 많이 하여 그들의 작품세계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각 대학은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4년 동안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무용인이 되는데 기여하고, 많은 춤의 장르의 교과를 이수하도록 하여 창작활동이나, 자신의 안무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1980년부터 대중에게 보급되기 시작한 재즈 댄스는 우리나라에서 정착된 역사가 짧고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고급인력의 부족에 크게 기여를 하는 것이 대학교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다. 1997년 우석 대학교를 시작으로 재즈 댄스 전공자 배출은 아직까지는 시작단계인 것이다. 앞으로 우석 대학교, 용인대학교, 대구예술 대학교,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 그 외의 많은 대학교에서 재즈 댄스를 전문적으로 교육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인력들을 많이 배출하여야 한다. 그래서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대중무용의 대표인 재즈 댄스의 확산과 전문성, 예술성에 기여 하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 무용인들은 앞으로 순수무용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여러 장르의 춤들을 다양하게 접하여, 다방면에 능통한 전천후 춤꾼들과 안무가가 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는 재즈 댄스 전공 학생들이 4년 동안 대학의 무용교과 과정을 통해 다양한 춤을 접함으로써 자기만의 춤 세계를 만들 수 있는 무용수를 배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재즈 댄스를 활성화 하여 실기를 향상시켜, 충분한 지도력, 인격형성, 전문 지식 등을 겸비한 전공자를 배출함으로써, 우리나라 재즈 댄스 고급인력을 키우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이빛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40년간 발표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 논문을 분석하여 학위논문을 주제별 대학생산성과 연도별 생산성 분포를 탐구하고,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헌정보교육의 연구동향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를 위해 1971년부터 2011까지 발행된 12개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 학위논문 431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조사 대상 문헌정보교육학의 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주제영역을 설정하였다. 셋째, 주제영역을 기반으로 조사 대상 논문의 주제별 대학생산성과 연도별 생산성을 조사, 분석하여 연구의 변화와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별 연구의 특성은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 논문의 생산성은 대학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별로 살펴본 주제영역 특성은 3개교를 제외하고 9개교에서 학교도서관운영 영역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논문의 생산성도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연도별 연구의 특성은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 논문의 생산성은 증감추이가 나타났지만 점점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2000년도 이후 기점으로 급증하기 시작하여 논문의 생산성이 90%이상 집중되어 있었다. 넷째, 연도별 주제영역 특성은 연구의 생산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었으며 학교도서관운영 영역과 독서지도론 영역 분야에서 더 활발하게 연구되어 생산성이 높게 집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 논문의 특성은 학교도서관운영 영역과 독서지도론 영역에서 확연하게 높은 생산성을 보이며 치중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heses published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graduates schools during the last 40 years and studied the productivity of university by topic and by year. The method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31 theses published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12 graduate schools from 1971 to 2011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cond, the range of topics were established to analyze the topics for the thes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rd, the productivity of university by topic and by year with regard to the targeted thesi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established range of subjects to analyze the changes in researches and its tren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by university, the productivity of the thes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aried depending on university. Seco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nge of subjects, 10 universities out of 12 universities were actively conducting the studies on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libraries and their productivity turned out to be positive too. Thir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by year, the productivity of the theses was on the rise despite its undulation. In particular, beginning in 2000, it has increased sharply and 90% of the productivity of theses were focused in this period. Fourth,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nge of subjects by year, the productivity of researches was on the rise, yet the productivity was concentrated on the management of school libraries and reading eduction because the studies on that area were more active. Final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s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graduate schools, management of school libraries and reading eduction showed markedly higher productivity, indicating the studies were biased on a specific r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