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정신장애인 옹호서비스인 절차보조사업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의사결정지원에서의 성과 및 한계를 중심으로 -

        송승연(Song, Seung Yeon),정유석(Chung, Yu 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절차보조사업에 참여한 경험을 탐색하여 강제적 치료에 대한 정신장애인 권익옹호 서비스인 절차보조사업의 성과 및 한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절차보조사업에 참여한 옹호자 13명, 병원관계자 5명, 이용자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FGI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견된 주제는 첫째, 지역과의 연결과 자기옹호가 되는 절차보조, 둘째, 동료옹호 강점이 작용된 절차보조인의 활약, 셋째, 권리 간의 갈등과 권한의 부재로 나타나는 한계, 마지막으로 사업 참여 경험에 기반한 절차보조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발견된 의미에 대한 논의점과 실천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증진시킬 수 있는 권익옹호서비스로서 절차보조사업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옹호서비스로서 절차보조사업의 목적성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적 개선과 ‘옹호, 의사결정지원’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의사결정지원 측면에서 절차보조사업의 역할 강화를 위해 당사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는 대안적 지역사회 인프라 확충이 요구된다. 넷째, 동료옹호로서 절차보조사업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권리보장과 더불어 회복적 측면에서 긍정적 잠재력이 있는 절차보조사업의 확충이 요구된다. 여섯째, 절차보조사업과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의사결정지원을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의 진지한 고민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cedure assistance project to find out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ocedure assistance project, a advocacy of the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in the compulsory treatment. In-depth interviews and FGI were conducted and analyzed with 13 advocates, 5 hospital officials, and 2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dure assistance project. The topic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re classified as first, procedure assistance to connect with the community and self-advocacy, Second, the performance of the procedural assistant whose strength of peer advocacy was applied, Third, conflicts between rights and lack of authority are the limits of procedural assistance, Finally, Procedural assistance activation plan based on participation experience. The discussion points an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meaning foun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urther promote procedural assistance projects as a Advocacy that can promote the right to self-decision-making of the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Seco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rpose of procedural assistance projects as a advocacy service,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spread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advocacy, supported decision-making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le of procedural assistance projects in terms of supported decision-making, it is necessary to expand alternative community infrastructure that can guarantee the dignity and autonomy of the par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firmly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procedural assistance project as a peer advocacy. Fif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cedural assistance projects with positive potential in terms of recovery as well as rights guarantee. Sixth,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establish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to comprehensively provide various supported decision-making that can be combined with procedural assistance projects.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대안적 접근으로서 Mad Stud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승연(Song, Seung Y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9

        정신보건법이 1995년 제정되고, 20여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은 정체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대안적 접근으로서 Mad Studies가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반정신의학 및 외국의 당사자운동을 전반적으로 조명해보고, Mad Studies와 관련된 세부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Mad Studies를 통한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Mad Studies는 새로운 대안인 Mad와 관련이 있는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둘째, Mad Studies는 현재 지배적인 의료모델 중심의 정신건강체계에서 새로운 대안을 구축할 수 있다. 셋째, Mad Studies는 정신의료체계 내 용어를 당사자의 용어로 전환하는 ‘언어의 전복’을 시도한다. 넷째, Mad Studies는 정신장애차별주의 개념을 도입하여 현존하는 정신장애인의 억압을 드러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서 당사자의 경험적 지식이 주체로 작용될 수 있다. 여섯째, Mad Studies는 외부적 표출을 통한 집단적 자기옹호활동 중시한다. 일곱째, Mad Studies는 정신장애인 억압에서 확장되어 신자유주의 가속화를 겨냥한다. 여덟째, Mad Studies는 정신장애인의 ‘증상’이 아닌 ‘권리’에 초점을 두는 관점의 전환을 통해 지역사회통합을 촉진하는 정책적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 Mental Health Act was enacted in 1995, and over the past 20 year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has remained stagnant. I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Mad Studies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the anti-psychiatry and foreign survivor movements in general, and examined the details related to Mad Studies. And the implications of Mad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Mad Studies begins by accepting everything that is associated with the new alternative Mad. Second, Mad Studies can build new alternatives in the mental health system that is currently centered around the dominant medical model. Third, Mad Studies attempts to ‘overthrow the language’, which turning the terms in the psychiatric system into the terms of the survivor. Fourth, Mad Studies can be used to reveal the oppression of the existing i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anism. Fifth,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may play as a subject in seeking solutions. Sixth, Mad Studies emphasizes the collective self-advocacy activities through external expression. Seventh, Mad Studies extends from the oppression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to target accelerating neoliberalism. Eighth, Mad Studies can make a policy change that promotes community integration through a shift in the focus on ‘rights’ rather than ‘symptom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KCI등재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 경험 분석을 통해 역할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당사자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료지원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주는 동료지원가’, ‘다양한 사회적 구조 및 환경 속에 위치한 동료지원가’, ‘경험의 힘에서 비롯되는 동료지원가의 정체성’, ‘개인적 삶에서 새로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동료지원가 활동’ 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1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동료지원가의 역할과 정체성에서 살아있는 경험의 공유, 경험적 지식, 동등한 관계 등은 핵심요소로 나타났다. 동료지원가는 경험전문가, 친구, 환자 등의 다양한 정체성이 공존할 수 있지만, 그들은 경험을 원동력으로 삼아 선순환적인 새로운 정체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동료지원서비스 활성화와 정착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ole and identity of peer support worker through experience analysis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it questingly. To this end,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eer support workers who are active in a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core categories of ‘peer support worker who influence the whole life of the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peer support worker who are in various social structures and environments’, ‘Identity of peer support worker originated in the power of experience’, ‘peer support worker activities to help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dream of a new future in personal life’ and 14 sub-themes were derived. Sharing of lived experience, experience knowledge and horizontal relationship are seen as key factors in the role and identity of peer support worker. Although various identities such as experience experts, friends, and patients coexist as a peer support worker, It turns out that they are moving toward a new identity of a virtuous cycle by using experience as the driving for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the activ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 peer support services.

      • KCI등재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이 주거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차원(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에 지역사회차원(맥락적 가능요인)을 추가한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여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개인적 수준(1수준)의 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연구용역 과제를 수탁하여 수행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지역사회 수준(2수준)의 자료는 국립정신건강센터 등 국가수준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의 특성에 대응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지역사회 수준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로지스틱 다층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적 수준의 선행요인에서는 결혼상태가, 가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수급여부, 스티그마가, 욕구요인에서는 주거서비스욕구, 가족관계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차원의 맥락적 가능요인에서는 지역별 정신의료기관 병상수, 지역별 장애인복지예산, 지역별 정신건강복지법 관련 조례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정책적 함의 등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using the expanded Andersen Model, which added community dimensions(Contextual enabling factors) to the existing personal dimensions(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in 2017 was used,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t the same time, the data of community level(level 2)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extracting national level data, such as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nd, logistic hierarchial linea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rvice users we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level. Accordingly, as a result of inputting personal level variables, in the predisposing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the marital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In the enabling factors, employment status, public assistance status, stigma, and in the need factors, housing service needs and family relation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ntextual enabling factors of the community level,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mental hospital beds by region, the welfare budget for the disabled by region, and the ordinances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by reg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관한 연구

        송승연(Song Seung Yeon),배진영(Bae Jin Yeong),윤삼호(Yoon Sam ho) 한국장애학회 2018 한국장애학 Vol.3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드러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당사자 관점을 중시하는 참여행동 연구방법을 시도하였고, 15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운동 경력이 풍부한 정신장애 당사자들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강제적 정신의학 영역에서의 차별’, ‘가족 안에서의 차별’, ‘연애와 결혼에서의 차별’, ‘사회 속에서의 차별’, ‘언론 및 미디어에서의 차별’ 이 다섯 가지 주요 측면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의료기관과 전문가 중심의 의료 모형에서 지역사회와 당사자 중심의 사회 모형으로 정책의 큰 틀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정신의료기관 입원 일수와 강제입원 비율을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추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 관련 예산을 확충하고, 그 예산이 당사자의 자립과 권익을 지원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넷째, 정신장애인도 다른 유형의 장애인과 동일한 수준의 복지서비스와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 및 지방 정부는 정신장애 당사자가 사회참여를 하고 자신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정책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에게도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정신장애인 차별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언론과 시민사회의 변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im to show discrimination which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this, we used method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ch highlights on perspectives of the persons themselves, and interviewed 15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verse and meaningful disabil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discriminated experiences in daily life appears in 5 aspects: ‘discrimination by coercive psychiatry’, ‘discrimination by family’, ‘discrimination about love and marriage’, ‘discrimination by society’ and ‘discrimination by news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reform the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irst, policy framework should be changed from clinical model that is centered on psychiatric institutions and experts to social model that is focused on community and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Second, days of hospitalization and proportion of compulsory hospitalization have to be lowered up to the level of OECD average. Third, budget on mental disability have to be expanded and it has to be used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and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ourth, legislation has to be revised to guarantee welfare services and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o the extent of level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Fif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take prospective policies and measures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manage themselves. Sixth,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have to be provided to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Seventh, it needs to change news media and civil society to reduce the discrimination problems abou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의 관계

        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3

        한국의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살예방정책은 자살을 개인심리적 차원에서 바라보는 ‘자살의 개인화’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에는 사회적 배제와 같이 다차원적이고 복잡한 거시적 원인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라는 ‘자살의 사회화’ 가정하에,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KOWEPS) 제 9차년도(2014년)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배제가 중장년층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직접경로와 사회적 배제가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도달하는 간접경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경제활동 배제, 건강 배제는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동활동 배제, 주거 배제, 사회참여 배제는 우울을 통해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의 원인을 개인의 정신건강 문제로 접근하는 정신의학적 접근만이 아닌 사회구조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사회적 배제 차원의 접근을 시도하여 중장년층의 자살개입 정책관점 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re limited to the ‘individualization of suicide’ which looks the suicide in the personal psychological dimension even though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xclus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middle-aged individuals under the premise that there will be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macroscopic causes like the social exclusion on the background that influences suicide. For this, utilized the Ninth(2014) data from KOWEPS, the study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rect route where the social exclusion explains the suicidal ideation of middle-aged individuals and indirect route where the social exclusion reaches the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the de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exclusion of economic activities and health completely mediated the route to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exclusion of labor activities, housing,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partially mediating the route to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cessity on the shift of perspective on the suicide intervention policy by trying out not only the psychiatric approach which approaches the cause of ‘suicide’ with personal psychiatric problem but also the approach in the dimension of social exclusion which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socio-structural aspects.

      • KCI등재
      • KCI등재

        EFT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화병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분석

        송승연 ( Seung Yeon Song ),이정환 ( Jung Hwan Lee ),서진우 ( Jin Woo Suh ),권찬영 ( Chan Young Kwon ),김종우 ( Jong Woo Kim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4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Freedom Techniques (EFT) group treatment program for Hwa-byung patients. Methods: Thirteen Hwa-byung pati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four weeks program of EFT group treatment and the program was executed once a week, for about one hour. After every session, the participants performed EFT by themselves in order to control their symptoms.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we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by us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o observe changes of Hwa-byung. All the data collected was summarized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Results showed effects of the EFT group treatment program, with regards to th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reliefs of Hwa-byung symptoms like chest tightness, hot flashes, insomnia and so on. Their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mproved and their re-experiences of past memories decreased. And their distorted self-images were also restored. Lastly, there was a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and an increase in positive emotion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could control their symptoms by performing self-enforcement. In addition, regarding the form of group therapy, the treatment was effective as it helped the participants to feel solidarity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s: The EFT group treatment program can relieve th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symptoms of Hwa-byung. This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psychotherapy of Hwa-byung.

      • KCI등재

        정신장애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송승연(Seung-Yeon Song),이용표(Yong-Py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요인, 사회적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 연구,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96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심리적 요인에서는 우울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자신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미등록장애 집단일수록, 폭력 및 차별 경험에 많이 노출될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자살생각에 대한 설명력은 26.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도출한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에 관한 실천적 ·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정책과 개입프로그램을 강구하는데 있어 개인심리적요소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요소를 같이 평가하고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 정책을 강구하는데 있어, 폭력과 차별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권익옹호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신장애등록 제도를 개편하여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제도 안으로 포섭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강구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data include 969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Research,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Mental Disabilities in Community’. The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erm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lower the mental health confidence, the more suicidal ideation increase. In terms of social factors, the more unregistered disabled groups, the more exposure to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nd the more they live in large cities, the higher their ideation of suicidal.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6.9% of suicidal ideation.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factors should be evaluated and considered together,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in seeking polic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that reduce suicidal ideation in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econd, in seeking suicide prevention polici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Protection & Advocac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violence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Third, in order to reduce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mental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nd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devised so that those experiencing mental distress can be included into the system.

      • 딥러닝 기반 시각-관성을 활용한 드론 주행기록 추정

        송승연 ( Seung-yeon Song ),박상원 ( Sang-won Park ),김한결 ( Han-gyul Kim ),최수한 ( Su-ha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본 연구는 시각-관성 기반의 딥러닝 학습으로 자유분방하게 움직이는 드론의 주행기록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드론의 비행주행은 드론의 온보드 센서와 조정값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온보드 센서 데이터를 학습에 사용하여 비행주행의 위치추정을 실험하였다. 선행연구로써 DeepVO[1]룰 구현하여 KITTI[3] 데이터와 Midair[4]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3D 좌표면에서의 위치 추정에 선행연구 모델의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IMU를 Feature로써 사용하였다. 본 모델은 FlowNet[2]을 모방한 CNN 네트워크로부터 Optical Flow Feature에 IMU 데이터를 더해 RNN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행기록 예측을 다소 정확히 했다고 할 수 없지만, IMU Feature를 통해 주행기록의 예측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관성 분야에서 사람의 지식이나 조정이 들어가는 센서를 융합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사람의 제어가 들어가지 않는 End-to-End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학습했다. 또한, 시각과 관성 데이터를 통해 주행기록을 추정할 수 있었고 시각적으로 그래프를 그려 정답과 얼마나 차이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